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안 우크라이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안 우크라이나는 드니프로 강의 서쪽에 위치한 우크라이나 지역을 지칭하는 역사적 명칭이다. 중세 시대부터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1648년 흐멜니츠키 봉기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러시아 차르국 간의 분할과 통합을 겪었다. 17세기 후반 안드루소보 조약으로 폴란드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18세기에는 코사크 봉기와 폴란드 분할을 거쳐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1917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으나, 우크라이나 내전을 거치며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독립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지리사 - 헝가리 왕국
    헝가리 왕국은 1000년 이슈트반 1세 대관식과 함께 성립되어 1946년까지 존속한 중앙유럽의 왕국으로, 아르파드 왕조를 시작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합스부르크 가문이 왕위를 세습했으며, 중세 시대 중앙유럽 강국이었으나 오스만 제국 침략으로 영토가 분할,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원으로 존속하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영토를 상실, 1946년 공화국 수립으로 왕정이 폐지되었음에도 '헝가리 왕국'이라는 명칭과 국체가 유지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지리사 - 소러시아
    소러시아는 14세기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남서 루스 지역을 지칭하는 교회 용어에서 시작, 지리적 명칭과 러시아 차르국의 행정 구역명으로 사용되었으나, 우크라이나 민족 운동 이후 부정적 의미로 변질되어 현재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역사적 명칭이다.
  • 우크라이나의 근세사 - 리투아니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13세기 중반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국가로, 발트족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흑해 연안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다문화 사회를 이루었고, 폴란드 왕국과 연합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원으로 존속하며 동유럽 여러 국가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우크라이나의 근세사 - 헤트만
    헤트만은 15세기부터 18세기 동유럽에서 사용된 군사 및 행정 지도자 칭호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는 최고 군사 지휘관을, 우크라이나에서는 코사크 사회 지도자를 의미했으나, 시대에 따라 권력 축소 및 폐지, 그리고 잠시 부활하기도 했다.
  • 우크라이나의 역사적 지역 - 노보로시야
    노보로시야는 흑해 북쪽 연안에 위치했던 러시아 제국의 역사적 지역으로, 18세기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2014년 우크라이나 혁명 이후 러시아가 친러시아 분리주의 운동을 지원하며 사용한 용어이다.
  • 우크라이나의 역사적 지역 - 부코비나
    부코비나는 동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에 걸쳐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고 몰다비아 공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루마니아 왕국, 소련 등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루마니아 수체아바주와 우크라이나 체르니우치주에 속한다.
우안 우크라이나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개요
명칭우안 우크라이나
로마자 표기Pravoberezhna Ukrayina
기타 명칭우크라이나 우안
우크라이나 우측 제방
역사적 맥락
위치우크라이나의 역사적 지역
특징드니프로강의 서쪽 (오른쪽) 둑에 위치
역사
주요 시기17세기 중반부터 후반
흐멜니츠키 봉기 이후
분할 통치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오스만 제국 (일부 지역, 포돌리아 포함)
러시아 제국 (1793년 이후)
주요 사건1667년: 안드루소보 조약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귀속
1672년: 부차흐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에 귀속 (포돌리아)
1686년: 영구 평화 조약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재귀속
1793년: 제2차 폴란드 분할로 러시아 제국에 합병
지리
주요 지역키예프 지역
지토미르 지역
빈니차 지역
체르카시 지역
흐멜니츠키 지역
리우네 지역
테르노필 지역
주요 도시
주요 도시키예프
지토미르
빈니차
빌라체르크바
체르카시
흐멜니츠키
리우네
테르노필
인구
민족 구성주로 우크라이나인
역사적 소수 민족폴란드인, 유대인
문화
문화 유산다수의 역사적, 문화적 기념물 존재
관련 항목
관련 지역좌안 우크라이나
슬로보다 우크라이나
자포로제

2. 역사

우안 우크라이나의 역사는 중세 시대부터 시작되어 하자르 카간국, 키예프 루스,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 왕국 등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1]

1648~57년 흐멜니츠키 봉기는 우안 우크라이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바사 왕조 치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였던 이 지역은 보흐단 흐멜니츠키페레야슬라프 조약(1654년)으로 러시아-폴란드 전쟁이 발발, 러시아 차르국과 동맹을 맺게 되었다.[1] 13년간의 전쟁 후, 1667년 안드루소보 휴전으로 러시아는 좌안 우크라이나와 키예프를 병합했다.

오스만 제국의 봉신으로서의 남부 우안 우크라이나 (연두색)


18세기 말 폴란드 분할 이전까지 우안 우크라이나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속해 있었으며, 폴란드 왕국 왕관령의 소폴란드주의 일부로서 키예프와 브라츠와프 두 개의 보이보드십으로 나뉘었다. 1669년 헤트만 페트로 도로셴코는 우안 우크라이나가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도록 하였고,[2] 1672년에는 우안 우크라이나 최남단 포돌리아가 오스만 제국에 의해 침공당했다.

1683년 빈 전투에서 기독교 세력이 승리한 후,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우안 우크라이나는 다시 연방에 반환되었다. 18세기 동안 두 차례의 코사크 봉기가 발생했다. 1793년 제2차 폴란드 분할에서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어[3] 소러시아구베르니야(지방)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 우안 우크라이나는 인구 대부분이 우크라이나인이었지만, 토지는 대부분 폴란드인 또는 폴란드화된 우크라이나 귀족이 소유했다. 많은 마을과 도시는 정착 구역에 속해 상당한 유대인 인구가 있었고, 폴란드어를 사용하는 귀족은 대부분 로마 가톨릭 신자였다. 대다수 농민은 18세기에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 신자가 되었으나, 폴란드 분할 이후 1839년 동방 가톨릭 교회 해체 이전에 정교회로 개종했다. 이후 우안 우크라이나는 키예프, 볼린, 헤르손, 포돌리아 네 개의 주(구베르니야)로 나뉘어 각 주마다 자체 행정부를 두었다.

'우안 우크라이나'라는 명칭은 17세기 후반 사료부터 나타난다. 1667년 안드루소보 조약으로 우크라이나 코사크 국가가 폴란드와 러시아로 분할되면서 키예프를 제외한 드니프로 강 우안의 코사크 국가 영토는 폴란드 지배하에 놓였고, '우안 우크라이나'로 불리게 되었다.

1672년 부차치 조약에 따라 우안 우크라이나는 폴란드, 튀르키예, 코사크 정권 사이에 분할되었으나, 1683년 튀르키예가 제2차 빈 포위에서 패배하면서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우안 우크라이나 전체가 폴란드 지배하에 들어갔다. 18세기 폴란드 정권은 우크라이나 코사크 자치제를 폐지하고 현지 우크라이나인 서민을 탄압하여, 1702년, 1734년, 1750년, 1768년에 우안 우크라이나에서 하이담마크를 중심으로 대규모 반폴란드 봉기가 잇따라 일어났다. 정교회 우크라이나인 보호 명목으로 1789년 제2차 폴란드 분할이 이루어져 우안 우크라이나는 정교회의 러시아 제국 영토가 되었다.

1917년 우안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지만,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이어진 우크라이나 내전 결과 볼셰비키 계열의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영토가 되었다.

1991년 소련에서 독립한 우크라이나가 우안 우크라이나 전 지역을 영유하고 있다.

2. 1. 중세 시대

중세부터 이 지역은 하자르 카간국, 키예프 루스,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 왕국의 일부였다.[1]

2. 2. 코사크 시대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중세 시대부터 이 지역은 하자르 카간국, 키예프 루스,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 왕국의 일부를 형성했다.

우안 우크라이나의 역사는 1648~57년의 흐멜니츠키 봉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지역은 바사 왕조 치하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였으며, 흐멜니츠키의 페레야슬라프 조약 (1654)이 러시아-폴란드 전쟁을 촉발하여 모스크바 동맹과 연결되었다.[1] 13년간의 분쟁 이후, 승리한 러시아 차르국은 1667년 안드루소보 휴전에 따라 좌안 우크라이나와 키예프를 병합했다.

한편, 우안 우크라이나는 18세기 말 폴란드 분할까지 연방에 남아 있었다. 폴란드 왕국 왕관령의 소폴란드주의 일부로서, 키예프와 브라츠와프의 두 보이보드십으로 나뉘었다. 1669년 헤트만 페트로 도로셴코는 우안 우크라이나가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도록 허용했다.[2] 우안 우크라이나의 최남단 포돌리아는 1672년 오스만인에 의해 침공당했다.

1683년 빈 전투에서 기독교 세력이 승리한 후,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에 따라 이 지역은 연방으로 반환되었다. 18세기 동안 두 차례의 코사크 봉기가 일어났다.

"우안 우크라이나"라는 지명은 17세기 후반 이후의 사료에서 발견된다. 1667년의 안드루소보 조약에 의해 우크라이나의 코사크 국가가 폴란드와 러시아 사이에 분할되면서, 키예프를 제외하고 드니프로 강의 우안에 위치한 코사크 국가의 영토는 폴란드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고, "우안 우크라이나"라고 불리게 되었다.

1672년의 부차치 조약에 따라 우안 우크라이나 지역은 폴란드, 터키, 코사크 정권 사이에 분할되었지만, 1683년에 터키가 제2차 빈 포위에 실패하면서, 1699년카를로비츠 조약에 의해 우안 우크라이나 전체가 폴란드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 18세기에 폴란드 정권은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자치제를 폐지하고, 현지 우크라이나인의 서민을 탄압한 결과, 1702년, 1734년, 1750년1768년에 우안 우크라이나에서 하이담마크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반 폴란드 봉기가 잇따랐다.

2. 3. 폴란드 분할과 러시아 제국 통치

중세 시대부터 이 지역은 하자르 카간국, 키예프 루스,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 왕국의 일부를 형성했다.

우안 우크라이나의 역사는 1648~57년의 흐멜니츠키 봉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지역은 바사 왕조 치하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였으며, 흐멜니츠키의 페레야슬라프 조약 (1654)이 러시아-폴란드 전쟁을 촉발하여 모스크바 동맹과 연결되었다.[1] 13년간의 분쟁 이후, 승리한 러시아 차르국은 1667년 안드루소보 휴전에 따라 좌안 우크라이나와 키예프를 병합했다.

한편, 우안 우크라이나는 18세기 말 폴란드 분할까지 연방에 남아 있었다. 폴란드 왕국 왕관령의 소폴란드주의 일부로서, 키예프와 브라츠와프 두 개의 보이보드십으로 나뉘었다. 1669년 헤트만 페트로 도로셴코는 우안 우크라이나가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도록 허용했다.[2] 1672년 오스만인에 의해 우안 우크라이나의 최남단 포돌리아가 침공당했다.

1683년 빈 전투에서 기독교 세력이 승리한 후,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에 따라 이 지역은 연방으로 반환되었다. 18세기 동안 두 차례의 코사크 봉기가 일어났다. 1793년 우안 우크라이나는 제2차 폴란드 분할에서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어[3], 소러시아구베르니야(지방)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에는 우안 우크라이나 인구의 대부분이 우크라이나인이었지만, 토지의 대부분은 폴란드인 또는 폴란드화된 우크라이나 귀족이 소유했다. 많은 마을과 도시는 정착 구역에 속했으며 상당한 유대인 인구를 가지고 있었고, 폴란드어를 사용하는 귀족은 대부분 로마 가톨릭교도였다. 대부분의 농민은 18세기에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가 되었고, 폴란드 분할 이후 1839년 동방 가톨릭 교회의 해체 훨씬 전에 정교로 개종했다. 이후 우안 우크라이나는 키예프, 볼린, 헤르손, 포돌리아의 네 개의 주(구베르니야)로 나뉘었으며, 각 주에는 자체 행정부가 있었다.

2. 4. 20세기 이후

1917년 우안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지만,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이어진 우크라이나 내전 결과 볼셰비키 계열의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영토가 되었다.

1991년 소련에서 독립한 우크라이나가 우안 우크라이나 전 지역을 영유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ładysław IV Vasa; genealogia, heraldyka http://www.poczet.co[...] Poczet.com (Internet Archive) 2014-09-18
[2] 서적 The Ottoman Survey Register of Podolia (ca. 1681) Part I: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3] 서적 Ukraine: A Hi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0
[4] 서적 Ukraine History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