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용두산신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두산신사는 1679년 부산 용두산에 건립된 일본 신사이다. 조선 시대 초량 왜관 설치와 함께 건립되어, 개항 이후 용두산 신사로 개칭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정식 신사로 지정되어 용두산공원 내로 이전되었으며, 아마테라스 등을 제신으로 모셨다. 1945년 일본 패전 후 파괴되었으며, 현재는 용두산공원으로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신사 - 경성신사
    경성신사는 일제강점기 서울에 세워진 일본 신사로, 남산대신궁으로 시작하여 경성신사로 개칭되었고 국폐소사로 격상되었으나, 일본 패전 후 폐지되어 현재는 숭의여자대학교가 위치하며, 식민지 지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한국의 신사 - 조선신궁
    조선신궁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식민지배 강화와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건립한 신사로, 천조대신과 메이지 천황을 주신으로 모셨으며, 신사 참배 강요 논쟁과 해방 후 철거, 그리고 건립 과정의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일제의 식민 통치와 한국인들의 저항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일제강점기의 신토 - 경성신사
    경성신사는 일제강점기 서울에 세워진 일본 신사로, 남산대신궁으로 시작하여 경성신사로 개칭되었고 국폐소사로 격상되었으나, 일본 패전 후 폐지되어 현재는 숭의여자대학교가 위치하며, 식민지 지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일제강점기의 신토 - 조선신궁
    조선신궁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식민지배 강화와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건립한 신사로, 천조대신과 메이지 천황을 주신으로 모셨으며, 신사 참배 강요 논쟁과 해방 후 철거, 그리고 건립 과정의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일제의 식민 통치와 한국인들의 저항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부산광역시의 건축물 - 허심청
    허심청은 1991년 농심그룹이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개장한 대형 온천 시설로, 동래 온천 지역의 온천수를 활용한 다양한 온천탕과 부대시설을 갖춘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부산광역시의 건축물 - 구덕운동장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구덕운동장은 주경기장, 야구장, 실내체육관, 씨름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스포츠 경기장 종합 단지로, 과거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현재 부산 아이파크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과거 관중 압사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용두산신사
지도 정보
좌표35.1008, 129.0325
기본 정보
종교신토
신앙오모노누시, 곤피라 공겐, 구니타마 오카미,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신사 이름용두산 신사
로마자 표기Ryūtōsan Jinja
간지龍頭山神社
가나りゅうとうさんじんじゃ
상세 정보
창건 연도1678년
폐지 연도1945년
위치조선 경상남도 부산부 변천정 (현재의 부산)
제례일10월 16일
국폐소사
1930년경의 용두산 신사
1930년경의 용두산 신사

2. 역사

1678년 조선이 초량 왜관을 설치하면서 일본인들은 거류지에 여러 신사를 세웠다. 용두산과 용미산에는 금도비라신사(金刀比羅神社, ja), 변천신사(辨天神社, ja), 옥수신사(玉垂神社, ja), 도하신사(滔荷神社, ja), 조비내신사(朝比奈神社, ja) 등이 있었다. 금도비라신사는 항해의 신을, 변천신사는 재물의 신을 모셨다. 옥수신사는 나중에 용미산신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개항 이후 부산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이 신사를 다시 짓기 시작했고, 1899년 7월 용두산 신사로 이름을 바꾸었으며,[4] 주변의 다른 신사들을 통합하였다. 1915년 일본 법률에 의해 정식 신사가 되었다.

2. 1. 조선 시대

1678년 조선 초량 왜관 설치와 함께 일본인들은 거류지에 여러 신사를 설립하였다. 당시 용두산과 그에 부속된 용미산에는 금도비라신사(金刀比羅神社, ja), 변천신사(辨天神社, ja), 옥수신사(玉垂神社, ja), 도하신사(滔荷神社, ja), 조비내신사(朝比奈神社, ja)가 있었다. 특히 금도비라신사는 항해의 신인 금도비라를 모시며 상업선들의 안전을 기원하였으며, 변천(본래 변재천)은 재물을 관장하는 신이었다. 옥수신사는 이후 조비내신사 등을 합하여 용미산신사로 개칭되었다.[4]

2. 2. 일제강점기

1915년 일본 법률에 의해 정식 신사가 되었다. 1916년 일제가 용두산공원을 대대적으로 조성하면서 용두산 최정상부(현 부산 타워 위치)로 이전되었다. 신사 아래에 조성된 넓은 광장은 여러 행사와 모임 장소가 되었다.[4] 일제강점기 제신은 아마테라스, 구니타마(國魂) 등이었다.

1932년 용미산신사도 동쪽에 이설하여 함께 놓았다.

1936년 경성 신사와 함께 국폐소사로 격상되었다.

2. 3. 광복 이후

1945년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용두산신사는 지위를 상실하였으나, 일본으로 귀국하는 일본인들의 집결지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 17일 오후에 일어난 방화 사건으로 완전히 파괴되었다.[4] 부속 신사들 역시 광복 이후 흔적을 찾기 힘들다. 현재 부지를 포함한 용두산 일대는 용두산 공원이 되었다.

3. 신사 구조 및 제신

1678년 조선이 초량 왜관을 설치하면서 일본인들은 거류지에 여러 신사를 설립하였다. 용두산과 그 부속 용미산에는 금도비라신사(金刀比羅神社|고토히라일본어), 변천신사(辨天神社|벤자이텐일본어), 옥수신사(玉垂神社|다마다레일본어), 도하신사(滔荷神社|이나리일본어), 조비내신사(朝比奈神社|아사히나일본어) 등이 있었다. 금도비라신사는 항해의 신 금도비라를, 변천신사는 재물을 관장하는 변재천을 모셨다. 옥수신사는 이후 용미산신사로 개칭되었다.

1899년 용두산 신사로 개칭 후, 변천신사 등 인근 신사들이 통합되었다.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일본 법률에 의해 정식 신사가 되었고, 1916년 용두산공원 조성과 함께 용두산 최정상부(현 부산 타워 위치)로 이전되었다. 일제시대 제신은 아마테라스, 구니타마 등이었다. 1932년 용미산신사도 동쪽에 이설되었다.

3. 1. 초기 신사

1678년 조선 시대 초량 왜관이 설치되면서 일본인들은 거류지에 여러 신사를 설립하였다. 당시 용두산과 그 부속 용미산에는 금도비라신사(金刀比羅神社; 金刀比羅神社|고토히라일본어), 변천신사(辨天神社; 辨天神社|벤자이텐일본어), 옥수신사(玉垂神社; 玉垂神社|다마다레일본어), 도하신사(滔荷神社; 滔荷神社|이나리일본어), 조비내신사(朝比奈神社; 朝比奈神社|아사히나일본어)가 있었다. 금도비라신사는 항해의 신인 금도비라를 모시며 상업선들의 안전을 기원하였고, 변천(본래 변재천)은 재물을 관장하는 신이었다. 옥수신사는 이후 조비내신사 등을 합하여 용미산신사로 개칭되었다.[4]

개항 이후 부산 거주 일본인들에 의해 재건 작업이 이루어져 1899년 7월 용두산 신사로 개칭되었으며, 곧 변천신사 등 인근의 신사들을 통합하여 부속에 두었다.[4]

3. 2. 통합 이후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일본 제국의 법률에 의해 정식 신사가 되었으며, 1916년 일제가 용두산공원을 대대적으로 조성하면서 용두산의 최정상부(현 부산 타워 위치)로 옮겨졌다. 또한 신사 아래에 조성된 넓은 광장은 여러 행사와 모임이 열리는 장소가 되었다.[4] 일제시대에 들어 제신은 아마테라스, 구니타마 등으로 변경되었다.

1932년 용미산신사도 동쪽에 이설하여 함께 놓았다.

1945년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한 후 용두산 신사는 파괴되었다. 부지를 포함한 용두산 일대는 용두산 공원이 되었다.

4. 용두산 신사와 관련된 논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지시사항에 맞게 수정된 위키텍스트를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서적 Overseas Shinto Shrines: Religion, Secularity and the Japanese Empire https://www.amazon.c[...] Bloomsbury Academic 2022-10-06
[2] 학술지 Shintō in Colonial Korea: A Broadening Narrative of Imperial Era Shintō https://www.academia[...]
[3] 학술지 Shinto Deities That Crossed the Sea: Japan's" Overseas Shrines," 1868 to 1945. http://nirc.nanzan-u[...] 2016-01-31
[4] 웹사이트 부산역사문화대전 - 용두산 신사 http://busan.grandc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