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욕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욕계는 불교에서 중생이 윤회를 통해 거치는 여섯 가지 세계를 의미한다. 육도는 천상도, 아수라도, 인간도, 축생도, 아귀도, 지옥도로 구성되며, 각 세계는 특정 업(業)에 의해 결정된다. 천상도는 쾌락, 인간도는 애착과 욕망, 아수라도는 질투, 축생도는 어리석음, 아귀도는 소유욕, 지옥도는 증오심에 기반한다. 윤회도는 이러한 여섯 세계를 그림으로 표현하며, 죽음의 방식이 다음 생을 나타낸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또한, 수행을 통해 육도의 업적을 정화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욕계 - 마라 파피야스
    마라 파피야스는 불교에서 깨달음을 방해하는 번뇌의 화신이며, 탐욕, 증오, 망상 등 불선한 감정의 화신인 번뇌마, 죽음으로서의 사마, 오온마, 업마와 함께 오마를 구성한다.
  • 불교 우주론 - 사천왕
    사천왕은 불교에서 수미산의 네 방위를 지키는 제석천의 부하인 지국천왕, 증장천왕, 광목천왕, 다문천왕으로 구성된 불법 수호신이다.
  • 불교 우주론 - 로카
    로카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인도 종교에서 우주 또는 세계의 영역을 의미하며, 각 종교는 로카의 개념을 통해 고유한 우주론과 윤회 사상을 설명한다.
  • 명수 6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명수 6 - 육분의
    육분의는 존 해들리와 토마스 고드프리가 개발한 천체의 고도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 도구로, 넓은 시야와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며, 특히 해군에서 백업 항해 도구로 사용된다.
욕계
불교적 관점
의미욕계(欲界)는 불교 우주론에서 욕망에 의해 지배받는 세계를 의미한다.
특징식탐, 수면욕, 재물욕, 성욕, 명예욕과 같은 다양한 욕망이 강하게 나타나는 세계이다.
해당 영역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욕계천(대부분의 천상)을 포함한다.
윤회이 세계에 속한 존재들은 욕망에 얽매여 끊임없이 윤회한다.
구성 요소
지옥죄를 지은 자들이 고통받는 세계
아귀굶주림에 시달리는 영혼들의 세계
축생본능에 따라 살아가는 동물들의 세계
아수라싸움을 좋아하는 존재들의 세계
인간욕망과 이성을 동시에 가진 존재들의 세계
욕계천욕망을 어느 정도 초월한 신들의 세계 (6욕천)
윤회 사상과의 관계
육도 윤회욕계는 육도 윤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중생은 자신의 업(業)에 따라 육도 중 한 곳에서 태어난다.
벗어나는 방법욕망을 극복하고 수행을 통해 욕계를 벗어나 색계나 무색계로 나아갈 수 있다.
관련 개념
삼계욕계, 색계, 무색계로 구성된 세계관
행위의 결과로, 윤회의 원동력이 됨
해탈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
기타
도교와의 비교도교의 육도윤회 사상과 유사한 점이 있다. (도교의 생사관)
관련 경전능엄경 (능엄경 내용)

2. 육도(六道)의 구성

불교에서 욕계의 육도(六道)는 천인(데바), 아수라 (아수라), 인간 (마누샤), 축생 (티르야요니), 아귀 (프레타), 지옥 (나라카)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각각 천상도, 아수라도, 인간도, 축생도, 아귀도, 지옥도로 불린다.

각 육도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천상도: 쾌락의 영역이지만 깨달음을 소홀히 하기 쉽다.[1]
  • 인간도: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영역이다.[1]
  • 아수라도: 질투심이 강한 존재들이 태어나는 곳이다.
  • 축생도: 어리석음과 편견으로 인해 동물들이 태어나는 영역이다.[1]
  • 아귀도: 극심한 배고픔과 갈증을 느끼는 존재들이 태어나는 곳이다.
  • 지옥도: 강한 증오심으로 인해 고통받는 존재들이 태어나는 곳이다.

2. 1. 천상도(天上道)

데바 영역(천상의 영역 또는 쾌락의 상태라고도 함)은 쾌락의 영역이다. 이 영역의 단점은 모든 것이 매우 편안하기 때문에, 이 존재들은 깨달음을 향해 노력하는 것을 완전히 소홀히 한다는 것이다. 대신 그들은 이전에 축적한 좋은 업을 점차적으로 소진하며, 따라서 그들은 결국 더 낮은 환생으로 떨어진다.[1]

데바 영역은 때때로 '신의 영역'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그 거주자들이 인간에 비해 가진 힘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은 불멸이 아니라 단지 오래 살 뿐이며, 여전히 업과 윤회의 영향을 받는다.[1]

2. 2. 인간도(人間道)

'''마누샤'''(मनुष्य|Manuṣyasa, 인간 영역이라고도 함)는 애착, 욕망, 의심, 자만심을 기반으로 한다.

불교에서는 이 영역을 인간의 존재 영역으로 본다. 비록 가장 즐거운 영역은 아닐지라도, 인간으로의 윤회는 윤회에서 가능한 모든 윤회 중에서 훨씬 더 유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인간으로의 윤회는 현재의 윤회(붓다아라한) 또는 미래의 아나함을 위한 천신 영역에서의 윤회에서 보리(깨달음)를 직접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윤회 영역이기 때문이다. 이는 인간의 윤회가 제공하는 독특한 가능성 때문이다. 상위 영역의 존재들은 단지 자신의 영역의 즐거움을 누리기로 선택하고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것을 게을리하는 반면, 하위 영역의 존재들은 고통과 고뇌를 피하느라 해탈에 대해 생각할 여유가 없다. 인간은 적절한 균형을 가지고 있다. 해탈을 달성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만큼의 고통이 있지만, 삶의 모든 순간을 그것에 소모할 정도로 많지는 않다.

인간으로의 윤회는 올바르게 사용될 때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인간은 깨달음을 향해 노력하기보다는 물질적인 추구에 평생을 낭비하며, 따라서 그것들을 버리기보다는 유익하지 않은 감정, 생각 및 행동을 강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인간의 삶 이후 즉시 다른 인간으로 태어나거나 상위 영역으로 올라가는 대신, 하위 윤회 영역으로 내려가는 경우가 거의 항상 발생한다.

동물 영역과 같은 하위 영역에서는 다시 인간으로 윤회를 얻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공덕을 쌓는 것이 매우 느리고 어려운 과정이므로, 다시 기회를 얻기까지 무수한 삶이 걸릴 수 있다.

2. 3. 아수라도(阿修羅道)

'''아수라도'''(질투하는 신의 영역이라고도 함)는 아수라(반신)의 영역이다. 아수라들은 과거 생에서 이기적인 질투, 시기심, 불성실함, 투쟁, 싸움 또는 세상에 대한 합리화에 근거한 행동으로 인해 이 영역에 태어난다. 인간의 모습으로는 선한 의도를 가졌지만,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것과 같은 나쁜 행동을 했을 수 있다. 다른 영역의 아수라 중 일부는 완전히 악의적이며(예: 부패자 마라), 때로는 악마로 번역되기도 한다. 이러한 악한 아수라는 라크샤사스라고도 불린다.

아수라는 인간보다 훨씬 더 즐거운 삶을 산다고 전해지지만, 동물들이 인간을 볼 수 있는 것처럼 데바를 질투한다.

2. 4. 축생도(畜生道)

'''축생도'''(畜生道)는 전생 또는 여러 생에서 길러진 어리석음과 편견의 강한 정신 상태를 기반으로 한다.[1]

불교에서는 이 영역이 지구상의 비인간 동물이 존재하는 영역이라고 믿는다. 인간과 동물은 별개의 존재 영역에 살지만, 수직적 우주론에서 서로 매우 가깝기 때문에 서로를 볼 수 있다. 마치 천상도(데바)아수라가 별개의 영역에 있음에도 서로를 볼 수 있는 것과 같다.[1]

2. 5. 아귀도(餓鬼道)

'''아귀도'''는 전생이나 여러 생에서 강한 소유욕과 욕망을 바탕으로 환생하는 곳이다.

이 영역의 유정은 "아귀"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끊임없이 극심한 배고픔과 갈증을 느끼지만,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티베트 버전의 윤회도에서 이 존재들은 좁은 목과 큰 배를 가지고 그려진다. 이것은 그들의 욕망이 그들을 괴롭히지만, 그들 스스로를 완전히 만족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2. 6. 지옥도(地獄道)

'''나락도'''(''니라야도'' 또는 '''지옥도'''라고도 함)는 전생 또는 여러 전생에서 쌓인 강한 증오심에 기반한 윤회이다. 나락의 유정들은 그들의 부정적인 업보가 소멸될 때까지 그곳에 머물며, 그 시점에 다른 윤회로 환생한다.

3. 윤회도(輪廻道)

윤회도 또는 "삶의 수레바퀴"는 인도-티베트 전통에서 자주 사용되는 대중적인 교육 도구이다. 윤회도는 이러한 영역들과 이러한 윤회적 환생을 야기하는 메커니즘을 묘사하는 일종의 다이어그램이다. 이 묘사에서 천신의 영역은 맨 위에 표시되고, 시계 방향으로 아수라, 동물, 나락, 아귀, 인간의 영역이 뒤따른다. 자세히 살펴보면 부처가 이 모든 영역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중생의 죽음과 윤회

대승 불교와 금강승 불교에서는 중생이 죽을 때 보이는 방식이 다시 태어날 세상을 나타낸다는 전통을 반영하는 몇몇 이야기가 있다.[9][10] 흔히 알려진 이야기로, 《팔식규구보주》(八識規矩補註)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성자로 다시 태어나는 자는 머리 꼭대기에서 체온이 마지막까지 남아있고, 천으로 다시 태어나는 자는 눈에서,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는 자는 심장에서, 아귀로 다시 태어나는 자는 배에서, 동물로 다시 태어나는 자는 무릎에서, 지옥으로 다시 태어나는 자는 발바닥에서 체온이 사라진다." 티베트 불교 경전인 티베트 사자의 서는 이 세상에 적합한 경험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5. 수행에서의 육도

텐진 왕걀 린포체와 쵸걀 남카이 노르부 린포체는 "여섯 로카 수행(Practice of the Six Lokas)"을 가르치는 문헌을 발표했는데, 이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환생으로 이어지는 업적(業跡)을 정화"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12] 여기서 여섯 로카는 바즈라야나의 주요 여섯 차크라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eam Glossary :: Search http://www.berzinarc[...]
[2] 웹사이트 道教生死观及其与佛教的关系 http://www.guoxue.co[...]
[3] 문서 zh:s:太上說轉輪五道宿命因緣經
[4] 웹사이트 Öî×Ó http://www.guoxue.co[...]
[5] 웹사이트 62 四月十七日十殿轉輪王 https://web.archive.[...] 2009-11-01
[6] 웹사이트 City of 10,000 Buddhas - The Shurangama Sutra http://www.cttbusa.o[...]
[7] 웹사이트 足球外围开户-足球外围规则攻略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Lecture 17: Sherman Lee's History of Far Eastern Art (Indonesia and Cambodja) http://www.public.ia[...] Iowa State University 2008-08-17
[9] 웹사이트 第五章 死亡、死后与出生---《生与死——佛教轮回说》--莲花山居士网 http://www.lianhua33[...]
[10] 웹사이트 ¾¹x®½ÃØ"P¦ò±Ðªº¥ÍRÃöÃh http://ccbs.ntu.edu.[...]
[11] 문서 Taisho Tripitaka
[12] 서적 Healing with Form, Energy, and Light Snow Lion Publication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