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창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창대군은 1305년에 태어났으며, 아버지 이춘은 원나라의 천호였다. 1342년 이춘이 사망하기 전 천호직을 이자흥에게 물려주려 했으나, 측실 조씨는 완창대군에게 넘겨주길 원했다. 이로 인해 이자흥과 조씨 부인 사이에 분쟁이 있었고, 이자흥은 원나라에 가서 천호직을 물려받았으나 2개월 만에 사망했다. 완창대군은 조선 도조와 경순왕후 박씨의 아들이며, 환조대왕 이자춘 등 여러 형제자매가 있었다. 배우자는 한양 조씨 조숙의 딸이며, 이교주와 운성군 이종룡을 아들로 두었고, 영성대군 이천계를 양자로 삼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05년 출생 - 부다시리 카툰
원나라 황후 부다시리 카툰은 문종의 황후로서 남편 사후 섭정을 맡아 정치에 관여했으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폐위 후 사망했다. - 1305년 출생 - 아부 사이드 (일 칸국)
아부 사이드는 일 칸국의 9대 칸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권신 추반의 섭정을 받다가 친정을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려 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일 칸국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 조선 도조의 자녀 - 완원대군
완원대군 이자흥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조부인 도조의 아들이자 환조 이자춘의 형제로, 여러 부인에게서 개흥군 이원, 개령군 이지, 개원군 이매, 동하군 이억천 등의 자손을 두었으며, 특히 개령군 이지는 조선 개국 후 영돈녕부사를 역임했다. - 조선 도조의 자녀 - 환조 (조선)
환조 이자춘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로, 원나라 쌍성총관부의 천호를 지내다 고려 공민왕의 반원 정책에 따라 고려에 귀순하여 동북면 영토 수복에 기여했으며, 사후 환왕, 환조 연무성환대왕으로 추존되었다. - 원나라의 관료 - 방신우
방신우는 고려 말 원나라에서 몽골식 이름 망쿠다이로 활동하며 평장정사까지 오른 관리로서, 충선왕 옹호와 고려의 국익을 위한 활동을 펼치다 원나라에서 사망 후 고려에 안장되었다. - 원나라의 관료 - 염제신
염제신은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원나라 관료 생활 후 고려로 돌아와 기철 일파 숙청과 홍건적 격퇴에 공을 세워 문하시중에 올랐으며, 공민왕의 후궁 신비 염씨의 아버지로서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완창대군 | |
---|---|
기본 정보 | |
휘 | 이자흥 |
한자 | 李子興 |
로마자 표기 | I Jaheung |
자 | 성첨 |
한자 (자) | 聖瞻 |
로마자 표기 (자) | Seongcheom |
호 | 취헌 |
한자 (호) | 翠軒 |
로마자 표기 (호) | Chwiheon |
시호 | 정간 |
한자 (시호) | 貞簡 |
로마자 표기 (시호) | Jeonggan |
몽골 이름 | 탑사불화 |
한자 (몽골 이름) | 塔思不花 |
로마자 표기 (몽골 이름) | Tapsabulhwa |
출생 | 1305년 |
사망 | 1371년 이전 |
묘소 | 귀주동, 함흥 |
신분 | |
작위 | 조선 완창대군 (추증)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이춘 |
어머니 | 문주 박씨 |
배우자 | 한양 조씨 |
자녀 (생) | 이교주, 이종룡, 이천계 |
자녀 (양) | 이성계 |
관력 | |
관직 | 좌윤, 천호, 병조판서, 영종정경 |
2. 생애
1305년(고려 충렬왕 31년)에 태어났다. 아버지 이춘은 원나라의 천호였다. 1342년(고려 충혜왕 복위 3년) 7월에 아버지 이춘이 죽기 직전에 이자흥에게 천호직을 물려주려고 했다. 그러나 측실 조씨는 자신이 낳은 완창대군(완자부카)나 나하이에게 넘겨주길 바랬다. 그 일로 이자흥과 조씨 부인은 다투었고, 이자흥은 원나라에 직접 가서 자신이 적장자임을 밝히고, 천호를 물려받았다. 그러나 겨우 2달인 9월에 사망했다.
2. 1. 천호직 계승 분쟁
1305년(고려 충렬왕 31년)에 태어났다. 아버지 이춘은 원나라의 천호였다. 1342년(고려 충혜왕 복위 3년) 7월에 아버지 이춘이 죽기 직전에 이자흥에게 천호직을 물려주려고 했다. 그러나 측실 조씨는 자신이 낳은 완자부카(완창대군)나 나하이에게 넘겨주길 바랬다. 그 일로 이자흥과 조씨 부인은 다투었고, 이자흥은 원나라에 직접 가서 자신이 적장자임을 밝히고, 천호를 물려받았다. 그러나 겨우 2달인 9월에 사망했다.3. 가계
아버지 | 조선 도조 |
---|---|
어머니 | 경순왕후 박씨 |
계모 | 한양 조씨 조양기(趙良琪)의 딸 조씨 부인 |
처 | 한양 조씨 조숙(趙淑)의 딸 |
아들 | 이교주(李咬住) |
아들 | 운성군 이종룡(雲城君 李從龍) |
양자 | 영성대군(永城大君) 이천계(李天桂, 1333~1392) - 환조의 삼남 |
동생 | 환조대왕 이자춘 |
동생 | 완원대군 이자선 |
동생 | 완천대군 이평 |
동생 | 완성대군 이종 |
동생 | 문혜공주 - 대장군 문인영에게 하가 |
동생 | 문숙공주 - 다루가치 김마분에게 하가 |
동생 | 문의공주 - 허중에게 하가 |
이복동생 | 이완자불화 |
이복동생 | 이나해 |
3. 1. 부모
완창대군의 아버지는 조선 도조이며, 어머니는 경순왕후 박씨이다. 환조대왕 이자춘, 완원대군 이자선, 완천대군 이평, 완성대군 이종, 문혜공주, 문숙공주, 문의공주는 모두 완창대군의 동생들이다. 문혜공주는 대장군 문인영에게, 문숙공주는 다루가치 김마분에게, 문의공주는 허중에게 각각 하가하였다. 완창대군의 계모는 조양기의 딸 조씨 부인으로, 이복동생으로는 이완자불화와 이나해가 있다.3. 2. 형제자매
조선 도조와 경순왕후 박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으로는 환조대왕 이자춘, 완원대군 이자선, 완천대군 이평, 완성대군 이종이 있다. 또한 문혜공주, 문숙공주, 문의공주도 동생이다. 문혜공주는 대장군 문인영에게, 문숙공주는 다루가치 김마분에게, 문의공주는 허중에게 각각 하가하였다. 계모는 조양기의 딸 조씨 부인으로, 이복동생은 이완자불화와 이나해이다.3. 3. 배우자 및 자녀
참조
[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8-04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8-04
[3]
서적
璿源寳鑑, Vol.1
https://books.google[...]
Qiming Society
1989
[4]
서적
서울 2천년사. 16: 조선시대 서울의 사회변화
https://books.google[...]
Seoul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2014-12-20
[5]
서적
璿源寳鑑, Vol.1
https://books.google[...]
Qiming Society
1989
[6]
웹사이트
영종정경(領宗正卿)
http://encykorea.aks[...]
2021-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