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타스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타스 왕조는 13세기 후반 모로코 리프 지역을 기반으로 자치권을 누리다 15세기 말 페스 왕국을 건국한 왕조이다. 마린 왕조의 쇠퇴기에 권력을 강화하여 페스 왕국을 세웠지만, 포르투갈의 침략과 사드 왕조의 부상으로 쇠퇴했다. 경제적 어려움과 외세의 침략으로 인해 1554년 사드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와타스 왕조 -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는 와타스 왕조의 모로코 술탄으로,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공략에 맞서 프랑스와 관계를 개선하려 노력했지만, 사드족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복귀 후 사망했다.
와타스 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와타스 왕조 |
현지 이름 | الوطاسيون |
수도 | 페스 |
종교 | 수니파 이슬람 |
정치 체제 | 군주제 |
통화 | 디르함 |
존속 기간 시작 | 1472년 |
존속 기간 끝 | 1554년 |
공용어 | 베르베르어 아랍어 |
지도 | |
![]() | |
역대 통치자 | |
초대 술탄 | 아부 아브드 알라 알셰이크 무함마드 이븐 야흐야 (1472년~1504년) |
마지막 술탄 | 나시르 알카스리 (1545년~1547년) |
역사 | |
이전 | 마린 왕조 |
이후 | 사드 왕조 |
지위 | 모로코의 통치 왕조 오스만 제국의 속국 (1526년~) |
2. 역사
와타스 가문은 13세기 후반부터 나도르 인근 타주타를 거점으로 리프 동부를 통치하며 자치권을 부여받았다. 와타스 가문은 마린 왕조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여러 고위 관료를 배출했다. 마린 왕조가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침략을 물리치고 레콩키스타가 한창이던 그라나다 왕국의 생존을 돕는 동안, 와타스 가문은 내부 정치를 통해 권력을 강화했다. 이를 경계한 마린 왕조는 와타스 가문을 제거하려 했으나, 아부 아브드 알라 알셰이크 무함마드 이븐 야흐야가 살아남아 페스 왕국을 건국하며 와타스 왕조를 열었다. 야흐야는 1504년 아들 무함마드 알부르투칼리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와타스 왕조 치하에서 모로코는 경제, 정치, 사회문화적으로 쇠퇴했다. 인구 증가는 정체되었고, 포르투갈이 항구를 점령하면서 남부와의 해상 무역이 단절되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와타스 왕조는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모로코를 지키지 못했고, 포르투갈은 모로코 연안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아실라와 탕헤르 탈환 시도가 세 차례 있었으나 모두 실패했다.
남부에서는 사드 왕조가 마라케시를 점령하고 아가디르에서 포르투갈군을 격파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모로코 백성들은 가톨릭 왕국에 대해 화친 정책을 펼친 와타스 왕조와 달리 군사적 성과를 거둔 사드 왕조를 지지했다.
사드 왕조는 이러한 지지를 바탕으로 탕헤르, 세우타, 마지젠 등 포르투갈 거점을 탈환하고 와타스 왕조와 충돌했다. 1554년 알리 아부 하순이 페스 탈환에 잠시 성공했으나, 결국 항복하고 처형당하면서 와타스 왕조는 멸망했다. 살아남은 왕족들은 모로코에서 피신하려다 해적들에게 살해되었다.
와타스 왕조는 금화와 정사각형 디르함, 그리고 반절 크기의 은화 디르함을 발행했다. 동전의 무게는 약 1.5g으로, 무와히드 칼리파국의 화폐 기준을 따랐다.[3]
2. 1. 건국과 쇠퇴
마린 왕조가 레콩키스타가 한창이던 그라나다 왕국의 생존을 돕는 동안, 와타스 가문은 내부 정치를 통해 권력을 강화했다.[3] 이를 경계한 마린 왕조는 와타스 가문을 제거하려 했으나, 아부 아브드 알라 알셰이크 무함마드 이븐 야흐야가 살아남아 페스 왕국을 건국하며 와타스 왕조를 열었다.[3] 야흐야는 1504년 아들 무함마드 알부르투칼리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3]와타스 왕조 치하에서 모로코는 경제, 정치, 사회문화적으로 쇠퇴했다.[3] 인구 증가는 정체되었고, 포르투갈이 항구를 점령하면서 남부와의 해상 무역이 단절되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3]
와타스 왕조는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모로코를 지키지 못했고, 포르투갈은 모로코 연안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3] 아실라와 탕헤르 탈환 시도가 세 차례 있었으나 모두 실패했다.[3]
남부에서는 사드 왕조가 마라케시를 점령하고 아가디르에서 포르투갈군을 격파하며 세력을 확장했다.[3] 모로코 백성들은 가톨릭 왕국에 대해 화친 정책을 펼친 와타스 왕조와 달리 군사적 성과를 거둔 사드 왕조를 지지했다.[3]
사드 왕조는 이러한 지지를 바탕으로 탕헤르, 세우타, 마지젠 등 포르투갈 거점을 탈환하고 와타스 왕조와 충돌했다.[3] 1554년 알리 아부 하순이 페스 탈환에 잠시 성공했으나, 결국 항복하고 처형당하면서 와타스 왕조는 멸망했다.[3] 살아남은 왕족들은 모로코에서 피신하려다 해적들에게 살해되었다.[3]
와타스 왕조는 금화와 정사각형 디르함, 그리고 반절 크기의 은화 디르함을 발행했다.[3] 동전의 무게는 약 1.5g으로, 무와히드 칼리파국의 화폐 기준을 따랐다.[3]
2. 2. 포르투갈과의 갈등
1479년 알카소바스 조약 체결로 스페인이 와타스 술탄국을 포르투갈의 영향권으로 인정하였다. 1485년 스페인과 조약을 체결하여 와타스 술탄국은 그라나다 왕국을 돕지 않기로 하고, 스페인은 알보란해에서 모로코 선박을 접수하지 않기로 합의하였다. 1488년 포르투갈이 사피를 정복하였고, 1491년에는 그라나다 토후국의 무함마드 13세 (엘자갈)이 페스로 피신했으나 붙잡혀 맹인 신세가 되었다. 1492년 스페인에서 무슬림과 유대인이 축출되었으며, 1497년 스페인이 멜리야를 점령하였다.1502년 포르투갈은 마자간을 점령하였고, 1505년에는 아가디르를, 1506년에는 모가도르를 점령하였다. 1511년 사드 왕조가 라바트를 점령하였고, 1524년에는 마라케시를 점령하였다. 1541년 사드 왕조는 아가디르와 사피를 점령하였으며, 1542년 하산 하심이 테투안을 점령하였다. 1548년 와타스 왕조 최후의 국왕이 사드 왕조에 포로로 붙잡혔고, 1550년 사드 왕조가 페스를 정복하였다.
2. 3. 사드 왕조의 부상과 멸망
1479년 알카소바스 조약 체결로 스페인이 와타스 술탄국을 포르투갈의 영향권으로 인정받았다. 1485년에는 스페인과 조약을 체결하여 와타스 술탄국은 그라나다 왕국을 돕지 않고, 스페인은 알보란해에서 모로코 선박을 접수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1488년 포르투갈이 사피를 정복했고, 1491년 그라나다 토후국의 무함마드 13세 (엘자갈)이 페스로 피신했으나 붙잡혀 맹인이 되었다. 1492년 스페인에서 무슬림과 유대인이 축출되었고, 1497년 스페인이 멜리야를 점령했다.1502년 포르투갈은 마자간을 점령했고, 1505년에는 아가디르, 1506년에는 모가도르를 점령했다. 1511년 사드 왕조가 라바트를 점령하면서 성장하기 시작했고, 1524년에는 마라케시를 점령했다. 1541년 사드 왕조는 아가디르와 사피를 점령했고, 1542년에는 하산 하심이 테투안을 점령했다. 1548년 와타스 왕조 최후의 국왕이 사드 왕조에 포로로 붙잡혔고, 1550년 사드 왕조가 페스를 정복하면서 와타스 왕조는 완전히 멸망했다.
3. 역대 통치자
3. 1. 와지르
아부 자카리야 야흐야 알와타시는 1420년부터 1448년까지 와타스 왕조의 와지르였다. 알리 이븐 유수프는 1448년부터 1458년까지 와지르를 맡았다. 1458년부터 1459년까지는 야흐야 이븐 아비 자카리야 야흐야가 와지르였다.3. 2. 술탄
아부 아브드 알라 알셰이크 무함마드 이븐 야흐야가 1472년부터 1504년까지 통치했다. 1504년부터 1526년까지는 아부 아브드 알라 알부르투칼리 무함마드 이븐 무함마드가 통치했다. 아부 알하산 아부 하산 알리 이븐 무함마드는 1526년에 잠시 통치했다.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는 1526년부터 1545년까지, 그리고 1547년부터 1549년까지 두 차례 통치했다. 나시르 앗딘 알카스리 무함마드 이븐 아흐마드는 1545년부터 1547년까지 통치했다. 아부 알 하산 아부 하순 알리 이븐 무함마드는 1554년에 잠시 통치했다.4. 경제
5. 외교 관계
6. 주요 사건 연표
1479년, 알카소바스 조약 체결로 스페인이 와타스 술탄국을 포르투갈의 영향권으로 인정하였다. 1485년에는 스페인과 조약을 체결하여 와타스 술탄국은 그라나다 왕국을 돕지 않고, 스페인은 알보란해에서 모로코 선박을 접수하지 않기로 합의하였다. 1488년 포르투갈이 사피를 정복하였다. 1491년, 그라나다 토후국의 무함마드 13세 (엘자갈)이 페스로 피신했으나 붙잡혀 맹인 신세가 되었다. 1492년 스페인에서 무슬림과 유대인이 축출되었다.
1497년 스페인이 멜리야를 점령하였고, 1502년에는 포르투갈이 마자간을, 1505년에는 아가디르를, 1506년에는 모가도르를 점령하였다. 1511년, 사드 왕조가 라바트를 점령하였고, 1524년에는 마라케시를 점령하였다. 1541년 사드 왕조는 아가디르와 사피를 점령하였다. 1542년에는 하산 하심이 테투안을 점령하였다. 1548년, 와타스 왕조 최후의 국왕이 사드 왕조에 포로로 붙잡혔으며, 1550년 사드 왕조가 페스를 정복하였다.
참조
[1]
서적
100 fiches d'histoire moderne
https://books.google[...]
Editions Bréal
[2]
서적
Collier's Encyclopedia: With Bibliography and Index, Volume 17
https://books.google[...]
[3]
서적
A Checklist of Islamic Coins, Second Edition, January 1998, Santa Rosa, CA
199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