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표는 음을 반음 올리는 데 사용되는 음악 기호이다. 겹올림표는 온음만큼, 반올림표는 1/4음만큼 음을 올리는 데 사용되며, 매우 드물게 세겹올림표도 사용된다. 올림표는 조표와 임시표로 사용되며, 조표로 사용될 때는 음자리표 오른쪽에 붙어 조를 나타낸다. 임시표로 사용될 때는 음표 머리 왼쪽에 붙으며, 해당 마디와 옥타브 내의 동일한 음표에 효력을 미친다. 올림표는 해시 기호(#)와 형태가 유사하지만, 가로선이 기울어져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유니코드에는 다양한 올림표 관련 기호가 할당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높이 - 콘트랄토
콘트랄토는 여성 성악의 가장 낮은 음역과 음색을 지칭하는 용어로, 고전 및 오페라 성악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양한 역할과 저명한 가수들을 포함하여 종교곡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음높이 - A440
A440은 '가' 음을 440 Hz로 정의하는 표준 음높이로,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공식화되었으며, 콘서트 피치나 시대악기 운동의 기준으로 널리 사용된다. - 기보법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기보법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올림표 | |
---|---|
음악 기호 정보 | |
이름 | 올림표 |
영어 이름 | Sharp |
프랑스어 이름 | Dièse |
히브리어 이름 | Diesis |
그리스어 이름 (고대) | Díesis (δίεσις) |
이탈리아어 이름 | Diesis |
독일어 이름 | Kreuz |
설명 | 음높이를 반음 높이는 기호 |
종류 | 기호 |
용도 | 음악 |
유니코드 | U+266F |
HTML 엔티티 | ♯ |
주의사항 | 숫자 기호(#), viewdata square, equal and parallel to, 우물 정(한자)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
2. 변형
'''겹올림표'''()는 음을 반음 두 개, 즉 온음만큼 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더블 샵'이라고도 부른다. 로 주로 표기하지만, 과거에는
올림표는 조표와 임시표로 사용될 수 있다.
'''반올림표'''( 또는 𝄲)는 음을 반음의 1/2, 즉 온음의 1/4 (사분음)만큼 올린다. '하프 샤프' 또는 '데미 샤프'라고도 한다.
'''3/2 올림표'''()는 반음의 3/2, 즉 온음의 3/4(세 개의 사분음)만큼 올린다. '세반올림표', '샤프 앤 하프', 또는 '세스퀴샤프'라고도 하며, '쓰리 쿼터 톤 샤프'라고도 한다.
매우 드물게 사용되는 '''세겹올림표'''( 혹은 )는 음을 반음 세 개, 즉 온음과 반음만큼 올린다. 기본 올림표와 겹올림표를 함께 표기한다.[11][12]
3. 표기법
조표로 사용될 경우, 음자리표 오른쪽에 붙어 해당 조의 조성을 나타낸다. 올림표가 붙는 순서는 F♯, C♯, G♯, D♯, A♯, E♯, B♯ 순서이다. 이는 5도권 순환에 따른 것이다.[9]
임시표로 쓰일 때에는 음표 머리의 왼쪽에 붙는다. 임시표는 그 보표와 마디와 옥타브 내에서 올림표 이후의 해당 음에 적용된다. 다만, 조표와는 달리 음이름은 같지만 옥타브만 다른 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항상 변화되지 않은 원래의 음을 기준으로 읽는다. 같은 보표, 마디, 옥타브에서 임시표로 쓰인 올림표의 효력을 없애려면 제자리표 (♮) 등의 다른 변화표를 사용한다.
3. 1. 조표
조표로 사용될 경우, 올림표는 음자리표 오른쪽에 붙어 해당 조의 조성을 나타낸다. 올림표가 붙는 순서는 F♯, C♯, G♯, D♯, A♯, E♯, B♯ 순서이다. 이는 5도권 순환에 따른 것이다.[9] 예를 들어, 올림표가 하나 붙으면 사장조 또는 마단조, 두 개 붙으면 라장조 또는 나단조가 된다.
장조 | 올림표의 개수 | 올림표가 붙는 음 | 단조 |
---|---|---|---|
다장조 | 0 | – | 가단조 |
사장조 | 1 | F♯ | 마단조 |
라장조 | 2 | F♯, C♯ | 나단조 |
가장조 | 3 | F♯, C♯, G♯ | 올림바단조 |
마장조 | 4 | F♯, C♯, G♯, D♯ | 올림다단조 |
나장조 | 5 | F♯, C♯, G♯, D♯, A♯ | 올림사단조 |
올림바장조 | 6 | F♯, C♯, G♯, D♯, A♯, E♯ | 올림라단조 |
올림다장조 | 7 | F♯, C♯, G♯, D♯, A♯, E♯, B♯ | 올림가단조 |
올림표 조표는 최대 7개까지 붙을 수 있으며, 일부 조성은 이명동음(딴이름한소리조)을 사용하여 내림표 조표로 표기할 수도 있다. 간혹, 조표에 F, C와 같이 겹올림표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이론적 조표가 된다.
3. 2. 임시표
임시표로 쓰일 때에는 음표 머리의 왼쪽에 붙는다.:
임시표는 그 보표와 마디와 옥타브 내에서 올림표 이후의 해당 음에 적용된다. 다만, 조표와는 달리 음이름은 같지만 옥타브만 다른 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항상 변화되지 않은 원래의 음을 기준으로 읽는다.
같은 보표, 마디, 옥타브에서 임시표로 쓰인 올림표의 효력을 없애려면 제자리표 (♮) 등의 다른 변화표를 사용한다.
:
4. 다른 표기법과 사용
올림표(♯)는 해시 기호(#)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가로선이 오른쪽으로 올라가도록 기울어져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겹올림표(𝄪)는 굵은 소문자 x와 비슷하지만, 인쇄상으로 구별되어야 한다.[9] 컴퓨터에서 올림표와 관련 기호들은 문자 코드로 표현되는데, 컴퓨터 자판으로 쉽게 입력 가능한 #(해시 기호)는 올림표와 비슷하지만 다른 기호이다.
과거에는 겹올림표가 붙은 음을 올림표 하나로 낮출 때 제자리표와 올림표 기호(♮♯)를 함께 표기했지만[13], 현대 악보에서는 제자리표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4]
12 평균율이 아닌 다른 음률에서는 이명동음 관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F𝄪과 G♯은 서로 다른 음높이를 가질 수 있다.
5. 유니코드
(음악 올림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