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웅진 스타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웅진 스타즈는 SM팀을 모태로 2001년 한빛소프트의 지원을 받아 한빛 스타즈로 창단된 프로게임단이다. 한빛 스타즈는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와 그랜드파이널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준영, 김명운 등의 선수 활약으로 명성을 이어갔다. 2008년 아이템매니아 인수가 무산된 후 웅진홀딩스가 인수하여 웅진 스타즈로 팀명을 변경했다. 2010년 첫 포스트시즌 진출, 2011년 MBC게임 스페셜포스 팀 인수 등 활동을 이어갔으나, 모기업의 경영 악화로 2013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웅진그룹 - 코웨이
    코웨이는 198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생활가전 기업으로 정수기, 공기청정기 등을 제조, 판매, 렌탈하며 웅진그룹 계열사였다가 MBK 파트너스, 웅진그룹을 거쳐 현재는 넷마블에 인수되었고, 렌탈 비즈니스 모델과 코디 서비스, 해외 시장 진출, 디자인 경쟁력 강화, 기술 혁신 추구를 통해 성장하고 있다.
  • 웅진그룹 - 도레이케미칼
    도레이케미칼은 제일모직 경산공장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사명 변경과 인수 합병을 거쳐 2019년 도레이첨단소재에 합병된 기업이다.
  • 워크래프트 III 프로게임단 - 화승 OZ
    화승 OZ는 2002년 창단되어 2007년 신한은행 프로리그에서 우승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나, 2011년 모기업의 운영 포기로 해체된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이다.
  • 워크래프트 III 프로게임단 - 삼성 갤럭시 (e스포츠)
    삼성 갤럭시는 2000년 창단되어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에서 значимые 발자취를 남긴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이었으나, 2017년 리그 오브 레전드 팀 매각 후 해체되었다.
  • 해체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 - 진에어 그린윙스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1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2020년 해체되었다.
  • 해체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 - KT 롤스터
    KT 롤스터는 1999년 12월 30일에 창단된 e스포츠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에서 활동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웅진 스타즈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웅진 스타즈
영문 이름Woongjin Stars
창단일2001년 5월
해체일2013년 12월
스폰서한빛소프트 (2001~2008년)
웅진그룹 (2008~2013년)
부문워크래프트 3
스페셜포스 2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2. 역사

1999년 이재균이 조직했던 SM(Starcraft Mania)팀이 기원이다. 이후 한빛소프트의 공식적인 지원으로 2001년 5월 한빛 프로게임단(한빛 스타즈)이 창단되었다. 당시 한빛 스타즈는 강도경, 김동수, 박용욱, 박정석, 나도현, 박경락, 변길섭과 같은 스타게이머들을 배출하며 명문 게임단으로 자리잡았었다. 그러나 이후 박정석과 변길섭KT 롤스터로의 이적, 김동수의 은퇴, 박경락의 슬럼프 등으로 인해 개인전에서는 침체를 면치 못했으나, 프로리그에서는 특출한 스타 선수가 없음에도 팀을 상위로 이끌고 우승까지 하는 등 좋은 평가를 얻었다.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와 그랜드파이널에서의 우승, 2007 DAUM 스타리그에서 김준영 선수가 우승하고 김명운이 꾸준히 8강,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 2에서 윤용태가 로열로더 도전으로 4강까지 가는가 하는 등, 김명운 또한 MSL에서는 4강으로 진출하여 명가로서의 면모를 꾸준히 보이다가 김명운ABC마트 MSL 2011 결승전에 진출함으로써 웅진 스타즈 창단 최초 첫 결승 진출자를 배출한다.

그러나 김준영 선수를 CJ 엔투스로 이적시키는 등 한빛소프트의 사정은 영좋지 못했다. 2008년 5월, 한빛소프트의 3년동안 계속된 적자로 인해 게임단을 포기, 5월 초 한국e스포츠협회에 한빛 스타즈 프로게임단의 운영과 매각 작업을 위탁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2008년 5월 21일, 한빛소프트를 인수한 티쓰리엔터테인먼트는 협회 위탁 관리 없이 매각된다고 밝혔다.

2008년 7월 31일, 아이템 거래 사이트 아이템매니아가 프로게임단 운영을 포기한 한빛소프트의 한빛 스타즈를 인수하였다. 하지만 네티즌들의 부정적인 평가로 인해 2008년 8월 5일, 한국e스포츠협회는 한빛소프트에 프로게임단 운영을 포기한 한빛 스타즈의 아이템매니아 인수를 철회하고 새로운 시즌이 시작되기 전인 오는 9월말까지 협회에서 위탁 운영을 하겠다는 안을 제안했다. 하지만 한빛소프트는 이 제안에 대해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2008년 8월 7일, 한빛 소프트가 협회의 한빛 스타즈 위탁 운영 안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 아이템매니아는 한빛 스타즈 구단 인수 본 계약을 해지하겠다고 밝혔다.

2008년 9월 19일, 웅진회사의 지주회사인 웅진홀딩스가 한국e스포츠협회와 ‘한빛 스타즈’ 인수에 대한 협상을 진행 중이며, 인수에 대한 큰 틀에 합의했고 세부적인 사항 및 최종 협의만 남아있는 등 협상 타결이 임박했다고 밝혔다.

2008년 9월 24일 웅진홀딩스가 한빛스타즈 인수를 확정했다[1]

2010년 3월, 웅진 스타즈는 창단 약 1년 5개월 만에 첫 포스트시즌에 진출에 성공했다. 또한 준플레이오프에서 강팀 STX SouL을 김민철이 4:1로 올킬에 성공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에 들어서면서, 정종현김승현의 은퇴이후 이스트로의 박상우와 신재욱, MBC게임의 이재호를 영입하면서 선수교체가 급속히 이루어졌다. 웅진 스타즈는 1R까지 2위를 달렸으나 2R에서의 연패부진으로 종합성적 7위로 내려앉았다.

에이스인 윤용태의 부진이 팀이 부진하는 이유라고 판단한 이재균 감독은 충격요법을 주기위해 윤용태를 1군 로스터에서 말소시켰다.

2군에서 돌아온 윤용태와 웅진 선수들의 위너스리그 활약으로 포스트시즌 진출을 기대했지만, KT 전에서 김대엽에게 선봉올킬을 당해 위너스리그 포스트시즌은 좌절됐다.

2011년 5월 26일, 김명운이 ABC마트 MSL 2011 4강에서 천적 이제동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결승에서 이영호에게 패배했다. 김명운의 결승 진출은 한빛 스타즈에서 웅진 스타즈로 재 창단 한 뒤의 첫 결승 진출자 배출이다.

2011년 6월 28일, 프로리그에서 STX가 승리를 거둠에 따라, 남은 경기수와 관계없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창단 이후 정규시즌 첫 번째 포스트시즌 진출이며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위너스리그에서 진출했다.) 한빛-웅진 전체 역사에서는 2006년 후기이후 무려 5년 만에 진출한 셈이다.

2011년 11월 7일, MBC게임 히어로의 해체로 인해 MBC게임 스페셜포스 팀이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웅진이 MBC게임 스페셜포스 팀원을 모두 수용, 웅진 스타즈 스페셜포스 팀을 창단하게 된다.

웅진스타즈는 SK플래닛 프로리그에서 포스트시즌 진출의 희망을 안고 시즌 막바지까지 선전하였지만, 득실차에서 밀려 CJ에게 4위자리를 내주고, 5위로 밀려서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였다.

웅진 스타즈는 KT 롤스터와 친분이 매우 두터우며, 두 팀이 함께 선수들의 연습을 도와주기도 하며, 워크샵을 두 팀이 함께 간적이 있을 정도로 사이가 매우 돈독하였다. CJ 엔투스에는 한빛 스타즈 시절부터 약했으나, 웅진 스타즈 창단 이후로는 조금씩 웅진이 앞서가는 모습이었다.

모기업의 경영 악화로 인해 프로게임단 운영이 어려워진 웅진 스타즈는 2013년 10월 1일 소속 선수들 절반 이상을 웨이버 공시하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감행했으며 팀에 남아있던 김민철김유진은 동년 12월 13일, 공개 포스팅을 통해 각각 SK텔레콤 T1과 진에어 그린윙스로 이적했다. 같은 날, 이재균 감독이 e스포츠 커뮤니티 PGR21에 정식 해체글을 올리면서 웅진 스타즈는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 1. 창단 이전 (SM, 한빛 스타즈)

1999년 이재균이 조직했던 SM(Starcraft Mania)팀이 기원이다.[1] 이후 한빛소프트의 공식적인 지원으로 2001년 5월 한빛 프로게임단(한빛 스타즈)이 창단되었다.[1] 당시 한빛 스타즈는 강도경, 김동수, 박용욱, 박정석, 나도현, 박경락, 변길섭과 같은 스타게이머들을 배출하며 명문 게임단으로 자리잡았었다.[1] 2001년 6월에는 박경락,정재호,변길섭이 입단하였다. 2002년 대한민국 게임대상 “프로게이머 부문”에서 박정석이 수상을 하였고, 2003년 1월 온게임넷 어워드 “최고의 감독상” 수상을 이재균이 수상하였다.

그러나 이후 박정석과 변길섭KT 롤스터로의 이적, 김동수의 은퇴, 박경락의 슬럼프 등으로 인해 개인전에서는 침체를 면치 못했으나, 프로리그에서는 특출한 스타 선수가 없음에도 팀을 상위로 이끌고 우승까지 하는 등 좋은 평가를 얻었다.[1] 2003년 6월 계몽사 KPGA 팀리그에서 4위를, 2003년 8월 KTF EVER컵 프로리그 준우승, 2003년 10월 LIFE ZONE MBC게임 팀리그 준우승을 하였다. 2004년 1월 LG IBM MBC게임 팀리그 4위, 2004년 2월 네오위즈 피망컵 프로리그 3위, 2004년 7월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우승''',[1] 2004년 8월 투싼배 MBC게임 팀리그 4위, 2004년 10월 SKY 프로리그 2004 2라운드 공동 3위를 기록하였다.

그랜드파이널에서의 우승,[1] 2005년 2월 '''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파이널 Grand Final 우승''',[1] 2005년 7월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4위, 2005년 10월 KTF bigi KOREA e-sports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2006년 12월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4위를 기록하였다.

2007 DAUM 스타리그에서 김준영 선수가 우승하고 김명운이 꾸준히 8강,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 2에서 윤용태가 로열로더 도전으로 4강까지 가는가 하는 등, 김명운 또한 MSL에서는 4강으로 진출하여 명가로서의 면모를 꾸준히 보였다.[1]

그러나 김준영 선수를 CJ 엔투스로 이적시키는 등 한빛소프트의 사정은 좋지 못했다.[1] 2008년 5월, 한빛소프트의 3년동안 계속된 적자로 인해 게임단을 포기, 5월 초 한국e스포츠협회에 한빛 스타즈 프로게임단의 운영과 매각 작업을 위탁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1] 하지만 2008년 5월 21일, 한빛소프트를 인수한 티쓰리엔터테인먼트는 협회 위탁 관리 없이 매각된다고 밝혔다.[1]

2008년 7월 31일, 아이템 거래 사이트 아이템매니아가 프로게임단 운영을 포기한 한빛소프트의 한빛 스타즈를 인수하였다.[1] 하지만 네티즌들의 부정적인 평가로 인해 2008년 8월 5일, 한국e스포츠협회는 한빛소프트에 프로게임단 운영을 포기한 한빛 스타즈의 아이템매니아 인수를 철회하고 새로운 시즌이 시작되기 전인 오는 9월말까지 협회에서 위탁 운영을 하겠다는 안을 제안했다.[1] 하지만 한빛소프트는 이 제안에 대해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1] 하지만 2008년 8월 7일, 한빛 소프트가 협회의 한빛 스타즈 위탁 운영 안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1] 아이템매니아는 한빛 스타즈 구단 인수 본 계약을 해지하겠다고 밝혔다.[1]

2008년 9월, 웅진홀딩스가 한빛 스타즈 인수를 확정지었다.[1]

2. 2. 웅진 스타즈 창단과 활동

2008년 9월 웅진홀딩스가 한빛 스타즈를 인수하여 웅진 스타즈를 창단하였다. 웅진 스타즈는 김준영, 김명운, 윤용태 등 주요 선수들의 활약을 바탕으로 프로리그에서 꾸준히 성적을 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에는 박상우, 신재욱, 이재호를 영입하는 등 로스터에 변화를 줬다. 김명운은 ABC마트 MSL 2011 결승에 진출했고, 프로리그 포스트시즌에도 진출하는 등 주요 사건들을 만들어냈다. 2011년에는 MBC게임 스페셜포스 팀을 인수하여 웅진 스타즈 스페셜포스 팀을 창단했다.

2. 3. 해체 과정

2013년 10월 웅진홀딩스는 경영 악화로 인해 웅진 스타즈 선수단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일부 선수들이 웨이버 공시되기도 했다.

2013년 12월에는 김민철과 김유진이 각각 SK텔레콤 T1과 진에어 그린윙스로 이적했다.

```wikitable

선수 이름종족 및 포지션입단 팀
김민철ZergSK텔레콤 T1
김유진Protoss진에어 그린윙스



```

같은 달, 이재균 감독은 팀 해체를 발표했다.

3. 주요 선수 및 감독

3. 1. 감독: 이재균

1999년부터 2013년 12월 13일까지 웅진 스타즈의 감독을 역임한 이재균은 팀 창단과 운영을 이끌었다. 이재균 감독은 진보 진영의 인사로 평가받는다.

4. 팀 운영 및 성과

wikitext

프로리그 기록
연도리그순위경기벌점승점포스트시즌주요 선수감독
2003KTF EVER 프로리그1위12930+25준우승이재균
2003Neowiz Pmang 프로리그1위10820+19플레이오프이재균
2004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1위10820+10우승강도경, 김선기, 나도현, 박경락, 박영민, 조형근이재균
2004SKY 프로리그 2004 2라운드머큐리 1위8530+2플레이오프이재균
2004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머큐리 3위8350-1진출 실패이재균
2005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3위10640+3준플레이오프이재균
2005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10위183150-27진출 실패이재균
2006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7위10460-4진출 실패이재균
2006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3위10730+3준플레이오프이재균
2007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10위228142-2진출 실패김준영, 윤용태, 김동주, 한승엽이재균
2007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8위2210120-4진출 실패김준영, 윤용태, 신정민, 임진묵, 김동주, 문지훈이재균
2008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10위227150-17진출 실패윤용태, 김명운, 신정민, 김동주, 이동준이재균
2008-2009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8-095위11740+2진출 실패윤용태, 김명운, 임진묵, 김승현, 김준영이재균
2008-2009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8위5527280-9진출 실패윤용태, 김명운, 임진묵, 김승현, 김준영이재균
2009-2010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4위11740+5플레이오프김명운, 윤용태, 한상봉, 김승현, 김민철, 정종현이재균
2009-2010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7위552827016진출 실패김명운, 윤용태, 한상봉, 김승현, 김민철, 정종현이재균
2010-2011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6위18990-6진출 실패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박상우, 신재욱이재균
2010-2011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4위3617190-7준플레이오프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박상우, 신재욱이재균
2011-2012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5위2111101-5진출 실패김명운, 이재호, 김민철, 윤용태, 김유진, 신재욱, 노준규이재균
2012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Ⅱ 프로리그 시즌 25위2111100+19진출 실패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김유진, 신재욱, 노준규, 송광호이재균
2012-2013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Ⅱ 프로리그 12-131위4227150+41준우승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김유진, 신재욱, 노준규, 송광호이재균



연도스폰서경기수승점승률기타
2003계몽사615-416.6%4위
2003라이프존321166.6%준우승
2003-2004LG IBM422150%4위
2004투싼422250%4위
2004-2005MBC MOVIES예선 탈락 (3전 3패 - 개인전 4승 9패)
총 4시즌17710041.1%준우승 1회


4. 1. 프로리그

프로리그 기록
연도리그순위경기벌점승점포스트시즌주요 선수감독
2003KTF EVER 프로리그1위12930+25준우승이재균
2003Neowiz Pmang 프로리그1위10820+19플레이오프이재균
2004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1위10820+10우승강도경, 김선기, 나도현, 박경락, 박영민, 조형근이재균
2004SKY 프로리그 2004 2라운드머큐리 1위8530+2플레이오프이재균
2004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머큐리 3위8350-1진출 실패이재균
2004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 파이널우승이재균
2005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3위10640+3준플레이오프이재균
2005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10위183150-27진출 실패이재균
2006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7위10460-4진출 실패이재균
2006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3위10730+3준플레이오프이재균
2007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10위228142-2진출 실패김준영, 윤용태, 김동주, 한승엽이재균
2007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8위2210120-4진출 실패김준영, 윤용태, 신정민, 임진묵, 김동주, 문지훈이재균
2008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10위227150-17진출 실패윤용태, 김명운, 신정민, 김동주, 이동준이재균
2008-2009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8-095위11740+2진출 실패윤용태, 김명운, 임진묵, 김승현, 김준영이재균
2008-2009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8위5527280-9진출 실패윤용태, 김명운, 임진묵, 김승현, 김준영이재균
2009-2010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4위11740+5플레이오프김명운, 윤용태, 한상봉, 김승현, 김민철, 정종현이재균
2009-2010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7위552827016진출 실패김명운, 윤용태, 한상봉, 김승현, 김민철, 정종현이재균
2010-2011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6위18990-6진출 실패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박상우, 신재욱이재균
2010-2011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4위3617190-7준플레이오프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박상우, 신재욱이재균
2011-2012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5위2111101-5진출 실패김명운, 이재호, 김민철, 윤용태, 김유진, 신재욱, 노준규이재균
2012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Ⅱ 프로리그 시즌 25위2111100+19진출 실패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김유진, 신재욱, 노준규, 송광호이재균
2012-2013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Ⅱ 프로리그 12-131위4227150+41준우승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김유진, 신재욱, 노준규, 송광호이재균


4. 2. 팀리그

연도스폰서경기수승점승률기타
2003계몽사615-416.6%4위
2003라이프존321166.6%준우승
2003-2004LG IBM422150%4위
2004투싼422250%4위
2004-2005MBC MOVIES예선 탈락 (3전 3패 - 개인전 4승 9패)
총 4시즌17710041.1%준우승 1회


4. 3. 기타 대회

5. 논란 및 사건 사고

6. 역대 팀 명칭 및 감독

SM(Starcraft Mania) - 한빛 스타즈 - 웅진 스타즈

1999년부터 2013년까지 이재균 감독이 웅진 스타즈의 감독을 맡았다.

대수이름재임 기간
1이재균1999년 ~ 2013년 12월 13일


6. 1. 역대 팀 명칭

SM(Starcraft Mania) - 한빛 스타즈 - 웅진 스타즈

6. 2. 역대 팀 감독

1999년부터 2013년까지 이재균 감독이 웅진 스타즈의 감독을 맡았다.

대수이름재임 기간
1이재균1999년 ~ 2013년 12월 13일


7. 웅진 스타즈 선수단 공개 포스팅 결과

wikitable

선수 이름종족 및 포지션입단 팀
김민철ZergSK텔레콤 T1
김유진Protoss진에어 그린윙스


8. 주요 종목

스타크래프트와 스페셜포스2를 주요 종목으로 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