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양 조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양 조씨는 고려 시대 조지수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조지수는 덕원부 용진현에 세거하며 고려 시대에 벼슬을 지냈으며, 그의 후손들은 고려 말 쌍성총관부를 무너뜨리는 데 기여했다. 한양 조씨는 조선 시대에 분파되었으며, 주요 본관은 서울특별시의 옛 지명인 한양이다. 한양 조씨는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대한민국에 33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양 조씨 - 조명균
    조명균은 대한민국 공무원으로, 통일부 교류협력국 국장, 개성공단사업지원단 단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비서관 등을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제39대 통일부 장관을 지냈다.
  • 한양 조씨 - 조지훈
    조지훈은 1939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국문학자로, 박목월, 박두진과 함께 청록파 시인으로 불리며 자연을 소재로 민족 정서를 노래했고, 해방 후에는 교육자, 학자, 문화운동가로 활동하며 민족 문화 발전에 헌신했다.
한양 조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양 조씨의 본관인 한양의 위치
한양 조씨의 본관인 한양의 위치
한양 조씨
한자 표기漢陽趙氏
로마자 표기Hanyang Jo ssi
관향서울특별시
시조조지수(趙之壽)
집성촌경기도 연천군
함경남도 북청군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면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생면
경기도 시흥시
인구 통계
2015년 인구332,580명
주요 인물
인물조휘
조양기
조인옥
조소생
조온
조광조
조경
조수삼
조병옥
조병화
조지훈
조종호
조세형
조윤형
조순형
조근해
조성욱
조성태
조진형
조길형
조태열
조명균
조준희
웹사이트
웹사이트한양조씨정통대종회

2. 역사

한양 조씨(漢陽 趙氏)는 서울특별시의 옛 지명인 한양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조지수(趙之壽)는 고려 시대 인물이다.

조선 건국 이후, 조돈의 증손들은 조선 태조의 처남을 비롯하여 조선 개국 공신으로 활약하였다. 조인벽은 사도도지휘사, 조인경(仁瓊)은 검찬성, 조인규는 검한성을 지냈다. 조인옥(仁沃)은 조선 개국공신으로 이조판서를 지내고 태조묘에 배향되었다. 조선 개국공신 조온(溫)은 찬성사, 좌명공신 조연(趙涓)은 우의정, 조사(趙師)는 첨지중추원사를 지냈다.

한양은 백제 근초고왕 때 한산으로 불렸다가 고구려 광개토대왕 때 점령당했다. 이후 신라 진흥왕 때 신주, 한산주 등으로 불리다가 신라 경덕왕 때 한주, 한양군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양주목, 남경, 한양부 등으로 불렸고, 조선 태조 때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한성부로 개칭되었다. 1910년 경성부로 바뀌었다가 1945년 서울시, 1949년 서울특별시로 승격되었다.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조지수(趙之壽)는 덕원부(德源府) 용진현(龍津縣 : 현 함경남도 문천시, 원산시 일대)에 대대로 살아온 토착 사족(士族)의 후예로 고려 시대에 조순대부 첨의중서사(朝順大夫 僉議中書事)를 지냈다.

1258년(고종 45년) 조지수의 아들 조휘(趙暉)는 군사를 일으켜 동북면병마사 신집평 등을 죽이고 화주(和州) 이북의 땅을 들어 몽골에 투항하였고, 그 공으로 초대 쌍성총관이 되어 대대로 세습했다.

1356년(공민왕 5년) 조휘의 증손이자 조양기(趙良琪)의 손자인 조소생(趙小生)이 4대째 쌍성총관으로 있었는데, 조양기의 아들이자 조소생의 숙부인 조돈(趙暾)이 공민왕의 명을 받은 동북면병마사 유인우(柳仁雨)에게 협조하여 쌍성총관부를 무너뜨리고 고려가 철령 이북의 옛 땅을 되찾는 데 공을 세웠다.

2. 2. 조선 시대

조지수(趙之壽)의 아들 조휘(趙暉)는 1258년(고종 45년) 군사를 일으켜 동북면병마사 신집평 등을 죽이고 화주(和州) 이북의 땅을 들어 몽골에 투항하여 초대 쌍성총관이 되었고, 이후 대대로 세습했다.

1356년(공민왕 5년) 조휘의 증손이자 조양기(趙良琪)의 손자인 조소생(趙小生)이 4대째 쌍성총관으로 있을 때, 조양기의 아들이자 조소생의 숙부인 조돈(趙暾)이 공민왕의 명을 받은 동북면병마사 유인우(柳仁雨)에게 협조하여 쌍성총관부를 무너뜨리고 고려가 철령 이북의 옛 땅을 되찾는 데 공을 세웠다.

조양기(趙良琪)는 쌍성총관 겸 부원수를 지냈으며, 그의 아들 조돈(趙暾)은 원나라에 협조하였던 조상들의 과거사를 청산하고 고려에 귀의한 이후 고려의 최고 벼슬인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올랐다. 조돈의 증손들은 조선 태조의 처남을 비롯하여 조선 개국 공신으로 활약하였다. 조인벽은 사도도지휘사(四道都指揮使), 조인경(仁瓊)은 검찬성을 지냈고, 셋째 조인규(趙仁珪)는 검한성을 지냈다. 넷째 조인옥(仁沃)은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이조판서를 지내고 태조묘에 배향되었다. 조선 개국공신인 조온(溫)은 찬성사를, 좌명공신인 조연(趙涓)은 우의정을, 조사(趙師)는 첨지중추원사를 지냈다.

정암(靜菴) 조광조는 개혁 정치가로 특히 유명하다. 한양조씨 최초의 족보인 갑신단권보(甲申單卷譜)를 편수한 문절공(文節公) 조원기(元紀)와 두 번째 족보인 신묘삼권보(辛卯三卷譜)의 서문을 쓴 문간공(文簡公) 조경(絅)은 청백리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義兵將)인 백기당(白旗堂) 조웅(熊), 산서공(山西公) 조경남(慶男) 등이 있다.

2. 3. 현대

현대에는 시인이자 교육자인 조병화, 조지훈, 독립운동가 조병옥과 그의 아들들인 국회의원 조윤형, 조순형, 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과 주일대사를 지낸 조세형, 헌법재판관을 지낸 조승형, 국방부장관을 지낸 조성태, 제22대 공군참모총장 조근해, 국문학자 조동일, 역사학자 조동걸, 통일부 장관 조명균, 학교법인 우암학원 설립자 우암 조용기, 기업인이면서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조준희 등이 있다.

3. 본관

한양(漢陽)은 서울특별시의 옛 지명이다. 371년(백제 근초고왕 26년) 백제가 점령하여 한산이라 하였다. 392년(고구려 광개토대왕 2)에 고구려가 점령했고, 475년(장수왕 63)에는 북한산주를 설치하였다.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553년(신라 진흥왕 14) 신주(新州)로 개칭하였다가 557년(진흥왕 18) 9주 중 한산주(漢山州)에 속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한주(漢州)라 개칭하면서 한양군(漢陽郡)으로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양주목(楊州牧)으로 승격되었고, 1067년(문종 21)에는 남경(南京)이 되었다가 1308년(충렬왕 34) 한양부(漢陽府)로 개칭하였다. 1393년(태조 3) 이성계가 한양으로 천도하고 이듬해 한성부(漢城府)로 개칭하였다. 1910년에는 경성부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45년에 서울시로 개편하고, 1949년 서울특별시로 승격되었다.

4. 분파

분파명시조
한풍군파(漢豊君派)(琓)
도제공파(都制公派)하(河)
참판공파(參判公派)흥(興)
고사공파(庫使公派)육(育)
총제공파(摠制公派)모(慕)
돈녕공파(敦寧公派)자(慈)
공안공파(恭安公派)혜(惠)
병참공파(兵參公派)련(憐)
현령공파(縣令公派)맹발(孟發)
현감공파(縣監公派)중발(仲發)
사정공파(司正公派)근(瑾)
파서공파(坡西公派)순생(順生)
봉례공파(奉禮公派)관생(觀生)
사직공파(司直公派)효생(孝生)
정랑공파(正郞公派)덕생(德生)
호의공파(戶議公派)욱생(旭生)
현감공파(縣監公派)서(瑞)
참의공파(參議公派)숙생(肅生)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충서(冲諝)


5. 집성촌

지역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
함경남도 북청군 덕성면 일원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돈산리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유포리·삼봉리
충청북도 청주시 강내면 연정리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자개리
충청남도 공주시 월미동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면 상신기리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가좌리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내동리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오포리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남면 견불리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남면 포매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노곡1리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도곡리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만세교리


6. 항렬자

한양 조씨 항렬표
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
종(鍾)口원(元)병(炳)口행(行)성(誠)口희(熙)경(慶)口신(新)정(廷)口규(葵)학(學)口서(書)연(演)口경(卿)진(震)口범(範)년(年)口동(東)중(重)口필(弼)기(璣)口하(夏)



주실 조씨 항렬표
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
병(秉)口용(容)口기(基)口석(錫)口영(泳)동(東)口렬(烈)口균(均)口현(鉉)口심(瀋)


7.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관계인물(한양 조씨)
태조동복 누나 정화공주의 부마용원부원군 조인벽
태종후궁의정궁주
정종서자 장천군의 사위조순
태종서자 후령군의 계비동양군부인 조씨
세종친조카 원천군의 계비군부인 조씨
중종서녀 효정옹주의 부마조의정
중종서손자 오강군의 비군부인 조씨
완창대군조숙의 딸


8. 인구

한양 조씨의 인구는 1985년 조사에서 64,881가구 273,408명이었다. 2000년 조사에서는 95,206가구 307,746명으로 증가하였고, 2015년에는 332,580명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호적상 한양 조씨로 등록된 인구를 모두 합한 것으로, 조돈의 후손이 아닌 인구도 포함되어 있다. 한양조씨정통대종회에서 발간한 족보에는 사망자를 포함하여 167,676명이 등재되어 있다.

한양 조씨 인구 변화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64,881273,408명
2000년95,206307,746명
2015년(해당 없음)332,580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