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정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운정역은 1956년 5월 1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전철역이 되었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운정신도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운정시외버스정류장과 인접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경의·중앙선이 지나가며, 이용객은 운정신도시 개발과 함께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주시의 전철역 - 문산역
문산역은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과거 경의선 남측 종착역이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단절의 상징이었으나, 현재는 수도권 전철역으로 운영되며 남북 교류의 중심 역할과 3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문산역과 임진강역을 잇는 셔틀 전동열차가 운행 중이다. - 파주시의 전철역 - 도라산역
도라산역은 경의선 상의 역으로, 남북 철도 연결을 목표로 건설되었으며,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내에 위치해 셔틀 전동열차와 DMZ-TRAIN이 운행되고 주변 관광 코스와 연계되어 유동적으로 운영된다. - 을종위탁발매소 - 도고온천역
도고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선장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 및 이전을 거쳐 2007년 현재의 고가역으로 이전했으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된다. - 을종위탁발매소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 경의선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경의선 - 문산역
문산역은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과거 경의선 남측 종착역이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단절의 상징이었으나, 현재는 수도권 전철역으로 운영되며 남북 교류의 중심 역할과 3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문산역과 임진강역을 잇는 셔틀 전동열차가 운행 중이다.
운정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운정역 |
한자 표기 | 雲井驛 |
로마자 표기 | Unjeongyeok |
역 번호 | K329 |
주소 | 경기도 파주시 운정역길 368 (야당동 299-4) |
개업일 | 1956년 5월 11일 |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관리 주체 | 한국철도공사 |
역 등급 | 배치간이역 (금촌역 관리) |
승강장 | 2면 4선 |
구조 | 지상역 (교상역) |
노선 거리 | 서울 기점 30.4 km |
승차 인원 | 6,158명 (2019년) |
승하차 인원 | 11,931명 (2019년) |
전보 약호 | 없음 |
역 정보 | |
이전 역 | 금릉역 |
다음 역 | 야당역 |
인접한 역 정보 | |
경의선 (서울 방면) | 금릉역 - 운정역 - 야당역 |
경의선 (지평 방면) | 금릉역 - 운정역 - 야당역 |
경의선 (용문 방면) | 금릉역 - 운정역 - 탄현역 |
사진 정보 | |
![]() | |
![]() |
2. 역사
1956년 5월 1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4] 1960년 12월 11일 운전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 1973년 1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을종승차권대매소로 지정되었다.[5] 1988년 1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2009년 3월 1일 임시역사로 이전하여 영업을 시작하였고, 2009년 3월 10일 구 운정역사가 철거되었다.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전철역이 되었고, 서울 기점 30.0 km에서 30.4 km로 변경되었다.[6] 2009년 12월 1일 일반철도 승차권 발매가 중지되었다. 2011년 9월 8일 신 역사로 이전하여 영업을 시작하였다. 2012년 5월 1일 급행열차 정차가 개시되었다.[7][2]
운정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교상역사로 건설되었으며, 출입구는 1번(역 서쪽)과 2번(역 동쪽) 두 곳이 있다.
3. 역 구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 2번 승강장은 일산, 서울, 용문, 지평 방면, 3, 4번 승강장은 금촌, 문산 방면 열차가 정차한다.
출구 번호 | 사진 | 목적지 |
---|---|---|
bgcolor="" align=center | 1 | ![]() | 소리천로 |
bgcolor="" align=center | 2 | ![]() | 운정역길 |
3. 1.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 2번 승강장은 일산, 서울, 용문, 지평 방면, 3, 4번 승강장은 금촌, 문산 방면 열차가 정차한다.
4. 역 주변
운정역은 운정신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운정시외버스정류장이 인접해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운정1동, 코오롱스포렉스, 지산초등학교, 가람도서관, 운정호수공원, 지산중학교, 운정사거리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유비파크, 한국토지주택공사 교하신도시사업본부, 와동초등학교, 한가람중학교, 한가람초등학교 등도 역 주변에 있다.
5. 이용객 변동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기록이다.[8][1] 운정신도시 개발과 함께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6. 인접한 역
wikitable
한국철도공사 | |||
---|---|---|---|
12px 경의·중앙선 | |||
금릉 (K330) | 문산 방면 문산 방면 문산 방면 | 야당 (K328) | 지평 방면 용문 방면 서울 방면 |
금릉 (K330) | 문산 방면 | 탄현 (K327) | 용문 방면 |
금촌 (K331) | 문산 방면 | 일산 (K326) | 서울 방면 |
경의·중앙선 급행 A 열차는 운정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2]
뉴스
운정역, 급행전철 정차
http://news.korail.c[...]
한국철도공사
2012-04-30
[3]
간행물
도라산 기점 25.7 km
[4]
간행물
교통부고시 제467호
대한민국관보
[5]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72-82호
대한민국관보
[6]
간행물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383호
대한민국관보
2009-06-18
[7]
뉴스
운정역, 급행전철 정차
http://news.korail.c[...]
한국철도공사
2012-04-30
[8]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GTX-A 1주년, 771만 명 이용…운정∼서울역 3달 새 361만 명
GTX-A 운정중앙~서울역 개통 두 달…하루 3만7천명 이용
GTX-A 운정중앙∼서울역 개통 60일…승객 220만명 이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