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문걸득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문걸득귀는 선비족 우문부의 수령으로, 아버지 우문손닐연의 뒤를 이어 권력을 잡았다. 그는 후조의 석륵의 요청으로 모용외를 공격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모용외의 공격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323년에는 모용외에게 패배하여 포로로 잡히기도 했다. 325년 석륵의 지원을 받아 다시 모용부를 공격했지만, 모용황과 모용인에게 대패하여 도주했다. 327년에는 탁발흘나를 지원하여 하란부를 공격했으나 실패했고, 329년 탁발흘나가 우문부로 망명해 오자 이를 받아들였다. 333년에는 우문일두귀에게 쫓겨나 도주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문선비 - 북주
북주는 우문태가 세운 서위를 기반으로 우문각이 건국하여 북제를 멸망시키고 화북을 통일했으나, 선제의 폭정으로 양견에게 멸망당했으며, 주례에 기반한 관제와 부병제 시행, 선비족 문화 강조 등의 특징을 갖는 남북조 시대 북방 왕조이다. - 우문선비 - 우문태
우문태는 중국 남북조 시대 서위의 실권자이자 북주의 추존 황제로, 하발악 사후 세력을 흡수하여 서위의 실력자가 되었고 효무제 독살 후 문제 옹립, 부병제 확립, 균전제 부활 등 내정 개혁을 통해 북주 건국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사후 태조 문황제로 추존되었다. - 선비 사람 - 단석괴
단석괴는 후한 시대 선비족을 통합하여 강력한 세력을 구축하고 넓은 영역을 지배하며 후한을 위협한 지도자로, 그의 통치는 이후 선비족 발흥의 기반이 되었다. - 선비 사람 - 모용준
모용준은 오호십육국시대 전연의 2대 군주이자 초대 황제로, 아버지 모용황의 뒤를 이어 연왕에 즉위한 후 후조의 혼란을 틈타 중원 진출을 본격화하여 황제를 칭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전진, 동진과 대립했고 수도를 업으로 옮겼다. - 우문씨 - 우문호
우문호는 남북조 시대 서위 및 북주의 권신으로, 우문태의 조카로서 효민제를 옹립하여 북주 건국에 기여했으나 효민제와 명제를 폐위 및 살해하고 무제에 의해 암살당했으며, 폭정으로 비판받지만 북주 국력 신장에 공헌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 우문씨 - 우문술
우문술은 수나라의 장군이자 정치인으로, 수 문제와 수 양제 시대에 활약하며 수 양제의 즉위에 기여했지만, 고구려 원정 실패와 권력 남용, 부패 등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그의 아들들이 양제를 시해하는 사건으로 더욱 비판받았으나, 수나라 건국과 통일에 기여하고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헌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우문걸득귀 | |
---|---|
기본 정보 | |
성 | 우문(宇文) |
이름 | 걸득귀(乞得歸) |
로마자 표기 | U Geoldeukgwi |
시대 | 진 |
민족 | 선비족 |
가계 | |
아버지 | 우문실발퇴 |
아들 | 우문목근 |
2. 생애
327년 12월, 대왕 탁발흘나가 하란부의 수장 하란애두를 토벌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키자, 우문걸득귀도 이에 협력하여 군사를 파견했으나 격퇴당했다.[1]
329년 12월, 탁발흘나가 우문부로 망명해 오자, 이를 맞이했다.[1]
333년 8월, 우문걸득귀는 동부 대인[1] 우문일두귀에게 영토에서 쫓겨났고, 도주 중에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와 권력 승계
우문손닐연(宇文遜昵延)이 모용외(慕容廆)에게 패배해 사망하자 우문걸득귀가 수령이 되었다. 후조(後趙)의 석륵(石勒)의 요청으로 모용외를 공격하였으나 모용외는 모용황(慕容皝)을 파견하여 방어하였다.[1]323년, 모용외가 반대로 우문걸득귀를 공격하였다. 모용외는 배억(裴嶷)을 우부도독(右部都督)으로 삼은 뒤 색두(索頭)를 오른쪽, 아들인 모용인(慕容仁)을 왼쪽에 배치시켰다. 이에 우문걸득귀는 방어에 치중하며 싸우지 않고 형 우문실발퇴(宇文悉跋堆)를 백림(柏林)으로 보내 모용인과 싸우게 하였으나 모용인은 우문실발퇴를 죽였다. 그 뒤 모용외가 우문걸득귀를 공격해 포획하는 데 성공했으며, 우문선비의 중심지를 점령하였다.[1]
2. 2. 모용부와의 갈등과 패배
아버지 우문손닐연이 모용외에게 패배해 사망하자 우문걸득귀가 수령이 되었다. 323년 모용외가 우문걸득귀를 공격했을 때, 모용외는 배억(裴嶷)을 우부도독(右部都督)으로 삼고 색두(索頭)를 오른쪽, 아들 모용인을 왼쪽에 배치시켰다. 우문걸득귀는 방어에 치중하며 형 우문실발퇴(宇文悉跋堆)를 백림(柏林)으로 보내 모용인과 싸우게 하였으나, 모용인은 우문실발퇴를 죽였다. 이후 모용외가 우문걸득귀를 공격해 포획하고 우문선비의 중심지를 점령하였다.[1]2. 2. 1. 후조와의 연합과 모용부 공격
325년 1월, 후조 군주 석륵은 우문걸득귀에게 관직을 주고, 모용부의 대인 모용외를 공격하게 했다.[1] 모용외는 적자 모용황에게 요격 명령을 내리고, 요동상 배의에게 탁발부를 지휘하게 하여 우익에 배치했으며, 정로장군 모용인을 백림으로 보내 좌익에 배치했다. 우문걸득귀는 교락수에 포진하여 요새를 굳게 지키며 출격하지 않았고, 형 우문실발퇴에게 모용인을 공격하게 했다. 그러나 우문실발퇴는 모용인에게 패하여 전사했고, 더 나아가 모용황·모용인의 공세에 우문걸득귀는 대패했다. 우문걸득귀는 밤을 기다려 단기로 도주를 시도했고, 그의 병사들은 모두 사로잡혔다. 모용인·모용황은 우문부의 도성에 침입하여 귀중한 보물들을 모두 빼앗았고, 백만 마리의 가축이 노획되었으며, 수만 명의 백성이 약탈당했다. 우문걸득귀는 기병의 추격을 받았으나, 간신히 도망쳤다.[1]2. 2. 2. 모용외의 반격과 우문부의 몰락
아버지 우문손닐연(宇文遜昵延)이 모용외(慕容廆)에게 패배해 사망하자 수령이 되었으며, 후조(後趙)의 석륵(石勒)의 요청으로 모용외를 공격하였으나 모용외는 모용황(慕容皝)을 파견하여 방어하였다.[1]323년 모용외가 반대로 우문걸득귀를 공격하였는데, 모용외는 배억(裴嶷)을 우부도독(右部都督)으로 삼은 뒤 색두(索頭)를 오른쪽, 아들인 모용인(慕容仁)을 왼쪽에 배치시켰다. 이에 우문걸득귀는 방어에 치중하며 싸우지 않고 형 우문실발퇴(宇文悉跋堆)를 백림(柏林)으로 보내 모용인과 싸우게 하였으나 모용인은 우문실발퇴를 죽였다. 그 뒤 모용외가 우문걸득귀를 공격해 포획하는 데 성공했으며, 우문선비의 중심지를 점령하였다.[1]
325년 1월, 후조 군주 석륵은 우문걸득귀에게 관직을 주고, 모용부의 대인 모용외를 공격하게 했다. 모용외는 적자 모용황에게 요격 명령을 내리고, 요동상 배의에게 탁발부를 지휘하게 하여 우익에 배치했으며, 정로장군 모용인을 백림으로 보내 좌익에 배치했다. 우문걸득귀는 교락수에 포진하여, 요새를 굳게 지키며 출격하지 않았고, 형 우문실발퇴에게 모용인을 공격하게 했다. 그러나 우문실발퇴는 모용인에게 패하여 전사했고, 더 나아가 모용황·모용인의 공세에 우문걸득귀는 대패했다. 우문걸득귀는 밤을 기다려 단기로 도주를 시도했고, 그의 병사들은 모두 사로잡혔다. 모용인·모용황은 우문부의 도성에 침입하여, 귀중한 보물들을 모두 빼앗았고, 백만의 가축이 노획되었으며, 수만 명의 백성이 약탈당했다. 또한, 우문걸득귀는 기병의 추격을 받았으나, 간신히 도망쳤다.[1]
2. 3. 탁발부와의 관계
325년 1월, 후조 군주 석륵은 우문걸득귀에게 관직을 주고, 모용부의 대인 모용외를 공격하게 했다. 모용외는 적자 모용황에게 요격 명령을 내리고, 요동상 배의에게 탁발부를 지휘하게 하여 우익에 배치했으며, 정로장군 모용인을 백림으로 보내 좌익에 배치했다. 우문걸득귀는 교락수에 포진하여, 요새를 굳게 지키며 출격하지 않았고, 형 우문실발퇴에게 모용인을 공격하게 했다. 그러나 우문실발퇴는 모용인에게 패하여 전사했고, 더 나아가 모용황·모용인의 공세에 우문걸득귀는 대패했다. 우문걸득귀는 밤을 기다려 단기로 도주를 시도했고, 그의 병사들은 모두 사로잡혔다. 모용인·모용황은 우문부의 도성에 침입하여 귀중한 보물들을 모두 빼앗았고, 백만의 가축이 노획되었으며, 수만 명의 백성이 약탈당했다.[1] 또한, 우문걸득귀는 기병의 추격을 받았으나 간신히 도망쳤다.327년 12월, 대왕 탁발흘나가 하란부의 수장 하란애두를 토벌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키자, 우문걸득귀도 이에 협력하여 군사를 파견했으나 격퇴당했다.
329년 12월, 탁발흘나가 우문부로 망명해 오자, 이를 맞이했다.
2. 4. 최후
333년 8월, 우문걸득귀는 동부 대인[1] 우문일두귀에게 영토에서 쫓겨났고, 도주 중에 사망했다.3. 일화
325년 이전, 바다에서 큰 거북이 나타나 평곽에서 죽는 일이 있었는데, 이는 우문걸득귀가 패배할 조짐이었다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