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라니보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라니보르크는 1576년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2세의 후원으로 티코 브라헤가 벤 섬에 건설한 천문대이다. 플랑드르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유럽 최초의 맞춤형 천문대로 망원경 없이 정밀한 관측 기기를 갖추었다. 천문학, 기상학, 점성술, 연금술 연구가 이루어졌고, 티코 브라헤는 여기서 1577년 대혜성을 관측하고 티코 시스템을 발표했다. 1597년 브라헤가 섬을 떠난 후 파괴되었으나, 20세기 후반에 재건되어 현재는 티코 브라헤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천문대 - 룬데토른
    룬데토른은 17세기에 덴마크 코펜하겐에 건설된 원형 천문대로, 천문학 연구를 위해 건립되었으며 현재는 전망대, 전시 공간 등으로 활용된다.
  • 튀코 브라헤 - 루돌프 표
    루돌프 표는 요하네스 케플러가 티코 브라헤의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한 천문표로, 1,005개의 별과 행성의 위치, 세계 지도를 포함하며 수성 및 금성의 태양면 통과 예측과 중국 역법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 튀코 브라헤 - 티코 (충돌구)
    티코는 약 1억 800만 년 전에 형성된 달의 젊은 충돌구로, 선명한 구조와 1,500km에 달하는 광선계를 특징으로 하며, 서베이어 7호 임무의 목표가 되기도 했다.
우라니보르크

2. 역사



우라니보르크는 천문학의 무사인 우라니아에게 헌정되어 "우라니아의 성"이라는 뜻으로 명명되었다. 이곳은 근대 유럽 최초의 맞춤형 천문대였으며, 주된 도구로 망원경을 사용하지 않고 지어진 마지막 천문대이기도 했다. 초석은 1576년 8월 8일에 놓였다.[1]

사암석회암으로 틀을 잡고 벽돌로 지어진 이 건물은 1576년부터 1580년까지 건설되었다. 플랑드르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덴마크 건축가 한스 판 엠덴과 조각가 요한 그레고르 판 데어 샤르트가 건축을 감독했다.[2] 우라니보르크의 본관은 정사각형으로 한 변이 약 15미터였으며, 주로 붉은 벽돌로 지어졌다. 본관 북쪽과 남쪽에 각각 반원형 탑이 하나씩 있어, 건물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모습을 띠었다.[3]

건물 평면도와 정면, 주변 정원 배치는 모두 격자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티코는 이 비율을 신중하게 지정했다. 이러한 비율은 우라니보르크가 점성학적 부적으로 기능하여, 태양과 목성의 영향을 증가시켜 거주자 건강에 도움이 되도록 의도되었을 수 있다.[3] 1층에는 브라헤와 그의 가족이 사용하는 방, 방문 천문학자들을 위한 방 3개가 있었다. 북쪽 탑에는 부엌, 남쪽 탑에는 도서관이 있었다. 도서관과 브라헤의 개인 연구실에는 "Non haberi sed esse"라는 격언이 새겨져 있었는데, 이는 라틴어로 "존재하는 것이 보이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의미이다.[14]

2층에는 왕족을 위한 큰 방과 크기가 같은 방 2개가 있었다.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 (후에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가 1590년 3월 20일에 방문했다.[4] 이 층 탑에는 주요 천문 관측 기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3층에는 학생들을 위한 작은 방 8개로 나뉜 다락방이 있었다. 넓은 지하실에는 연금술 실험실과 음식, 소금, 연료 저장 공간이 있었다.[5] 우라니보르크에는 소란스러운 세입자나 손님을 처리하기 위한 작은 감옥 방도 있었다.[6]

이 천문대에는 북-남쪽 벽에 부착된 대형 벽면 사분원이 있어, 별이 자오선을 통과할 때 고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브라헤의 1598년 저서 ''천문학 기계론''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우라니보르크를 둘러싼 대형 벽은 한 변이 75미터, 높이가 5.5미터였지만, 실제로 건설되지는 않았고, 대신 높은 흙 언덕이 만들어졌다. 그 언덕은 오늘날까지 남아 있으며, 천문대의 유일한 잔존물이다. 우라니보르크는 정확히 중앙에 위치해 있었고, 언덕 벽과 건물 사이에는 넓은 파르테르 정원이 있었다. 정원은 장식적인 역할 외에도 브라헤의 약학 실험을 위한 허브를 공급했다. 게이트하우스에는 티코가 인쇄 작업장과 섬의 감옥을 통합했다.[5]

벽 너머에는 양식 연못 시스템이 있었으며, 넘쳐흐르는 물은 제지 공장 동력으로 사용되었다.[7] 1590년 스코틀랜드 제임스 6세는 제지 및 곡물 공장 건축가와 노동자들에게 금화를 하사했다.[8]

우라니보르크 건설은 망원경 개발 전 지어진 마지막 천문대 중 하나이자, 연구 목적으로 정부 기관에서 완전히 자금을 지원받은 최초의 천문대 중 하나라는 점에서 독특하다.[9] 건설에는 당시 국가 예산의 약 1%가 소요된 것으로 추산된다.[9]

건설 직후 타워에 장착된 기기가 바람에 쉽게 움직인다는 것이 밝혀졌고, 브라헤는 더 적합한 관측 장소인 스체르네보르("별의 성")를 건설했다.[9]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4세로부터 재정 지원을 잃은 후, 브라헤는 1597년에 벤 섬을 떠났다. 새 국왕은 브라헤를 좋아하지 않았고, 궁정에서의 인기 및 자금 지원이 줄어들면서, 우라니보르크와 스체르네보르는 브라헤 사후 얼마 지나지 않아 파괴되었다. 1950년대에 스체르네보르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천문대가 복원되었다.[10]

2. 1. 건설 배경

덴마크의 왕 프레데리크 2세는 티코 브라헤의 천문학 연구를 적극적으로 후원하였고, 브라헤는 이러한 후원에 힘입어 1576년부터 1580년까지 우라니보르크를 건설하였다. 이 건물은 천문학의 무사인 우라니아에게 헌정된 것으로, "우라니아의 성"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 초석은 1576년 8월 8일에 놓였다.[1]

우라니보르크는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 근대 유럽에서 최초로 특별 주문 제작된 천문대였다. 이는 16세기 유럽의 천문학 발전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우라니보르크 건설에는 덴마크 국가 예산의 약 1%가 투입될 정도로 막대한 비용이 들어갔다.[9] 이는 당시 덴마크 왕실이 천문학 연구에 얼마나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한국의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조선 세종 시대에도 천문학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혼천의, 앙부일구와 같은 천문 관측 기구들이 제작되었고, 칠정산과 같은 역법이 편찬되었다. 우라니보르크 건설은 이러한 조선의 천문학 발전과 비교해 볼 때, 유럽의 천문학 연구가 어떤 수준이었는지를 짐작하게 해준다.

2. 2. 건설 과정 (1576년 ~ 1580년)

브라헤의 저서 ''천문학 기계론(Astronomiae instauratae mechanica)'' (1598)에 실린 벽면 사분원 판화


1576년 8월 8일 초석이 놓였다.[1] 사암석회암으로 틀을 잡고 벽돌로 지어진 이 건물은 1576년부터 1580년까지 건설되었다. 플랑드르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덴마크 건축가 한스 판 엠덴과 조각가 요한 그레고르 판 데어 샤르트가 건축을 감독했다.[2]

우라니보르크의 본관은 정사각형으로 한 변이 약 15미터였으며, 주로 붉은 벽돌로 지어졌다. 본관 북쪽과 남쪽에 각각 반원형 탑이 하나씩 있어, 건물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모습을 띠었다.[3] 건물 평면도와 정면, 주변 정원 배치는 모두 격자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티코는 이 비율을 신중하게 지정했다. 이러한 비율은 우라니보르크가 점성학적 부적으로 기능하여, 태양과 목성의 영향을 증가시켜 거주자 건강에 도움이 되도록 의도되었을 수 있다.[3]

1층에는 방문 천문학자들을 위한 방 3개와 브라헤 가족이 사용하는 방 1개가 있었다. 북쪽 탑에는 부엌이, 남쪽 탑에는 도서관이 있었다. 2층에는 큰 방 1개와 작은 방 2개가 있었는데, 큰 방은 왕족용 방이었으며 1590년 3월 20일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 (후에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가 방문했다.[4] 2층 탑에는 주요 천문 관측 기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3층에는 학생들을 위한 작은 방 8개로 나뉜 다락방이 있었다. 넓은 지하실에는 연금술 실험실과 음식, 소금, 연료 저장 공간이 있었다.[5] 또한, 우라니보르크에는 소란스러운 세입자나 손님을 처리하기 위한 작은 감옥 방도 있었다.[6]

이 천문대에는 북-남쪽 벽에 부착된 대형 벽면 사분원이 있어, 별이 자오선을 통과할 때 고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브라헤의 1598년 저서 ''천문학 기계론''에 다른 많은 기기들과 함께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우라니보르크를 둘러싼 대형 벽은 한 변이 75미터, 높이가 5.5미터였지만, 실제로 건설되지는 않았고, 대신 높은 흙 언덕이 만들어졌다. 우라니보르는 정확히 중앙에 위치해 있었고, 언덕 벽과 건물 사이에는 넓은 파르테르 정원이 있었다. 정원은 장식 역할 외에도 브라헤의 약학 실험을 위한 허브를 공급했다. 게이트하우스에는 티코가 인쇄 작업장과 섬의 감옥을 통합했다.[5]

벽 너머 확장된 우라니보르크 주변 기반 시설에는 양식 연못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넘쳐흐르는 물은 제지 공장 동력으로 사용되었다.[7] 1590년 스코틀랜드 제임스 6세는 제지 및 곡물 공장 건축가와 노동자들에게 금화를 하사했다.[8]

우라니보르크 건설은 망원경 개발 전 지어진 마지막 천문대 중 하나이자, 연구 목적으로 정부 기관에서 완전히 자금을 지원받은 최초의 천문대 중 하나라는 점에서 독특하다.[9] 건설에는 당시 국가 예산의 약 1%가 소요된 것으로 추산된다.[9]

2. 3. 운영 시기 (1580년 ~ 1597년)

티코 브라헤는 1576년부터 1580년까지 우라니보르크에서 활발하게 연구 활동을 펼쳤다. 이곳은 천문학, 기상학, 점성술, 연금술 연구를 위한 장소였다. 브라헤는 조수들과 함께 별과 행성의 위치를 정밀하게 관측했으며, 이는 당시 기준으로 10배나 향상된 정확도였다.[15] 1577년 대혜성을 관측하면서 기존 천문 체계의 부정확성을 발견하고, 더 나은 천체 지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1588년에는 지구 중심의 티코 시스템을 발표했다.[16]

우라니보르크에는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후에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를 비롯한[4] 여러 주요 인물들이 방문했다. 마르틴 자일러, 니콜라우스 라이머스 등이 대표적인 방문객이었다.[14] 특히, 제임스 6세는 1590년에 방문하여 우라니보르크의 시설과 연구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4] 그는 제지 및 곡물 공장의 건축가와 노동자들에게 금화를 하사하기도 했다.[8]

브라헤는 연금술 연구도 진행했지만, 그 결과는 공개하지 않았다.[14] 그의 연구는 요하네스 케플러에게 계승되었으며, 케플러는 브라헤의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루돌프 표를 발표했다.[21]

당시 조선의 천문학자들과의 직접적인 교류는 확인되지 않지만, 명나라를 통한 간접적인 교류 가능성은 추론해 볼 수 있다.

1597년, 브라헤는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4세와의 불화로 벤 섬을 떠나게 되었고,[10] 우라니보르크는 이후 파괴되었다.

2. 4. 폐쇄와 파괴 (1597년 이후)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4세가 왕위에 오르면서 브라헤는 재정 지원을 잃었고, 1597년에 벤 섬을 떠났다.[10] 새 국왕은 브라헤를 탐탁지 않게 여겼고, 궁정 내에서 브라헤의 인기와 지원금이 줄어들면서 우라니보르크와 스체르네보르는 브라헤가 죽은 직후 파괴되었다.[10]

스체르네보르는 1950년대에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복원되었으며,[10] 현재는 멀티미디어 쇼를 상영하고 있다.[11] 우라니보르크가 있던 자리에는 브라헤 시절의 정원이 복원되어 있다.[39]

이는 권력 변화에 따라 과학 연구 지원이 중단된 부정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2. 5. 복원 (20세기 이후)

1950년대에 스체르네보르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천문대가 복원되었다.[10] 이 발굴 작업을 통해 원래 우라니보르 구조 일부와 브라헤의 기기를 기상 간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지하 연구 공간인 스티에르네보르크의 구조가 드러났다.[31] 재발견 직후, 원래 장소의 외부 벽이 재건되었다.

1980년대에 원래 우라니보르 부지의 재건을 시작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1985년에는 주변 정원의 복원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16세기 정원을 다시 심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32] 스웨덴 농업 과학 대학교와 란스크로나 문화부에서 식물 유형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식물 재료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를 수행했다.[32]

이후 1992년에는 성벽의 약 4분의 1을 재건하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 재건 계획에는 1580년대와 1590년대의 구조, 식물 재료, 취득 및 형태에 대한 조사를 포함한 진행 중인 작업에 대한 세부 정보가 포함되었다.

새로운 부지에는 나무 울타리로 둘러싸인 침대에 식물과 허브가 심어진 브라헤의 원래 정원의 4분의 1이 복원되어 있다. 과수원 또한 파빌리온 중앙에 배치되었다. 우라니보르크와 스티에르네보르크의 개조된 구조는 이제 티코 브라헤 박물관에 통합되었다.[31] 부지에는 티코 브라헤 시대에 궁정 연구소를 가동했던 폐허가 된 제지 공장과 복제 호수가 있다.[31] 박물관은 스웨덴과 덴마크 모두에서 배로 접근할 수 있다. 스타니보르에서는 현재 멀티미디어 쇼를 제공하고 있다.[39]

3. 구조

현대 항공 사진


우라니보르크는 덴마크 벤 섬에 위치한 천문대이자 연구 시설로, 16세기 덴마크의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가 건설했다. 우라니보르크는 크게 우라니보르와 스체르네보르 두 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1950년대 발굴 작업을 통해 우라니보르크 구조의 일부와 지하 연구 공간인 스체르네보르크의 구조가 드러났다.[31] 1980년대 우라니보르크 부지의 재건이 시작되었으며, 1985년에는 주변 정원을 16세기 모습으로 복원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스웨덴 농업 과학 대학교와 란스크로나 문화부는 식물 재료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식물 유형과 위치를 결정했다.[32] 1992년에는 성벽의 약 4분의 1을 재건하는 계획이 수립되었고, 브라헤의 원래 정원의 4분의 1이 복원되었다. 우라니보르크와 스체르네보르크의 개조된 구조는 현재 티코 브라헤 박물관에 통합되어 있으며, 부지에는 티코 브라헤 시대에 궁정 연구소를 가동했던 폐허가 된 제지 공장과 복제 호수가 있다.[31]

티코 브라헤는 혁신적인 관측 방법과 새로운 기기 제작을 통해 당시 천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25] 그는 우주의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신의 지구-태양 중심 체계 이론을 증명하고자 했다.[26] 이를 위해 다양한 관측 장비를 제작했는데, 대표적인 기기는 다음과 같다.

  • 1576년 놋쇠 방위각 사분원: 이전 모델과 달리 금속과 석조로 제작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1577년 대혜성을 48.8초의 정확도로 관측했다.
  • 1580년 대구(Great Globe): 관측한 별과 행성을 기록하기 위해 놋쇠 판으로 덮인 속이 빈 나무 구체로, 1595년까지 1,000개 이상의 별이 새겨졌다.[28]
  • 1582년 삼각 육분원: 지름이 약 3.2m이며, 한 곳에 고정되어 사용되었다.[27]
  • 1585년 대 적도 혼천의: 행성 및 별의 위치를 측정하고 대기 굴절을 보정할 수 있었으며, 시간이 지나도 측정값이 일관성을 유지했다. 1587년 화성 시차 결정 연구에 사용되었다.[27]




구조물 자체와 기기 설치 또한 혁신적이었다. 금속과 돌로 만들어진 벽면 사분원은 벽에 고정되어 측정 정확도를 높였다. 날씨에 민감한 작은 기기들은 땅의 움푹 들어간 곳에 설치하여 바람으로부터 보호하고 별의 특징을 측정하는 능력을 유지했다. 천문대 탑 상층부의 노출된 기기는 노출로부터 잘 보호되도록 설계되었다.[13]

3. 1. 우라니보르

우라니보르는 천문학의 무사우라니아에게 헌정된 건물로, "우라니아의 성"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원경이 주요 장비로 사용되기 이전 시대에, 근대 유럽에서 최초로 특별 주문 제작된 관측 시설이었다. 1576년 8월 8일에 초석이 놓였다.[33]

우라니보르의 본관은 한 변이 약 15m인 정사각형 모양으로, 주로 적벽돌로 만들어졌다. 건물의 남북에는 반원형 탑이 있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처럼 보인다.

건물과 주변 정원의 계획은 티코 브라헤가 신중하게 지정한 비율에 따라 격자 형태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비율은 천문학의 부적 기능으로서 우라니보르의 역할을 강조하고, 태양과 목성의 영향을 증대시켜 건물 내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려는 의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34]

1층에는 4개의 방이 있었는데, 하나는 브라헤 가문이 사용했고, 나머지 3개는 방문하는 천문학자들을 위한 것이었다. 북쪽 탑에는 부엌, 남쪽 탑에는 도서관이 있었다. 2층에는 큰 방 1개와 작은 방 2개가 있었는데, 큰 방은 왕족을 위한 방이었다. 1590년 3월 20일에는 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6세(훗날 잉글랜드 왕 제임스 1세)가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35]

탑의 2층에는 주요 관측 장비가 보관되어 있었는데, 건물의 외부에 있거나 2층 문을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 나무 기둥으로 지지된 발코니에는 추가 장비가 보관되어 있었고, 건물에서 약간 떨어져 있어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었다. 3층은 로프트(다락방)로, 학생들을 위한 8개의 작은 방으로 나뉘어 있었다. 탑에서는 지붕이 3층 높이에 있었지만, 건물 중앙의 로프트에서 전망대와 비슷한 또 다른 탑이 솟아 있었다. 이 전망대는 3층에서 나선형 계단으로 올라갈 수 있었다.

건물 지하에는 큰 저장실이 있었는데, 한쪽은 연금술 연구실, 다른 쪽은 식량, 소금, 연료 창고로 사용되었다.[36]

남쪽과 북쪽 벽에는 대형 사분원이 설치되어, 자오선을 통과하는 별의 고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사분원을 포함한 관측소의 많은 장비는 티코 브라헤의 저서 ''Astronomiae instauratae mechanica''(1598)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우라니보르는 폭 75m, 높이 5.5m의 큰 벽으로 둘러싸일 계획이었지만, 벽 대신 높은 토루가 만들어졌다. 이 토루는 현재까지 남아 관측소가 있던 장소의 유일한 잔해로 남아 있다. 우라니보르 건물과 토루 사이에는 파르테르 정원이 있었다. 이 정원은 장식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티코 브라헤의 의학 실험에 사용되는 허브를 공급하는 역할도 했다. 현재는 이 장소에서 발견되었거나 티코 브라헤의 저서에 기록된 식물 종을 사용하여 정원이 재건되었다. 출입구에는 티코 브라헤의 자체 인쇄 공방과 섬의 감옥이 있었다.[36]

벽 바깥쪽에는 제지 공장에 동력을 공급하는 양식 연못 등이 있었다.[37]

우라니보르 건설에는 당시 덴마크 예산의 약 1%가 투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매우 큰 규모의 프로젝트였다.[38]

3. 2. 스체르네보르

스체르네보르는 우라니보르에 설치된 장비가 바람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설된 지하 관측 시설이다. 기본적인 레이아웃은 우라니보르와 유사하지만, 둘러싸인 면적은 훨씬 작다. 모든 장비는 지하에 설치되었고, 상부는 셔터나 돔으로 덮여 있어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했다.[38]

티코 브라헤는 스체르네보르에서 관측을 진행하면서 우라니보르에서 얻은 자료와 비교하여 데이터의 정확성을 확인했다. 두 관측소에서 별도로 기록을 남기며 연구를 진행했다.[39]

원래 계획에는 우라니보르와 스체르네보르를 지하 터널로 연결하는 방안도 있었으나, 이는 미완성으로 남았다.

1950년대에 고고학적 발굴 조사를 통해 스체르네보르의 유적이 발견되었고, 1985년부터 복원 작업이 시작되었다.[39] 현재 복원된 스체르네보르는 티코 브라헤 박물관의 일부로, 멀티미디어 쇼를 통해 티코 브라헤의 업적을 소개하고 있다.

4. 주요 관측 장비

티코 브라헤는 당대 천문학의 혁신가로서, 우라니보르크와 스체르네보르크에서 관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장비들을 직접 제작하고 사용했다. 그는 우주의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며, 이는 지구-태양 중심 (티코 모형)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었다.[26]

브라헤는 기기들의 크기를 키웠고, 나무 대신 금속과 석재를 사용하여 안정성을 높였다. 대표적인 장비로는 1576년에 제작된 놋쇠 방위각 사분원이 있으며, 1577년 대혜성을 48.8초의 정확도로 관측하는 데 사용되었다.[27] 그는 또한 육분의, 혼천의 외에도 매우 정교한 렌즈와 광학 장비를 사용했으며, 황도 좌표계 대신 적도 좌표계를 활용했다.[27]

브라헤는 관측 장비뿐만 아니라 설치 방식에도 혁신을 도입했다. 금속과 돌로 만들어진 벽면 사분원은 벽에 고정하여 정확도를 높였고, 바람에 민감한 소형 기기들은 땅의 움푹 들어간 곳에 설치하여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별을 측정하는 능력을 유지했다. 천문대 탑 상층부에 노출된 기기는 노출로부터 잘 보호되도록 설계되었다.[13]

4. 1. 사분원



우라니보르크의 남쪽과 북쪽 벽에는 대형 사분원이 설치되어 자오선을 통과할 때 별의 고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사분원을 포함한 관측소의 많은 장비는 티코 브라헤의 저서 ''Astronomiae instauratae mechanica''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36]

4. 2. 육분의

티코 브라헤는 1582년에 삼각 육분원을 제작했다. 이 장치는 지름이 약 3.2m였으며, 이전의 육분원들과는 달리 이동하지 않고 한 곳에 고정되었다.[27]

4. 3. 혼천의



1585년, 브라헤는 행성과 별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대 적도 혼천의를 제작했다. 이 장치는 대기 굴절을 보정할 수 있었고, 시간이 지나도 측정값이 일관성을 유지했다.[27] 1587년, 브라헤는 이 장치를 화성시차 결정을 위한 연구에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이전에도 1582년, 1583년, 1585년에 시도했지만, 적절한 기술 부족으로 실패했다.[30] 과학자들은 브라헤가 당시 널리 사용되던 굴절표의 오류로 인해 의미 있는 결론에 도달할 수 없었다는 것을 사후에 밝혀냈지만, 대 적도 혼천의가 다른 기기들과 함께 측정한 값은 그의 결과와 계산에 전례 없는 정확도를 가져왔다.[30]

4. 4. 대구 (Great Globe)

티코 브라헤는 1580년에 대구(Great Globe)를 제작했다. 이것은 관측한 별과 행성을 기록하기 위해 놋쇠 판으로 덮인 속이 빈 나무 구체였다. 1595년까지 1,000개 이상의 별이 이 구체에 새겨졌는데, 이 중 777개는 브라헤가 우라니보르크에서 활동한 대부분의 기간 동안 새겨졌고, 나머지 223개는 그가 떠나기 직전에 새겨졌다.[28] 브라헤와 그의 조수들은 20년 이상 행성의 움직임을 추적하기도 했다.[29]

4. 5. 기타

티코 브라헤는 천문 관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기들을 제작하고 사용했다. 그는 기기의 크기를 키우고, 안정성을 위해 금속과 석재를 사용했다. 1576년에 제작된 놋쇠 방위각 사분원은 1577년 대혜성을 관측하는 데 사용되었다.[27] 그는 육분원, 혼천의와 같은 기기 외에도 정교한 렌즈와 광학 장비를 사용했으며, 황도 좌표계 대신 적도 좌표계를 활용하여 관측 정확도를 높였다.[27] 1580년에는 대구(Great Globe)를 제작하여 1,000개 이상의 별을 기록했고,[28] 1582년에는 지름 약 3.2미터의 삼각 육분원을 제작했다.[27] 1585년에는 대 적도 혼천의를 제작하여 대기 굴절을 보정하고, 1587년 화성 시차 연구에 활용했다.[27]

5. 연구 활동 및 업적



우라니보르크는 천문학, 기상학, 점성술, 연금술 연구를 위한 장소였다. 티코 브라헤의 조수만 30명이 넘었고,[13] 마르틴 자일러, 니콜라우스 라이머스 등 많은 연구자와 왕족들이 방문했다.[14]

1577년 대혜성 관측, 티코 시스템 구축, 기상학 연구, 점성술 연구, 연금술 연구 등 다양한 연구 활동이 이루어졌다. (각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

1601년 브라헤는 케플러에게 자신의 우주 체계를 기반으로 화성에 대한 루돌프 표를 출판할 것을 촉구했고,[21] 케플러는 코페르니쿠스 지동설을 옹호하며 타원 궤도 개념을 확립했다.[21]

장 피카르는 1671년에 우라니보르크의 폐허를 방문하여 경도와 위도를 기록하고, 대기 굴절 현상을 연구했다.[22]

브라헤는 바람의 영향으로 관측 기기가 쉽게 움직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적합한 관측 장소인 스체르네보르를 건설했다.[9] 스체르네보르의 연구는 우라니보르크의 작업과 병행되었지만, 분리된 기록을 통해 데이터의 정확성을 확인했다.[23]

5. 1. 천문학

1577년 대혜성을 관측하면서 티코 브라헤는 프톨레마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의 천문 체계 모두에서 별의 위치에 부정확성이 있음을 발견했다.[16] 더 나은 천체 지도를 만들기 위해, 우라니보르크에서 수학과 관찰을 병행하여 1588년 자신의 첫 번째 천체 모델인 티코 시스템을 발표했다.[16] 티코 시스템은 지구가 중심에 있고, 달과 태양이 그 주위를 돌며,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이 태양 주위를 도는 형태였다. 가장 바깥쪽 원은 별들이 회전하는 궤도였다.[17] 파울 비티히는 1580년에 우라니보르크를 방문하여 티코 시스템 구축을 도왔다.[18]

브라헤의 관측 데이터는 분각까지 정확했는데, 이는 이전보다 10배나 개선된 것이었다.[15] 브라헤와 그의 조수들이 작성한 천문 지도 제작 연구(별 목록)는 1627년 그의 전 조수이자 동료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공개되었다.[20]

5. 2. 기상학

티코 브라헤는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2세를 위해 기상학을 연구했지만, 자신의 이름을 출판물에 올리지 않았다.[14]

5. 3. 점성술

티코 브라헤는 우라니보르크에서 점성술을 경험적 과학으로 만들고 "실수와 미신"을 제거하고자 했다.[3] 이러한 목표를 위해 브라헤와 그의 조수들은 별, 행성 등의 천체 위치를 이전보다 훨씬 정확하게 기록했다.[3] 당시에는 천문학과 점성술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여겨졌다.[19]

5. 4. 연금술

티코 브라헤는 천문학기상학과 더불어 연금술 연구도 진행했는데, 이 연구는 비밀리에 이루어졌다. 그는 자신의 연구 결과를 공개적으로 발표하는 대신 권력자들에게 선물로 제공했다.[14]

브라헤는 지하 실험실을 운영했는데, 이 실험실은 하루 종일 햇빛이 들어오도록 설계되었고, 추운 날씨에도 연구를 계속할 수 있도록 용광로가 설치되었다.[14]

5. 5. 천문 지도 제작

티코 브라헤는 자신의 발견을 공개적으로 출판하지 않았지만, 권력자들에게 선물로 제공했다.[14] 예를 들어, 브라헤는 당시 저명한 네덜란드 지구 제작자인 아르놀트 반 랑렌과 빌렘 얀스 블라우에게 그와 그의 많은 조수들의 연구 자료를 제공하였다.[20] 브라헤와 그의 조수들이 천문 지도 제작 분야에서 수행한 더 큰 규모의 작업(별 목록의 인쇄본)은 1627년에 그의 전 조수이자 동료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공개되었다.[20]

6. 영향



우라니보르크는 티코 브라헤가 천문학, 기상학, 점성술, 연금술 연구를 위해 설립한 곳이다. 브라헤의 조수만 30명이 넘었고,[13] 마르틴 자일러, 니콜라우스 라이머스 등 많은 연구자와 왕족들이 방문했다.[14] 브라헤의 관측 데이터는 분각까지 정확하여 이전보다 10배나 개선되었다.[15]

티코 브라헤는 자신의 발견을 공개적으로 출판하지는 않았지만, 권력자들에게 선물로 제공하거나 아르놀트 반 랑렌, 빌렘 얀스 블라우와 같은 저명한 지구 제작자들에게 연구 접근을 허용했다.[20] 브라헤와 조수들의 천문 지도 제작 작업은 1627년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공개되었다.[20]

6. 1. 케플러의 법칙

티코 브라헤의 방대한 관측 자료는 요하네스 케플러가 행성 운동 법칙을 발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3] 케플러는 브라헤의 자료를 바탕으로 루돌프 표를 출판하였는데, 이는 코페르니쿠스 지동설 모델을 옹호하고 행성 궤도가 원형이 아닌 타원형이라는 개념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21]

6. 2. 후대 천문학자들에게 영향

장 피카르는 1671년에 우라니보르크의 폐허를 다시 방문하여 경도 선을 측정하였는데, 천문학자들이 자신의 연구를 티코 브라헤의 연구와 비교할 수 있도록 우라니보르크의 경도와 위도를 기록했다.[22] 피카르는 대기 굴절, 즉 대기 때문에 빛이 굴절되는 현상도 연구했다.[13]

6. 3. 과학 연구 방식

티코 브라헤는 1577년 대혜성을 추적하면서 기존 별 위치에 부정확성이 있음을 발견하고, 더 나은 천체 지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우라니보르크에서 수학과 관찰을 결합하여 1588년에 티코 시스템이라는 독자적인 천체 모델을 발표했다.[16] 이 시스템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고 달과 태양이 그 주위를 돌며, 다른 행성들은 태양 주위를 도는 형태였다.[17] 파울 비티히는 1580년에 우라니보르크를 방문하여 티코 시스템 구축을 도왔다.[18]

브라헤는 천문학과 점성술을 연결된 분야로 보았고, 점성술을 경험적 과학으로 만들고자 했다.[3] 그는 전례 없는 정확성으로 별과 행성의 위치를 기록했다.[3] 그는 천문학 및 기상학 연구는 공개했지만, 연금술 연구는 비밀로 유지했다.[14]

브라헤 사후, 요하네스 케플러는 브라헤의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코페르니쿠스 지동설을 옹호하고 타원 궤도 개념을 확립했다.[21]

장 피카르는 1671년 우라니보르크를 방문하여 경도와 위도를 기록하고, 대기 굴절 현상을 연구했다.[22]

건설 직후, 우라니보르크의 장비가 바람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발견되어, 브라헤는 더 작은 지하 관측 시설인 스체르네보르를 건설했다.[9] 스체르네보르의 연구는 우라니보르크의 연구와 병행되었고, 두 관측소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확성을 높였다.[23]

7. 현대의 우라니보르

1985년부터 스타니보르 관측소 복원이 진행되었고, 1950년대에는 고고학적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39] 복원된 스체르네보르와 정원이 복원된 우라니보르 부지는 티코 브라헤 박물관에 통합되었다.[39] 스체르네보르에서는 현재 멀티미디어 쇼를 제공하고 있다.[39]

벽 바깥쪽에는 제지 공장에 동력을 공급하는 양식 연못 등이 복원되었다.[37]

참조

[1] 서적 The Copernican Question: Prognostication, Skepticism, and Celestial Ord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
[2] 웹사이트 UNESCO Astronomy and World Heritage Webportal – Show entity https://www3.astrono[...] 2019-10-04
[3] 논문 Tycho's Talisman: Astrological Magic in the Design of Uraniborg
[4] 간행물
[5] 웹사이트 Uraniborg – Observatory, Laboratory and Castle http://www.tychobrah[...] 2010-08-17
[6] 논문 Being Chandra 2006
[7] 웹사이트 Uraniborg – The Papermill http://www.tychobrah[...] 2010-08-18
[8] 문서 James VI's English Subsidy and Danish Dowry Accounts Woodbridge
[9] 웹사이트 Tycho Brahe's castle Uraniborg and his observatory Stjärneborg http://www.hven.net/[...] 2007-08-08
[10] 웹사이트 Google Map of Uraniborg (and to the south across the road, Stjerneborg) https://maps.google.[...]
[11] 웹사이트 Landskrona stad – the Observatory Stjärneborg https://www.landskro[...]
[12] 웹사이트 Noua orbis terrarum delineatio singulari ratione accommodata meridiano tabb. Rudolphi astronomicarum https://www.loc.gov/[...]
[13] 서적 How Modern Science Came into the World : Four Civilizations, One 17th-Century Breakthrough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0
[14] 논문 Tycho Brahe, Laboratory Design, and the Aim of Science: Reading Plans in Context 1993-07
[15] 서적 The Edge of Objectivity: An Essay in the History of Scientific Idea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논문 Tycho Brahe's Critique of Copernicus and the Copernican System http://nrs.harvard.e[...] 1990-07
[17] 웹사이트 Tycho Brahe – The Tychonic Model of Planetary Motions http://users.clas.uf[...] 2019-10-31
[18] 논문 Henry Savile and the Tychonic World-System 1995
[19] 논문 The Invisibly Integrated Design of Uraniborg: A Look at Some Philosophical Aspects of the Ground Plan of Tycho Brahe's House and Garden, 1576–97 2010
[20] 논문 The Astronomical Ceiling Paintings of the Benedictine Monastery St. Paul Im Lavanttal 2011
[21] 논문 Tycho Brahe as a Literary Figure 1998
[22] 웹사이트 Jean Picard {{!}} French astronomer https://www.britanni[...] 2019-10-18
[23] 논문 Laboratory Design and the Aim of Science: Andreas Libavius versus Tycho Brahe 1986
[24] 논문 Many Facets of a Noble Dane 2000
[25] 논문 Astronomical Instruments and Their Users: Tycho Brahe to William Lassell 1998-07
[26] 웹사이트 Uraniborg {{!}} observatory, Denmark https://www.britanni[...] 2019-10-29
[27] 웹사이트 Tycho Brahe's Observations and Instruments {{!}} High Altitude Observatory https://www2.hao.uca[...] 2019-11-01
[28] 서적 The sleepwalkers : a history of man's changing vision of the Universe https://archive.org/[...]
[29] 서적 The Edge of Objectivity: An Essay in the History of Scientific Idea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논문 Tycho and Kepler: Solid Myth versus Subtle Truth 2005
[31] 논문 Some Summer Suggestions 2011
[32] 논문 Reconstruction of the Planting in Uraniborg, Tycho Brahe's (1546–1601) Renaissance Garden on the Island of Ven 2004-12
[33] 서적 The Copernican Question: Prognostication, Skepticism, and Celestial Ord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07-02
[34] 논문 Tycho's Talisman: Astrological Magic in the Design of Uraniborg
[35] 간행물
[36] 웹사이트 Uraniborg - Observatory, Laboratory and Castle http://www.tychobrah[...] 2010-08-17
[37] 웹사이트 Uraniborg - The Papermill http://www.tychobrah[...] 2010-08-18
[38] 웹사이트 "TYCHO BRAHE'S castle URANIBORG and his observatory STJARNEBORG" http://www.hven.net/[...] 2007-08-08
[39] Google Map Google Map of Uraniborg (and to the south across the road, Stjerneborg) https://map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