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은 1572년 프랑스 디종에서 태어나 1641년 선종한 로마 가톨릭 성녀이다. 20세에 결혼하여 6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남편과 사별한 후,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영적 지도를 받아 건강 문제 등으로 수도회 입회를 거절당한 여성들을 위해 성모 마리아 방문 수녀회를 설립했다. 그녀는 1751년 시복되었으며, 1767년 시성되었고, 잊혀진 사람들, 과부, 자녀와 헤어진 부모의 수호성인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클레멘스 13세가 시성한 성인 - 코페르티노의 요셉
코페르티노의 요셉은 17세기 이탈리아의 콘벤투알 프란체스코회 수사로 미사 중 공중 부양 일화로 유명하며, 종교적 엑스터시, 종교 재판, 금욕적인 생활, 사회적 약자를 위한 헌신, 그리고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어 여러 분야의 수호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17세기 기독교 성인 - 빈첸시오 드 폴
빈첸시오 드 폴은 프랑스의 가톨릭 사제이자 자선가로서, 가난한 이들을 위한 헌신적인 봉사로 '자선 사업의 아버지'로 불리며, 라자르회와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의 자비 수녀회를 창립하여 사회복지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고,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7세기 기독교 성인 - 요한 베르크만스
요한 베르크만스는 1599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예수회 수련생으로 활동하며 철학을 공부했고, 1621년 사망 후 복자,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전 세계에 그를 기념하는 학교, 성당, 기관 등이 세워졌다. -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수녀 - 프랑스의 잔
프랑스의 잔은 프랑스의 공주이자 성녀로, 정치적 목적으로 루이 12세와 결혼했으나 이혼 후 수녀회를 설립했으며 사후 시성되었다. -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수녀 - 엘로이즈
엘로이즈는 12세기 프랑스의 학자이자 수녀원장으로, 피에르 아벨라르와의 비극적인 사랑과 서신 교환, 그리고 중세 시대 여성의 지적 활동에 대한 독특한 관점으로 유명하며, 수녀원장으로서 여성의 권리와 교육에 대한 사상을 펼쳐 후대에 영감을 주었다.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녀 |
이름 | 잔 프랑수아즈 드 샹탈 |
존칭 접미사 | V.H.M. |
출생일 | 1572년 1월 28일 |
사망일 | 1641년 12월 13일 |
기념일 | 8월 12일 |
공경 대상 |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
출생지 | 디종, 부르고뉴, 프랑스 |
사망지 | 물랭, 프랑스 |
칭호 | 설립자 |
시복일 | 1751년 11월 21일 |
시복 장소 | 로마 |
시복자 | 교황 베네딕토 14세 |
시성일 | 1767년 7월 16일 |
시성 장소 | 로마 |
시성자 | 교황 클레멘스 13세 |
상징 | 은 십자가 목걸이가 달린 검은색 수도복 |
수호 | 잊혀진 사람들 시댁 문제 부모의 상실 자녀와 떨어진 부모 미망인 |
주요 성지 | 안시, 사보이아 |
기타 정보 | |
프랑스어 이름 | Jeanne Françoise de Chantal |
2. 생애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은 프랑스 디종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성장했다. 1592년 크리스토프 드 라뷔탕 남작과 결혼했으나, 1601년 남편이 불의의 사고로 사망하면서 젊은 나이에 과부가 되었다. 1604년 제네바의 주교였던 프란치스코 드 살레시오를 만나 그의 영적 지도를 받았다.
1610년 프란치스코 드 살레시오와 함께 성모 방문 수녀회를 안시에 창립했다. 이 수녀회는 건강이 좋지 않거나 나이가 많아 다른 수도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은 여성들을 위한 곳이었다. 수녀회는 설립 초기부터 대외 활동을 하는 이례적인 모습을 보였고, 이에 대한 비판도 있었지만, 요안나 프란치스카는 "저는 아픈 사람들을 사랑합니다."라는 말로 자신의 신념을 밝혔다.
성모 방문 수녀회는 프란치스코 드 살레시오가 사망할 당시 13개, 요안나 프란치스카가 1641년 물랭에서 사망할 당시에는 86개의 수도원으로 확장되었다. 요안나 프란치스카는 안시 수도원에 있는 프란치스코 드 살레시오 무덤 옆에 안장되었다.
2. 1. 출생과 성장
요안나 프란치스카는 1572년 1월 28일 프랑스 동부 디종에서 귀족 가문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3] 아버지는 부르고뉴 의회의 왕당파 의장이었던 베니그네 프레미요였고, 어머니는 마가렛 드 베르비세였다. 그녀의 아버지의 삼촌은 발데쇼 수도원의 수도원장이었다.[3] 그녀의 오빠인 앙드레는 부르주 대교구의 대주교(1602-1621)가 되었다.18개월 때 어머니를 여의었다.[4] 아버지가 그녀의 교육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아름다움과 세련됨을 갖춘 여성으로 성장했다.[4]
2. 2. 결혼과 남편의 죽음
1592년 20세의 나이로 크리스토프 드 샹탈 남작과 결혼하여 두 명의 구혼자를 거절하였다. 처음 두 자녀는 출생 직후 사망하였고, 언니 마르그리트가 사망하자 언니의 세 어린 자녀를 부르빌리로 데려와 돌보았다. 이후 아들 하나와 딸 셋을 낳았다.[5] 남편 샹탈 남작은 종종 국왕을 섬기기 위해 집을 비웠는데, 샹탈은 어려운 시아버지뿐만 아니라 남편의 영지를 훌륭하게 관리하고 어려운 이웃들에게 구호품과 간호를 제공하여 명성을 얻었다.[5]1601년 남편은 우연한 사냥 사고로 사망하였다. 28세에 네 자녀를 둔 미망인이 된 샹탈은 정결 서약을 했다.[5] 이후 영지를 정리하고 아버지의 요청에 따라 디종에서 한동안 아버지, 자녀들과 함께 머물렀다. 얼마 후 시아버지로부터 몬텔롱에 있는 그의 성에서 함께 살라는 편지를 받고 1602년 말 무렵 부르빌리를 정리하고 몬텔롱으로 이사했다.
2. 3. 프란치스코 드 살레시오와의 만남
1604년, 요안나 프란치스카의 아버지는 그녀를 디종으로 초대하여 제네바의 주교였던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가 생트 샤펠에서 사순절 설교를 듣게 했다.[6] 요안나 프란치스카는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강론을 듣고 큰 감명을 받아 그를 찾아가 영적 지도를 받았다.[6] 그들은 가까운 친구가 되었고, 프란치스코 드 살레시오는 그녀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6] 그는 "...특히 영적 완성을 향하는 길에서 영혼을 방해하는 의심, 서두름, 정신적 불안을 피하도록 명했다."[3]2. 4. 성모 방문 수녀회 설립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의 도움을 받아 건강이 좋지 않거나 나이 제한 때문에 수도회 입회를 거절당한 여성들을 위해 성모 마리아 방문 수녀회를 조직하였다. 사람들이 이러한 결정을 비판하자 요안나 프란치스카는 “여러분은 제가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저는 아픈 사람들을 제 자신처럼 사랑합니다. 저는 그들의 편입니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7]
성모 방문 수녀회는 1610년 6월 6일 성 삼위일체 대축일에 안시에서 정식으로 설립되었다.[5] 안시 호수에 마련된 작은 집에서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건강이 좋지 않거나 나이가 많아 다른 수도회에서 거부당한 여성들을 받아들였다.[5]
초기 성모 방문 수녀회는 대부분의 여성 수도자들이 엄격한 금욕 생활을 하며 은둔 생활을 했던 것과는 달리, 대외 활동을 한다는 점에서 이례적이었다. 리옹에 두 번째 수녀원이 설립된 후, 활동적인 사역에 종사하는 여성들에 대한 반대가 제기되자 프란치스코 드 살은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을 따르는 폐쇄적인 공동체로 만들 수밖에 없었다.[4]
요안나 프란치스카의 성덕과 훌륭한 관리 능력에 대한 명성은 많은 귀족 여성들의 방문과 기부로 이어졌다. 드 살이 사망할 당시 이 수도회는 13개의 수도원을, 샹탈이 69세의 나이로 물랭의 방문 수녀원에서 사망하기 전에는 86개의 수도원을 가지고 있었다. 빈센트 드 폴은 드 살의 죽음 이후 그녀의 영적 지도자로 봉사했다.[8]
2. 5. 수녀회 확장과 선종
성모 마리아 방문 수녀회는 1610년 6월 6일 성 삼위일체 대축일에 안시에서 정식으로 설립되었다.[5]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은 이전에 자신의 재산을 자녀들에게 넘겨주었기 때문에 수녀회의 상황은 다소 열악했다. 이 수도회는 건강이 좋지 않거나 나이가 많아 다른 수도회에서 거부당한 여성들을 받아들였다.새로운 수도회는 처음 8년 동안 대부분의 여성 수도자들이 엄격한 금욕 생활을 하며 은둔 생활을 했던 것과는 달리, 대외 활동을 한다는 점에서 이례적이었다. 두 번째 수녀원은 리옹에 설립되었다. 활동적인 사역에 종사하는 여성들에 대한 일반적인 반대가 제기되자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이를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을 따르는 폐쇄적인 공동체로 만들 수밖에 없었다. 그는 그들을 위해 그의 저서인 ''하느님 사랑에 관한 논문''을 썼다.[4]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은 건강이 좋지 않거나 나이가 많은 여성들을 받아들인다는 비판을 받자 "무엇을 하라는 거요? 나는 아픈 사람들을 좋아합니다. 그들 편입니다."라고 말하며 유명해졌다.[7]
그녀의 성덕과 훌륭한 관리 능력에 대한 명성은 많은 귀족 여성들의 방문과 기부로 이어졌다.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가 사망할 당시 이 수도회는 13개의 수도원을 가지고 있었고, 샹탈이 69세의 나이로 물랭의 방문 수녀원에서 사망하기 전에는 86개의 수도원을 가지고 있었다. 빈센트 드 폴은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죽음 이후 그녀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 그녀가 가장 좋아했던 신심은 예수 성심과 마리아 성심에 관한 것이었다.[8]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은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옆 안시 수도원에 묻혔다.[5] 그녀가 시성된 1767년까지 이 수도회는 164개의 수도원을 가지고 있었다.
3. 시성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은 1751년 11월 21일 교황 베네딕토 14세에 의해 시복되었으며, 1767년 7월 16일 교황 클레멘스 13세에 의해 시성되었다.[6]
성 잔느 프란시스의 축일은 시성된 지 2년 후인 1769년에 로마 일반 전례력에 포함되었으나, 1969년 전례력 개정으로 12월 12일로 변경되었다. 이는 그녀가 1641년 12월 13일 성 루치아 축일에 사망한 날짜와 더 가깝게 하기 위함이었다.[9] 그러나 2001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12월 12일을 과달루페의 성모 기념일로 지정하면서,[10] 성 잔느 프란시스의 기념일은 다시 8월 12일로 옮겨졌다.[11]
2022년, 잔느 프란시스 드 샹탈은 성공회 전례력에 공식적으로 추가되어, 12월 12일에 프란치스코 드 살레스와 함께 축일을 기념한다.[12]
잔느 프란시스 드 샹탈은 잊혀진 사람들, 과부, 자녀와 헤어진 부모의 수호성인으로 불린다.[6]
4. 축일
요안나 프란치스카는 1751년 11월 21일 교황 베네딕토 14세에 의해 시복되었으며, 1767년 7월 16일 교황 클레멘스 13세에 의해 시성되었다.[6] 원래 가톨릭 전례력에서 그녀의 축일은 12월 12일이었지만, 2001년 12월 18일 교황청 경신성사성의 교령에 따라 8월 12일로 변경되었다. 그 이유는 1999년 3월 2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과달루페의 성모 기념일을 12월 12일로 지정했기 때문에 전례적인 기념에 어려움이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1769년 그녀가 시성된 지 2년 후 로마 일반 전례력에 성 잔느 프란시스의 축일이 포함되었으며, 축일은 8월 21일로 정해졌다. 1969년 개정된 전례력에서는 그녀의 축일이 12월 12일로 옮겨졌는데, 이는 그녀가 1641년 12월 13일, 성 루치아 축일에 사망한 날짜와 더 가깝게 하기 위함이었다.[9] 2001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2월 12일에 과달루페의 성모 기념일을 로마 일반 전례력에 포함시켰다.[10] 그 결과, 성 잔느 프란시스의 기념일은 8월 12일로 옮겨졌다.[11]
2022년, 잔느 프란시스 드 샹탈은 성공회 전례력에 공식적으로 추가되었으며, 12월 12일에 프란치스코 드 살레스와 함께 축일을 기념한다.[12]
5. 수호성인
6. 유산
성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은 프란치스코 드 살레시오와 함께 영적 지침에 관한 서한집을 출간하였다.[1] 앙리 브레몽은 1912년에 성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에 대한 책을 출간하였는데, 이 책은 1913년에 금서 목록에 올랐다.[2]
참조
[1]
웹사이트
St Jane Frances de Chantal: a saint to inspire women keen to enter religious life
http://catholicheral[...]
2018-08-13
[2]
웹사이트
St. Jane Frances de Chantal
https://www.catholic[...]
Catholic Online
2018-08-13
[3]
서적
The Life of St. Jane Frances Fremyot de Chantal
Burns and Oates
1872
[4]
뉴스
St. Jane Frances de Chantal
https://www.francisc[...]
Franciscan Media
[5]
서적
St. Jane Frances de Chantal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3-02-02
[6]
문서
Jane Frances de Chantal
http://saintsresourc[...]
Saints Resources, RCL Benziger
[7]
웹사이트
Saint Jane Frances de Chantal
http://www.thebestca[...]
[8]
웹사이트
Santa Juana Chantal
http://www.piercedhe[...]
2017-04-01
[9]
문서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10]
문서
Decree 2492/01/L of 18 December 2001 of the Congregation for Divine Worship and the Discipline of the Sacraments
[11]
웹사이트
Newsletter of the USCCB Committee on Divine Worship
http://www.usccb.org[...]
2009-05
[12]
웹사이트
General Convention Virtual Binder
https://web.archive.[...]
2022-07-22
[13]
문서
Letters of Spiritual Direction
Paulist Press
1988
[14]
간행물
Henri Brémond: Poetics as Mystagogy
https://www.jstor.or[...]
1946-06
[15]
서적
Index des livres interdits. Index librorum prohibitorum 1600-1966
https://books.google[...]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