맨위로가기

오리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과는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에 분포하며, 크고 작은 다양한 종을 포함하는 조류의 한 무리이다. 부리는 넓고 편평하며,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다. 식성은 어류, 조개류, 식물 등 다양하며, 일부 종은 일부일처제를 보인다. 오리과는 크게 5개의 아과로 분류되며, 청둥오리, 기러기, 고니 등이 이에 속한다. 인간에게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하며, 깃털, 고기, 알을 제공하지만, 농업 해충이 되거나 조류인플루엔자를 매개하기도 한다. 서식지 감소, 과도한 사냥, 외래종과의 잡종 형성 등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과 - 점무늬오리
    점무늬오리는 호주 고유종으로, 짙은 회색 또는 검은색 깃털과 흰색 반점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와 오인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어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된다.
  • 오리과 - 검은머리흰죽지
    검은머리흰죽지는 댕기흰죽지와 유사하나 머리깃이 없고 수컷은 광택 있는 어두운 머리와 검은 가슴, 암컷은 부리 기부에 흰색 띠가 있는 오리과의 조류로, 환북극 지역에 넓게 분포하며 서식지 손실과 오염으로 개체수 감소 추세에 있어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 등급으로 분류된다.
오리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흰뺨검둥오리, 큰고니, 브라질청둥오리, 뉴질랜드쇠오리, 흰죽지, 회색기러기
시계 방향으로 위쪽 왼쪽부터: 흰뺨검둥오리, 큰고니, 브라질청둥오리, 뉴질랜드쇠오리, 흰죽지, 회색기러기
학명Anatidae
명명자리치, 1819
모식속Anas
모식속 명명자린네, 1758
화석 범위초기 올리고세 – 현재
하위 분류군
호반새속
아과나무오리아과
나무오리속
흰뺨오리속
바늘꼬리오리아과
바늘꼬리 오리속
오리아과
아마존청둥오리속
시비리오네타속
오리속
알락오리속
잿빛머리오리속
†켈리켈리네켄속
볏왕오리속
†프타이오켄속
스페쿨라나스속
†탐베토켄속
†켄디테스속 (줄기 그룹)
흰뺨검둥오리아과
알로포켄속
안데스기러기속
청머리오리속
메르가네타속
네오켄속
살바도리나속
흰뺨검둥오리속
라자도르나속
바다오리아과
쇠기러기속
흰기러기속
고니속
코스코로바고니속
닭부리아과
닭부리
고방오리아과
고방오리속
대리석흰죽지속
마도요속
흰뺨오리족
헤테로네타속
노모니크스속
흰뺨오리속
비오리족
흰뺨오리속
흰죽지속
할리퀸오리속
아메리카흰뺨오리속
흑기러기속
흰비오리속
비오리속
아이더오리속
검은머리흰죽지속
미분류아이크스속
아사르코르니스속
카이리나속 (또는 흰뺨검둥오리아과)
칼로네타속
체노네타속 (또는 흰뺨검둥오리아과)
프테로네타속
론도네사속
시아노켄속
사르키디오르니스속 (또는 오리아과)
큰바다오리속
검은오리속
말라코린쿠스속

2. 분포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 분포한다.[9][10] 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사막 지대나 그린란드 내륙부 등에는 서식하지 않는다.[11]

3. 형태

오리, 거위, 고니는 크기가 다양하며, 몸은 넓고 길쭉하다. 잠수하는 종은 더 둥근 형태를 가진다. 현존하는 종 중 가장 작은 종은 면오리(26.5cm, 164g)이고, 가장 큰 종은 나팔고니(183cm, 17.2kg)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큰 오리과 조류는 22kg의 멸종된 날지 못하는 ''가르가노르니스 발만니''이다. 최대종은 큰고니, 최소종은 아프리카난쟁이거위이다.[9]

날개는 짧고 뾰족하며, 강한 날개 근육으로 빠르게 움직여 비행한다. 일반적으로 긴 목을 가지지만 종에 따라 다르다. 다리는 짧고 튼튼하며 몸 뒤쪽에 위치하여(수생 종일수록 더 뒤쪽에 위치) 육지에서는 어색할 수 있지만, 논병아리바다제비보다는 잘 걷는다. 보통 물갈퀴가 있지만, 네네처럼 물갈퀴가 없는 종도 있다.

부리는 부드러운 각질로 만들어졌고 얇고 민감한 피부층이 덮고 있어 만지면 가죽 같다. 대부분 종은 부리가 평평하며, 여과 섭식 종은 톱니 모양의 라멜라(판치)가 발달해 있다.[4] 부리는 폭이 넓고 약간 편평하며,[10] 부리 끝에는 각질로 된 갈고리 모양의 돌기(부리톱)가 있다.[9][10] 많은 종은 부리 바깥쪽에 빗 모양의 얇은 판(판치)이 있어[9], 수중에서 작은 음식물도 걸러낼 수 있다.[10] 혀는 두껍고, 가시 모양의 돌기가 늘어서 있다.[10]

깃털은 특수한 기름 덕분에 물을 잘 튕겨낸다. 많은 오리들은 성적 이형성을 보여 수컷이 암컷보다 밝은 색을 띤다(예외: 천국오리). 고니, 거위, 휘파람오리는 성적 이형성을 나타내는 깃털이 없다. 꼬리 깃털은 많은 종에서 짧다.[9] 아랫면은 평평하며[10], 물에 뜨기 쉽다.[9]

뒷다리는 몸통의 약간 뒤쪽에 위치하는 종이 많으며[9], 일부 종에서는 지상에서 걷는 것은 서툴지만 수중에서는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10] 뒷다리는 비교적 짧은 종이 많다.[10] 많은 종에서 제2~4 발가락 사이에는 물갈퀴가 발달한다.[9]

알은 흰색이나 옅은 노란색, 파란색 등의 껍질로 덮여 있으며, 반점이 없다.[10]

4. 생태

오리과는 담수역, 습원, 해양 등 다양한 물가 환경을 선호한다.[10] 많은 종이 이동을 하지만, 일부 종은 이동하지 않거나 비행할 수 없는 종도 있다.[9][10] 비행할 때는 목을 앞으로 뻗고, 뒷다리는 뒤로 뻗는다.[9] 일본 국내의 관찰에서는 논 등의 채식 장소와 둥지가 되는 수역을 번갈아 사용하며 생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18] 기러기와 고니는 해 뜰 무렵에 채식 장소로 이동하고, 해 질 녘에 둥지로 돌아간다. 오리는 주야가 반전된 형태로 동일한 행동을 한다.

식성은 종에 따라 다르며, 어류, 조개류, 식물의 잎, 과실, 종자 등을 먹는다.[9][10]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많은 종은 물가에 식물을 조합한 접시 모양의 둥지를 만들지만, 수동이나 절벽 등에 둥지를 만드는 종도 있다. 주로 암컷이 알을 품는다.[9][10] 새끼는 부화하면 곧 둥지를 떠나(조숙성) 어미를 따라 이동한다.[9]

5. 분류

오리과는 크게 흰뺨오리과, 고마후가모아과, 발톱원앙아과, 기러기아과, 오리아과 등으로 나뉜다. 학자에 따라서는 9개 또는 그 이상의 아과로 분류하기도 하며, mtDNA 염기서열 분석 등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라 분류 체계가 변동될 수 있다.

오리과: 유라시아 흰뺨오리, 넓적부리, 알락오리, 청둥오리, 큰고개기, 흰뺨오리, 쇠부리, 가고일, 유럽 흰뺨오리, 쇠오리, 비오리, 큰고니, 비단고기, 검은머리흰죽지, 붉은가슴흰죽지, 흰죽지. 벨라루스 우표, 1996.


오리과의 계통 분류는 유동적인 상태에 있다. 이전에는 6개의 아과로 나뉘었으나, 리치의 해부학적 특징 연구에 따르면 오리과는 9개의 아과로 분류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하며, 이 분류는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에 인기를 얻었다.[4] 그러나 mtDNA 염기서열 분석에 따르면, 예를 들어 물갈퀴오리와 잠수오리는 같은 아과에 속하지 않는다.[4]

Livezey의 분석에는 단점들이 있지만, mtDNA는 많은 물새, 특히 물갈퀴오리에서 생식 가능한 잡종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계통 발생 정보를 얻는 신뢰할 수 없는 자료이다.[4]

오리과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모든 증거를 통합하여 강력한 계통 발생을 제시할 만한 이유는 불분명하다.

5. 1. 하위 분류

Livezey영어의 해부학적 특징 연구에 따르면 오리과는 9개의 아과로 분류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하며, 이 분류는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에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mtDNA 염기서열 분석에 따르면, 예를 들어 물갈퀴오리와 잠수오리는 같은 아과에 속하지 않는다.[4]

오리과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 '''흰뺨오리과(Dendrocygninae)'''
  • 흰뺨오리속(''Dendrocygna'') : 흰뺨오리 등 8종
  • ''Thalassornis'' : 흰등오리 1종
  • '''고마후가모아과(Stictonettinae)'''
  • ''Stictonetta'' : 고마후가모 1종
  • '''발톱원앙아과(Plectropterinae)'''
  • ''Plectropterus'' : 발톱원앙 1종
  • '''기러기아과(Anserinae)'''
  • 고니속(''Cygnus'') : 고니 등 6종 (때로는 4종이 ''Olor''로 분리되기도 함)
  • 기러기속(''Anser'') : 회색기러기, 흰기러기 등 11종
  • 검은기러기속(''Branta'') : 검은기러기 등 6종
  • '''오리아과(Anatinae)'''
  • 오리족(Anatini) :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 비오리족(Mergini) : 검둥오리
  • 옥시우라족(Oxyurini) : 흰머리오리 등
  • 원앙속 (''Aix'') : 원앙
  • '''흰죽지아과(Aythyinae)'''
  • ''Netta'' : 붉은머리흰죽지 등 4종 (1종 멸종 추정)
  • ''Aythya'' : 흰죽지, 검둥오리 등 12종
  • '''혹부리오리아과(Tadorninae)'''
  • ''Pachyanas'' : 채텀섬오리 (선사 시대)
  • ''Tadorna'' : 흰뺨오리 (6종, 1종은 멸종 추정)
  • ''Radjah'' : 라자흰뺨오리
  • ''Salvadorina'' : 살바도리청둥오리
  • ''Centrornis'' : 마다가스카르흰뺨기러기 (선사 시대, 잠정적으로 여기에 속함)
  • ''Alopochen'' : 이집트기러기 및 마스카린흰뺨오리 (1종, 2종 멸종)
  • ''Neochen'' : (2종)
  • ''Chloephaga'' : 흰뺨기러기 (4종)
  • ''Hymenolaimus'' : 푸른오리
  • ''Merganetta'' : 급류오리
  • '''탈라소르니아과(Thalassorninae)'''
  • ''Thalassornis'': 흰등오리
  • '''바다오리족(Mergini)'''
  • ''Shiriyanetta'' (선사 시대)
  • ''Polysticta'' : 스텔러바다오리
  • ''Somateria'' : 바다오리 (3종)
  • ''Histrionicus'' : 할리퀸오리 (''Ocyplonessa'' 포함)
  • ''Camptorhynchus'' : 라브라도르오리 (멸종)
  • ''Melanitta'' : 검둥오리 (6종)
  • ''Clangula'' : 긴꼬리오리 (1종)
  • ''Bucephala'' : 흰눈썹오리 (3종)
  • ''Mergellus'' : 흰갈매기
  • ''Lophodytes'' : 큰바다오리
  • ''Mergus'' : 바다오리 (4종, 1종 멸종)
  • '''가창오리족(Oxyurini)'''
  • ''Oxyura'' : 뻣뻣한 꼬리 오리 (5종)
  • ''Nomonyx'' : 가면오리
  • ''Heteronetta'' : 검은머리오리


5개의 아과에 58개의 속, 172종이 속한다.

5. 2. 계통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계통수를 보여준다.[15]

형태의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하였다.

6. 인간과의 관계

오리, 거위, 고니의 깃털과 솜털은 오랫동안 침구, 베개, 침낭, 코트 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9][10] 이 과에 속하는 동물들은 식용으로도 오랫동안 이용되었다.[9]

인간은 오리, 거위, 고니와 오랜 관계를 맺어 왔다. 이들은 인간에게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하며, 여러 오리 종은 인간과의 관계에서 이점을 얻었다. 그러나 일부 오리과 동물들은 농업 해충이며, 조류인플루엔자와 같은 인수공통감염병의 매개체 역할을 해왔다.

1600년 이후, 5종의 오리들이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멸종되었으며, 화석 잔해는 인간이 선사 시대에 수많은 멸종을 초래했음을 보여준다. 오늘날, 훨씬 더 많은 종들이 위협받는 것으로 간주된다. 역사 시대와 선사 시대의 대부분의 멸종은 작은 개체군(종종 단일 섬에 고유종)과 섬에서의 순치로 인해 취약했던 섬 종이었다. 포식자가 없는 섬에서 진화하면서, 이러한 종들은 포식자 회피 행동과 비행 능력을 잃었고, 인간의 사냥 압력과 외래종에 취약했다. 다른 멸종과 개체 수 감소는 과도한 사냥, 서식지 감소 및 변경, 그리고 외래 오리와의 잡종 형성(예: 유럽에서 유입된 붉은머리오리가 흰머리오리를 압도하는 경우)에 기인한다. 수많은 정부와 보존 및 사냥 단체들은 서식지 보호 및 조성, 법률 및 보호, 그리고 사육 프로그램을 통해 오리와 오리 개체군을 보호하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참조

[1] 논문 The 20-cm Spiny Penis of the Argentine Lake Duck (''Oxyura vittata'') http://mercury.bio.u[...]
[2] 논문 Independent evolutionary reductions of the phallus in basal birds http://prumlab.yale.[...] 2008
[3] 논문 Sexual selection and the intromittent organ of birds 1997
[4] 서적 Synopsis of the Contents of the British Museum British Museum
[5] 서적 History and Nomenclature of Avian Family-Group Names http://digitallibrar[...]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6] 논문 Mitogenomics supports an unexpected taxonomic relationship for the extinct diving duck ''Chendytes lawi'' and definitively places the extinct Labrador Duck https://authors.libr[...]
[7] 웹사이트 The present state of knowledge of Tertiary birds of Central europe http://www.nm.cz/dow[...] Natural History Museum 2013-03-11
[8] 논문 Presbyornis and the Origin of the Anseriformes (Aves: Charadriomorphae) http://si-pddr.si.ed[...] Smithsonian Institution 2010-01-25
[9]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 (ガンカモ目) 財団法人東京動物園協会
[10] 서적 動物大百科7 鳥I 平凡社
[11] 웹사이트 Ducks, Geese and Swans (Anatidae) http://ibc.lynxeds.c[...]
[12] 서적 The Birds of Africa, Volume I Academic Press
[13] 웹사이트 Anatidae http://www.eol.org/p[...]
[14] 문서 ガンカモ類の頸の長さに関する記述の相違
[15] 웹사이트 ANSERIFORMES http://jboyd.net/Tax[...] 2014-10-27
[1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European Birds: An Essential Guide to Birds of Europe https://books.google[...] MobileReference 2012-12-05
[17] 웹사이트 鳥類学者は見た カモの「螺旋型」ペニスは0.5秒で勃起! | 「カモの交尾からヒトが学べること」が凄い https://courrier.jp/[...] 2024-11-26
[18] 서적 ガンカモ類への餌付けが湖沼の水質に及ぼす影響 地人書館
[19] 백과사전 小学館 2024-11-26
[20] 백과사전 がん【雁・鴈】 小学館 2024-11-26
[21] 백과사전 がん【雁・鴈】 岩波書店 1998-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