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변길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길섭은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로, 특히 스타크래프트 e스포츠 초창기에 활동했다. 2002년 네이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우승하며 주목받았으며, '불꽃테란'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2008년 은퇴 후 플레잉코치로 활동하다 팀에서 나왔으며, 2010년에는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타리그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스타리그 우승자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웅진 스타즈의 선수 - 박상우 (프로게이머)
    박상우는 이스트로와 웅진 스타즈에서 활동하며 프로토스전 12연승과 저그전 11연패를 기록하는 등 특정 종족전에 극단적인 성적을 보였던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다.
  • 웅진 스타즈의 선수 - 노준규
    노준규는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삼성 갤럭시 칸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2017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진행하며 개그맨 정형돈과 닮은 외모로 '항도니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KT 롤스터의 선수 - 이동녕 (프로게이머)
    이동녕은 GSL 등 국내외 스타크래프트 II 대회에서 프리미어 개인리그 4회 우승 및 2회 준우승을 기록한 프로게이머이다.
  • KT 롤스터의 선수 - 우정호
    우정호는 KTF 매직엔스 소속으로 프로리그에서 9연승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나, 급성 백혈병 진단 후 투병 중 25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e스포츠계에 큰 슬픔을 안겨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변길섭 - [인물]에 관한 문서
프로게이머 정보
이름변길섭
한자 표기邊吉燮
출생1984년 1월 10일 (세)
출생지서울특별시
종족테란
아이디Qoo)BlazE , Sync
별명불꽃테란

2. 약력

스타크래프트 e스포츠 초창기인 2001년 상반기부터 선수로 활동했다. 2002년 1월 한빛 스타즈(현 웅진 스타즈)에 입단, 네이트 스타리그에서 우승했다. 2003년 12월 박정석과 함께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로 이적했으나, 큰 성적을 내지 못하고 2008년 1월 은퇴했다. 이후 플레잉코치로 활동하다 팀에서 나왔으며, 2010년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잠시 활동했다.

저그전에서 뛰어난 바이오닉 플레이로 '불꽃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키보드의 Tab 키를 이용해 미니맵을 흑색으로 바꾸어 플레이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1]

2. 1.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e스포츠 초창기인 2001년 상반기부터 활동했다. 2002년 1월 한빛 스타즈(현 웅진 스타즈)에 입단하여, 네이트 스타리그에서 우승하며 스타리그 왕좌를 차지했다.

2003년 12월 박정석과 함께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로 이적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나, 큰 성적을 내지 못하고 2008년 1월 은퇴했다. 이후 플레잉코치로 활동하다가 팀에서 나왔으며, 2010년에는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잠시 활동했다.

저그전에서 보여주는 뛰어난 바이오닉 플레이로 '불꽃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키보드의 Tab 키를 이용해 미니맵을 흑색으로 바꾸어 플레이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1]

2. 1. 1. 선수 경력

2001년 상반기부터 E스포츠 초창기 선수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2002년 1월 한빛 스타즈(현 웅진 스타즈)에 입단하였다.

2002 네이트 스타리그에서 우승하며 스타리그 왕좌를 차지했다.

2003년 12월 같은 한빛 스타즈 소속이었던 박정석과 함께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로 이적했다.

이후 KT 롤스터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나 큰 성적을 내지 못하고 2008년 1월 은퇴했다. 은퇴 후 플레잉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으며, 이듬해 팀에서 나왔다. 2010년에는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활동한 적이 있다.

2. 1. 2. 게임 스타일

저그전에서 보여주는 바이오닉 플레이가 호평을 받아 그 모습이 마치 불꽃과 같다 하여 '''불꽃테란'''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마린과 메딕, 파이어뱃만을 이용한 성큰 콜로니 돌파는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1]

키보드의 Tab키로 미니맵의 지형을 모두 흑색으로 바꾸어 유닛과 건물 색만을 감지하도록 플레이하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염보성도 비슷한 플레이를 하고 있다.[1]

2. 2. 스타크래프트 II

2010년 TG삼보-인텔 스타크래프트 II 오픈 시즌 2 64강에 참여하였다.[1]

3. 주요 기록

변길섭은 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 II 대회에서 여러 차례 수상한 경력이 있다.[1]

3. 1. 스타크래프트

StarCraft|스타크래프트영어 대회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1]

연도대회명
2001년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8강
2002년2002 KPGA 1차리그 8강
2002년네이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3:1 강도경)
2002년리복배 2002 KPGA 2차리그 16강
2002년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8강
2002년펩시트위스트배 2002 KPGA 3차리그 16강
2002년배스킨라빈스배 2002 KPGA 4차리그 16강
2003년파나소닉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16강
2003년스타우트 MSL 16강
2003년핫브레이크배 온게임넷 마스터즈 3위
2003년KBC 파워게임쇼 우승
2004년제 1회 KT Megapass Nespot 프리미어 리그 준우승
2004년EVER 스타리그 8강
2005년당신은 골프왕 MSL 16강
2005년아이옵스 스타리그 16강
2006년신한은행 스타리그 24강


3. 2. 스타크래프트 II

대회
2010년 TG삼보-인텔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2 64강


4. 기타


  • 2002년 6월 네이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우승했지만, 같은 시기 2002 FIFA 월드컵으로 인해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1]
  • '불꽃테란'은 그의 별명이며, 테란 대(對)저그전에서 초반 바이오닉 플레이를 이용한 돌파 전술 용어로 사용되었다.[1]
  • 경기 중 무표정으로 인해 “ㅡ_ㅡ”라는 이모티콘이 그를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되었고, 서지훈, 한웅렬과 함께 3대 무표정 선수로 알려져 있었다.[1]
  • 2005년 1월 수염을 기른 적이 있었고, 이때 사진에 연예인 에릭의 이름을 따 '길릭'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 DC 인사이드에서 그의 애칭은 '길자'인데, 여성화시킨 합성사진에서 유래되었다. (김성제의 '성제양', 서지훈의 '미스서'와 같은 맥락이다.)
  • 은퇴 직전 시기에 치른 몇 경기는 '최악의 졸전'으로 회자된다.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vs 최가람, 스타챌린지 2007 vs 손찬웅)

4. 1. 2002년 월드컵과의 관계

2002년 6월 네이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우승했지만, 같은 시기에 열린 2002 FIFA 월드컵 때문에 역대 스타리그 우승자 중 유일하게 거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1] 현재까지도 관심받지 못한 스타리그 우승자로 회자된다.[1]

4. 2. '불꽃테란'의 의미

'불꽃테란'은 변길섭의 별명일 뿐만 아니라, 테란 대(對)저그전에서 초반 바이오닉 플레이를 이용한 돌파 전술 용어로 정착되었다.[1]

4. 3. 무표정

경기 중 내내 무표정이었던 탓에, “ㅡ_ㅡ”라는 이모티콘이 그를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1] 서지훈, 한웅렬과 함께 3대 무표정, 또는 3대 포커페이스 선수로 알려져 있었다.[1]

4. 4. '길릭'과 '길자'

2005년 1월, 변길섭은 비공개로 수염을 길렀다. 이때 찍힌 사진에 연예인 에릭의 이름을 따 '길릭'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 모습으로 방송에 나온 적은 없다.

DC 인사이드에서 변길섭의 애칭은 '길자'인데, 이는 변길섭을 여성화시킨 합성사진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김성제의 '성제양', 서지훈의 '미스서'와 같은 맥락이다.)

4. 5. 은퇴 직전 경기 논란

은퇴 직전 시기에 치른 몇 경기는 지금까지 '최악의 졸전'으로 회자되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vs 최가람, 스타챌린지 2007 vs 손찬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