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타와 협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타와 협약은 대인 지뢰의 사용, 개발, 생산, 저장, 보유, 이전을 금지하는 국제 조약이다. 체약국은 지뢰를 폐기하고, 다른 국가의 관련 활동 지원을 금지하며, 지뢰 매설 지역 제거 및 피해자 지원 의무를 가진다. 1997년 오슬로에서 초안이 작성되었고, 1999년 발효되었으며, 현재 164개국이 가입했다. 주요 쟁점으로는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주요 국가의 불참과 비국가 세력의 지뢰 사용, 협약 이행의 어려움 등이 있으며, 일부 국가의 탈퇴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 1997년 서명, 1998년 비준하여 협약에 가입했으며, 지뢰 제거, 피해자 지원, 북한의 협약 가입 촉구 및 국내 이행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체결된 조약 - 교토 의정서
    교토 의정서는 1997년 일본에서 채택된 국제 협약으로, 선진국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여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자 1990년 수준보다 평균 5.2% 감축을 목표로 했으며, 배출권 거래제 등의 유연성 메커니즘을 도입했으나 한계와 비판을 받았다.
  • 1997년 체결된 조약 - 암스테르담 조약
    암스테르담 조약은 1997년 체결되어 유럽 의회 권한 강화, 유럽 집행위원회 책임성 강화, 회원국 간 협력 강화, 공동 외교 안보 정책 강화, 솅겐 협정의 EU 법 체계 통합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유럽 연합 조약이다.
  • 지뢰 - 지뢰 금지 국제 운동
    지뢰 금지 국제 운동은 대인 지뢰의 사용, 비축, 생산, 이전을 금지하고 지뢰 제거 및 피해자 지원을 목표로 하는 국제 시민 사회 단체이다.
  • 지뢰 - M18A1 클레이모어
    M18A1 클레이모어는 미국에서 개발된 지향성 대인지뢰로, 적의 예상 이동 경로에 설치하여 뇌관으로 기폭시키면 700개의 쇠구슬이 전방으로 발사되어 살상 효과를 내는 무기이다.
  • 1999년 발효된 조약 - 벨파스트 협정
    벨파스트 협정은 1998년 북아일랜드 분쟁 종식을 위해 영국, 아일랜드 정부와 북아일랜드 정당 간에 합의된 다자간 및 국제 합의로, 북아일랜드의 지위, 남북 관계, 영국-아일랜드 관계를 규정하고 자치 정부, 협력 기구 등을 설립하며 국민 투표를 통해 승인되었다.
  • 1999년 발효된 조약 - 마카오 반환
    마카오 반환은 1999년 12월 20일,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던 마카오가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주권이 이양된 사건으로, 중포조약에 의해 포르투갈령이 된 후 중국과의 협상을 통해 '일국양제' 원칙하에 50년간의 자치가 보장되며 이루어졌다.
오타와 협약
조약 정보
명칭오타와 조약 (대인 지뢰 금지 조약)
원 명칭 (영어)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the Use, Stockpiling, Production and Transfer of Anti-Personnel Mines and on their Destruction
원 명칭 (일본어)対人地雷の使用、貯蔵、生産及び移譲の禁止並びに廃棄に関する条約
종류국제 조약
군축 조약
주제대인 지뢰의 사용, 비축, 생산, 이전 금지 및 파기
서명 및 발효
기안일1997년 9월 18일
서명일1997년 12월 3일
서명 장소오타와, 캐나다
발효일1999년 3월 1일
발효 조건40개국의 비준
참가국
서명국 수133개국
당사국 수164개국 (전체 목록)
기타 정보
기탁자국제 연합 사무총장
사용 언어아랍어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관련 이미지
오타와 조약 가입국 지도
오타와 조약 가입국 현황

2. 내용

오타와 협약은 대인 지뢰의 사용, 개발, 생산, 저장, 보유, 이양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체약국은 다른 국가가 이 조약으로 금지된 활동을 하도록 지원, 권유, 장려하는 것을 금지한다. 체약국은 모든 대인지뢰를 폐기하고 철폐해야 하며, 이를 위해 법률 제정, 행정적 조치 등 필요한 모든 조치(벌칙 포함)를 취해야 한다.[74][75]

이 협약은 대인 지뢰만을 다루며, 혼합 지뢰, 대전차 지뢰, 원격 제어 클레이모어 지뢰, 작동 방지 장치 (부비 트랩) 및 기타 "고정식" 폭발 장치는 다루지 않는다.

협약 당사국은 4년 이내에 대인 지뢰 비축량을 파기해야 하지만, 훈련 목적 (지뢰 제거, 탐지 등)을 위해 소량의 지뢰는 보관할 수 있다. 협약을 비준한 지 10년 이내에 해당 국가는 모든 지뢰 매설 지역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는 많은 국가에게 어려운 과제이므로 당사국 연례 회의에서 연장 및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협약은 당사국이 자국 내 지뢰 피해자에게 지원을 제공하고, 다른 국가의 협약 의무 이행을 지원하도록 요구한다.[74][75]

1996년 오타와 회의에서 지지받은 완전 금지 협약 프로젝트는 약화될 위험에 처했다. 일례로 캐나다는 완전 금지에 반대하는 국가, 특히 미국의 지지를 얻기 위해 초안 협약을 일반적인 내용만 담은 "모자 협약(Chapeau-Convention)"과 각 주요 금지 사항(생산, 비축, 이전 및 대인 지뢰 사용)을 다루는 네 개의 부속 의정서로 대체하려는 시도를 했다.[46] 이는 몇몇 국가들이 참여할 수 있게 하겠지만, 군사적 필요에 맞는 금지 사항만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대가를 치러야 했다. 이러한 개념은 완전 금지 조약의 외형만 유지하면서 다양한 법적 상황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실제적이고 포괄적인 완전 금지를 무기한 연기할 위험이 있었다. 그러나 미국이 이 아이디어를 거부하면서 이 제안은 실현되지 못했다.[46]

2. 1. 협약의 예외 조항

이 조약은 대인 지뢰의 사용, 개발, 생산, 저장, 보유, 이양을 금지한다.[46]

체약국은 이 조약으로 금지된 활동에 대해 다른 국가를 지원, 권유, 장려하는 것을 금지한다.[46]

체약국은 모든 대인 지뢰를 폐기하고 철폐를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한 입법, 행정, 기타 모든 적절한 조치(벌칙 포함)를 취할 의무가 있다.[46]

3. 연혁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지뢰가 처음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1977년 제네바 협약에서 전쟁 시 민간인을 무차별 공격하는 무기를 금지하는 내용이 개정되었다.

1980년 10월,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회의에서 특정 재래식 무기 금지 또는 제한에 관한 협약(CCW)이 채택되었다. 이 협약의 부속 의정서 II는 대인 지뢰 사용에 대한 몇 가지 제한을 설정했다.[7]

1991년 지뢰 금지를 지지하는 6개의 비정부 기구가 국제 지뢰 금지 운동(ICBL)을 조직하기 시작했다.[8] 1992년 10월, 이들은 대인 지뢰의 사용, 생산, 비축, 판매, 이전 또는 수출에 대한 국제적 금지를 촉구했다.[9]

1993년 12월 16일, 유엔 총회는 CCW 검토 회의 소집 요청을 환영하고, 정부 전문가 그룹 설립을 장려하며, 최대한 많은 국가의 참석을 촉구하는 결의안 48/79를 채택했다.[12]

1994년 7월 10일, 선진 7개국(G7)은 나폴리 회의에서 대인 지뢰 문제를 우선적으로 다루었다.[14][15] 12월 15일, 유엔 총회는 결의안 49/75 D "대인 지뢰 수출 모라토리엄"을 채택하여 각국에 모라토리엄 선언을 촉구했다.[16]

그러나 대인 지뢰 완전 금지를 군사적 필요성 때문에 반대하는 국가들은 완전 금지에 대한 어떠한 협상도 막으려 했다. 이들은 군축 회의(CD) 틀 내에서 관련 협상을 개최할 것을 주장했지만, CD는 회원국 간의 의견 불일치와 만장일치 규칙 때문에 교착 상태에 빠져 있었다.[47]

3. 1. 발단

1991년 미국의 비정부 기구(NGO)인 미국 베트남 참전용사 재단과 독일의 NGO인 메디코 인터내셔널이 대인 지뢰 전면 금지를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다.[8] 1992년 서구의 6개 단체가 뉴욕에서 지뢰 금지 국제 캠페인(ICBL)을 발족하고,[9] 대인 지뢰의 사용, 생산, 비축, 판매, 이전 또는 수출에 대한 국제적 금지를 촉구했다.

3. 2. 국제적 노력의 확대

1993년 2월 9일, 프랑스는 특정 재래식 무기 금지 또는 제한에 관한 협약(CCW)의 조항을 강화하기 위해 CCW 검토 회의를 소집할 것을 유엔 사무총장에게 공식적으로 요청했다.[10] 같은 해, 국제 지뢰 금지 운동(ICBL)이 주최하고 조디 윌리엄스를 조정자로 하는 제1차 국제 NGO 지뢰 회의가 런던에서 열렸다. 미국 국무부는 ''숨겨진 살인자: 정화되지 않은 지뢰의 세계적 문제''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11][8]

1994년 2월 24일,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 회장 코르넬리오 소마루가는 대인지뢰에 대한 전 세계적 금지가 문제에 대처하는 유일하게 효과적인 해결책이라고 선언했다.[13] 이후 유엔 난민 기구(UNHCR), 유엔 아동 기금과 같은 특정 유엔 기구와 사무총장 자신이 대인 지뢰의 전면 금지를 촉구했다.[14] 같은 해 9월, 유엔 총회에서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은 대인지뢰의 "궁극적인 제거"를 촉구했다.[14]

1995년에는 세계 최초로 "대인지뢰의 제조, 사용, 수출, 이양 금지법"이 벨기에에서 성립되었다. EU는 대인지뢰 금지를 위한 공동 행동을 결정했다. 1996년에는 캐나다 오타와에서 대인지뢰 전면 금지를 위한 국제 회의가 개최되었다.

3. 3. 오타와 협약의 탄생

1991년, 미국의 NGO인 미국 베트남 참전용사 재단과 독일의 NGO인 메디코 인터내셔널이 대인 지뢰 전면 금지를 위한 캠페인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계기로 1992년에 서구의 6개 단체가 뉴욕에서 지뢰 금지 국제 캠페인(ICBL)을 발족, 이후 세계적인 운동이 되었다.[8] 1995년에는 세계 최초로 "대인 지뢰의 제조, 사용, 수출, 이양 금지법"이 벨기에에서 성립되었고,[8] EU가 대인 지뢰 금지를 위한 공동 행동을 결정했다. 1996년에는 캐나다 오타와에서 대인 지뢰 전면 금지를 위한 국제 회의가 열렸으며,[31] 1997년 9월 18일에는 오슬로에서 대인 지뢰 금지 조약 초안 작성 회의가 열려 조항이 작성되었다.

ICBL과 코디네이터인 조디 윌리엄스는 그 활동을 평가받아 199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ICBL에는 60개국 이상에서 1000개가 넘는 NGO가 참여했다.)

한편 일본1997년 12월 3일에 서명, 1998년 9월 30일에 비준, 1999년 3월 1일에 발효되었으며, 1998년 10월 28일에 공포 (조약 제15호)되었다.

3. 4. 한국의 협약 가입

1997년 12월 3일 오타와에서 협약에 서명했다.[76] 1998년 9월 30일에 비준했으며, 1999년 3월 1일에 한국에서 협약이 발효되었다.

4. 주요 쟁점 및 과제

오타와 협약 제3조는 지뢰 탐지, 지뢰 제거 또는 지뢰 파괴 기술 훈련을 위해 국가가 지뢰를 보유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72개국이 이 방법을 선택했으며, 이 중 26개국은 1,000개 미만의 지뢰를 보유하고 있다.[77] 10,000개 이상의 지뢰를 보유한 국가는 터키(15,100개)와 방글라데시(12,500개) 두 곳뿐이다. 총 83개 당사국은 과거에 대인 지뢰를 비축했던 27개국을 포함하여 대인 지뢰를 전혀 보유하지 않고 있다고 선언했다.[77]

캐나다는 훈련용 지뢰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투에서 "C19 폭발 무기"를 계속 만들고 사용하고 있다. 이는 압력판이 아닌 사람이 발사하기 때문에 조약에 따른 지뢰로 간주되지 않는다.[78]

4. 1. 협약 이행의 어려움

Landmine Monitor영어의 보고에 따르면, 2011년 리비아, 시리아, 미얀마에서 지뢰가 살포되면서 2004년 이후 지뢰 살포 건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실제 지뢰 사용 감소는 더딘 진전을 보이고 있다.[127]

4. 2. 강대국의 불참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주요 강대국들이 오타와 협약에 참여하지 않아 협약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183][184] 이들 국가는 대량의 대인 지뢰를 보유하고 있으며, 협약에 가입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4]

2020년 12월 기준으로, 협약에 서명하지 않은 32개국에는 인도, 파키스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이스라엘, 이집트, 이란,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군사적 긴장이 높은 지역의 국가들도 포함되어 있다.[184]

미국은 2009년에 협약 가입을 거부했지만,[184] 2014년에는 협약에 가입하겠다는 방침을 표명하고, 향후 20년 안에 대인 지뢰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방침을 세웠다.[185] 그러나 여전히 협약에 가입하지 않고 있으며, 자체 파괴 기능을 가진 지뢰를 사용한다.[99][100]

강대국 불참 외에도 비국가 세력의 지뢰 사용, 급조폭발물(IED)에 의한 피해 급증, 국제 사회의 지원 저하 등도 협약의 실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183]

4. 3. 회원국들의 협약 불이행

터키는 1957년부터 1998년까지 시리아 국경을 따라 "불법적인 국경 침범을 막기 위해" 615,419개의 대인 지뢰를 매설했다고 보고했다.[128] 이 지뢰는 코바니 근처에서 국경을 넘으려는 시리아 난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128] 터키는 협약에 따라 모든 대인 지뢰를 파괴해야 하지만, 기한을 지키지 못했다.[128]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동안 우크라이나는 조약을 위반하여 지뢰를 사용했다.[129] 러시아 역시 조약에서 금지된 지뢰를 사용했지만,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129][130][131]

4. 4. 미국의 입장 변화

2014년, 미국은 한반도에서 사용되는 지뢰를 제외하고는 조약의 조항을 준수하겠다고 선언했다.[185] 2020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을 뒤집고 전투 지휘관에게 "진보된, 비영구적 지뢰" 사용을 승인했다. 2022년, 조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의 정책을 뒤집고, 한반도를 제외한 지역에서 대인지뢰 생산 및 획득, 사용 지원을 금지했다.[184] 2024년, 바이든은 이전 입장을 부분적으로 번복하고 러시아 침략자에 대항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정부에 대인지뢰를 인도하기로 합의했다.

4. 5. 일부 국가의 탈퇴 움직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여러 국가에서 오타와 협약 탈퇴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핀란드는 2014년부터 국민연합당과 핀족당을 중심으로 조약 탈퇴를 주장해왔다.[104][105] 2018년에는 국민연합당 국회의원이 탈퇴를 위한 시민 발의를 시작했고, 유시 니이니스트외 국방부 장관도 탈퇴를 지지했다.[107][108]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페테리 오르포 국민연합당 대표와 리이카 푸라 핀족당 대표는 조약 가입을 실수로 간주하고 탈퇴 의사를 밝혔다.[109] 2022년 2월 24일 시작된 조약 탈퇴를 위한 시민 발의는[112] 2022년 3월 6일까지 필요한 서명을 모아 의회로 넘어갔으나, 표결 없이 만료되었다.[113][114] 2024년 11월, 얀네 야콜라 신임 국방 참모총장이 대인 지뢰 정책 재검토를 추진하면서 논쟁이 다시 불붙었다.[115] 헬싱긴 사노맛은 2024년 11월 26일 사설에서 핀란드의 탈퇴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120]

에스토니아에서는 2022년 10월 에스토니아 보수 국민당 소속 의원들이 오타와 협약 탈퇴 법안을 제출했으나, 국방부의 반대로 부결되었다.[102] 그러나 2024년 11월, 미국과 핀란드의 대인 지뢰 관련 논의가 재개되자, 에스토니아 의회 국방위원회도 같은 입장을 취하며 국방부에 군사적 측면과 외교 관계 측면에 대한 최신 자문을 요청했다.[102][103]

리투아니아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방 정책을 재검토하면서, 2024년 12월 퇴임하는 국방부 장관이 오타와 협약 탈퇴 논의를 시작했다.[121]

우크라이나는 군사적 필요에 따라 조약 탈퇴 가능성을 시사했다.[122]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은 2024년 11월 19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대인 지뢰 이전을 승인하여 인권 단체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23][124]

5. 국제사회의 노력

오타와 협약의 이행을 위해 국제사회는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운용 검토 회의: 협약 당사국들은 5년마다 정기적인 검토 회의를 개최하여 협약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추가적인 조치를 논의한다. 각 회의는 개최지의 이름을 딴 선언문 및 행동 계획을 채택한다.
  • 당사국 연례 회의: 매년 개최되는 당사국 회의는 협약 이행과 관련된 성과를 보고하고,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한 부분을 논의하는 자리이다.
  • 지뢰 및 집속탄 감시단 (Landmine and Cluster Munition Monitor): 국제 지뢰 금지 운동(ICBL)과 집속탄 연합(CMC)의 지원을 받는 감시단은 전쟁 잔류 폭발물(ERW)을 포함한 지뢰 및 집속탄 문제에 대한 독립적인 보고서를 제공하고, 전 세계적인 감시 체제 역할을 수행한다.[89]
  • 유엔 총회(UNGA) 연례 결의안: 매년 유엔 총회에서는 지뢰 금지 협약의 보편화와 완전한 이행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채택된다. 이 결의안은 지뢰 금지 협약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163]


유엔 총회 결의안과 관련하여, 1997년 최초 결의안 이후 찬성 국가 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기권 국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대한민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는 안보적 우려를 이유로 지속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164]

5. 1. 운용 검토 회의

5. 2. 당사국 연례 회의

조약 회원국 연례 회의는 전 세계의 다양한 장소에서 개최된다. 이 회의는 성과를 보고하고, 추가 작업이 필요한 부분을 알리며, 필요한 지원을 요청하는 포럼을 제공한다.[132]

회의연도장소
제1차 당사국 회의1999년 5월모잠비크 마푸투[136]
제2차 당사국 회의2000년 9월스위스 제네바[137]
제3차 당사국 회의2001년 9월니카라과 마나과[138]
제4차 당사국 회의2002년 9월스위스 제네바[139]
제5차 당사국 회의2003년 9월태국 방콕[140]
제1차 검토 회의 (지뢰 없는 세상을 위한 나이로비 정상 회의)2004년 11월/12월케냐 나이로비[132]
제6차 당사국 회의2005년 11월/12월크로아티아 자그레브[141]
제7차 당사국 회의2006년 9월스위스 제네바[142]
제8차 당사국 회의2007년 9월요르단 사해[143]
제9차 당사국 회의2008년 11월스위스 제네바[144]
제2차 검토 회의 (지뢰 없는 세상을 위한 카르타헤나 정상 회의)2009년 11월/12월콜롬비아 카르타헤나[145]
제10차 당사국 회의2010년 11월/12월스위스 제네바[146][147]
제11차 당사국 회의2011년 11월/12월캄보디아 프놈펜[148]
제12차 당사국 회의2012년 11월/12월스위스 제네바[149][150]
제13차 당사국 회의2013년 11월/12월스위스 제네바[151][152]
제3차 검토 회의 (지뢰 없는 세상을 위한 마푸투 검토 회의)2014년 6월모잠비크 마푸투[153][154]
제14차 당사국 회의2015년 12월스위스 제네바[155]
제15차 당사국 회의2016년 11월/12월칠레 산티아고[156]
제16차 당사국 회의2017년 12월오스트리아 비엔나[157]
제17차 당사국 회의2018년 11월스위스 제네바[158]
제4차 검토 회의 (지뢰 없는 세상을 위한 오슬로 검토 회의)2019년 11월노르웨이 오슬로[135]
제18차 당사국 회의2020년 11월스위스 제네바[159]
제19차 당사국 회의2021년 11월네덜란드 헤이그[160]
제20차 당사국 회의2022년 11월스위스 제네바[161]
제21차 당사국 회의2023년 11월스위스 제네바[162]



2004년 11월 29일부터 12월 3일까지 케냐 나이로비에서 조약 최초의 운용 검토 회의인 "지뢰 없는 세상을 위한 나이로비 정상 회담"이 열려 체약국 143개국의 대표가 참석했다. 이 회의에서는 지뢰 폐지를 위한 향후의 노력이 논의되었으며, 나이로비 선언 및 향후 5년간의 행동 계획이 채택되었다.[180]

이후 2009년 11월 30일부터 12월 4일까지 콜롬비아 카르타헤나에서[181], 2014년 6월 23일부터 6월 27일까지 모잠비크 마푸투에서[182] 운용 검토 회의가 열렸다.

5. 3. 지뢰 및 집속탄 감시단 (Landmine and Cluster Munition Monitor)

지뢰 및 집속탄 감시단("감시단")은 국제 지뢰 금지 운동(ICBL)과 집속탄 연합(CMC)을 위한 연구를 제공하고, 사실상 이들의 감시 체제 역할을 하는 기구이다. 1998년 휴먼 라이츠 워치(Human Rights Watch)를 통해 설립된 ICBL의 사업의 일환으로, 지뢰, 집속탄 및 전쟁 잔류 폭발물(ERW)의 인도주의적 발전과 사용에 대한 감시를 제공한다. 감시단은 지뢰, 집속탄 및 ERW 문제의 모든 측면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하고, 전 세계 모든 국가에 대한 연간 보고서 업데이트를 발행하며, 전문가들과의 국제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모든 매체를 위한 연구 결과를 제공하며, 보고서를 모든 변화에 맞게 유연하게 조정한다. 감시단은 관련 조약에 따라 독립적인 보고서를 제공해야 하는 투명성으로 존경을 받고 있다. 감시단의 주요 대상은 정부, NGO 및 기타 국제 기구뿐만 아니라 미디어, 학계 및 일반 대중이다.[89]

5. 4. 유엔 총회 연례 결의안

유엔 총회(UNGA) 연례 결의안은 지뢰 금지 조약의 보편화와 완전한 이행을 촉구하며, 지뢰 금지 조약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국가들에게 반복적으로 주어지는 기회이다. 예를 들어, UNGA 결의안 66/29는 2011년 12월 2일에 찬성 162표, 반대 0표, 기권 18표로 채택되었다.[163]

1997년 지뢰 금지 조약을 지지하는 최초의 UNGA 결의안 이후, 찬성 투표를 한 국가의 수는 1999년의 139표에서 2010년의 165표까지 다양했다. 기권한 국가의 수는 2002년과 2003년의 23표에서 2005년과 2006년의 17표까지 다양했다.

2011년 12월 2일 결의안 66/29를 지지하는 투표를 한 비당사국 19개국 중 9개국은 1997년 이후 모든 지뢰 금지 조약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졌다.

  • 아르메니아
  • 바레인
  • 핀란드
  • 조지아
  • 오만
  • 폴란드
  • 싱가포르
  • 스리랑카
  • 아랍 에미리트


10개국은 이전에는 일관되게 기권하거나 부재했지만, 이제 찬성표를 던졌다.

  • 아제르바이잔
  • 중국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라오스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 몽골
  • 모로코
  • 통가


현재 당사국인 소말리아는 2011년 결의안에 불참했지만, 이전에는 찬성표를 던졌다.[164]

결의안 지지에 대한 기권 국가 수는 2002년과 2003년의 23표에서 2010년, 2005년, 2006년의 17표까지 다양했다. 지뢰 금지 조약의 안보적 영향에 대해 가장 우려하는 국가로 묘사될 수 있는 집단은 1997년 이후 연속적으로 반대표를 던진 비당사국 15개국이다.

6. 한국의 역할과 과제

대한민국은 오타와 협약 당사국으로서 지뢰 제거 및 피해자 지원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협약에 가입하도록 지속적으로 설득하고, 외교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뢰 사용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위협이 되므로, 국제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

6. 1. 지뢰 제거 및 피해자 지원

오타와 협약 발효 이후, 협약 서명국들은 4,800만 개 이상의 비축 지뢰를 파기했다. 159개 국가는 비축 지뢰를 모두 파기했거나 파기할 비축 지뢰가 없다고 선언했다.[76]

6. 2. 북한의 협약 가입 촉구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오타와 협약에 가입하도록 지속적으로 설득하고, 이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뢰 사용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 되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

6. 3. 국내 이행 강화

이전 출력에서 요약과 원본 소스 내용이 '국내 이행 강화' 섹션과 직접 관련이 없다고 판단하여 내용을 추가하지 않은 것은 올바른 결정이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Status of the 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the Use, Stockpiling, Production and Transfer of Anti-Personnel Mines and on Their Destruction https://treaties.un.[...]
[2] 웹사이트 Anti-Personnel Landmines Convention – UNODA https://www.un.org/d[...] 2023-03-30
[3] 뉴스 The Mine Ban Treaty: How the world decided to bury the use of mines https://arab.news/vy[...] 2023-04-03
[4] 웹사이트 The Ottawa Convention: Signatories and States-Parties {{!}} Arms Control Association https://www.armscont[...] 2023-04-16
[5] 웹사이트 Status of the 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the Use, Stockpiling, Production and Transfer of Anti-Personnel Mines and on Their Destruction http://disarmament.u[...] 2020-10-21
[6] 웹사이트 Treaty Status http://www.icbl.org/[...] ICBL 2016-09-21
[7] 서적 The 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the Use, Stockpiling, Production and Transfer of Anti-Personnel Mines and on their Destr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Timeline of the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 http://www.icbl.org/[...] ICBL 2016-09-21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Q130279118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간행물 Jane's Mines and Mine Clearance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간행물 Auf dem Weg zu einer Konvention über das Verbot von Anti-Personen-Minen Verlag Böhlau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37] 서적 1996
[38] 서적 1996
[39] 서적 2004
[40] 서적 2004
[41] 서적
[42] 서적 1996
[43] 서적 2004
[44] 서적 2004
[45] 서적 1996
[46] 서적 2004
[47] 서적 1996
[48] 서적 2004
[49] 서적 2004
[50] 서적
[51] 서적 2004
[52] 서적 2004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2004
[56] 서적 2004
[57] 서적 2004
[58] 서적 2004
[59] 서적 2004
[60] 서적 2004
[61] 서적 2004
[62] 서적 2004
[63] 웹사이트 Why the Ban http://www.icbl.org/[...]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 2016-09-21
[64] 서적 2004
[65] 서적 2004
[66] 서적 2004
[67] 웹사이트 A/RES/52/38 http://www.un.org/ga[...] United Nations 2017-11-21
[68] 서적 2004
[69] 간행물 New U.S. Anti-Personnel Landmine Policy Adopted 2022
[70] 뉴스 Trump eases restrictions on land mine use by U.S. military https://www.reuters.[...] 2020-01-31
[71] 논문 New U.S. Anti-Personnel Landmine Policy Adopted 2022
[72] 웹사이트 Biden administration commits to limiting use of land mines http://www.politico.[...] POLITICO 2022-06-21
[73] 뉴스 Biden agrees to give Ukraine anti-personnel mines https://www.bbc.com/[...] 2024-11-20
[74] 웹사이트 Six Pillars of Victim Assistance – Finish the Job – ICBL http://www.icbl.org/[...] 2017-11-19
[7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Assistance – Finish the Job http://www.icbl.org/[...] 2017-11-19
[76]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Destroying Stockpiled Mines http://www.apmineban[...] 2017-11-19
[77] 간행물 Landmine Monitor Report 2012
[78] 웹사이트 The Canadian Forces and Anti-Personnel Landmine http://www.defense-a[...] 2020-04-09
[79] 웹사이트 Anti-Personnel Mine Ban Convention http://www.apmineban[...] 2017-11-19
[80] 웹사이트 Four New Countries Declared Mine-Free at Landmine Summit http://www.icbl.org/[...] ICBL 2019-05-16
[81] 뉴스 Rwanda – first landmine-free country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2-02
[82] 뉴스 Rwanda: Country Declared Mine-Free http://allafrica.com[...] All Africa 2009-12-02
[83] 뉴스 Nicaraguan landmines finally removed after 80s war http://news.bbc.co.u[...] BBC 2010-06-25
[84] 뉴스 Nepal's PM detonates its last landmine http://edition.cnn.c[...] CNN 2011-06-15
[85] 간행물 Burundi declared landmine free http://reliefweb.int[...] Mines Advisory Group 2014-05-20
[86] 웹사이트 Day 3 | Wednesday 5 December http://www.apmineban[...] AP Mine Ban Convention 2013-09-29
[87] 웹사이트 Mozambique declared free of mines https://www.bbc.co.u[...] BBC 2017-11-19
[88] 웹사이트 Falklands community invited to 'Reclaim the Beach' to celebrate completion of demining – Penguin News https://penguin-news[...] 2024-11-21
[89] 웹사이트 What is the Monitor? http://www.the-monit[...] Landmine and Cluster Munition Monitor 2013-04-02
[90] 웹사이트 Treaty Status http://www.icbl.org/[...]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
[91] 뉴스 Obama administration creates Korean land mine exception http://www.armytimes[...] 2014-09-23
[92] 문서 Laudate Deum https://www.vatican.[...] 2023-10-04
[93] 논문 The New Diplomacy http://www.hoover.or[...] 2016-10-06
[94] 웹사이트 Landmine and Cluster Munition Monitor http://www.the-monit[...] The Monitor 2013-09-29
[95] 웹사이트 English / Treaty Text in Many Languages / MBT / Treaty / Home http://www.icbl.org/[...]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 2013-09-29
[96] 웹사이트 Miinakieltosopimus puhutti täysistunnossa http://web.eduskunta[...] Eduskunta 2013-09-29
[97] 웹사이트 Maamiinat säilytettävä http://www.kansallis[...] Helsingin Kansalliset Nuoret 2013-09-29
[98] 웹사이트 Where global solutions are shaped for you | Disarmament | Signatories and Ratifying States http://www.unog.ch/8[...]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2013-09-29
[99] 웹사이트 U.S. Landmine Policy https://2009-2017.st[...] 2017-07-27
[100]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on the New United States Landmine Policy https://fas.org/asmp[...] 2015-04-04
[101] 웹사이트 Ministeerium kahtleb jalaväemiinide kasutuselevõtu vajalikkuses https://www.err.ee/1[...] 2024-12-09
[102] 웹사이트 Riigikaitsekomisjon asub arutama jalaväemiinide kasutuselevõttu https://www.err.ee/1[...] 2024-12-09
[103] 웹사이트 Kaitseministeerium on nõus arutama jalaväemiinide kasutamist https://www.err.ee/1[...] 2024-12-09
[104] 웹사이트 Jussi Niinistö osoittaa sormella Halosta ja Kataista: 'Tämä oli päätös, joka maksaa tositilanteessa suomalaista verta' http://www.iltasanom[...] 2017-11-19
[105] 뉴스 NCP wants Finland to quit landmine ban treaty http://yle.fi/uutise[...] 2014-09-17
[106] 웹사이트 Puolustusministeriön jalkaväkimiinaselvitystyöryhmän väliraportti http://www.defmin.fi[...] Finnish Ministry of Defence 2003-12-19
[107] 웹사이트 Kansanedustaja Eero Lehti yrittää vapauttaa maamiinat kansalaisaloitteella – ei tiennyt puolueensa päätöksestä ajaa samaa asiaa https://www.iltaleht[...] 2018-02-02
[108] 웹사이트 Puolustusministeri Niinistö SuomiAreenassa: Haluan repiä jalkaväkimiinat kieltävän Ottawan sopimuksen https://www.mtv.fi/u[...] Bonnier Group 2018-07-16
[109] 웹사이트 Purra: Puolustukseen lisää rahaa – Suomen on irtauduttava Ottawan sopimuksesta https://www.suomenuu[...] Pientalonpoika Oy 2022-03-02
[110] 웹사이트 Uutissuomalainen: Eduskuntaryhmät eri linjoilla ja epävarmoina jalkaväkimiinojen kiellosta – Ottawan sopimuksen pitäisivät keskusta, RKP ja vihreät https://www.suomenma[...] Suomenmaan Kustannus 2022-03-01
[111] 웹사이트 Oliko jalkaväkimiinat kieltävä Ottawan sopimus virhe Suomelle? 'Meille jäi mustapekka käteen' https://www.is.fi/ko[...] Sanoma Media Finland 2022-03-01
[112] 웹사이트 Jalkaväkimiinakiellosta irtautuminen ja jalkaväkimiinojen käytön, varastoinnin, tuotannon ja siirron salliminen. – Kansalaisaloitepalvelu https://www.kansalai[...] Ministry of Justice (Finland) 2022-02-24
[113] 웹사이트 Kansalaisaloite jalkaväkimiinojen käytön sallimisesta etenee eduskuntaan https://www.iltaleht[...] 2022-03-07
[114] 웹사이트 KAA 4/2022 vp https://www.eduskunt[...] Parliament of Finland 2023-12-09
[115] 웹사이트 Puolustusvoimain komentaja Janne Jaakkola haluaa keskustelua jalkaväkimiinoista: "Nyt turvallisuusympäristö on aivan erilainen" https://www.mtvuutis[...] Alma Media 2024-11-23
[116] 웹사이트 Jalkaväkimiinakiellosta irtautuminen ja jalkaväkimiinojen käytön, varastoinnin, tuotannon ja siirron salliminen. – Kansalaisaloitepalvelu https://www.kansalai[...] Ministry of Justice (Finland) 2024-11-25
[117] 웹사이트 Suomen irtautuminen Ottawan sopimuksesta – Kansalaisaloitepalvelu https://www.kansalai[...] Ministry of Justice (Finland) 2024-12-06
[118] 웹사이트 Lainsäädännön aloittaminen jalkaväkimiinojen varastoinnin, siirtämisen ja käytön sallimiseksi Suomen alueella – Kansalaisaloitepalvelu https://www.kansalai[...] Ministry of Justice (Finland) 2024-12-06
[119] 웹사이트 Neljä puoluetta haluaa jalkaväkimiinat takaisin – loput joko harkitsevat tai vastustavat https://yle.fi/a/74-[...] 2024-11-25
[120] 웹사이트 Venäjän tapa sotia pakottaa arvioimaan uusiksi jalkaväkimiinojen kieltoa https://www.hs.fi/pa[...] 2024-11-26
[121] 웹사이트 Outgoing minister calls for Lithuania’s withdrawal from convention banning mines https://www.lrt.lt/e[...] 2024-12-11
[122] 웹사이트 Nearly two decades after leading role, US remains on sidelines of treaty banning landmines https://www.bostongl[...] 2014-06-22
[123] 웹사이트 Biden approves antipersonnel mines for Ukraine, undoing his own policy https://www.washingt[...] 2024-11-19
[124] 웹사이트 Biden agrees to give Ukraine anti-personnel mines https://www.bbc.com/[...] 2024-11-20
[125] 웹사이트 Proposed US Landmine Transfers Gravely Threaten Civilians https://www.hrw.org/[...] 2024-11-20
[126] 웹사이트 Ukraine: Biden’s Decision on Landmines is Dangerous https://www.amnestyu[...] 2024-11-20
[127] 웹사이트 Järjestö: Maamiinoja asennettu enemmän kuin vuosiin http://www.hs.fi/ulk[...] 2011-11-23
[128] 웹사이트 Syria/Turkey: Landmines Kill Civilians Fleeing Kobani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4-12-02
[129] 뉴스 '608 slachtoffers van landmijnen in Oekraïne in 2022' https://www.nrc.nl/n[...] 2023-11-07
[130] 웹사이트 Landmine Monitor 2023: 26 years after the adoption of the Ottawa Treaty, mines continue to kill and maim https://www.hi.org/e[...]
[131] 웹사이트 Ukraine Promises Inquiry into Banned Landmine Use https://www.hrw.org/[...] 2023-06-30
[132] 웹사이트 Nairobi Summit on a Mine Free World http://www.nairobisu[...] Nairobisummit.org
[133] 웹사이트 Cartagena Summit on a Mine-Free World http://icrc.org/web/[...] Icrc.org 2010-06-14
[134] 웹사이트 Maputo Summit: 3rd Review Conference http://www.maputorev[...]
[135] 웹사이트 Oslo Review Conference: 4th Review Conference https://www.oslorevi[...]
[136]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First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137]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Second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138]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Third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139]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Four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140]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Fif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141]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Six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2017-11-19
[142]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Seven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2017-11-19
[143]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Eigh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2017-11-19
[144]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Nin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2017-11-19
[145] 웹사이트 Review Conference: 2nd Review Conference http://www.cartagena[...] 2017-11-19
[146] 웹사이트 APminebanconvention.org http://www.apmineban[...] 2011-04-14
[147] 웹사이트 Meetings of States Parties – The Treaty – ICBL http://www.icbl.org/[...] 2017-11-19
[148]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Eleven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2016-11-11
[149] 웹사이트 Twelf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AP Mine Ban Convention 2013-09-29
[150] 웹사이트 Meetings of States Parties – The Treaty – ICBL http://www.icbl.org/[...] 2017-11-19
[151] 웹사이트 Thirteen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AP Mine Ban Convention 2014-08-04
[152] 웹사이트 13th Meeting of States Parties to the Mine Ban Treaty http://www.icbl.org/[...] 2017-11-19
[153] 웹사이트 The Third Review Conference of the Mine Ban Treaty – The Treaty – ICBL http://www.icbl.org/[...] 2017-11-19
[154] 웹사이트 The Third Review Conference of the Mine Ban Treaty {{!}} The Treaty {{!}} ICBL http://www.icbl.org/[...] 2016-11-11
[155]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Fourteen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2017-11-19
[156]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Fifteen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www.apmineban[...] 2017-11-19
[157]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Sixteen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s://www.apmineba[...] 2017-11-21
[158]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Seventeen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s://www.apmineba[...] 2020-04-28
[159] 웹사이트 AP Mine Ban Convention: Eighteen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s://www.apmineba[...] 2020-04-28
[160] 웹사이트 Netherlands successfully concludes global anti-landmine meeting https://www.apmineba[...] 2021-11-19
[161] 웹사이트 20th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https://indico.un.or[...] 2024-11-20
[162] 웹사이트 21st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in November 2023 in Geneva, Switzerland https://indico.un.or[...] 2024-11-20
[163] 웹사이트 Where global solutions are shaped for you | Disarmament | UNGA resolution on APLC http://www.unog.ch/u[...] Unog.ch 2013-09-29
[164] 간행물 Landmine Monitor Report 2012
[165] 뉴스 Nobel Prize Sets Off a Land Mine https://www.latimes.[...] 2020-01-22
[166] 뉴스 The Nobel Prize Fight https://www.washingt[...] 2020-01-22
[167] 웹사이트 The Life of an Activist https://think.kera.o[...] 2016-06-13
[168] 서적 The 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the Use, Stockpiling, Production and Transfer of Anti-Personnel Mines and on their Destruction. In: Oxford Commentaries on International Law, Commentaries on Arms Control Treaties, Volume 1,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69] 서적 Auf dem Weg zu einer Konvention über das Verbot von Anti-Personen-Minen (Österreichisches Jahrbuch für internationale Politik); Österreichische Gesellschaft für Außenpolitik und internationale Beziehungen gemeinsam mit dem Österreichischen Institut für internationale Politik Verlag Böhlau
[170] 문서
[171] 문서
[172] 문서
[173] 뉴스 White House Is Being Pressed to Reverse Course and Join Land Mine Ban https://www.nytimes.[...] 2017-02-25
[174] 웹사이트 Angola's Landmines http://gurukul.ucc.a[...] 2017-11-19
[175] 간행물 No Clean Sweep for Mines https://content.time[...] 2023-11-18
[176] 웹사이트 Charity – Diana, Princess of Wales http://www.dianacele[...] Dianacelebration.com 2013-11-15
[177] 백과사전 Lloyd Axworthy http://www.thecanadi[...] 2014-05-05
[178] 뉴스 The Humanitarian: Bobby Muller http://www.psycholog[...] Cecilia Capuzzi Simon 2013-04-02
[179] 웹사이트 Treaties, States Parties and Commentaries https://ihl-databas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20-12-03
[180] PDF http://www.nairobisu[...]
[181] 웹사이트 http://www.cartagena[...]
[182] 웹사이트 http://www.icbl.org/[...]
[183] 웹사이트 2025年、地雷のない世界を目指して - AAR Japan https://www.aarjapan[...]
[184] 웹사이트 The Treaty http://canadianlandm[...] Canadian Landmine Foundation 2016-12-03
[185] 뉴스 米、対人地雷禁止条約への加盟目指す方針表明 https://web.archive.[...] 2014-06-28
[186] 웹사이트 http://www.iltasanom[...]
[187] 웹사이트 http://yle.fi/uutise[...]
[188] 웹사이트 Nearly two decades after leading role, US remains on sidelines of treaty banning landmines https://www.bostongl[...] The Boston Globe 2014-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