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즈월드 체임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즈월드 체임버스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침례교 목사이자 기독교 작가로, 1874년에 태어나 1917년에 사망했다. 그는 10대 시절부터 깊은 영성을 보였으며, 예술 분야에서도 재능을 드러냈다. 영국에서 활동하며 성결 운동에 참여했고, 미국, 일본 등지에서 선교 활동을 펼쳤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YMCA 군목으로 이집트에서 복무했다. 체임버스는 생전에 한 권의 책만 출판했지만, 사후 아내에 의해 그의 강연과 설교를 바탕으로 30권 이상의 책이 출판되었으며, 특히 매일 묵상집인 《주님은 나의 최고봉》은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쳤다. 그의 저작은 한국 개신교, 특히 보수적인 복음주의 진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기독교 선교사 - 데이비드 리빙스턴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19세기 아프리카 탐험에 기여한 스코틀랜드 출신 탐험가이자 선교사로, 빅토리아 폭포 발견, 아프리카 대륙 횡단, 노예 무역 근절 노력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일강 수원지 탐색 중 헨리 모턴 스탠리를 만났고 잠비아에서 사망 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 스코틀랜드의 기독교 선교사 - 로버트 모리슨
로버트 모리슨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개신교 선교사이자 언어학자, 사전 편찬가로, 중국 선교의 개척자로서 중국어 성경 번역과 최초의 중국어-영어 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동인도 회사에서 번역가로 활동하며 앵글로-중국 칼리지를 설립하여 교육을 통한 선교 활동을 펼쳤다. - 스코틀랜드의 기독교 성직자 - 토미 더글러스
토미 더글러스는 캐나다의 사회주의 정치인이자 사회운동가로, 서스캐처원 주의 수상을 역임하며 캐나다 최초의 사회민주주의 정부를 이끌었고, 사회 정의에 대한 신념과 사회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사회 정책들을 추진하여 "북미의 사회적 실험실"이라 불렸으며, 신민주당 초대 당수를 역임하고 "가장 위대한 캐나다인"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캐나다 역사상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스코틀랜드의 기독교 성직자 - 토머스 리드
토머스 리드는 스코틀랜드 철학자이자 성직자로서, 상식 철학을 창시하여 흄의 회의주의에 반대하고 인간의 기본적인 지각과 믿음인 '상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일본에서 활동한 기독교 선교사 - 루이스 프로이스
루이스 프로이스는 1532년 리스본에서 태어나 일본 선교 활동과 저술 활동으로 유명하며,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과 교류하며 일본의 기독교 선교의 영광과 비극을 기록했고, 일본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를 남겼다. - 일본에서 활동한 기독교 선교사 - 페데리코 바르바로
페데리코 바르바로는 이탈리아 출신의 가톨릭 선교사이자 성경 번역가로, 일본에서 선교 활동을 하며 일본어 구어 번역 성경을 완성하고, 다양한 저서와 번역서를 남겼으며, 이탈리아 기사단 훈장, 문화 공로 감사장, 일본 번역 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오즈월드 체임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Oswald Chambers |
출생일 | 1874년 7월 24일 |
출생지 | 애버딘, 스코틀랜드 |
사망일 | 1917년 11월 15일 |
사망지 | 카이로, 이집트 술탄국 |
배우자 | 거트루드 "비디" 홉스 체임버스 |
자녀 | 캐슬린 M. 체임버스 |
국적 | 스코틀랜드 |
직업 | 기독교 목사이자 교사 |
학력 | |
모교 | 왕립 예술 대학 에든버러 대학교 |
기타 정보 | |
종교 | 기독교 |
활동 시기 | 해당 사항 없음 (정보 없음) |
주목할 만한 업적 | 해당 사항 없음 (정보 없음) |
대표작 | 가장 높은 곳에 (いと高き方のもとに) |
2. 어린 시절 및 교육
오즈월드 체임버스는 독실한 침례교 가정에서 성장하여 찰스 스퍼전의 설교를 통해 신앙적인 영향을 받았다. 1893년부터 1895년까지 켄싱턴 예술 학교(현 왕립 예술 대학)에서 미술을 공부하였고,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예술과 고고학을 공부하였다.[6][7][8] 그러나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공부하던 중 목회에 대한 소명을 느껴 글래스고 근처의 더눈 대학으로 편입하였다.[9] 더눈 대학에서 공부하면서 로버트 브라우닝에 대한 지역 동호회를 시작하기도 했다.[9]
2. 1.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에서의 성장
오즈월드 체임버스는 1874년 스코틀랜드 애버딘에서 침례교 목사인 클래런스 체임버스와 한나 체임버스의 여덟 남매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25] 체임버스의 부모는 독실한 침례교 신자였으며, 체임버스는 찰스 스펄전의 설교를 듣고 기독교인이 되었다.1876년, 아버지 클라렌스 체임버스가 노스 스태퍼드셔 침례교 협회의 국내 선교사로 임명되면서 가족과 함께 잉글랜드 스토크온트렌트로 이사했다.[2] 이후 아버지가 목회로 복귀하면서 스코틀랜드 퍼스로 이사했고, 1889년에는 아버지가 침례교 금주 협회의 여행 비서로 임명되면서 런던으로 이주했다.[2]
1890년, 16세의 오즈월드 체임버스는 세례를 받고 라인 레인 침례교 예배당의 회원이 되었다.[3] 10대 시절에도 체임버스는 깊은 영성을 보였으며, 지역 숙소의 가난한 거주자들을 위한 전도 활동에 참여했다.[4] 또한 음악과 미술에도 재능을 보였다.[5]
2. 2. 예술과 신학의 갈림길
체임버스는 음악과 미술에 재능을 보였다.[5] 1893년부터 1895년까지 현재의 왕립 예술 대학인 국립 예술 훈련 학교에서 공부했으며, 더 많은 연구를 위한 장학금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6] 그 후 2년 동안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미술 공부를 계속하면서 알렉산더 화이트의 설교에 큰 영향을 받았다.[7][8] 에든버러에서 목회에 부름받음을 느껴 글래스고 근처에 있는 작은 신학 훈련 학교인 던운 칼리지로 떠났는데, 이 학교는 던컨 맥그리거 목사가 설립했다. 체임버스는 곧 학교에서 수업을 가르치게 되었고, 1898년 맥그리거가 부상당했을 때 행정 업무의 많은 부분을 떠맡았다.[9]3. 성결 운동 참여와 국제적 활동
던언에서 가르치는 동안 체임버스는 리처드 리더 해리스, KC의 영향을 받아 성결 운동에 참여했다. F.B. 마이어에게 설교에서 성령에 대해 듣고, 성령 세례를 구하며 기도했다. 또한 일본인 성결 복음 전도사 나카다 주지를 만나 세계 선교에 대한 관심을 가졌다.[10] 1908년 미국에서 친구의 딸인 거트루드 홉스(Gertrude Hobbs, 애칭 비디)를 만나 1910년 5월에 결혼했고, 1913년 5월 24일 외동딸 캐슬린을 낳았다.[13] 비디는 분당 250단어로 속기할 수 있어, 결혼 전부터 체임버스의 설교와 강의를 문서화하는 사역 파트너십을 맺었다.[14]
3. 1. 성결 운동과의 만남
던언에서 가르치는 동안 체임버스는 리처드 리더 해리스, KC의 영향을 받았다. 해리스는 저명한 변호사이자 오순절 기도 연맹의 창립자였다. 1905년 리더는 체임버스를 "탁월한 능력을 가진 새로운 연설가"로 소개했다.[10] 체임버스는 이 연맹을 통해 일본 출신의 성결 복음 전도사인 나카다 주지를 만나 세계 선교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10] 그는 1907년부터 1910년까지 오순절 기도 연맹의 순회 전도자와 대표를 맡았다.3. 2. 일본, 미국, 영국을 오가는 활동
1906년 체임버스는 일본 출신의 성결 복음 전도사 나카다 주지를 만나 세계 선교에 대한 관심을 키웠고, 나카다와 함께 미국을 경유하여 일본으로 건너갔다.[10] 1907년에는 신시내티에 있는 성결 기관인 갓 성경 학교에서 한 학기 동안 가르쳤고, 그 후 몇 달 동안 동양 선교회의 공동 창립자인 찰스 카우먼과 함께 일본에서 사역했다.[11]그해 말 영국으로 돌아온 체임버스는 성결 운동이 새로운 교파 창설에 대한 옹호자와 반대자, 그리고 방언 운동 지지자와 비판자들로 분열된 것을 발견했다. 체임버스는 방언을 반대하지 않았지만, 방언을 성령 세례의 시험으로 삼는 사람들을 비판했다.[12]
4. 결혼과 가정
1908년 미국으로 돌아간 체임버스는 친구의 딸인 거트루드 홉스(Gertrude Hobbs, 비디)와 더 잘 알게 되었다. 1910년 5월에 결혼했고, 1913년 5월 24일 외동딸 캐슬린을 낳았다.[13] 체임버스는 비디가 분당 250단어로 속기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자신의 설교와 강의를 문서화하는 사역 파트너십을 맺었다.[14]
5. 바이블 트레이닝 칼리지
1911년 체임버스는 런던 클래펌 커먼에 바이블 트레이닝 칼리지(Bible Training College)를 설립하고 교장으로 재직했다. 이 칼리지는 오순절 기도 연맹이 구입한 "당황스러울 정도로 우아한" 건물에 자리 잡고 있었다.[15] 체임버스는 모든 연령, 교육 수준, 계층의 학생들뿐만 아니라 도움이 필요한 모든 사람들을 수용했는데, 그는 "구하는 모든 사람에게 주어야 한다"라고 믿었다. "문전에서 거절당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고, 그 사람이 돈이든, 겨울 코트든, 식사든 무엇을 요구하든 주어졌다."[16] 1911년에서 1915년 사이에 106명의 기숙 학생이 바이블 트레이닝 칼리지에 다녔으며, 1915년 7월까지 40명이 선교사로 활동했다.[17]
6. 제1차 세계 대전과 군목 활동
1915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체임버스는 YMCA 군목으로 임명되어 이집트 자이툰으로 파견되었다.[18] 그곳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 육군 군인들을 대상으로 사역했으며, 이들은 갈리폴리 전투에 참전하여 비참한 패배를 겪었다.[18]
체임버스는 YMCA 동료들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그는 병사들에게 무료로 다과를 제공했는데,[20] 이는 YMCA 상사들의 불만을 샀다. 또한 콘서트와 영화 상영 대신 성경 수업을 진행하여 일부 동료들의 우려를 샀다. 그러나 체임버스는 병사들에 대한 헌신과 뛰어난 설교 능력으로 수백 명의 병사들을 모았다.[19] 그는 "나는 종교적인 사람들을 참을 수 없습니다"라고 말하는 병사에게 "저도 그렇습니다"라고 답하며, 형식적인 종교보다는 진정한 믿음을 강조했다.[19]
7. 죽음과 유산
1917년 충수염 수술 후 폐출혈로 이집트 카이로에서 사망했다.[21] 생전에 단 한 권의 책 《더 나은 싸움을 위한 좌절》을 출간했다.[22] 그의 아내 비디는 체임버스가 성경 대학과 이집트에서 가르쳤던 내용들을 30년 동안 엮어 30여 권의 책을 출판했는데, 그 중 《주님은 나의 최고봉》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23]
7. 1. 갑작스러운 죽음과 장례
1917년 10월 17일, 체임버스는 충수염에 걸렸다. 그러나 곧 있을 가자 제3차 전투에서 부상당할 병사들에게 침대가 필요할 것이라는 이유로 병원에 가는 것을 미뤘다.[21] 10월 29일, 외과 의사가 응급으로 충수 절제 수술을 시행했지만, 체임버스는 1917년 11월 15일 폐출혈로 사망했다.[21] 그는 군례를 갖춰 카이로에 안장되었다.[21]7. 2. 사후 출판된 저작들
체임버스는 생전에 《더 나은 싸움을 위한 좌절》이라는 책 한 권을 출판했다.[22] 나머지 40여 권의 책들은 속기사였던 그의 아내 거트루드 홉스(애칭 비디)가 성경 대학과 이집트에서 체임버스가 가르쳤던 내용들을 녹음한 것을 30년 동안 재편집하여 출판한 것이다.[21]30권의 책 중 가장 성공한 책은 1924년에 출간된 매일 묵상집인 《주님은 나의 최고봉》(My Utmost for His Highest)이다. 이 책은 체임버스의 강연에서 발췌한 365개의 묵상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묵상 내용은 약 500단어이다. 이 책은 절판된 적이 없으며 39개 언어로 번역되었다.[23]
한국에서도 《주님은 나의 최고봉》, 《한없는 주의 영광을 구하며》 등 여러 책들이 번역 출간되었다.
8. 수상 및 기념
홍콩 기독교 청년회(YMCA) 대학의 학생 기숙사 중 하나인 체임버스 하우스는 홍콩 기독교 청년회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체임버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다른 기숙사들은 제임스 허드슨 테일러, 로버트 모리슨, 조지 윌리엄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4]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Holiness Movement
https://books.google[...]
Scarecrow-Rowman & Littlefield
2009
[2]
문서
McCasland, 26, 27, 29. The Chambers lived at 114 Crofton Road, Peckham.
[3]
문서
McCasland, 34.
[4]
문서
McCasland, 35.
[5]
문서
'McCasland, 37. See inclusion of Chamber''s design in J. M. Bowles, "Initials and Title Pages: The Record of the First Modern Art Composition," ''Modern Art'', 3:1 (Winter 18950, 26.'
[6]
문서
McCasland, 39–40.
[7]
문서
McCasland, 47–50.
[8]
문서
McCasland, 47–52.
[9]
문서
McCasland, 65–72, 75–76.
[10]
문서
McCasland, 90–97.
[11]
문서
'McCasland, 101–29. Chambers did not object to the more emotional and boisterous American Holiness movement, but he told his students at God''s Bible School that "more than half the side-tracks and all the hysterical phenomena that seize whole communities of people, like a pestiferous epidemic, from time to time, arise from spiritual laziness and intellectual sloth on the part of so-called religious teachers."(106)'
[12]
문서
McCasland, 133–38.
[13]
문서
McCasland, 139–49, 173, 190.
[14]
문서
McCasland, 140–41, 169.
[15]
문서
McCasland, 182. The address was 45 North Side.
[16]
문서
'McCasland, 184–86. "Savvy London residents were appalled by Chambers'' seeming lack of discernment in a city known for its network of beggars who quickly told each other the location of ''easy marks.''" Chambers replied, "My responsibility is to give. God will look after who asks."'
[17]
문서
McCasland, 201.
[18]
문서
McCasland, 193–213.
[19]
문서
McCasland, 211–27.
[20]
문서
McCasland, 233.
[21]
문서
McCasland, 255–59.
[22]
문서
McCasland, 249, 266.
[23]
웹사이트
My Utmost for His Highest - Available Translations
http://www.oswaldcha[...]
Oswald Chambers
2013-01-04
[24]
웹사이트
Student Leader Groups, Houses—House System: Chambers House (Blue)
https://www.yhkcc.ed[...]
YMCA of Hong Kong Christian College (YHKCC)
2014
[25]
문서
McCasland, 26, 27, 29. The Chambers lived at 114 Crofton Road, Peckham.
[26]
문서
McCasland, 34.
[27]
문서
McCasland, 35.
[28]
문서
'McCasland, 37. See inclusion of Chamber''s design in J. M. Bowles, "Initials and Title Pages: The Record of the First Modern Art Composition," ''Modern Art'', 3:1 (Winter 18950, 26.'
[29]
문서
McCasland, 39-40.
[30]
문서
McCasland, 47-50.
[31]
문서
McCasland, 47-52.
[32]
문서
McCasland, 65-72, 75-76.
[33]
문서
McCasland, 90-97.
[34]
문서
McCasland, 101-29.
[35]
문서
McCasland, 133-38.
[36]
서적
McCasland
[37]
서적
McCasland
[38]
서적
McCasland
[39]
서적
McCasland
[40]
서적
McCasland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