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고 데스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고 데스테는 페라라 후작 니콜로 3세의 사생아로 태어났으며, 니콜로 3세의 후계자로 여겨졌다. 새어머니 파리시나 말라테스타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것이 발각되어 처형당했다. 그의 비극적인 이야기는 여러 작가와 음악가에게 영감을 주어, 소설, 시, 오페라 등의 예술 작품으로 재탄생했다. 우고의 사후에는 동생 레오넬로 데스테가 아버지의 뒤를 이었고, 또 다른 동생 보르소 데스테 역시 페라라를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05년 출생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1405년 출생 - 교황 비오 2세
    교황 비오 2세는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의 이름으로 1458년부터 1464년까지 재임한 210대 교황으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십자군 원정을 추진하고 학자 및 작가로 활동했으며, 코르시냐노를 피엔차로 재개발하여 도시 계획을 시행했다.
  • 1425년 사망 - 바실리 1세
    바실리 1세는 드미트리 돈스코이의 아들로, 1389년부터 1425년까지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으로 재임하며 주변 지역 합병과 리투아니아와의 동맹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고 킵차크 칸국의 침입에 대비했으며, 봉건적 토지 소유 확대와 모스크바 최초의 기계식 시계 제작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425년 사망 - 이종무
    이종무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태종을 도와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세종 원년에 삼군도체찰사로서 대마도 정벌을 지휘했으며, 사후 양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 페라라 출신 -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지롤라모 사보나롤라는 1452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도미니크 수도사이자 종교 개혁가로,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정치적, 종교적 개혁을 시도했으나 교황과 대립하여 파문당하고 화형에 처해졌다.
  • 페라라 출신 -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는 17세기 초 건반 악기 음악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토카타, 칸초나, 리체르카레, 변주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우고 데스테
기본 정보
이름우고 데스테
원어 이름Ugo d'Este
출생일1405년
사망일1425년5월 21일
가문에스테 가문
가계
아버지니콜로 3세 데스테
어머니스텔라 트로메이

2. 어린 시절

우고 데스테는 페라라 후작 니콜로 3세의 사생아로 태어났지만, 장남이었기 때문에 아버지의 뒤를 이을 후계자로 여겨졌다.[7][1]

니콜로 3세는 우고의 어머니와는 결혼하지 않았고, 1414년[8](영어판 위키백과에는 1418년[2])에 파리시나 말라테스타와 재혼했다. 우고는 처음에는 자신과 나이가 비슷한 새어머니를 쌀쌀맞게 대했다.[8](한국어판)/냉대받았다.[2]

3. 잘못된 만남

1424년, 우고는 새어머니 파리시나와 여행하던 중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고, 페라라로 돌아온 후에도 관계를 지속했다.[9][10] 다른 기록에 따르면, 1423년 흑사병을 피해 포사달베로 성으로 피신했을 때 두 사람의 관계가 시작되었다고도 한다.[11]

하녀가 이 사실을 니콜로 3세에게 밀고했고, 니콜로 3세는 두 사람을 감시한 후 성에 가두고 참수형을 선고했다.[12]

4. 예술 작품에 미친 영향

우고와 파리시나의 비극적인 이야기는 여러 작가와 음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작가 마테오 반델로는 '우고와 파르시나'라는 소설을 썼다.[5] 에드워드 기번은 그의 저서 잡공사(한국어판)/잡문집(영어판)에서 이 이야기를 언급했다.[5] 조지 바이런은 1816년에 '파르시나'라는 시를 썼다.[5] 펠리체 로마니는 조지 바이런의 시를 바탕으로 대본을 썼고, 가에타노 도니체티는 이를 바탕으로 1833년에 오페라 '파리시나'를 작곡했다.[5] 피에트로 마스카니가브리엘레 단눈치오가 조지 바이런의 시를 각색한 비극시를 바탕으로 1912년 오페라 '파리시나'를 작곡했다.[5] 그 외에도 토마스 기리발디 (1878년)의 오페라와 안토니오 솜마의 비극 등이 있다.[5] 스페인 극작가 로페 데 베가는 마테오 반델로의 소설에서 영감을 받아 비극 ''El castigo sin venganza''(복수 없는 처벌, 초판 1631)를 썼다.[5]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bper.it/g[...] 2011-05-14
[2] 웹사이트 Fatti, miracoli e leggende di Ferrara antica http://www.parente.f[...] 2017-04-25
[3] 웹사이트 Parisina and the Playing Cards http://trionfi.com/0[...] 2017-04-25
[4] 웹사이트 Comune di Rimini - la storia - Donne di Rimini - Amore e morte alla corte dei Malatesti http://www.comune.ri[...] 2012-12-15
[5] 논문 Lope de Vega y las ''Historias trágicas exemplares'' de Matteo Bandello
[6] 웹사이트 Lionello d'Este http://www.storiaviv[...] 2007-03-12
[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bper.it/g[...] 2011-05-14
[8] URL http://www.parente.f[...]
[9] URL http://www.parente.f[...]
[10] URL http://trionfi.com/0[...]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omune.ri[...] 2012-12-15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omune.ri[...] 2012-12-15
[1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toriaviv[...] 2016-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