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평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평역은 1940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한국 전쟁으로 역사 소실, 신축 및 개량을 거쳐 2017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개통되면서 전철역이 되었다.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무궁화호, 누리로, ITX-새마을 열차가 정차하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지평리 전투 전적비, 지평초등학교, 지평중학교, 지평고등학교 등 주요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으며, 경의중앙선 개통 이후 이용객이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평군의 전철역 - 용문역 (양평)
용문역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14년 용문면 명칭에서 유래하여 1941년 보통역으로 시작,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복구되었으며, 2009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과 함께 전철역이 되었다. - 양평군의 전철역 - 양평역 (양평)
양평역은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08년 양평군으로 통합되면서 지역 중심지라는 의미로 역명이 정해졌으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중앙선 일반 열차가 운행하고, 서울 지하철 5호선 양평역과 혼동될 수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1940년 개업한 철도역 - 철암역
철암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의 철도역으로, 쇠돌바위에서 유래된 역명을 가지며, 무궁화호, 누리로, 백두대간협곡열차, 동해산타열차 등이 정차하는 곳이다. - 1940년 개업한 철도역 - 양동역
양동역은 1940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소화물 및 화물 취급을 중단하고 신 역사를 준공했으며,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지평역 | |
---|---|
지도 | |
역 정보 | |
역 이름 | 지평역 |
한자 표기 | 砥平驛 |
로마자 표기 | Jipyeongnyeok |
역 번호 | K138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주소 |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지평역길 32 |
좌표 | 37°28′34.67″N 127°37′45.94″E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4선 |
개업일 | 1940년 4월 1일 |
수도권 전철 개통일 | 2017년 1월 27일 |
역 등급 | 3급 |
노선 정보 | |
영업 거리 | 청량리 기점 62.1 km |
이전 역 | 용문 |
이전 역 거리 | 3.6 km |
다음 역 | 석불 |
다음 역 거리 | 2.9 km |
역사 | |
![]() | |
![]() | |
인접 정차역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용문 |
2. 역사
1940년 4월 1일 일제강점기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6][3] 1950년 6월 30일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으나,[6] 1959년 2월 1일에 역사를 신축하였다.[6][3]
2008년 11월 10일 신역사로 이전하였고,[6] 2009년 12월 복선화가 완료되었다.[3] 2012년 9월 25일 용문역-원주역 간 신선 개통에 따라 신역사 사용을 개시하였고,[3] 같은 해 12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9][4] 2017년 1월 21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용문역에서 지평역까지 연장 개통되어 하루 4회 왕복 운행을 시작하였다.[3]
2. 1. 개요
1940년 4월 1일 일제강점기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6][3] 1950년 6월 30일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으나,[6] 1959년 2월 1일에 역사를 신축하였다.[6][3]2008년 11월 10일 신역사로 이전하였고,[6] 2009년 12월 복선화가 완료되었다.[3] 2012년 9월 25일 용문역-원주역 간 신선 개통에 따라 신역사 사용을 개시하였고,[3] 같은 해 12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9][4] 2017년 1월 21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용문역에서 지평역까지 연장 개통되어 하루 4회 왕복 운행을 시작하였다.[3]
2. 2. 주요 연혁
날짜 | 내용 |
---|---|
1940년 4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6][3] |
1950년 6월 30일 | 한국 전쟁으로 역사 소실 |
1951년 5월 20일 | 목조 임시역사 준공 |
1959년 2월 1일 | 역사 신축 준공 |
1967년 9월 15일 | 화물상옥 신축 |
1991년 9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7] |
1992년 6월 10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1995년 12월 3일 | 화물상옥 철거 |
2008년 10월 30일 | 기존 구내 선로 철거 개시, 운행선은 임시 설치 선로로 변경 |
2008년 11월 10일 | 신역사 이전 영업 개시 |
2009년 10월 22일 | 신설 하선 개통, 임시선로 철거[8] |
2012년 9월 25일 | 중앙선 용문-서원주 간 복선전철 개통 |
2012년 12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9][4] |
2017년 1월 2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용문~지평 간) 개통, 전철역 운영 개시 (1일 8회 정차) |
2020년 3월 2일 | 태백선 청량리~강릉 무궁화호 종점을 동해역으로 단축, 영동선 동해행 누리로 대체 정차 |
2020년 3월 3일 | 영동선 누리로(청량리~동해) 운행 개시 |
2022년 11월 5일 | ITX-새마을 운행 개시 |
지평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고상홈과 무궁화호·누리로 저상홈이 함께 사용된다. 경의중앙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는 1층에 신호 제어 주재소, TMO, 기계실 등이 있고, 2층에 콘코스 등 여객 시설, 역 사무실, 시설 주재소가 있다.
3. 역 구조
3. 1. 개요
지평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하는 고상홈과 무궁화호·누리로가 정차하는 저상홈이 함께 설치되어 있어, 수도권 전철과 일반 열차 모두 이용 가능하다. 경의중앙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는 1층에 신호 제어 주재소, TMO, 기계실 등이 있고, 2층에 콘코스 등의 여객 시설, 역 사무실, 시설 주재소가 있다.
3. 2. 승강장
지평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하는 고상홈과 무궁화호, 누리로, ITX-새마을이 정차하는 저상홈이 함께 사용된다. 경의·중앙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번호 | 노선 | 운행 방향 |
---|---|---|
1 | 중앙선 | 사용하지 않음 |
2 | 중앙선 | 원주, 제천, 안동, 동해 방면 |
3 | 중앙선 | 용문, 양평, 덕소, 청량리 방면 |
4 | 중앙선 | 사용하지 않음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당역 종착, 용문, 덕소, 도농, 구리, 회기, 문산 방면 |
4. 이용 현황
wikitext
4. 1. 개요
지평역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 이후 이용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2023년 기준 경의·중앙선 일평균 승하차 인원은 약 130여 명이다.[1]4. 2. 승차량 변동
역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의중앙선 | 승차 | 54 | 52 | 63 | 46 | 59 | 64 | 64 |
하차 | 50 | 49 | 51 | 40 | 68 | 70 | 73 |
5. 역 주변
한국 전쟁의 주요 전투 중 하나인 지평리 전투가 벌어진 지역으로, 다수의 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7913부대가 그 예이다.
5. 1. 개요
지평역 주변은 지평면의 중심지로, 여러 공공기관과 학교, 문화유적 등이 있다. 지평초등학교, 지평중학교, 지평고등학교, 양평지평우체국, 지평면 행정복지센터, 지평향교, 지평양조장 등이 이 지역에 있다. 특히 한국 전쟁의 주요 격전지 중 하나인 지평리 전투 전적지가 있어 역사적으로도 의미 있는 장소이다.[1] 다수의 군 부대도 주둔하고 있다.[1]5. 2. 주요 시설
지평리 전투 전적비는 한국 전쟁 당시 지평리 전투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비석이다.[1] 지평향교는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이다.[1]
6. 인접한 역
본선 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