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장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장환은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시기까지 활동한 시인이다. 그는 충청북도 보은군 출신으로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정지용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일본 유학 후 시집 《성벽》을 출판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광복 후에는 좌익 계열에서 활동하다 월북하여 《붉은 기》를 발표했으나, 한국 전쟁 중 사망했다. 그의 시는 모더니즘과 현실 참여, 사회 비판, 이념적 지향을 담고 있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시집 《성벽》, 《헌사》, 《병든 서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회인초등학교 동문 - 이현재 (1949년)
    이현재는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행정학 석사와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통령비서실과 산업자원부 등에서 공직 생활을 거쳐 제19대, 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후 현재 하남시장으로 재직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회인초등학교 동문 - 조중연 (축구인)
    조중연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지도자, 행정가로, 선수 시절과 울산 현대 감독을 거쳐 대한축구협회 회장과 동아시아 축구 연맹 회장을 지냈다.
  • 조선문학가동맹의 인물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조선문학가동맹의 인물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 휘문고등보통학교 동문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 휘문고등보통학교 동문 - 백두진
    백두진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정치인, 금융인으로, 조선은행 이사장, 한국은행 이사장, 재무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국회의장, 유신정우회 의장 등을 지냈다.
오장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오장환
출생일1918년 5월 15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충청북도 보은
사망일1951년(34세)
사망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직업시인
장르시문학
언어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소속조선문학가동맹 전임위원
학력도쿄 지산중학교
활동 기간1931년 ~ 1951년

2. 생애

2. 1.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오장환은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중앙리 140번지에서 아버지 오학근(吳學根)과 후처 한학수(韓學洙) 사이에서 태어났다.[1] 어려서 서당에서 한문을 수학하였고, 7살이 되던 1924년 회인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1] 1927년 4월 30일 회인공립보통학교를 자퇴하고 5월 2일 안성공립보통학교로 전학하였으며, 당시 박두진과 같은 반이었다.[2] 5학년이 되던 1928년 동시 〈밤〉을 교내 학예부 아동문집에 실었다.[2]

보통학교 졸업 후 중동학교 속성과를 수료하였으며, 14살이 되던 1931년 4월 1일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정지용에게 가르침을 받았다.[2] 문예반에서 활동하며 1932년 《매일신보》에 〈조선의 아들〉과 〈발자취 찾아〉를 발표하였고, 교지 《휘문》에 시와 소설을 발표하다가 1933년 《조선문학》에 〈목욕간〉을 실으면서 문단에 정식으로 데뷔하였다.

2. 2. 일본 유학과 문학 활동

오장환은 1935년 1월 26일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같은 해 4월 도쿄에 있는 지산중학교(지산 중학교/智山中學校일본어)에 전입하였고, 이듬해 3월 수료하였다. 1936년 11월 《낭만》과 《시인부락》 동인으로 참여하였고, 동인들과 교류하며 동인지 제작을 주도하였다. 그 해에 첫 시집 《종가》를 출판하려 하였으나, 〈전쟁〉의 검열로 무산되었다. 1937년 메이지 대학 전문부 문과 문예과 별과에 입학하였다. 이 시기 그는 《자오선》 동인으로 참여하였으며, 첫 시집 《성벽》을 자비출판하였다. 시론과 작가론을 집필하기 시작하였다.

1938년 7월 22일 아버지 오학근의 사망으로 메이지 대학을 중퇴하고 급히 유학을 마쳤다. 아버지의 유산으로 경성부 관훈정에 남만서방(南蠻書房)이라는 출판사 겸 서점을 차리고, 그곳에서 다양한 문인과 교류하였다. 두 번째 시집 《헌사》(1939년), 서정주의 《화사집》(1938년), 김광균의 《와사등》 모두 이곳에서 출판하였다. 1940년경에는 중국 일대를 방랑하다가 경성부 돈암정 105번지로 이사하였다. 1940년-41년에는 도쿄에서 사자업(寫字業)을 하며 가난하게 지냈고, 황달, 두통, 늑막염, 신장병 등을 앓았다. 수술 결정을 앞두고 있어 외출이 금지되었던 병상에서 광복을 맞이하였다.

2. 3. 광복 이후와 월북

1945년 10월 22일 인천에서 신예술가협회를 조직하였고, 1946년 2월 조선문학가동맹에 가입하였다. 1946년 5월 동향사에서 번역시집인 《예세닌 시집》을, 같은 해 7월 정음사에서 세 번째 시집인 《병든 서울》을 발간하였다. 1946년 12월 19일 장정인(張正仁)과 결혼하였다. 1947년 1월 아문각에서 6편의 시를 추가한 《성벽》의 개정 증보판을, 같은 해 6월 헌문사에서 네 번째 시집 《나 사는 곳》을 출간하였다. 이후 그는 좌익 계통에서 사회 참여적인 활동을 지속하였다.

1947년 6월 조선문화단체총연맹의 문화 대중화 운동인 문화공작대에 참여하여 경상남도 일대에서 활동하면서 민중의 지지를 받았으나, 국가의 검열과 공연 중지 시도, 그리고 폭탄 테러 등으로 활동이 여의치 않게 되고, 그 자신은 테러 피해를 입어 상해를 입고 구금되기도 하였다. 이에 치료와 이념 실현을 위하여 1947년 9월 이후 월북하였다. 월북 시기가 분명치 않은 것은 당시 오장환이 조선문학가동맹 등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테러로 다쳤을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치료를 받다가 서울에서 활동하는 등 몇 차례 남북을 오간 사실이 있기 때문이다. 1948년 7월에 조선인민출판사에서 《남조선의 문학예술》을 출판하였고,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포의 소련 적십자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1948년 12월부터 이듬해 7월까지 모스크바의 시립 볼킨병원에서 요양하였다.

1950년 5월 소련 생활 당시의 체험을 담은 마지막 시집 《붉은 기》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출판하였다. 한국 전쟁 발발 이후 잠시 서울로 와 이전에 만났던 문인들과 교류하였다. 알려진 오장환의 마지막 작품은 《조선여성》 1951년 5월호에 실린 〈시골길〉로, 그는 건강이 악화되어 1951년 한국 전쟁 중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작품 세계

오장환의 시집으로는 《성벽》(1937년), 《헌사》(1939년), 《병든 서울》(1946년), 《나 사는 곳》(1947년), 《붉은 기》(1950년) 등이 있다.[10] 《병든 서울》은 조정래의 역사소설 《태백산맥》에 발췌되었다.[10] 1982년 군산에서 발생한 간첩 날조 사건인 오송회 사건은 고교 교사들이 《병든 서울》을 돌려 읽은 것이 발단이 된 것이다.[10]

3. 1. 초기 시 세계: 모더니즘의 영향

3. 2. 광복 이후: 현실 참여와 사회 비판

3. 3. 월북 이후: 이념적 지향

4. 주요 작품 목록

시집으로는 《성벽》(1937년), 《헌사》(1939년), 《병든 서울》(1946년), 《나 사는 곳》(1947년), 《붉은 기》(1950년) 등이 있다.[10] 이 중 《병든 서울》은 조정래의 역사소설 《태백산맥》에 발췌되었다.[10] 1982년 군산에서 발생한 간첩 날조 사건인 오송회 사건은 고교 교사들이 《병든 서울》을 돌려 읽은 것이 발단이 된 것이다.[10]

5. 평가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뉴스 목숨 걸고 시대와 대결했던 이광웅 선생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7-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