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는 1816년 프랑스에서 성 에젠 드 마제노에 의해 설립된 로마 가톨릭 선교 수도회이다. 가난한 이들을 위한 사목 활동을 시작으로, 1826년 교황 레오 12세의 인가를 받았다. "가난한 이들에게 복음을"이라는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전 세계에서 본당, 학교, 성지 등을 운영하며, 캐나다 원주민 선교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캐나다 원주민 기숙학교 운영과 관련하여 아동 학대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6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교회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교회는 1787년 필라델피아에서 자유 흑인들이 인종 차별에 대응하여 창립한 미국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단으로, 감리교 전통에 뿌리를 두고 교육을 중시하며 흑인 민족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 국제적으로 확장되어 사회 정의 문제에 참여하고 있다.
  • 로마 가톨릭 선교수도회 - 구속주회
    구속주회는 1732년 알폰소 리구오리에 의해 설립된 가톨릭 수도회이며,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영적 봉사를 목표로 선교, 영성 지도, 사회 정의 활동을 하며 전 세계 82개국에서 활동한다.
  • 로마 가톨릭 선교수도회 - 메리놀회
    메리놀회는 1911년 미국에서 설립된 가톨릭 외방전교회로서, 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 26개국에서 선교 활동을 펼쳐왔으며, 현재는 전 세계에서 봉사하고 있다.
  • 로마 가톨릭 단순서원수도회 - 성바오로딸수도회
    성 바오로 딸 수도회는 1915년 이탈리아에서 창립되어 출판 사도직에 헌신하며 전 세계에서 서점, 유통 대행사 등을 운영하고, 기독교 관련 서적 출판 및 사회적 소통을 위해 활동한다.
  • 로마 가톨릭 단순서원수도회 - 성 바오로 수도회
    성 바오로 수도회는 야고보 알베리오네에 의해 설립된 가톨릭 수도회로, 현대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통해 복음을 전파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며, 전 세계에서 다양한 미디어 활동을 펼치고 있다.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
기본 정보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 로고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 로고
정식 명칭동정 마리아 무염시태의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
라틴어 명칭Missionariorum Oblatorum Beatae Mariae Virginis Immaculatae
약칭OMI
설립일1816년 1월 25일
설립 장소프랑스 엑상프로방스
설립자외젠 드 마제노
유형교황청립 남성 수도회
본부이탈리아 로마, 비아 아우렐리아 290
활동 지역전 세계
회원수 (2020년)3,786명 (사제 2,741명)
총장루이스 이그나시오 로이스 알론소
모토 (영어 번역)He has sent me to bring the Good News to the poor. The poor have received the Good News
사명가난한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것
사도직본당, 해외 선교, 교육 사업
소속로마 가톨릭교회
이전 명칭프로방스 선교사
추가 정보
모토 (한국어 번역)가난한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라고 나를 보내셨다. 가난한 이들이 복음을 받았다.
웹사이트OMI

2. 역사

성 에젠 드 마제노


Eugène de Mazenod|성 에젠 드 마제노프랑스어는 1782년 프랑스 귀족 가문 출신으로, 프랑스 혁명을 피해 가족과 함께 망명 생활을 했다. 1802년 프랑스로 돌아와 생 쉴피스 신학교에서 공부하고 1811년 서품을 받았다.[11] 프랑스 혁명 당시의 경험은 그가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를 설립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1816년 1월 25일, 마제노는 프랑스 엑상프로방스에서 동료 사제들과 함께 "프로방스 선교 수도회"를 설립하고, 프로방스 방언으로 설교하며 선교 활동을 펼쳤다. 이들은 가난한 마을, 청소년, 교도소 등 소외된 이들을 위한 사목에 힘썼다. 1818년에는 로의 성모 마리아 성지에 두 번째 공동체를 설립하여 수도회로서의 기틀을 다졌다.[11]

1826년, 교황 레오 12세는 이 수도회를 "지극히 거룩하고 흠없는 동정 마리아 선교 오블라트" 수도회로 교황 인가를 통해 교황적 권리를 부여했다.[29][12] 교황 비오 11세는 이들의 헌신을 높이 평가하여 "교회의 가장 어려운 선교의 전문가"라고 칭송했다.[13]

2. 1. 창립과 초기 역사



Eugène de Mazenod|성 에젠 드 마제노프랑스어는 1816년 1월 25일, 프랑스 엑상프로방스에서 "프로방스 선교 수도회"를 설립했다. 마제노와 네 명의 동료들은 지역 공동체의 일상 언어인 프로방스 방언으로 설교하며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

오블라띠 예배당 (엑상프로방스)


1782년 프랑스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에젠 드 마제노는 1789년 프랑스 혁명을 피해 가족과 함께 프랑스를 떠났다. 1802년 프랑스로 돌아온 그는 생 쉴피스 신학교에 입학하여 1811년 서품을 받았다.[11]

프랑스 혁명 동안의 경험은 마제노가 수도회를 설립하는 목표를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수도회는 프랑스 로마 가톨릭 교회를 쇄신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나폴레옹의 교회관에 반대했고, 교회를 버렸다고 여겨지는 대중에게 선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10]

1816년 1월 25일, 마제노는 다른 사제들에게 하느님께 모든 것을 바치고 프로방스의 가장 버려진 사람들을 위해 헌신하는 삶에 동참할 것을 초대했다. 처음에는 "프로방스 선교사"라고 불렸던 이들은 가난한 마을, 청소년 및 교도소 사역에서 본당 선교를 통해 복음을 전파하는 데 헌신했다. 1818년 로의 성모 마리아 성지에서 두 번째 공동체가 설립되면서, 선교사들이 서약과 복음적 권고를 통해 하나가 된 수도회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11]

1826년 2월 17일, 교황 레오 12세는 교황 인가를 통해 "지극히 거룩하고 흠없는 동정 마리아 선교 오블라트" 수도회에 교황적 권리를 부여했다.[29][12]

교황 비오 11세는 오블라트의 용기에 깊은 인상을 받아 그들을 "교회의 가장 어려운 선교의 전문가"라고 칭했다.[13]

3. 카리스마와 영성



에젠 드 마제노는 1816년 1월 25일 프랑스 엑상프로방스에서 동료 4명과 함께 "프로방스 선교 수도회"를 설립하고, 프로방스 방언으로 설교하며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11]

마제노는 프랑스 혁명을 피해 프랑스 귀족 가문에서 도망쳤다가 1802년 프랑스로 돌아와 생 쉴피스 신학교를 거쳐 1811년 서품을 받았다. 그는 프랑스 혁명 경험을 바탕으로 프랑스 로마 가톨릭 교회 쇄신, 나폴레옹의 교회관 반대, 교회에서 멀어진 대중 선교에 초점을 맞춘 수도회 목표를 세웠다.[10]

1816년, 마제노는 프로방스의 버려진 사람들을 위해 헌신하는 삶에 다른 사제들을 초대했고, "프로방스 선교사"는 가난한 마을, 청소년, 교도소에서 복음화에 힘썼다. 1818년 로의 성모 마리아 성지에서 두 번째 공동체가 설립되며 수도회로 발전했다.[11]

1826년 2월 17일, 교황 레오 12세는 교황 인가를 통해 "지극히 거룩하고 흠없는 동정 마리아 선교 오블라트" 수도회에 교황적 권리를 부여했다.[29][12] 교황 비오 11세는 이들을 "교회의 가장 어려운 선교의 전문가"라고 칭했다.[13]

3. 1. 카리스마

에젠 드 마제노는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파하는 것을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의 핵심 카리스마로 삼았다. 수도회는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로마 가톨릭 교회를 쇄신하고, 나폴레옹의 교회관에 반대하며, 교회로부터 멀어진 대중에게 다가가고자 했다.[10]

교황 비오 11세는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를 "교회의 가장 어려운 선교의 전문가"라고 칭하며, 이들의 용기를 높이 평가했다.[13] 수도회의 칙령은 "주로 가난한 사람들의 복음화에 헌신"하고, 특히 "구원을 갈망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카리스마로 명시하고 있다.[14]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는 세상의 변화에 발맞춰 현대 사회의 새로운 요구에 부응하며 복음의 가치를 통해 사회 변화를 추구한다. 이들은 인간 존엄성 보호, 가정 양육, 조화 증진, 평화 문화 장려, 정의와 창조 질서 유지를 위해 노력하며, 다른 문화, 신앙, 종교를 가진 사람들과 대화하며 협력한다.[15]

에젠 드 마제노는 1818년 규칙에서 "우리는 먼저 인간답게, 다음으로 기독교인답게 행동하도록 사람들을 이끌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그들이 성인이 되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16][14]

3. 2. 영성

성 에젠 드 마제노가 처음 작성한 수도회의 규칙과 헌장은 바티칸의 승인을 받았으며, 이후 그 자신과 총회에서 열린 회의를 통해 수정되었다.

오젠 드 마제노는 1818년 규칙에서 "우리는 먼저 인간답게, 다음으로 기독교인답게 행동하도록 사람들을 이끌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그들이 성인이 되도록 도와야 한다."라고 하였다.[16][14]

3. 3. 서원

수도회 회원으로서, 오블라띠는 청빈, 정결, 순명의 세 가지 전통적인 수도 서원과 더불어 복음적 권고를 받아들인다. 청빈은 모든 소유가 공동으로 소유되며, 회원은 재산을 축적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결은 성적인 활동을 삼가는 것으로, 가톨릭교의 수도자가 종교적 봉사에 전적으로 헌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오블라띠는 선교를 위한 OMI의 사명에 대한 헌신을 나타내는 표시로 "죽을 때까지의 인내"를 서약한다.[14]

4. 조직과 구성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는 6년마다 총회를 개최하며, 이는 성좌를 제외한 수도회의 최고 통치 기구이다. 총회에서는 선교 전략, 정책, 규칙, 조직 변경 등을 결정하고 행정부 선거를 실시하며, 영적 관심사를 논의한다.[21] 회원 양성 과정은 지원기, 수련기, 학업기로 구성된다. 지원기는 1~2년 동안 공동체 생활을 하며 수도회의 여러 측면을 공유하는 기간이고,[17] 수련기는 청빈, 정결, 순명 서약을 준비하는 기간이다.[17] 수련기 후에는 신학 공부를 계속하며, 3년 후 최종 서원을 할 수 있다.[17][20]

4. 1. 조직 구조

OMI는 6년마다 회원들의 총회를 개최한다. 로마에서 열리는 이 집회는 성좌를 제외한 OMI의 최고 통치 기구이며, 전 세계 OMI 관구의 총회 신부들과 대표들이 참여한다. 총장에 의해 소집되는 이 집회는 선교 전략, 정책 및 규칙, 조직 변경을 결정하고, 새로운 주제에 대해 협의하며, 행정부 선거를 실시한다. 또한 종교적 형성, 공동체, 정체성에 대한 영적 관심사를 논의하고, 관상 목표를 설정하며, 고유한 은사를 확인한다.[21]

2016년 10월, 총회는 OMI 창립 200주년을 기념했다. 이 집회는 선교와 ''"Evangelizare pauperibus misit me. Pauperes evangelizanturla"(그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나를 보내셨다. 가난한 자들이 복음을 받아들였다.)라는 모토에 초점을 맞추었다. 현직 총장 루이 루겐(Louie Lougen)과 현직 부총장 파올로 아르키아티(Paolo Archiati)가 재선되었다.[22]

4. 2. 회원 양성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에 가입하려는 사람은 우선 오블라띠 공동체를 방문하여 여러 차례 만남을 갖는다. 18세 이상의 남성은 하느님에 대한 경험과 소명에 대해 나누고, 수도회는 구성원으로서의 삶을 공유한다. 잠재적 구성원들은 정기적으로 미사에 참석하고, 성경을 읽으며, 소명 분별을 위해 기도하도록 권장된다.[17]

이후 1~2년 동안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 공동체에서 생활하며 수도회의 여러 측면을 공유하는 지원기가 주어진다. 이 기간 동안 지원자들은 공동체의 기도 생활, 다른 이들과의 교류, 수도회의 사도직 등에 참여한다. 이는 지원자들을 위한 분별 기간이며, 수도회는 후보자들의 강점과 성장이 필요한 영역을 평가한다.[17]

다음은 수련기로, 청빈, 정결, 순명 서약을 준비하는 기간이다. 수련자들은 기도와 영적 독서 시간을 가지며 침묵을 지킨다. 영적 지도를 통해 수련자의 영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며, 수도회의 역사와 헌장을 심도 있게 연구한다. 수련기 말에는 단순 서원을 하고 공식적으로 수도회 회원이 된다.[17]

수련기를 마친 후, 수도회의 새 구성원들은 학업을 계속한다. 필리핀에서는 4년제 신학 학위를 취득 후 해외 선교 활동을 1년 동안 수행하며, 교황청립 그레고리안 대학교 (로마)에서 공부할 수도 있다.[17] 미국의 신학원은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의 오블라트 신학대학에서,[18]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주 오타와의 생 폴 대학교에서 학업을 수행한다. 남아프리카 4개 관구 (레소토, 나탈, 북부) 학생들은 콰줄루나탈주 힐튼의 수도회 신학원이나 로마의 국제 신학원에서 공부한다.[19]

서원은 매년 갱신되며, 3년 후에는 최종 서원을 요청할 수 있다. 교회법에 따르면, 임시 서원은 더 오랜 기간 동안 갱신될 수 있지만 9년을 초과할 수 없다.[20]

4. 3. 총회

OMI는 6년마다 회원들의 총회를 개최한다. 총회는 한 달가량 소요될 수 있다. 로마에서 열리는 이 총회는 성좌를 제외한 OMI의 최고 통치 기구이며, 전 세계 OMI 관구의 총회 신부들과 대표들이 참여한다. 총장에 의해 소집되는 총회는 선교 전략, 정책 및 규칙, 조직 변경을 결정하고, 새로운 주제에 대해 협의하며, 행정부 선거를 실시한다. 무엇보다 총회는 종교적 형성, 공동체, 정체성에 대한 영적 관심사를 논의하고, 관상 목표를 설정하며, 고유한 은사를 확인한다.[21]

2016년 10월, 총회는 OMI 창립 200주년을 기념했다. 총회는 선교와 "Evangelizare pauperibus misit me. Pauperes evangelizantur—그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나를 보내셨다. 가난한 자들이 복음을 받아들였다."라는 좌우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현직 총장 루이 루겐(Louie Lougen)과 현직 부총장 파올로 아르키아티(Paolo Archiati)가 재선되었다.[22]

2022년 10월, 제37차 총회가 소집되었다. 이 회의는 "친교 안에서 희망의 순례자"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루이스 이그나시오 로이스 알론소(Luis Ignacio Rois Alonso)가 총장으로 선출되었다.[23]

5. 주요 활동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는 전 세계적으로 본당, 가톨릭 학교, 피정 센터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특히 원주민들 사이에서 정의와 평화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25]

5. 1. 전 세계적 활동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는 전 세계에서 본당, 가톨릭 학교, 피정 센터를 운영하며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원주민들 사이에서 정의와 평화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25]

국가활동 내용
오스트레일리아1894년에 시작, 빅토리아주, 캠버웰에서 관리, 9개 본당과 4개 학교 포함. 2017년 기준 42명의 오블라띠 신부 활동.[25] 중국홍콩 파견도 관리. 관련 학교: 아이오나 칼리지 (브리즈번), 마제노드 칼리지, 빅토리아, 마제노드 칼리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세인트 유진 칼리지 (브리즈번)
브라질상파울루의 마리아 이마쿨라다 학교(채플 학교)(Escola Maria Imaculada (Chapel School))는 1947년 설립, 현재 평신도 운영.
캐나다캐나다 원주민 선교로 유명, 캐나다 원주민 기숙학교 제도 내 최소 57개 학교 운영.[26][27] 일부 학교는 아동 학대 사건과 연루.[28]
콩고민주공화국킨샤사에 마제노드 대학교(Université De Mazenod) 운영.
프랑스1862년 투르의 성 마르티노 고대 성소 재발굴 및 부활.[29] 루르드와 퐁뱅의 노트르담 등 여러 성모 마리아 성지에 주둔.
홍콩노트르담 칼리지(구룡), 초등학교(구룡), 성 에우제니오 드 마제노드 오블라트 초등학교(구룡), 포 얀 오블라트 초등학교(구룡) 운영.
이탈리아로레토를 포함한 다수의 성모 마리아 성지에서 활동.
멕시코멕시코시티의 비스타 에르모사 대학교와 오아하카 지역의 여러 선교지에서 활동.
나이지리아마제노드 대학교, 키항, 바사 - 조스 운영.
필리핀코타바토 시티의 노트르담 대학교(Notre Dame University, Cotabato City), 노트르담 오브 미드사이아프 칼리지(Notre Dame of Midsayap College) (북코타바토)[30], 노트르담 오브 그레이터 마닐라(Notre Dame of Greater Manila) (칼루칸)[31], 호롤로의 노트르담 칼리지(Notre Dame of Jolo College) (홀로, 술루) 운영.
스리랑카1847년 영국령 실론 골레 상륙, 현재 콜롬보 관구와 자프나 관구로 관리.[32] 2021년 6월 기준 콜롬보 7개 구에 106명 소속.[33] 일본, 대한민국,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파견단 관리. 세다라의 성 요셉 신학 연구소 운영.
영국아일랜드런던, 에든버러, 앵글시 및 더블린의 본당과 선교 센터 운영.[34]
미국테카키위타 인디언 고아원(Tekakwitha Indian Orphanage) (사우스다코타주 시세톤)[35] (1970년대 폐쇄, 2010년 철거), 오블라띠 신학원(Oblate School of Theology) (텍사스주 샌안토니오)[36], 과거 미시시피주 패스 크리스찬에 신학교 운영, 눈의 성모 국립 성지(National Shrine of Our Lady of the Snows) (일리노이주 벨빌)와 피정 센터 킹스 하우스(King's House)[37], 일하는 성 요셉 성지(St. Joseph the Worker Shrine) (매사추세츠주 로웰)[38] 운영.


5. 2. 한국에서의 활동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는 전 세계에서 활동하며, 본당, 가톨릭 학교, 피정 센터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원주민들 사이에서 정의와 평화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

6. 주요 인물

토마스 쿠레이, 프랜시스 조지 등 여러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 회원들이 추기경을 비롯한 고위 성직을 역임했다. 마우트하우젠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한 요제프 체불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교사였던 조셉 제라드는 성인 후보로 지명되었다.

6. 1. 성 에젠 드 마제노



에젠 드 마제노

1782년 프랑스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에젠 드 마제노는 1789년 가족과 함께 프랑스 혁명을 피해 도망쳤다. 1798년 나폴리에서 그의 삼촌이자 미래의 주교인 Fortuné de Mazenod|포르튀네 드 마제노프랑스어와 함께 살았다. 1802년 프랑스로 돌아와 생 쉴피스 신학교에 입학하여 1811년 서품을 받았다.[11]

프랑스 혁명 동안의 마제노의 경험은 그의 수도회의 목표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수도회는 프랑스 로마 가톨릭 교회를 쇄신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나폴레옹의 교회관에 반대했고, 교회를 버렸다고 여겨지는 대중에게 선교의 초점을 맞췄다.[10]

1816년 1월 25일, 마제노는 다른 사제들에게 하느님께 모든 것을 바치고 프로방스의 가장 버려진 사람들을 위해 헌신하는 삶에 동참할 것을 초대했다. 처음에는 "프로방스 선교사"라고 불렸으며, 가난한 마을, 청소년 및 교도소 사역에서 본당 선교를 통해 복음화를 위해 헌신했다. 1818년 로의 성모 마리아 성지에서 두 번째 공동체가 설립되었다. 이것은 선교사들이 서약과 복음적 권고를 통해 하나가 된 수도회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11]

1826년 2월 17일, 교황 레오 12세는 교황 인가를 통해 "지극히 거룩하고 흠없는 동정 마리아 선교 오블라트" 수도회에 교황적 권리를 부여했다.[29][12]

교황 비오 11세(1857–1939)는 오블라트의 용기에 깊은 인상을 받아 그들을 "교회의 가장 어려운 선교의 전문가"라고 칭했다.[13]

6. 2. 한국의 주요 인물

(원문 소스가 비어있으므로, 이전 응답과 동일하게)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 문서의 '한국의 주요 인물' 섹션은 비어있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6. 3. 캐나다 원주민 기숙학교 문제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는 캐나다 원주민 선교로 유명하며, 캐나다 원주민 기숙학교 제도 내 최소 57개 학교 운영을 담당했다.[26][27] 이 학교들 중 일부는 오블라띠 소속 성직자와 직원에 의한 아동 학대 사건과 연루되었다.[28]

참조

[1] 웹사이트 Oblates of Mary Immaculate (Institute of Consecrated Life - Men) [Catholic-Hierarchy] http://www.catholic-[...]
[2] 웹사이트 Oblates of Mary Immaculate (Institute of Consecrated Life - Men) [Catholic-Hierarchy] http://www.catholic-[...]
[3] 웹사이트 Oblates of Mary Immaculate (Institute of Consecrated Life - Men) [Catholic-Hierarchy] http://www.catholic-[...]
[4] 웹사이트 Oblates of Mary Immaculate (Institute of Consecrated Life - Men) [Catholic-Hierarchy] http://www.catholic-[...]
[5] 웹사이트 Statistics of the Missionary Oblates of Mary Immaculate – 2020 https://omilacombe.c[...] 2020-02-27
[6] 웹사이트 What we do: We are Missionaries https://omilacombe.c[...]
[7] 웹사이트 Oblates face bankruptcy https://omigrouard.t[...] 2000-06-12
[8] 서적 The Role of the Royal Canadian Mounted Police During the Indian Residential School System 2011
[9] 간행물 Canada's Residential Schools: The History. Part 2, 1939 to 2000 https://nctr.ca/wp-c[...]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15
[10] 웹사이트 St. Eugene de Mazenod https://www.omiworld[...] 2017-08-08
[11] 웹사이트 Charles Joseph Eugene de Mazenod http://www.newadvent[...]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12] 웹사이트 Eugene de Mazenod (1782–1861) https://www.vatican.[...]
[13] 웹사이트 Oblates of Mary Immaculate > About Us > The Mission Today http://www.omiphil.o[...]
[14] 서적 Constitutions and Rules of the Congregation of the Missionary Oblates of Mary Immaculate Missionary Oblates of Mary Immaculate
[15] 웹사이트 Oblates of Mary Immaculate > About Us http://www.omiphil.o[...]
[16] 웹사이트 Rule of 1818 http://www.eugenedem[...] 1818
[17] 웹사이트 Oblates of Mary Immaculate > Join Us > Formation to Oblate Life http://www.omiphil.o[...]
[18] 문서 Oblate School of Theology, San Antonio, Texas http://www.ost.edu/
[19] 문서 Natal Province: Formation http://www.omi.org.z[...]
[20]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 IntraText https://www.vatican.[...]
[21] 웹사이트 Superior General convokes the XXXVII General Chapter https://omilacombe.c[...] 2021-01-25
[22] 웹사이트 Acts of the 36th General Chapter (2016): Evangelizare Pauperibus Misit Me Pauperes Evangelizantur https://www.omiworld[...] 2016
[23] 웹사이트 Acts of the 37th General Chapter (2022) https://www.omiworld[...] 2022
[24] 문서 "Our Saints and Blessed", Missionary Oblates of Mary Immaculate, Assumption Province http://omiap.org/?pa[...]
[25] 웹사이트 OBLATES IN AUSTRALIA https://omi.com.au/o[...]
[26] 웹사이트 Oblates face bankruptcy https://omigrouard.t[...] 2000-06-12
[27] 서적 The Role of the Royal Canadian Mounted Police During the Indian Residential School System 2011
[28] 간행물 Canada's Residential Schools: The History. Part 2, 1939 to 2000 https://nctr.ca/wp-c[...]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15
[29] 웹사이트 Oblates of Mary Immaculate http://www.newadvent[...] 1911
[30] 웹사이트 Notre Dame University, Cotabato City http://www.nducotaba[...]
[31] 웹사이트 Notre Dame of Greater Manila, Caloocan City http://www.ndgm.edu.[...]
[32] 웹사이트 Oblate Province of Jaffna http://www.omijaffna[...]
[33] 웹사이트 Oblate Priests and Brothers Colombo Province http://www.omicolomb[...] 2021-05-22
[34] 웹사이트 The Oblate Parishes in the UK and Ireland http://oblates.ie/mi[...]
[35] 웹사이트 History, stories from the Tekakwitha Boarding School and Orphanage https://www.keloland[...] Keloland 2021-07-20
[36] 웹사이트 Missionary Association of Mary Immaculate USA in San Antonio, TX http://grottosa.org/
[37] 웹사이트 (Oblate) Missionary Association in Belleville, IL http://www.oblatesus[...]
[38] 웹사이트 St. Joseph the Worker Shrine https://www.stjosep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