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워털루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워털루 전투는 1815년 6월 18일,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과 웰링턴 공작이 지휘하는 영국-네덜란드 연합군, 그리고 블뤼허 장군의 프로이센군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나폴레옹은 각개격파를 위해 벨기에로 진격했으나, 프로이센군의 지원을 받은 웰링턴의 방어에 막혀 패배했다. 프랑스군의 패배는 나폴레옹의 백일천하를 종식시키고, 나폴레옹 전쟁을 마무리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 전투에서 나폴레옹은 세인트헬레나 섬으로 유배되었고, 유럽에는 빈 체제가 수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털루 전투 - 워털루 (벨기에)
    워털루는 벨기에 왈롱 브라반트주에 있는 도시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몰락을 초래한 워털루 전투의 격전지로 유명하며, 현재는 주거 지역과 관광 명소인 워털루 전투 관련 유적지가 발달해 있다.
  • 기병돌격전 - 크레시 전투
    크레시 전투는 백년전쟁 중 1346년 8월 26일 크레시에서 잉글랜드가 장궁병 전술과 지형적 이점을 활용해 프랑스군을 격파하며 군사적 우월성을 입증하고 전쟁 전개에 전환점을 마련한 전투이다.
  • 기병돌격전 - 발라클라바 전투
    발라클라바 전투는 1854년 크림 전쟁 중 발라클라바 항구 근처에서 벌어진 전투로, 영국군은 러시아군의 공격을 막아냈지만, 경기병대의 무모한 돌격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워털루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윌리엄 세들러의 워털루 전투
윌리엄 세들러의 워털루 전투
날짜1815년 6월 18일
장소벨기에 워털루 근처, 라 벨-알리앙스 주변
전투의 부분워털루 전역의 제7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관련 전투질리 전투
콰트레브라 전투
리니 전투
제1차 제나프
워털루 전투
바브르 전투
제2차 제나프
나뮈르 전투
캉브레 점령
빌레르-코트레 전투
오베르빌리에 전투
생드니 전투
로캉쿠르 전투
세브르 전투
이시 전투
교전 세력
교전국 1프랑스
교전국 2영국
네덜란드
프로이센
하노버
나사우
브라운슈바이크
지휘관
프랑스군나폴레옹 1세
미셸 네
장드듀 술트
장바티스트 드루에, 에를롱 백작
오노레 샤를 레유
조르주 무통, 로바우 백작
연합군웰링턴 공작
앵글시 백작
롤랜드 힐
토마스 픽턴
오라녜 공
게프하르트 폰 블뤼허
아우구스트 폰 그나이제나우
폰 지텐 백작
피르히 1세
프리드리히 폰 뷜로
병력 규모
프랑스군72,000–73,000명
48,950–50,600명 (보병)
14,390–15,765명 (기병)
8,050명 (포병 및 공병)
최대 252문 (대포)
연합군총 118,000–120,000명
91,000명 (보병)
21,500명 (기병)
7,500명 (포병)
최소 282문 (대포)
웰링턴 군대68,000명
31,000명 (영국군 및 국왕 독일군단)
17,000명 (네덜란드)
11,000명 (하노버)
6,000명 (브라운슈바이크)
3,000명 (나사우)
156문 (대포)
블뤼허 군대50,000명
126문 (대포)
피해 규모
프랑스군26,000–27,000명 사망 또는 부상
8,000명 포로 (6,000–7,000명 부상병 포함)
전투 후 15,000명 탈영
220문 (대포) 손실
연합군총 24,000명
웰링턴 군대17,000명 사망, 부상, 실종
3,500명 사망
10,200명 부상
3,300명 실종
블뤼허 군대6,604–7,000명
1,144–1,200명 사망
4,155–4,400명 부상
1,305–1,400명 실종
양측말 7,000마리 사망
전투 부대
프랑스 북부 방면군제1군단
제2군단
제6군단
제3기병군단
제4기병군단
근위대
웰링턴 군대제1군단
제2군단
기병 군단
앵글로-연합군 예비대
블뤼허 군대제1군단
제2군단
제4군단
결과
결과연합군 승리
백일천하 종결 (나폴레옹 패배)
나폴레옹 세인트헬레나 유배

2. 배경

wikitext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패배한 나폴레옹은 다음해 4월에 폐위되어 엘바섬으로 추방되었다. 그러나 빈 회의에서 전후처리 문제로 연합군 사이에 다툼이 일어나는 것을 본 나폴레옹은 1815년 2월 26일 엘바섬을 탈출해 남프랑스의 주앙에 상륙한 뒤 병사를 모으면서 파리로 향했다. 도중에 나폴레옹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받은 원수와 술트 원수를 만났지만 오히려 나폴레옹에게 동조하여 군대 7천 명을 이끌고 3월 20일 파리에 입성했다. 나폴레옹은 제국의 부활을 선언하고 동맹국에게 공존을 주장했다. 그러나 나폴레옹의 복귀 소식은 유럽을 두려움에 떨게 만들었고, 그 이상으로 프랑스 제국의 해체로 인해 생기는 영토와 이득을 욕심낸 연합국은 일제히 단결하여 각 방향에서 프랑스를 향해 진격했다.

나폴레옹은 신규로 징병한 병력을 더해 각 방향에 대한 방어를 준비하면서 주력군 12만 8천 명과 대포 366문을 북쪽 방향에 집중시켰다. 웰링턴군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출발한 영국, 네덜란드, 벨기에, 하노버, 브라운슈바이크의 10만 7천 명에 달하는 연합군으로 대포 216문을 보유했다. 동시에 벨기에 리에주에서 출발한 블뤼허의 프로이센군은 나폴레옹군과 대등한 병력 12만 8천 명과 대포 312문을 보유하여, 병력을 비교한다면 총 합계에서는 프랑스군은 연합군에게 크게 뒤지지만 각각 나눠 비교한다면 승산이 있었다. 따라서 신속하게 기동하여 각개격파를 성공시킨다는 전략을 세우게 되었다. 프랑스군의 중핵은 역전의 대륙군이 차지하고 있었고, 불패를 자랑하는 근위대도 건재해 있었다. 질적인 우위는 나폴레옹에게 있었다.

웰링턴이 이끄는 병력 10만 7천 명 중 대부분은 영국해협의 항구들을 지키고, 겐트, 브뤼셀등 플랜더스 지방을 보호하기 위해서 파견되었기 때문에 6월 16일 카트르 브라-워털루로 집결할 수 있었던 병력은 고작 3만 6천 명에 불과 하였다. 프로이센군도 프로이센군대로 많은 요새화된 지역을 지키기 위해서 상당수의 병력을 할애하여야 하였으므로, 6월 16일 리니에서는 10만 명 미만 병력만 동원할 수 있었다.

먼저 나폴레옹은 프로이센군을 격파하기 위해 원수에게 병력 2만 4천 명을 맡겨 웰링턴군과 카트르 브라에서 전투를 벌이게 하고는 자신은 8만 병력을 이끌고 리니에서 프로이센군과 전투를 벌였다. 6월 16일 리니 전투에서 프로이센군과 전투를 벌인 끝에 승리한 나폴레옹은 병력 8천여 명을 잃고 프로이센군에게 사상자 2만 5천여 명을 안겨주는 대승을 거두었으나 완벽하게 격파한 것은 아니었다. 퇴각한 프로이센군은 블뤼허 원수가 중상을 입어 참모장(參謀長)이었던 그나이제나우 장군이 대신 지휘를 맡게 되었다.

카트르 브라에선, 원수 휘하의 레이유 장군의 군단이 미숙한 네덜란드-벨기에 병사들을 신속하게 격파하였으나, 공격 시간을 지연하였던 탓에 상당수의 베테랑 병사들을 보유한 웰링턴의 5사단과 6사단 소속의 여단들이 이들의 진격을 저지 하였다. 원수는 카트르 브라에서 사상자 4300명, 웰링턴은 사상자 3463명을 내었다.

웰링턴은 블뤼허와 합류한 뒤 결전을 벌일 예정이었으나 블뤼허가 후퇴했기 때문에 자신의 군도 후퇴시켰다. 그는 몽을 지키기 위해 병력 2만 9천여 명을 파견하고, 남은 6만 8천 병력을 워털루 쪽으로 후퇴시켰다. 그 선봉과 전투를 벌였던 원수도 나폴레옹과 합류했다. 나폴레옹은 프로이센군이 동쪽으로 완전히 퇴각한 것으로 잘못 생각하여 다음날 아침 그루시 원수에게 별동대 3만 4천 명을 주어 프로이센군을 추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프로이센군은 웰링턴과의 합류를 목표로 서쪽으로 진군 중이었다.

호우 속에 후퇴한 웰링턴군은 몽-생-장에 구축한 방어 진지에 도착했다. 웰링턴은 프랑스군이 서쪽으로 우회할 것을 두려워해 1만 5천 명을 우익에 배치해 수비를 굳건히 했다. 그러나 나폴레옹은 웰링턴군 정면에 포진했다. 보병 사단을 전면에 배치하고, 기병 여단을 그 후방 양익에 배치했다. 거기에 좌우 양익에 기병을 배치했다. 중앙 후방에는 근위군을 결전용 예비 병력으로 배치했다. 웰링턴은 보병대를 전면에 전개하고 중앙 후방에 기병 사단을 집중 배치했다. 프로이센군이 도착할 때까지 방어를 우선시 하겠다는 포진이었다.

전날밤의 비로 인해 땅이 진흙탕처럼 변해버려 대포의 이동이 늦어지는 것 때문에 나폴레옹은 공격 개시 시간을 아침 9시에서 오전 11시로 늦추었다. 이것이 나중에 프랑스군이 패배한 한 가지 결정적인 원인 되었다.

1815년 서유럽의 전략적 상황: 약 25만 명의 프랑스군이 4개의 전선에서 약 85만 명의 연합군에 맞섰다. 게다가 나폴레옹은 왕당파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서부 프랑스에 2만 명의 병력을 남겨둬야 했다.


|thumb|upright|아서 웰즐리, 1대 웰링턴 공작, 반도 전쟁에서 프랑스에 맞서 주목할 만한 성공을 거둔 연합군 사령관]]

|thumb|upright|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는 프로이센군을 지휘했는데, 그는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나폴레옹을 격파한 연합군 중 하나였다]]

2. 1. 나폴레옹의 귀환과 백일천하

1812년 러시아 원정 실패와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 패배 이후, 나폴레옹은 1814년 4월 6일에 퇴위하여 엘바 섬으로 유배되었다.[69] 프랑스에서는 빈 회의의 결정에 따라 루이 18세가 즉위하여 부르봉 왕조가 부활했으나, 왕정복고는 인기가 없어 국내에서는 불만이 높아졌다.[71]

1815년 2월 26일, 나폴레옹은 엘바 섬을 탈출하여 프랑스 주앙 만/Golfe-Juan프랑스어에 상륙, 파리로 진군했다. 도중에 미셸 네 원수를 휘하에 சேர்த்து[72] 7,000명으로 불어난 군대를 이끌고 3월 20일 파리에 입성, 다시 황제에 즉위했다.

나폴레옹이 파리에 도착하기 6일 전인 3월 13일, 빈 회의에 참석 중이던 열강들은 그를 불법자로 선언했다.[73] 4일 후, 영국,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은 나폴레옹을 타도하기 위해 군대를 동원했다.[74] 나폴레옹은 연합군을 국내에서 맞아 싸우는 전략도 고려했지만, 왕당파를 고무시킬 위험이 있고 연합국의 준비가 늦어지고 있음을 간파하여 기선을 제압하기로 결정했다.[75]

나폴레옹은 영국·네덜란드 연합군과 프로이센군이 아직 합류하지 않은 사이에 각개 격파를 계획하고, 12만 병력을 이끌고 연합군과 싸우기 위해 벨기에로 향했다. 브뤼셀 남쪽에 주둔하는 연합군을 증원이 도착하기 전에 격파할 수 있다면 영국군을 바다로 몰아내고, 프로이센을 전쟁에서 탈락시킬 수 있었다. 이에 더해 벨기에 남부에는 프랑스어권 친(親)프랑스파 주민이 많아 프랑스군의 승리는 그 지역의 혁명의 방아쇠가 될 것이라는 점도 고려되었다. 또한 영국군은 스페인의 반도 전쟁에서 훈련된 베테랑 병사의 대부분을 미영 전쟁을 위해 북미로 보냈고, 벨기에 주둔군의 대부분은 2선급 병사였다.[76]

|thumb|upright|아서 웰즐리, 1대 웰링턴 공작, 반도 전쟁에서 프랑스에 맞서 주목할 만한 성공을 거둔 연합군 사령관]]

|thumb|upright|게르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는 프로이센군을 지휘했는데, 그는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나폴레옹을 격파한 연합군 중 하나였다]]

|thumb|left|upright=1.35|1815년 서유럽의 전략적 상황: 약 25만 명의 프랑스군이 4개의 전선에서 약 85만 명의 연합군에 맞섰다. 게다가 나폴레옹은 왕당파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서부 프랑스에 2만 명의 병력을 남겨둬야 했다.]]

2. 2. 나폴레옹의 전략과 초기 군사 작전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패배한 나폴레옹은 1815년 엘바섬을 탈출하여 프랑스로 돌아와 재집권했다. 연합군은 나폴레옹에 대항하기 위해 다시 집결했고, 나폴레옹은 이들이 집결하기 전에 각개격파를 목표로 벨기에로 진격했다.

나폴레옹은 12만 8천 명의 병력과 366문의 대포를 북쪽에 집중시켜, 웰링턴 공작이 이끄는 영국-네덜란드 연합군과 블뤼허 원수가 이끄는 프로이센군을 분리하여 격파하려 했다. 당시 연합군은 총 병력에서 프랑스군을 크게 앞섰지만, 각 부대별로 비교하면 프랑스군에게 승산이 있었다. 프랑스군은 역전의 대륙군과 불패를 자랑하는 근위대를 보유하여 질적으로 우위에 있었다.

1815년 6월 16일, 나폴레옹은 리니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에게 승리했지만, 결정적인 타격을 입히지는 못했다. 같은 날, 원수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카트르 브라 전투에서 영국-네덜란드 연합군과 교전했으나, 전략적 요충지인 카트르 브라 교차로 확보에 실패했다. 웰링턴은 프로이센군의 후퇴를 확인하고, 워털루 남쪽 몽생장 능선으로 후퇴하여 방어 진지를 구축했다.

나폴레옹은 프로이센군이 완전히 동쪽으로 퇴각했다고 오판하고 에마뉘엘 드 그루시 원수에게 별동대를 주어 추격하게 했으나, 프로이센군은 웰링턴과의 합류를 목표로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워털루 전역 지도


전투 아침, 대치하는 부대의 초기 배치(''앨리슨의 유럽사 아틀라스'')

3. 워털루 전투

병력을 여기저기 분산한 결과, 프랑스군 7만 2천 명에 맞서 웰링턴군 6만 8천 명이 워털루에서 맞붙게 되었다. 프랑스군은 연속으로 포격을 가해 웰링턴군 전선을 압박해 보병 사단의 진출로를 여는 한편, 아군 좌익에 위치한 우구몽 성 저택에 공격을 집중해 그곳을 교두보로서 노리는 것처럼 위장하였다.

실제 그곳은 커다란 전략적 가치는 없었고, 나폴레옹은 이 공격을 통해 웰링턴의 중앙 병력을 유인해내기를 기도했지만, 웰링턴은 이에 넘어가지 않고 다만 우익의 붕괴를 막기 위해 약간의 병력을 보냈을 뿐 예비 병력을 풀지 않았다.

워털루 전투 상세도


웰링턴이 의지하고 있던 진지는 가로로 긴 산등성이로 횡대로 포진하기엔 아주 좋은 방어 진지였다. 웰링턴군은 방어에 매진하면서, 위험한 상황이 아니면 부대를 산등성이 너머로 후퇴시켜 프랑스군의 포격을 피하길 계속했다.

나폴레옹은 프로이센군을 추격하기 위해 보냈던 그루시 원수를 불러들이기 위해 전령을 보낼 것을 지시했으나, 참모장을 맡은 술트 원수는 겨우 1명의 전령만을 보내는 실수를 저질렀다. 이에 나폴레옹은 "베르티에였다면 스무명은 보냈을 텐데." 하고 중얼거렸다고 한다. 하지만 이전에 주로 군단 사령관을 맡았던 술트 원수가 참모장 노릇을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있을 리 없었다. 나폴레옹은 그와 동시에 몽-생-장의 산등성이에 맹포격을 지시했다.

그러나 산등성이 너머로 후퇴한 웰링턴군에게 효과적인 타격을 주지 못하고 있을 때, 정오를 지나면서 프로이센군의 전위가 전장에서 멀리 보이는 지점까지 도달했다. 각개격파 전략을 달성하려면 양군이 합류하면 안되기 때문에 나폴레옹은 그곳에 도몽 장군 휘하 4개 사단을 급파했다. 병력의 여유는 이제 없었다.

오후 1시를 넘기며, 포격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자 에르몽이 지휘하는 중앙 4개 사단이 전진했다. 대대 단위로 3열 횡대. 정면병력 200명, 27열의 밀집횡대에 대해 웰링턴은 우익의 라-에-상트에 있던 농가를 방어 거점으로 삼아 방어했으나, 이 공격으로 격전 끝에 함락당했다.

프랑스 기병대의 돌격


나폴레옹은 흉갑기병대를 풀어 공격 성과의 확대를 기도했다. 웰링턴은 이에 맞서 중기병 2개 여단을 출격시켜 발도 돌격으로 프랑스 흉갑기병을 격파하고는 프랑스 포병 진지를 습격하기 위해 전진했으나 좌측으로 들이닥친 나폴레옹 휘하 폴란드 창기병에게 격퇴되었다. 그 사이 에르몽의 보병 4개 사단은 웰링턴군 제1방위선 하노버, 벨기에 사단을 분쇄했다. 전선에 생긴 균열에 비집고 들어가 제2방어선까지 전진하다 픽튼의 제5사단과 맞붙었다. 픽튼 장군의 전사란 대가를 지불하고 나서야 에르몽은 격퇴당했다.

보병의 정면 돌격에도 열리지 않아, 전황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프로이센군이 도착하기 전에 결판을 지어야 하는 나폴레옹은 포격을 재개했고, 웰링턴은 병력의 소모를 막기 위해 전선을 산등성이 너머로 후퇴시켰다. 이것을 본 네는 적의 퇴각으로 오판, 일거에 승리를 확실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 직속 기병에 근위기병을 합쳐 일제돌격을 가했다. 보병의 도움을 받지 않고 돌격하는 기병의 대집단에 나폴레옹은 제지하였으나 멈추지 못했고, 곧 웰링턴도 놀라 26개 대대의 보병을 13개 방진으로 만들어 제1선에 7개, 후방에 6개를 배치해 방어선을 구축했다. 기병 5천 기 돌격에 방진도 무너질 수 있었으나, 동물들이 본능적으로 방진의 총검을 두려워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방진으로 기병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방어가 되었기에 이 돌격은 실패로 끝났다.

오후 3시경, 네는 다시 한 번 기병 돌격을 준비했다. 켈러만 예비 기병 사단, 거기에 근위 기병 사단도 소집했고, 이번엔 보병을 합쳐 공격을 개시했다. 이 공격은 성공해 웰링턴군의 전선을 흔들릴 정도로 깨뜨렸다. 다만 이 진로에 참호가 있었기 때문에 추락한 병사가 많아 전과의 확대가 크지 못했다. 네의 공격에 호응하여 우익 에르몽 사단이 웰링턴군 좌익에 돌입했다. 이것을 호기로 본 네는 나폴레옹에게 증원을 요청했다. 그 시점에서 예비대로 쓰여야 할 도몽의 군단이 프로이센 군을 막으러 떠났기에 나폴레옹의 손에는 불패를 자랑하는 근위대뿐이었고, 그는 네의 요청을 거절했다.

결국 오후 6시 프로이센군이 도착해 무너진 좌익을 보강하자 웰링턴은 보병을 4열 횡대로 산개시켰다. 나폴레옹이 근위사단을 투입할 시기, 영국 보병 사단은 산등성이의 뒷면에 모습을 숨겼고, 나폴레옹의 근위대는 기병의 호위를 받으며 전진했다. 산병과 격전 끝에 능선을 확보한 순간, 영국 근위 사단이 일제사격을 퍼부었다.

불패의 근위병은 이 공격에 무너졌고, 반격도 격퇴되었다. 웰링턴은 거꾸로 영국 기병대를 내보냈다. 거기에 프로이센군이 우익에서 돌격하자 프랑스군은 패퇴하고 말았다. 그 속에서 그 때까지 투입되지 않았던 고참 근위대의 일부가 정연히 방진을 조직하여 나폴레옹의 퇴각을 엄호했다. 그 희생으로 나폴레옹은 전장을 무사히 이탈했고, 프랑스군은 패주했다. 이 때 나폴레옹은 자신의 부하들이 죽든 말든 포병사격으로 영국군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고 퇴각했다.

워털루 전투 전에 회담을 하는 웰링턴과 블뤼허.
로버트 알렉산더 힐링포드 그림.


웰링턴은 새벽 2~3시경 기상하여 블뤼허에게 최소 1개 군단의 지원을 요청하는 편지를 썼다. 오전 6시에 웰링턴은 자신의 군대 배치를 시찰했다. 블뤼허는 웰링턴을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와브르에서 뷔로의 제4군단을 워털루로 파견했다. 이들은 리니 전투에 참가하지 않아 온전했지만, 행군으로 피로한 상태였다. 폭우로 도로 사정이 좋지 않아 진군이 늦어졌지만, 오전 10시에는 순조롭게 행군하여 영국-네덜란드 연합군 좌익에서 8km 떨어진 곳까지 진격했다. 뷔로의 병사들에 이어 제1군단과 제2군단도 워털루로 향했다.

회전 전날 밤 나폴레옹의 사령부가 위치했던 르 카이유(''Le Caillou'') 농장


나폴레옹은 르 카이유에서 아침 식사를 하면서 술트의 그루시 군대 합류 제안을 거절하고, 웰링턴과 영국군을 얕보는 발언을 했다. 그러나 이는 "전장에서는 사기가 전부"라는 그의 격언처럼, 사기 고취를 위한 행동으로 해석된다. 그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전투 전 사기를 높이는 연설을 했다.

나폴레옹은 동생 제롬으로부터 프로이센군이 와브르에서 행군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지만, 프로이센군이 재기하려면 최소 2일이 걸릴 것이라며 그루시가 처리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나 프랑스군 지휘관들은 프로이센군의 접근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고, 5시간 후 워털루 전장에 쇄도할 것을 예상하지 못했다.

전투 시작은 오전 9시로 계획되었지만, 폭우로 지면이 젖어 기병과 포병 이동이 어려워지면서 오후 1시로 늦춰졌다. 이는 프로이센군의 전장 지원을 늦춰 나폴레옹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오전 10시, 나폴레옹은 그루시에게 와브르로 향하여 프로이센군을 "밀어내라"는 모호한 명령을 내렸다.

오전 11시, 나폴레옹은 전체 명령을 발령하여 레이유 장군의 제2군단과 델롱 장군의 제1군단에게 몽생장 마을의 교차로를 확보하도록 지시했다. 이 명령은 영국-네덜란드 연합군 전선이 능선 뒤 마을에 있다고 가정한 것이었다. 제롬의 사단은 우구몽을 선제 공격하여 영국-네덜란드 연합군의 예비 병력을 유인할 계획이었다. 오후 1시경, 프랑스군 대포열이 영국-네덜란드 연합군 중앙에 포격을 시작하고, 델롱 군단이 좌익을 공격하여 동쪽으로 선회하는 포위 작전이 계획되었다. 나폴레옹은 영국-네덜란드 연합군을 프로이센군으로부터 분리하여 바다로 몰아넣을 계획이었다.

3. 1. 전장과 양측 군대 배치

워털루는 브뤼셀 남동쪽 약 13km 지점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였다.[130][131] 웰링턴은 몽생장 능선을 따라 방어선을 구축하고, 우구몽 농가, 라에생트 농가, 파플로트 마을을 주요 방어 거점으로 삼았다.[118][120] 나폴레옹은 라벨알리앙스 여관을 중심으로 병력을 배치하고, 웰링턴 군대의 중앙 돌파를 목표로 했다.[121]

1816년 지도, 지역 지형과 전투 위치 표시


사자 언덕에서 본 전장의 모습. 오른쪽 상단에는 라 에 생트 건물이 있다.


|thumb|200px|left|워털루 전투 전에 회담을 하는 웰링턴과 블뤼허.
로버트 알렉산더 힐링포드 그림.]]

|thumb|200px|회전 전날 밤 나폴레옹의 사령부가 위치했던 르 카이유(''Le Caillou'') 농장]]

웰링턴이 선택한 워털루 지형은 강력했다. 동서로 뻗어 브뤼셀로 가는 주요 도로와 직각을 이루며 도로에 의해 양분된 긴 능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능선 꼭대기를 따라 오앵 도로가 뻗어 있었고, 깊은 함몰 차선이 있었다.[116] 브뤼셀 도로와 교차로 근처에는 커다란 느릅나무가 있었는데, 이는 웰링턴의 위치 중앙에 대략 위치해 있었으며, 하루의 대부분 동안 그의 지휘소 역할을 했다. 웰링턴은 오앵 도로를 따라 능선 꼭대기 바로 뒤에 보병을 배치했다.[116]

웰링턴은 이전에도 여러 번 그랬던 것처럼 역경사를 사용하여 산병과 포병을 제외하고 자신의 병력을 프랑스군으로부터 숨겼다.[116] 전장의 전선 길이도 약 4km 로 비교적 짧았다. 이는 웰링턴이 중앙과 오른쪽에서 브렌-랄뢰드 마을까지 병력을 깊이 배치할 수 있게 했으며, 프로이센군이 낮 동안 그의 좌익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했다.[117]

능선 앞에는 요새화할 수 있는 세 개의 지점이 있었다. 가장 오른쪽에는 우구몽의 성, 정원, 과수원이 있었다. 이곳은 크고 잘 지어진 시골집으로, 처음에는 나무에 가려져 있었다. 이 집은 보급품을 받을 수 있는 함몰된 덮인 차선(일반적으로 영국인들은 "할로우-웨이"라고 묘사)을 따라 북쪽을 향하고 있었다. 가장 왼쪽에는 파플로트 촌락이 있었다.[118]

우구몽과 파펠로트는 모두 요새화되어 주둔했으며, 이로써 웰링턴의 측면을 안전하게 고정했다. 파펠로트는 또한 프로이센군이 웰링턴의 위치에 지원군을 보내기 위해 사용할 바브르로 가는 길을 지휘했다. 주요 도로의 서쪽과 웰링턴의 나머지 전선 앞에, 킹스 게르만 군단의 경보병 400명이 주둔한 라 에 생트의 농가와 과수원이 있었다.[118] 도로 반대편에는 사용하지 않는 모래 채석장이 있었고, 이곳에 제95 소총 연대가 저격수로 배치되었다.[119]

웰링턴의 병력 배치는 공격 병력에게 엄청난 도전을 제기했다. 웰링턴의 오른쪽을 돌파하려는 시도는 요새화된 우구몽 지점을 점령해야 했다. 그의 우익 중앙을 공격하는 것은 공격자들이 우구몽과 라 에 생트의 측사 및 방어 화력 사이를 행진해야 함을 의미했다. 왼쪽에서는 어떤 공격도 라 에 생트와 인접한 모래 구덩이에서 발사되는 화력에 의해 측면 공격을 받았고, 왼쪽 측면을 돌파하려는 시도는 파플로트 주변 차선과 울타리, 그리고 그 측면에 있는 다른 주둔 건물을 통과하여 싸워야 했으며, 스모해인 협곡의 매우 습한 땅에서도 싸워야 했다.[120]

프랑스군은 남쪽의 또 다른 능선 경사면에 형성되었다. 나폴레옹은 웰링턴의 위치를 볼 수 없었으므로, 브뤼셀 도로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병력을 배치했다. 오른쪽에는 에를롱 휘하의 제1군단이 16,000명의 보병과 1,500명의 기병, 그리고 4,700명의 기병 예비대를 거느리고 있었다. 왼쪽에는 레일 휘하의 제2군단이 13,000명의 보병과 1,300명의 기병, 그리고 4,600명의 기병 예비대를 거느리고 있었다. 라 벨 알리앙스 여관 남쪽 도로 중앙에는 로보의 제6군단 6,000명, 황실 근위대 13,000명, 그리고 2,000명의 기병 예비대를 포함한 예비대가 있었다.[121]

프랑스군 위치의 오른쪽 후방에는 상당한 규모의 플랑세노이트 마을이 있었고, 가장 오른쪽에는 파리 숲이 있었다. 나폴레옹은 처음에는 전장을 모두 볼 수 있는 로소메 농장에서 전투를 지휘했지만, 오후 초반에 라 벨 알리앙스 근처의 위치로 이동했다. 전장 지휘(그의 시야에서 대부분 가려져 있었음)는 에게 위임되었다.[122]

워털루 전투에는 세 군대가 참여했다. 나폴레옹의 북부 방면군, 웰링턴 휘하의 다국적 군대, 블뤼허 장군 휘하의 프로이센 군대였다.

복위한 나폴레옹의 전략은 영국-네덜란드 연합군과 프로이센군을 분단하여 각개 격파하는 것이었다. 워털루 전투에 참가한 나폴레옹의 북부 방면군은 72,000명으로, 보병 57,000명, 기병 15,000명, 대포 250문으로 구성되어 있다.[89][90] 나폴레옹은 정권을 탈환한 후 18만 명의 루이 18세의 군대에 더해, 긴축 재정으로 인해 장기 휴가를 받거나 비공식적으로 제대했던 병사들, 그리고 1814년 전역에서 탈주했던 자들 등 실전 경험이 있는 병사들을 모았으며[91], 이들 노련한 병사들을 핵심으로 훈련이 미숙한 신병들을 합쳐 워털루 전투의 나폴레옹 군대를 이루었다.[92] 노련한 병사들의 사기는 높았으며, "전년도의 치욕을 씻고자 광신적인 열의를 보였다"고 전해진다.[93] 무기는 비교적 충분했지만, 다년간의 전쟁으로 인해 군마가 현저히 부족했으며[91], 기마술도 불충분했다.[92]

영란 연합군을 지휘한 웰링턴 공은 반도 전쟁의 역전의 장군이었다. 웰링턴은 자신의 군대에 대해 "형편없는 군대, 매우 약하고 장비도 열악하며, 참모들은 전혀 경험 부족이었다"고 말했다[106]。워털루 전투에 참가한 68,000명의 그의 군대는 보병 50,000명, 기병 12,000명, 포병 6,000명, 포 156문으로 구성되었다[65]。이 중 24,000명이 영국군이었고, 6,000명은 왕 직속 독일인 부대의 병사였다[65]。영국군의 전원이 정규병이었지만, 반도 전쟁에 종군한 베테랑은 7,000명에 불과했다[107]。이에 더해, 17,000명의 네덜란드인과 벨기에인 병사가 있었고, 하노버 병 11,000명, 브라운슈바이크 병 6,000명, 나사우 병 3,000명으로 구성되었다[108]

퓌헬 원수는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나폴레옹을 격파한 연합군 중 프로이센군을 지휘했다. 참모장인 그나이제나우 중장은 프로이센의 군제 개혁을 추진한 중심 인물이다[113]

프로이센군은 어려운 재편성 과정에 있었다. 1815년 시점에서, 이전의 예비 연대, 외국인 부대 그리고 1813년부터 1814년에 걸쳐 편성된 의용군('Freikorps')은 정규군과 다수의 후비병 (란트베어: 민병) 연대에 통합되는 과정에 있었다. 벨기에에 도착한 시점에서는 란트베어의 대부분은 미훈련 상태였고 무기도 지급되지 않았다. 프로이센군 기병도 마찬가지 상태였다[114]。 포병대도 재편성 중이었고, 만전의 상태로 행동할 수 없었으며, 포와 장비는 회전 중에 그리고 후에 도착하는 형편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불리함도 프로이센군 참모부가 작전 중에 보인 훌륭한 지휘 통솔로 상쇄되었다. 이들 장교는 참모 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네 개의 학교 출신으로, 공통된 기준의 훈련을 받고 임무를 수행했다. 이 시스템은 모순되고 애매한 명령을 내리기 쉬웠던 프랑스군과는 대조적이었다. 이 참모 시스템 덕분에 프로이센군은 리니 전투 전에 불과 24시간 만에 병력의 4분의 3을 집결할 수 있었다. 리니 전투 후에도, 프로이센군은 패배했지만 보급 부대를 재정비하고 자군을 재편성하여 48시간 이내에 워털루 전장에 도착할 수 있었다[115]。 프로이센의 2개 반 군단 48,000명이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다. 뷰로 제4군단장이 이끄는 2개 여단이 16시 30분에 로바우의 프랑스군 제6군단을 공격했고, 지텐의 제1군단과 필르히의 제2군단 일부가 18시에 지원했다.

{|

|-

|style="vertical-align:top"|

|800px|center]]



|}

3. 2. 전투의 경과

워털루에서 벌어진 전투는 1815년 6월 18일, 프랑스군 7만 2천 명과 웰링턴 공작이 이끄는 영국군 6만 8천 명 사이에서 벌어졌다. 프랑스군은 포격을 통해 영국군 전선에 압박을 가하고, 좌익의 우구몽 성 저택을 공격하는 척하며 웰링턴의 주력 부대를 유인하려 했다. 그러나 웰링턴은 이에 속지 않고 우익 방어에만 약간의 병력을 보냈을 뿐, 예비 병력을 움직이지 않았다.

웰링턴군은 긴 산등성이에 횡대로 포진하여 방어에 유리한 지형을 활용했다. 이들은 프랑스군의 포격을 피하기 위해 산등성이 너머로 후퇴하는 전술을 사용했다. 나폴레옹은 프로이센군을 추격하던 그루시 원수에게 복귀 명령을 내렸지만, 참모장 술트 원수의 실수로 전령이 한 명밖에 파견되지 않았다.

정오가 지나 프로이센군 선발대가 전장에 가까워지자, 나폴레옹은 양군이 합류하기 전에 전투를 끝내기 위해 도몽 장군에게 4개 사단을 급파했다. 오후 1시, 에르몽의 4개 사단이 중앙 공격을 개시했고, 웰링턴군은 라-에-상트 농가를 거점으로 방어했지만 격전 끝에 함락당했다.

나폴레옹은 흉갑기병대를 투입하여 공격을 확대하려 했으나, 웰링턴은 중기병 2개 여단으로 맞서 프랑스 기병을 격파하고 포병 진지를 공격했다. 그러나 나폴레옹 휘하 폴란드 창기병의 반격으로 영국 중기병대는 격퇴되었다. 에르몽의 보병 사단은 웰링턴군 제1방위선을 돌파했지만, 픽튼의 제5사단과의 전투에서 픽튼 장군이 전사하는 등 큰 피해를 입고 격퇴되었다.

전황이 교착 상태에 빠지자 나폴레옹은 포격을 재개했고, 웰링턴은 병력 소모를 막기 위해 전선을 후퇴시켰다. 이를 오판한 네 원수는 기병 돌격을 감행했지만, 웰링턴군은 방진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방어했다. 오후 3시경, 네는 다시 기병 돌격을 시도했고, 보병 지원을 받아 웰링턴군 전선을 흔들었지만, 참호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네는 나폴레옹에게 증원을 요청했지만, 나폴레옹은 예비 병력 부족으로 거절했다.

오후 6시, 프로이센군이 도착하여 무너진 영국군 좌익을 보강하자 웰링턴은 보병을 4열 횡대로 산개시켰다. 나폴레옹은 근위사단을 투입했지만, 영국 근위 사단의 일제 사격에 무너졌다. 웰링턴은 기병대를 투입하여 반격했고, 프로이센군이 우익에서 돌격하자 프랑스군은 패퇴했다. 고참 근위대 일부가 방진을 형성하여 나폴레옹의 퇴각을 엄호했지만, 프랑스군은 패주했다.

웰링턴은 새벽 2~3시경 기상하여 블뤼허에게 최소 1개 군단의 지원을 요청하는 편지를 썼다. 오전 6시에 웰링턴은 자신의 군대 배치를 시찰했다. 블뤼허는 웰링턴을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와브르에서 뷔로의 제4군단을 워털루로 파견했다. 이들은 리니 전투에 참가하지 않아 온전했지만, 행군으로 피로한 상태였다. 폭우로 도로 사정이 좋지 않아 진군이 늦어졌지만, 오전 10시에는 순조롭게 행군하여 영국-네덜란드 연합군 좌익에서 8km 떨어진 곳까지 진격했다. 뷔로의 병사들에 이어 제1군단과 제2군단도 워털루로 향했다.

|thumb|200px|회전 전날 밤 나폴레옹의 사령부가 위치했던 르 카이유(''Le Caillou'') 농장]]

나폴레옹은 르 카이유에서 아침 식사를 하면서 술트의 그루시 군대 합류 제안을 거절하고, 웰링턴과 영국군을 얕보는 발언을 했다. 그러나 이는 "전장에서는 사기가 전부"라는 그의 격언처럼, 사기 고취를 위한 행동으로 해석된다. 그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전투 전 사기를 높이는 연설을 했다.

나폴레옹은 동생 제롬으로부터 프로이센군이 와브르에서 행군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지만, 프로이센군이 재기하려면 최소 2일이 걸릴 것이라며 그루시가 처리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나 프랑스군 지휘관들은 프로이센군의 접근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고, 5시간 후 워털루 전장에 쇄도할 것을 예상하지 못했다.

전투 시작은 오전 9시로 계획되었지만, 폭우로 지면이 젖어 기병과 포병 이동이 어려워지면서 오후 1시로 늦춰졌다. 이는 프로이센군의 전장 지원을 늦춰 나폴레옹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오전 10시, 나폴레옹은 그루시에게 와브르로 향하여 프로이센군을 "밀어내라"는 모호한 명령을 내렸다.

오전 11시, 나폴레옹은 전체 명령을 발령하여 레이유 장군의 제2군단과 델롱 장군의 제1군단에게 몽생장 마을의 교차로를 확보하도록 지시했다. 이 명령은 영국-네덜란드 연합군 전선이 능선 뒤 마을에 있다고 가정한 것이었다. 제롬의 사단은 우구몽을 선제 공격하여 영국-네덜란드 연합군의 예비 병력을 유인할 계획이었다. 오후 1시경, 프랑스군 대포열이 영국-네덜란드 연합군 중앙에 포격을 시작하고, 델롱 군단이 좌익을 공격하여 동쪽으로 선회하는 포위 작전이 계획되었다. 나폴레옹은 영국-네덜란드 연합군을 프로이센군으로부터 분리하여 바다로 몰아넣을 계획이었다.

3. 2. 1. 우구몽 전투

우구몽 농장에 주둔한 나소 군대




우구몽.
윌리엄 밀러 그림, 1836년.


역사학자 앤드루 로버츠는 "워털루 전투의 이상한 사실은 이 전투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확신할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점이다"라고 말했다[136]。 웰링턴은 공문서에서 "10시경 나폴레옹이 우리 군의 거점이 있던 우구몽에 격렬한 공격을 가해왔다"라고 기록했다[137]。 다른 사료는 11시 30분에 공격이 시작되었다고 언급하고 있다[138]

우구몽 저택과 그 주변은 근위 경보병 4개 중대, 과수원과 정원은 하노버군 엽병 및 나사우군 제2연대 제1대대가 각각 지켰다[139]。 제롬 보나파르트의 제6사단이 공격의 포문을 열어 휘하의 보드완 장군의 제1여단이 돌입하여 과수원과 정원의 수비대를 몰아냈지만, 지휘관 보드완이 전사했다[140]。 제롬은 기마 포병의 지원을 받아 소와예 장군의 제2여단을 투입하여 공격을 계속했지만, 영국군 왕실 기마 포병의 곡사포 포격에 공격이 둔화되었다[141]。 프랑스군 포병이 전진하여 대포병 사격으로 영국군 포병이 제압되자, 소와예는 병력을 진격시켜 저택의 북문을 부수고 내부로 돌입했다[142]。 프랑스 병사 일부는 안뜰까지 도달했지만, 영국군에게 문을 탈환당해 갇혀 전멸했다[143]。 제롬은 주공세 전의 견제 공격 역할을 수행했지만, 계속 공격을 이어가 포와 장군의 제9사단까지 이 전투에 끌어들였고, 한편 웰링턴도 제2 근위 보병 연대와 제3 근위 보병 연대 일부를 우구몽에 보냈다[144]

우구몽에서의 전투는 오후 내내 계속되었다. 그 주변은 프랑스군 경보병에 의해 여러 겹으로 포위되었고, 연계된 공격이 우구몽 내의 부대에 가해졌다. 영국-네덜란드군은 저택과 북쪽으로 통하는 웅덩이 길을 지켰다. 오후에 나폴레옹은 포격으로 집에 불을 지르라고 명령했고[145], 그 결과 예배당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파괴되었다. 국왕 직속 독일군 부대인 뒤 프라의 여단은 웅덩이 길 방어에 투입되었으며, 고급 장교가 없는 상태에서 이 임무를 수행해야 했다. 결국 그들은 영국군 의 지원을 받았다. 아담 장군의 영국군 제3여단은 의 하노버군 제3여단에 의해 증강되어, 레이유가 보낸 프랑스군 보병 및 기병의 추가 공격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 결국 우구몽은 이 회전 동안 버텨냈다.

우구몽에서의 전투는 원래 웰링턴의 예비 병력을 유인하기 위한 양동 공격이었으나 종일 전투로 에스컬레이션되어, 반대로 프랑스군의 예비 병력이 소모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종종 이야기된다[147][148]。 그러나 실제로는 나폴레옹과 웰링턴 모두 우구몽 확보가 회전의 승리의 열쇠라고 생각했다는 견해도 있다. 우구몽은 나폴레옹이 잘 볼 수 있는 장소였으며, 그는 오후 내내 병력을 이곳과 그 주변에 계속 보냈다(총 33개 대대, 14,000명). 마찬가지로 웰링턴도, 원래 대병력을 수용할 수 없는 이 저택에 21개 대대(12,000명)를 투입했고, 웅덩이 길을 지킬 수 있었기 때문에 보충병과 탄약을 저택 내 건물에 계속 공급할 수 있었다. 전투 중 웰링턴은 적군의 격렬한 압력을 받고 있는 중앙부에서 포병대를 빼내 우구몽을 지원했으며[149], 나중에 그는 "회전의 승리는 우구몽의 문을 계속 닫아두는 데 달려 있었다"라고 말했다[150]

3. 2. 2. 프랑스군의 초기 공격과 영국 중기병대의 반격

오후 1시경, 프랑스군은 대규모 포격을 개시한 후 보병 공격을 시작했다.[152] 이 공격은 에셜론 대형으로, 4개 사단이 400보 간격으로 진격했다. 이 중 제1, 2, 3사단은 "대대 편제 사단 종대"라는 밀집 대형을 취해 전술적 융통성이 부족했고, 포병의 좋은 표적이 되었다.[162] 특히, 제2사단은 라 에 생트 농가를 공격하여 격전 끝에 함락시켰다.[162] 키오가 지휘한 제1사단은 라 에 생트의 남서쪽을 공격하고, 부르주아는 같은 지역의 동쪽을 공격했다.[228]

라 에 생트 - 전투가 진행되면서 방어와 통제가 중요해진 전술적 요충지.


프랑스군의 공격은 바일란트가 지휘하는 영국-네덜란드 연합군 제1여단을 격퇴하고, 피크턴 휘하의 영국 및 하노버 군대에게까지 압박을 가했다. 그러나 피크턴의 반격으로 프랑스군은 주춤했고, 피크턴은 전사했다.[168] 이 전투에서 프랑스군 제105연대의 독수리기와 제45연대의 독수리기가 영국군에 노획되었다. [183]

이때, 얼스브리지는 영국 중기병대에게 반격을 명령했다. 로드 에드워드 서머셋 소장 휘하의 제1 여단(근위 여단)과 윌리엄 폰손비 경 소장 휘하의 제2 여단(유니언 여단)이 돌격했다.

|left|thumb|upright|돌격하는 영국 근위 기병]]

근위 여단은 에를롱의 좌익을 지키던 흉갑기병을 격파하고, 아울라드 여단을 파괴했다.[179] 유니언 여단은 보병선을 휩쓸고 지나갔으며, 제92 고든 하이랜더 연대 일부가 돌격에 동참했다는 전설이 있다.[171][182] 로열 드래군은 부르주아 여단을 파괴하고 ''105e 리뉴''의 독수리를 포획했고, 이니스킬링은 코이트 사단의 다른 여단을 궤멸시켰으며, 스코츠 그레이는 ''45e 리뉴''의 독수리를 포획했다.[183] 그러나 뒤뤼트 사단은 사각대형을 형성하여 스코츠 그레이를 저지했다.

|thumb|upright|이와트 중사가 스코츠 그레이가 ''45e 리뉴''의 독수리를 포획하는 모습]]

|thumb|upright=1.35|''스코틀랜드 포에버!'', 워털루 전투에서 엘리자베스 톰슨이 그린 로열 스코츠 그레이의 돌격]]

영국 중기병대는 프랑스군 본대 앞으로 진격했으나, 나폴레옹은 즉시 흉갑 기병대와 창기병 연대의 반격을 명령했다.

|thumb|upright|left|유니언 여단을 궤멸시킨 기병대의 슈보-레제르 (창기병)]]

이 반격으로 유니언 여단은 큰 피해를 입고 궤멸되었으며, 폰손비는 전사했다. 근위 여단 역시 큰 피해를 입었으나, 제1 생명 근위대와 블루스는 결속력을 유지했다.[33] 반델러 소장과 지니 소장, 트립 소장이 반격하여 프랑스 기병대를 격퇴했으나, 영국 중기병대는 큰 피해를 입었다.[187]

|thumb|워털루에서 네덜란드 벨기에 카라비니어]

이 공격으로 프랑스군 제1군단은 3,000명의 사상자와 2,000명 이상의 포로를 냈다.[156]

3. 2. 3. 프랑스 기병대의 돌격과 실패

오후 4시경, 네 원수는 기병만으로 영국-네덜란드 연합군 중앙 돌파를 시도했다.[192] 네는 보병 예비대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보병이 우구몽 공격이나 프랑스 우익 방어에 투입되었기 때문이었다.[193] 초기에는 퀴라시에 기병으로 구성된 밀로의 예비 기병 군단과 레페브르-데노에트의 제국 근위 경기병 사단, 약 4,800명의 기병이 투입되었다.[193] 이 공격은 엄호 보병과 포병 없이 결행되었다.[194]

네 원수가 프랑스 기병 돌격을 지휘하는 모습, 루이 드무랭의 ''워털루 전투 파노라마''에서 발췌


''프랑스 흉갑기병'', 루이 드무랭 작


웰링턴의 보병은 사각형(속이 빈 상자 형태, 깊이 4열)으로 대응했다.[195] 500명 규모의 대대 사각형은 한 변이 18m를 넘지 않았다.[195] 보병 사각형은 자리를 지키면 기병에게 치명적이었다. 기병은 칼날로 뒤덮인 방어벽 뒤에 있는 병사들과 교전할 수 없었지만, 사각형의 사격에 취약했다. 말은 사각형을 향해 돌격하지 않을 것이고, 측면을 공격할 수도 없었지만, 포병이나 보병에 취약했다.[196] 웰링턴은 기병이 접근하자 포병 병사들에게 사각형 안으로 대피하라고 명령하고, 기병이 후퇴하면 포대로 돌아가 사격을 재개하라고 명령했다.[196]

영국 보병의 증언에 따르면 12번의 공격이 있었다.[197] 그러나 기병 부대의 넓은 전선과 우구몽과 라 에 생트 사이의 공간 때문에, 대규모 기병 진격은 실제로는 여러 차례의 연속적인 파도로 이루어졌을 것이다.[205]

프랑스 기병의 첫 번째 공격에 대한 영국 측 증언인 근위 보병대의 한 장교는 자신의 인상을 매우 생생하고 다소 시적으로 기록했다.

"포병 장교들은 정확하게 사정거리를 조절하여 모든 포탄과 포탄이 그들의 대열 중앙에 떨어지게 했다." (조지 존스의 원본 비문과 그림)


이러한 유형의 대규모 기병 공격은 효과를 위해 거의 전적으로 심리적 충격에 의존했다.[198] 근접 포병 지원은 보병 사각형을 붕괴시키고 기병의 돌파를 허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워털루에서는 프랑스 기병과 포병 간의 협력이 인상적이지 않았다. 프랑스 포병은 앵글로-연합 보병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가까이 접근하지 못했다.[199]

공격받는 보병이 사각형 방어 대형을 굳건히 지키고 당황하지 않으면, 기병은 자체적으로 그들에게 거의 피해를 입힐 수 없었다. 프랑스 기병 공격은 프랑스 기병이 재집결하기 위해 경사면을 따라 물러설 때 영국 포병의 맹렬한 사격과 웰링턴의 경기병 연대, 네덜란드 중기병 여단, 그리고 호위 기병대의 나머지 유효 병력의 결정적인 반격에 의해 반복적으로 격퇴되었다.[200]

영국 사각형이 공격하는 프랑스 기병에 대해 완강하게 저항한다


최소 한 명의 포병 장교가 돌격 중 인접한 사각형으로 대피하라는 웰링턴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 머서 대위는 'G' 부대, 왕립 마차 포병의 지휘관이었는데, 그의 양쪽에 있던 브런즈윅 군대가 너무 흔들려서 그의 9파운더 포 6문을 기병을 상대로 계속 사용했고, 그 효과는 컸다.[200]

불분명한 이유로, 프랑스가 점령하고 있는 동안 다른 앵글로-연합군의 총기에 스파이크를 박으려는 시도는 없었다. 웰링턴의 명령에 따라 포병은 각 공격 후 후퇴할 때 프랑스 기병을 향해 사격하기 위해 자신의 포대로 돌아갈 수 있었다.[202] 몽 생 장 능선에 대한 수많은 대가 크고 결실 없는 공격 이후, 프랑스 기병은 소모되었다.

그들의 사상자는 쉽게 추정할 수 없다. 수석 프랑스 기병 장교, 특히 장군들은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4명의 사단 지휘관이 부상을 입었고, 9명의 여단장이 부상을 입었으며, 1명이 사망했는데, 이는 그들의 용기와 선두에서 이끄는 습관에 대한 증거이다.[206]

결국, 네조차도 기병만으로는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뒤늦게 바첼루의 사단과 레이유의 제2군단에서 포이 사단의 티소 연대(약 6,500명의 보병) 그리고 싸울 수 있는 상태로 남아 있는 프랑스 기병대를 사용하여 합동 공격을 조직했다. 이 공격은 이전 중기병 공격과 거의 동일한 경로(우구몽과 라 에이 생트 사이)로 향했다.[211] 이 공격은 욱스브리지의 지휘를 받는 근위 기병대의 돌격에 의해 중단되었다. 그러나 영국 기병대는 프랑스 보병을 격파하지 못하고 소총 사격으로 피해를 입고 물러섰다.[212]

프랑스 기병대는 웰링턴의 중앙에 직접적인 피해를 거의 입히지 않았지만, 포병의 사격은 그의 보병 사각형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웰링턴의 기병대는 좌익의 존 반데르레르 경과 허시 비비안 경의 여단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투에 투입되었고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3. 2. 4. 라에생트 함락과 위기

오후 6시경, 네는 라에생트 농가 공격을 재개하여 성공시켰다. 이는 킹스 독일 군단의 탄약 부족과 프랑스군의 끈질긴 공격이 맞물린 결과였다. 독일군은 전장 중앙을 굳건히 지키며 프랑스군의 진격을 지연시켰지만, 결국 라에생트는 함락되고 말았다.

''The storming of La Haye Sainte'' by Knötel
''Knötel의 라 에 생트 습격''


라에생트 함락 직후, 네는 기병 포병을 웰링턴 군대 중앙으로 이동시켜 캐니스터탄 포격을 퍼부었다. 짧은 거리에서 가해진 포격에 영국-네덜란드 연합군 보병대는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제30 연대와 제73 연대는 막대한 피해를 입고 제대로 된 방진을 구성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프랑스군의 라에생트 점령은 영국-네덜란드 연합군에 매우 불리한 상황을 초래했다. 연합군 중앙이 노출되었고, 프랑스군은 연합군 중심부에서 불과 60야드 거리에 배치되었다. 프랑스군은 포병 지원을 받으며 보병을 전진시켜 웰링턴 군대의 좌익과 우익에 맹렬한 포격을 가했다. 이는 나폴레옹이 바라던 상황으로, 네는 연합군 중앙 돌파 직전까지 다다랐다.

프랑스 산병들은 라에생트 뒤 유리한 위치를 점령하고 연합군 방진에 효과적인 사격을 가했다. 제33 연대 군기와 할켓 여단의 군기는 안전을 위해 후방으로 보내질 정도였다.

웰링턴은 상황이 심각함을 인지하고 프랑스군을 저지하려 했으나, 네덜란드-벨기에 기병 연대는 명령을 거부하고 후퇴했고, 메를렌의 경 기병 여단은 프랑스 포병 공격에 붕괴되었다. 웰링턴의 마지막 기병 예비대마저 큰 피해를 입으면서, 프랑스 기병은 전장을 장악하고 연합군 보병을 방진에 가두었다.

프랑스 포대는 1/1 나소 사각형 대형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고, 머서 포대는 프랑스군의 집중 포격에 큰 피해를 입었다. 프랑스 산병들은 제27 연대 사각형 대형을 내려다보는 언덕을 점령하고 사격을 가해, 제27 연대는 3~4시간 만에 병력의 3분의 2를 잃는 괴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피츠로이 서머셋, 캐닝, 드 랑시, 알텐, 쿡 등 웰링턴의 주요 장군과 부관들이 죽거나 부상당하는 등, 웰링턴 군대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였다. 웰링턴은 프로이센군의 지원을 간절히 기다렸지만, 프로이센군의 도착은 예상보다 늦어졌다.

3. 2. 5. 프로이센군의 도착과 플랑스누아 전투

오후 4시 30분경, 뷜로 장군의 프로이센군 제4군단이 전장에 도착하여 프랑스군 우측의 플랑스누아를 공격했다.[223] 뷜로는 플랑스누아를 점령하여 프랑스군의 배후를 찌르려 했고, 이를 위해 프리슈몽 성채를 확보하려 했다.[223] 블뤼허와 웰링턴은 오전 10시부터 연락을 주고받았으며, 웰링턴의 중앙이 공격받을 경우 프리슈몽으로 진격하기로 합의했다.[224]

나폴레옹은 뷜로의 제4군단을 저지하기 위해 로바우 장군의 제6군단을 파견했다. 프로이센군 제15여단은 결사적인 총검 돌격으로 프리슈몽에서 프랑스군을 몰아내고 플랑스누아로 진격했다. 이로 인해 로바우 군단은 플랑스누아 방면으로 퇴각했고, 프랑스군의 유일한 퇴각로가 위협받게 되었다.[226]

힐러 장군의 프로이센군 제16여단도 플랑스누아를 공격했다. 나폴레옹은 로바우를 지원하기 위해 신규 근위대 8개 대대를 투입했다. 신규 근위대는 한때 플랑스누아를 확보했지만, 프로이센군의 반격에 밀려났다.[227] 나폴레옹은 중견 근위대와 구참 근위대에서 2개 대대를 추가 투입하여 치열한 백병전 끝에 마을을 탈환했다.[227]

플랑스노와 돌입.
루드비히 엘숄츠 그림, 1843년.


아돌프 노던이 그린 플랑세노이트에 대한 프러시아군의 공격


저녁 무렵, 프로이센군 제5, 제14, 제16 여단이 다시 플랑스누아를 공격했다.[243] 격전 끝에 프로이센군은 플랑스누아를 점령했다. 플랑스누아의 핵심 위치는 남쪽의 샹틀레 숲이었고, 피르히의 제2군단 2개 여단이 도착하여 제4군단의 공격을 강화했다.[243] 프로이센군 제25연대 머스킷총 대대는 제1 구(舊) 근위 척탄병 연대 제2 대대를 샹틀레 숲에서 몰아내고 플랑스누와의 측면을 공격, 프랑스군을 퇴각시켰다.[243]

프랑스 젊은 근위대 사단은 96%의 사상자를 기록했고, 로바우 군단의 3분의 2가 사라졌다.[228]

3. 2. 6. 나폴레옹 근위대의 최후 돌격과 패배

저녁 7시 30분경, 나폴레옹은 최후의 예비 병력인 근위대를 투입하여 영국-네덜란드 연합군 중앙 돌파를 시도했다.[234] 이 공격은 군사 역사상 유명한 사건 중 하나이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부대가 참가했는지는 불확실하며, 구 근위대의 척탄병이나 경보병이 아닌, 중견 근위대 5개 대대에 의해 수행된 것으로 보인다.[234] 3개 구 근위대 대대는 전진하여 공격의 제2진을 구성했지만, 예비대로 남아 영국-네덜란드 연합군에 대한 직접 공격에는 가담하지 않았다.[234]

구 근위대에게 영국-네덜란드 연합군에 대한 공격 준비를 명령하는 나폴레옹.


구 근위대의 척탄병.


약 3,000명의 중견 근위병은 라 에 생트 서쪽까지 전진하여 공격을 위해 세 방향으로 나뉘었다. 2개 중견 근위 척탄병 대대로 구성된 집단은 영국, 브라운슈바이크, 나사우 병사들로 구성된 제1선을 돌파했다.[236] 다비드 헨드릭 샤세 장군의 네덜란드-벨기에군 제3사단이 그들을 막기 위해 투입되었으며, 영국-네덜란드군의 포병이 중견 근위 척탄병의 측면을 공격했다. 샤세는 자신의 제1여단에게 수적으로 열세인 중견 근위대에 대한 돌격을 명령했고, 중견 근위대는 위축되어 궤멸되었다.[237]

카렐 프레데릭 크라머 드 비신의 지휘 아래 네덜란드 포병 병사들이 프랑스 근위대에 맞서 포를 배치하고 있다.


샤세가 그의 부대의 진격을 이끌고 있다


서쪽에서는 페레그린 메이트랜드 소장의 영국군 제1 근위 여단 1,500명이 프랑스군의 포격으로부터 몸을 숨기고 있었다. 프랑스군 제2파인 2개 중견 근위 경보병 대대가 접근하자 메이트랜드의 근위 보병은 일어나 맹렬한 일제 사격을 퍼부었다.[238] 중견 근위대의 경보병은 이에 응전하고자 펼쳐졌지만, 흔들리기 시작했다. 영국군 근위 보병대에 의한 총검 돌격이 이를 격파했다. 무사한 근위 경보병 대대로 구성된 제3파가 지원을 위해 달려왔다. 영국군 근위병은 후퇴하고, 프랑스군 중견 근위 경보병이 이를 추격했지만, 존 콜본 중령이 지휘하는 제52 경보병 연대가 그들의 측면으로 돌아가 강력한 사격을 가하며 돌격했다.[237],[239] 이 맹공으로 프랑스군 제3파도 격파되었다.[239]

영국군 제10 경기병 연대가 전투 마지막 단계에서 근위대 척탄병의 사각형을 포함한 혼합 프랑스군을 공격하고 있다.


마지막 황제 근위대가 일사불란하게 퇴각하자, 프랑스군 전선에 "근위대가 퇴각했다. 살 길을 찾아라!" ("''La Garde recule. Sauve qui peut''!" )라는 소식이 퍼져나가 공황 상태가 일어났다. 웰링턴은 총진격을 명령했고, 그의 군대는 퇴각하는 프랑스군에게 덮쳤다.[237]

살아남은 황제 근위대 병사들은 라 에 생트 남쪽에 배치되어 있던 3개 대대에 모였다. 프레데릭 아담 소장의 제3여단과 하노버군 후비병 연대 오스나브뤼크 대대에 더해 반드뢰 소장과 비비안 소장의 기병 여단이 돌격하여 황제 근위대를 혼란에 빠뜨렸다. 어느 정도 통솔력을 유지하고 있던 왼쪽의 황제 근위대는 라 벨 알리앙스 방향으로 퇴각했다. 이 퇴각 중에 황제 근위대의 일부가 항복을 권고받았고, "근위병은 죽는다. 항복하지 않는다!" ("''La Garde meurt, elle ne se rend pas!''")[241] 또는 "젠장!"( ''"Merde!"'' )이라고 외쳤다고 한다.[242]

황제 근위대의 마지막 잔병에게 항복을 권고하는 힐 장군.


프랑스군의 우익과 좌익, 중앙은 모두 붕괴되었다.[243] 라 벨 알리앙스에 포진해 있던 구 근위대의 2개 대대가 마지막 프랑스군이었으며, 그들은 나폴레옹의 호위병으로 남아 있었다. 나폴레옹은 프랑스군을 재집결시키려고 했지만[245], 후퇴는 패주가 되었고, 구 근위대도 철수를 강요받았으며, 연합군의 기병대로부터의 방어를 위해 라 벨 알리앙스 양쪽에 1개 대대씩이 사각 대형을 이루었다. 나폴레옹은 황제 근위대의 사각 대형에 이 숙소를 떠나라고 명령했다.[146][246]

아담 소장의 제3 여단이 돌격을 가해 황제 근위대의 사각 대형은 후퇴를 강요받았고[239][247], 프로이센군은 다른 부대와 교전했다. 두 개의 사각 대형은 비교적 정연하게 철수했지만, 프랑스군의 대포와 그 밖의 장비는 연합군의 손에 들어갔다. 철수하는 황제 근위대는 수천 명의 도망치는 프랑스군 병사들의 무리에 휩쓸렸다. 프로이센군 참모총장 그나이제나우는 밤늦게까지 패잔병들을 쫓아다녔다.[248] 추격전에서 프랑스군의 대포 78문이 노획되었고, 다수의 장군을 포함하여 2,000명이 포로가 되었다.[249]

4. 결과 및 영향

나폴레옹은 전략적으로 분리된 적을 각개격파하려 했으나, 프로이센군 추격을 위해 30,000명의 병력을 보낸 것이 패배의 원인 중 하나였다. 이 임무를 맡은 그루시는 결단력이 부족하여 워털루 전투가 시작된 것을 알고도 프로이센군 추격을 계속했지만, 그들을 붙잡지 못했다.

웰링턴은 방어에 집중하여 승리했다. 기병대는 기동력과 타격력이 있었지만, 방어력이 약해 총검으로 벽을 만든 보병 방진에 큰 타격을 주지 못했다. 나폴레옹은 완전히 실각하여 세인트헬레나로 유배되었고, 미셸 네는 패배의 책임을 지고 체포되어 그해 말 총살당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까지 크림 전쟁 외에는 국가 간의 전면전은 일어나지 않았다.

''워털루 평원'', J. M. W. 터너 作, 1818


"워털루 전투 다음 날 아침", 존 헤비사이드 클라크 作, 1816


워털루 전투에서 웰링턴은 약 17,000명, 블뤼허는 약 7,000명의 사상자를 냈다. 특히 뷔로의 제15 여단에 배속되어 프리쉬몽과 플랑스누아에서 전투를 벌인 제18 연대는 810명의 사상자를 내고 33개의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 나폴레옹은 24,000명에서 26,000명의 사상자를 냈고, 6,000명에서 7,000명이 포로로 잡혔으며, 전투 이후와 다음 날 15,000명 이상이 탈영했다.[42]

1815년 제7차 대프랑스 동맹군의 프랑스 침공


6월 19일 오전 10시 30분, 명령을 따르던 그루시는 바브르에서 틸만 장군을 격파하고 질서 정연하게 철수했지만, 그 결과 33,000명의 프랑스군이 워털루 전장에 도착하지 못했다. 웰링턴은 1815년 6월 19일 영국에 전투에 대한 공식 전보를 보냈고, 이는 1815년 6월 21일 런던에 도착하여 6월 22일 ''런던 가제트 특별호''로 발행되었다.[43] 웰링턴, 블뤼허 및 기타 연합군은 파리를 향해 진격했다.

나폴레옹은 패배 후 파리로 도주하여 6월 21일 오전 5시 30분에 도착했다. 그는 프랑스군과 영국-프로이센군과 다시 싸울 군대를 소집할 수 있다고 믿고 파리의 섭정이자 형인 조제프에게 편지를 썼다. 그러나 워털루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나폴레옹에 대한 프랑스 대중의 지지와 군대는 약화되었다. 미셸 네 원수는 파리를 나폴레옹이 권력을 유지하면 함락될 것이라고 믿었다. 나폴레옹의 동생 루시앙과 다부 원수는 그에게 계속 싸우고, 하원을 해산시키고, 프랑스 황제로서 프랑스를 군사 독재자로 통치할 것을 조언했다. 하원은 라파예트의 설득으로 6월 21일에 영구화하기로 투표했다. 6월 22일, 나폴레옹은 군사적, 공공적, 정부의 지지가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고 그의 아들 나폴레옹 2세를 위해 퇴위하기를 원했다. 나폴레옹의 아들 즉위 제안은 입법부에 의해 즉시 거부되었다.[44]

나폴레옹은 1815년 6월 24일에 두 번째 퇴위를 발표했다. 나폴레옹 전쟁의 마지막 소규모 전투에서, 다부 원수는 1815년 7월 3일 이시에서 블뤼허에게 패했다.[45] 나폴레옹은 북아메리카로 탈출하려 했지만, 영국 해군이 프랑스 항구를 봉쇄했다. 그는 7월 15일에 벨레로폰 호의 메이틀랜드 선장에게 항복했다. 롱위는 1815년 9월 13일에 항복했다. 루이 18세는 프랑스 왕좌에 복귀했고 나폴레옹은 세인트헬레나로 유배되었으며, 1821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 파리 조약은 1815년 11월 20일에 체결되었다.

데이비드 윌키 작, ''워털루 전보를 읽는 첼시 연금 수급자들'', 1822


그레나디에 근위대의 메이틀랜드 부대는 중근위대의 샤쇠르를 격파했는데, 구근위대의 그레나디에를 격파한 것으로 잘못 알려졌다. 그리하여 그들은 그들의 위업을 기려 그레나디에 근위대라는 칭호를 수여받았고 그레나디에 스타일의 베어스킨 모자를 채택했다. 영국의 기병대 역시 장갑을 착용한 프랑스군에 대한 성공을 기념하여 1821년에 흉갑을 채택했다. 창의 효과는 모든 참가자들에게 주목받았고 이 무기는 이후 유럽 전역에 더 널리 퍼졌다. 영국은 1816년에 첫 경기병 연대를 랜서로 전환했고, 폴란드 기병대의 제국 근위대 랜서의 것을 기반으로 한 그들의 제복은 폴란드에서 유래되었다.

수만 명의 전사자들의 이빨은 생존한 병사, 지역 주민, 심지어 영국에서 온 시체 약탈자들에 의해 제거된 후 영국과 다른 곳에서 의치 대체물 제작에 사용되었다.[46] 소위 "워털루 치아"는 비교적 건강한 젊은이들의 치아였기 때문에 수요가 많았다. 인력과 다른 방법에 의한 약탈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유해는 전투 후 1년이 지난 워털루에서도 여전히 볼 수 있었다.[47]

웰링턴 공과 블뤼허 원수와의 회견은 21시경에 나폴레옹의 본영이 있었던 라 벨 알리앙스에서 이루어졌다. 블뤼허는 이 전투를 나폴레옹의 본영이 있던 전장의 중심지이며, 양군의 "동맹"("alliance")의 의미에도 걸었던 "라 벨 알리앙스 전투"(직역하면 "좋은 동맹의 전투")라고 명명하고 싶다고 웰링턴에게 통보했지만, 웰링턴은 영어 발음을 고려하여 전장과는 다소 떨어진 곳에 있는 워털루 마을(영어 발음은 워터루)의 지명에 따른 '''워털루 전투'''(''Battle of Waterloo'')라고 명명하여 보고서를 본국에 보냈다. 이 때문에 독일에서는 이 전투를 '''라 벨 알리앙스 전투'''(''Schlacht bei Belle-Alliance'')라고도 불린다.

워털루 전투에서 웰링턴의 영국-네덜란드군은 전사상 약 17,000명·행방불명 10,000명을 냈고, 블뤼허의 프로이센군은 약 7,000명이었으며, 그 중 810명은 프리셰르몽과 프란스노와의 양쪽 공방전에 참가한 뷔로의 제4군단에 소속된 제18연대에서만 나왔으며, 연대는 33개의 철십자 훈장을 얻었다. 나폴레옹의 프랑스군은 약 40,000명의 사상·포로·도망을 내고, 대포 220문을 잃었다.

나폴레옹으로부터 받은 명령을 준수한 그루시 원수는 틸레만 장군의 프로이센군을 에서 격파했고, 6월 19일 10시 30분에 정연하게 철수할 수 있었지만, 그 대가는 33,000명의 프랑스군 장병이 워털루의 주전장에 도착하지 못한 것이었다.

나폴레옹은 샤를루아를 거쳐 필리프빌까지 도망쳐, 거기에서 유임 정부를 맡은 전 스페인 왕인 형 조제프 보나파르트에게 낙관적인 내용의 보고서를 보냈고, 군대의 재건을 지시했지만, 그의 운명은 이미 다했다. 6월 20일에 나폴레옹은 막료들에게 촉구되어 군대를 내버려두고 파리로 귀환했지만, 프로이센의 군사학자 클라우제비츠는 이것을 큰 실수였다고 비난했다. 나폴레옹은 여전히 정권 유지를 희망하며, 의회를 해산하고 독재권을 획득하려 했지만, 의회는 이에 반대하여 국가 반역죄에 해당한다고 나폴레옹을 비난했고, 결국에는 퇴위까지 요구하기 시작했다.

한편, 웰링턴은 6월 19일에 전투의 상세 내용에 대해 보고하는 급보를 본국에 보냈고, 6월 21일에 도착하여 다음날 22일에 런던 가제트지에 고지되었다. 워털루 전투의 귀추는 런던의 주식 시장도 주시하고 있었고, 카트르 브라 전투의 패보로 인해 콘솔 국채는 하락하고 있었지만, 워털루의 승전을 가장 먼저 입수한 은행가 네이선 메이어 로스차일드는 바로 매수를 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국채를 던져 폭락시키고, 헐값에 대량 매수를 한 다음, 공식 보도로 인해 폭등한 뒤에, 고가로 팔았다. 후에 "네이선의 역매도"라고 불리는 주식 매매로 로스차일드가는 거액의 이익을 얻었다.

웰링턴 공과 블뤼허 원수 그리고 그 외의 연합국군은 파리로 진격했다. 6월 24일, 나폴레옹은 두 번째 를 선언하고, 푸셰를 수반으로 하는 임시 정부가 세워졌다. 7월 3일, 나폴레옹 전쟁의 마지막 회전으로 가 일어나, 나폴레옹에게 전쟁 장관으로 임명되었던 다부가 블뤼허의 프로이센군에게 패했다.

벨레로폰 호의 갑판에 서 있는 나폴레옹.
윌리엄 오차드슨 화, 1880년.


나폴레옹은 북아메리카로 도망을 꾀했지만, 영국 해군은 이 움직임을 예견하고 프랑스 항구를 봉쇄했다. 결국, 나폴레옹은 7월 15일에 영국 해군의 전열함벨레로폰 호의 함장에게 항복했다.

일부 프랑스군 요새는 항복을 거부했고, 9월 13일에 롱비가 항복하여 모든 저항이 끝났다. 11월 20일에 연합국과 프랑스 사이에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루이 18세가 복위했다. 나폴레옹은 영국의 플리머스 상륙을 요구했지만, 유럽의 혼란의 근원은 나폴레옹에 있다고 여겨져, 베르트랑, 몽토롱, 구르고 3명의 장군과 함께 세인트헬레나 섬으로 유배되어 1821년 5월 5일에 했다.

왕당파가 복귀한 프랑스에서는 나폴레옹의 부하들에 대한 보복이 행해졌다. 미셸 네 원수는 12월에 총살형에 처해졌고, 참모총장 술트, 전쟁 장관 다부 두 원수를 비롯한 30명 이상의 장교가 투옥 또는 유배에 처해졌다.

워털루 전역에 종군한 영국-네덜란드군 장병에게 수여된 워털루 메달.


영국에서는 이 전투 이후, 워털루(''Waterloo'')라는 단어가 속어로서 영어 어휘에 포함되어, "참패"의 비유가 되었다.

황제 근위대의 척탄병을 격파한 (실제로는 사냥 보병 부대였다) 영국군 제1 근위 여단 소속 제1 근위 보병 연대 (헨리 아스킨 중령)는 그 공적이 인정되어 "척탄병 근위대(''Grenadier Guards'') "의 칭호가 주어졌고, 척탄병 양식의 모피제 높은 모자가 채용되었다. 영국 근위 기병 여단도 프랑스군의 흉갑 기병을 격파한 공적이 인정되어 1821년에 흉갑의 사용이 인정되었다. 이 전투에 참가한 사람들에게 창기병의 유효성이 인상되어, 그 후, 유럽 전역에서 채용되게 되었고, 1816년에 영국군은 경기병 4개 연대를 창기병으로 개편했다.

전후, 웰링턴은 군의 거물이 되어 육군 총사령관에 2번 취임했고, 정치가로서도 요직을 역임하여 외교 사절로도 활동했으며, 총리를 2번 역임했다(임기: 1828년 - 1830년, 1834년 - 1834년). 영국-네덜란드군 기병 부대를 맡았던 액스브리지는 회전의 막바지에 부상하여 한쪽 다리를 잃었지만, 그 후 요직을 역임하여 1846년에 원수로 서임되었다. 또한, 영국-네덜란드군 제1군단장을 맡았던 오라녜 공은 1840년에 네덜란드 왕 빌렘 2세로 즉위했다.

이 회전 중 전장을 누빈 웰링턴의 막료들 대부분이 사상했으며, 그 중 한 명으로 웰링턴의 비서관을 맡았던 라그란 남작 피츠로이 서머셋은, 이 전투에서 오른팔을 부상하여 절단해야 했다 (라글란 소매는 그의 잃어버린 오른팔에 맞춰 만들어졌다). 그는 후에 육군 최고 사령관이 되어, 크림 전쟁 (1853년 - 1856년)의 총지휘를 맡게 된다.

1848년에 개업한 런던의 복합 터미널역인 워털루 역 (워털루의 영어 발음)은 워털루 전투가 유래이다. 1994년에 영불 해협 터널이 완성되고, 파리와 런던을 잇는 고속 열차 유로스타가 운행을 시작했을 때, 런던 측 터미널이 아이러니하게도 여기였다. 이 때문에, 프랑스 측은, 여러 차례 역의 개명이나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2007년에는 영국 국내의 고속 신선이 완성되어, 터미널도 세인트 판크라스 역으로 변경되었다.

프로이센군 사령관 블뤼허 원수는 이미 고령이었고, 그 해 안에 퇴역하여, 1819년에 77세로 사망했다. 프로이센군에 참모 본부 조직을 확립하고 이 전투에서도 참모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그나이제나우 중장은 후에 원수로 서임되었지만, 진보적인 생각의 그는 프로이센의 보수적인 체질로 인해 전후에는 권력에서 멀어졌다. 『전쟁론』으로 알려진 프로이센군의 클라우제비츠는 이 전역에서 제3군단의 참모를 맡고 있었고, 후에 이 전투를 연구한 『1815년의 프랑스 전역』을 저술하여 후세에 기여하게 된다.

19세기의 저명한 군사학자조미니 장군은 나폴레옹 시대의 전략 전술에 관한 주도적 연구자 중 한 명이었으며,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의 패인을 몇 가지 제시하고 있다.

4. 1. 나폴레옹의 몰락과 빈 체제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이 패배하면서 그의 백일천하는 막을 내렸다.[44] 패전 이후, 나폴레옹은 프랑스 대중과 군대의 지지를 잃었고, 결국 1815년 6월 24일 두 번째 퇴위를 선언했다.[44][257] 북아메리카로 도피하려 했으나 영국 해군에 의해 저지당하고, 1815년 7월 15일 벨레로폰 호의 메이틀랜드 함장에게 항복했다.[263][264] 나폴레옹은 세인트헬레나 섬으로 유배되어 1821년 5월 5일 그곳에서 사망했다.[265][266]

나폴레옹의 몰락 이후, 1815년 11월 20일 파리 조약이 체결되면서 루이 18세가 프랑스 왕좌에 복귀했다.[45] 유럽에는 빈 회의를 통해 새로운 질서, 즉 빈 체제가 수립되었다. 프랑스에서는 부르봉 왕조가 복고되었지만,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운동은 계속되었다. 워털루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전까지 크림 전쟁을 제외하고는 국가 간의 무제한 전쟁이 일어나지 않게 된 계기가 되었다.

4. 2. 전투의 교훈과 역사적 의의

워털루 전투는 나폴레옹 전쟁을 종식시키고, 유럽에 장기간의 평화를 가져온 결정적인 전투였다.[48][49] 이 전투는 1790년대 초 프랑스 혁명 이후 유럽을 뒤흔들었던 일련의 전쟁을 종식시켰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제1제국과 그의 정치적, 군사적 경력을 끝냈다.[50]

전술적 측면에서, 워털루 전투는 기병 단독 돌격의 한계와 보병 방진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웰링턴은 방어에 치중하여 승리를 얻었으며, 기병대는 기동력과 타격력을 지녔지만 방어력이 부족하여 보병 방진에 효과적인 타격을 주지 못했다. 또한, 포병과 보병의 협동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앙투안 앙리 조미니는 나폴레옹의 패배 원인으로 블뤼허가 이끄는 프로이센군의 합류, 영국 보병의 굳건함, 악천후, 프랑스군 대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나폴레옹의 과도한 야망과 실수를 지적하며 우연이 아닌 필연적인 패배였다고 주장했다.

웰링턴은 블뤼허와 프로이센 군대의 도움, 특히 뷔로의 측면 공격이 결정적이었다고 평가했다.[43] 클라우제비츠는 웰링턴과 달리 만약 보나파르트가 아침에 공격했다면 프로이센군이 도착할 때까지 전투가 결정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54]

워털루 전투 이후 유럽에는 약 40년간 국제 평화가 지속되었으며, 크림 전쟁까지 주요 국제 분쟁은 발생하지 않았다. 신성 동맹이 결성되고 신성 로마 제국독일 연방으로 재편되는 등 유럽 국가들의 구성 변화가 있었다. 또한, 워털루 전투는 대서양 횡단 상업에 60년 동안의 비정상적인 장애물에서 회복하면서, 1914년까지 점점 더 산업화된 유럽과 북아메리카는 전 세계 석탄, 철, 강철 생산량의 90% 이상, 국제 무역의 76%를 차지했다.[51][52][53]

워털루 전투는 정치, 군사 지도자의 판단과 결단이 전쟁의 승패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로, 오늘날까지도 교훈을 주고 있다.

5. 전후 처리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한 후, 나폴레옹은 1815년 6월 24일에 그의 두 번째 퇴위를 발표했다.[44] 나폴레옹은 북아메리카로 탈출하려 했지만, 영국 해군이 프랑스 항구를 봉쇄하여 탈출을 막았다.[45] 결국 1815년 7월 15일, 나폴레옹은 의 선장 프레데릭 메이틀랜드에게 항복했다.[45] 그는 세인트헬레나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1821년에 사망했다.[265][266]

루이 18세는 프랑스 왕좌에 복귀했고,[45] 1815년 11월 20일 파리 조약이 체결되었다.[45] 이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때까지 크림 전쟁 이외에는 국가간의 무제한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다.

왕당파가 복귀한 프랑스에서는 나폴레옹의 부하들에 대한 보복이 행해졌다. 미셸 네 원수는 1815년 12월에 총살형에 처해졌고, 참모총장 술트, 전쟁 장관 다부 두 원수를 비롯한 30명 이상의 장교가 투옥 또는 유배에 처해졌다.[267]

워털루 전투는 유럽의 새로운 질서, 즉 빈 체제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6. 참고 및 참조 문헌

워털루 전투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자료에서 찾을 수 있다.



  • 역사군상 그래픽전사 시리즈 <<전략전술병기사전>> 제 3권 <<유럽근대편>> 학연사 , 나폴레옹 제 5권 막스 갈로 저 김정란 역 문학동네
  • 반 데어 아, 아브라함 야코프, ''네덜란드의 전기 사전. 제19권'', 1858, 978-1-85410-764-0/다비드 헨드릭, 샤세 남작}}
  • 애드킨, 마크, ''워털루 동반자'', 2001, 오럼, {{ISBNnl
  • 앵글시 후작(조지 C.H.V. 파젯), ''외다리: 헨리 윌리엄 파젯, 초대 앵글시 후작의 삶과 편지, 1768–1854'', 1990, 펜 앤 소드,
  • 베이커-스미스, 베로니카, ''웰링턴의 숨겨진 영웅들: 워털루 전투의 네덜란드인과 벨기에인'', 2016, 캐세메이트,
  • 바르베로, 알레산드로, ''전투: 워털루의 새로운 역사'', 2005, 애틀랜틱 북스,
  • 바르베로, 알레산드로, ''전투: 워털루의 새로운 역사 (존 컬렌 번역)'', 2006, 페이퍼백, 워커 & 컴퍼니,
  • 바르베로, 알레산드로, ''전투: 워털루의 새로운 역사'', 160쪽, 2013, 애틀랜틱 북스,
  • 바스, F 드; 움머솜, J. 드 체클라스 드, ''네덜란드 공식 보고서를 바탕으로 한 1815년 네덜란드령에서의 작전'', I: 카트르 브라. II: 워털루. III: 부록 및 노트. IV: 부록: 지도 및 계획, 1909, 브뤼셀, 리브레리 알베르 드 위트
  • 바스포드, C.; 모란, D.; 페들로우, G. W., ''워털루에 관하여: 클라우제비츠, 웰링턴, 그리고 1815년 작전'', 2015 (2010년 온라인 스캔), Clausewitz.com,
  • 비미시, N. 루드로, ''왕립 독일 군단의 역사'', 1995 (1832년 원본), 댈링턴: 해군 및 군사 출판사,
  • 블랙, 제레미, ''1815년의 유산'', 2015년 2월 24일, ''오늘의 역사''
  • 볼러, 폴 F. 주니어; 조지, 존, ''그들은 결코 말하지 않았다: 가짜 인용문, 오인용, 오해의 소지가 있는 귀속의 책'', 12쪽, 1989,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 보다르, 가스통, ''군사-역사 전쟁 사전 (1618-1905)'', 1908
  •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나폴레옹 1세의 서신; 나폴레옹 3세 황제의 명령에 의해 출판됨 (1858)'', 28권, 292, 293쪽, 1869, 파리 H. 플론, J. 두메인
  • 부스, 존, ''워털루 전투: 권위 있는 영국 및 외국 간행물, 기타 관련 문서, 전투 전후의 상황적 세부 사항을 다양한 권위 있고 독창적인 출처에서 발췌'', 2판, 1815, 런던: J. 부스와 T. 에르제톤 인쇄; 군사 도서관, 화이트홀
  • 불저, 데메트리우스 C. 데K., ''워털루의 벨기에인: 네덜란드 및 벨기에 지휘관의 보고서 번역과 함께'', 1901, 런던
  • 보든, 스콧, ''워털루의 군대: 군대의 상세한 분석.'', 1983, 엠파이어 출판사.
  • ''나폴레옹 풍자'', 브라운 대학교 도서관
  • 챈들러, 데이비드, ''나폴레옹의 작전'', 1966, 뉴욕: 맥밀란
  • 체스니, 찰스 C., ''워털루 강연: 1815년 작전 연구'', 3판, 1874, 롱맨스, 그린, 앤 컴퍼니
  • 클라크-케네디, A.E., ''색깔을 공격하라! 반도와 워털루의 왕립 드래곤 기병대'', 1975, 런던, 리서치 출판사
  • 클라우제비츠, 카를 폰, ''워털루에 관하여: 클라우제비츠, 웰링턴, 그리고 1815년 작전.'', 2010, Clausewitz.com,
  • 클레이턴, 팀., ''워털루, 유럽의 운명을 바꾼 4일'', 2014, 리틀 브라운,
  • 클로드펠터, M., ''전쟁과 무력 분쟁: 사상자 및 기타 수치의 통계 백과사전, 1492-2015'', 4판, 2017, 맥팔랜드,
  • 콘웰, 버나드, ''워털루: 4일의 역사, 3개 군대, 3개의 전투'', "~128쪽", 2015, 룰루 프레스, Inc,
  • 코리건, 고든, ''웰링턴'', "327쪽", 2006, 재판, eBook, 컨티넘 인터내셔널 출판 그룹,
  • 코튼, 에드워드, ''워털루에서 온 목소리. 1815년 6월 18일 전투의 역사.'', 1849, 런던: B.L. 그린
  • 크리시, 에드워드 경, ''세계 15개의 결정적인 전투: 마라톤에서 워털루까지'', 1877, 런던: 리처드 벤틀리 & 손,
  • 데이비스, 휴, ''웰링턴의 전쟁: 군사적 천재의 탄생'', "244쪽", 2012, 삽화, 예일 대학교 출판사,
  • 에넨스, A.M, ''"벨기에에서 1815년 작전에 네덜란드 군대의 참여에 관한 논문", in: 겐트의 왕립 미술 및 문학 협회, 과학적 역사적 메신저'', 1879, 겐트, 반데르하겐
  • 에를롱 백작, 장-밥티스트 드루에, ''프랑스 의회에 드루에의 워털루 설명'', 1815,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인터넷 가이드
  • 에스포시토, 빈센트 조셉; 엘팅, 존, ''나폴레옹 전쟁의 군사사 및 아틀라스'', 1999, 그린힐,
  • 필드, 앤드류 W., ''워털루 프랑스적 관점'', 2013, 영국, 펜 & 소드 북스,
  • 피체트, W.H., ''제국을 승리하게 한 업적. 역사적인 전투 장면'', "챕터: 왕을 만드는 워털루", 1897, 런던, 존 머레이
  • 플레처, 이안, ''웰링턴의 근위 보병대'', 52권, 1994, 삽화, 오스프리 출판사,
  • 플레처, 이안, ''모든 것에 질주: 반도와 워털루의 영국 기병대 1808–15'', 1999, 영국 스테이플허스트, 스펠마운트,
  • 플레처, 이안, ''절망적인 사업: 웰링턴, 영국군 및 워털루 작전'', 2001, 영국 스테이플허스트, 스펠마운트
  • 포튜, 존 윌리엄, ''영국군의 역사, Vol. 10: 1814-1815'', 2004 (1920년 원본), 해군 및 군사 출판사,
  • 프라이, W.E., ''워털루 이후: 1815–1819 유럽 여행 회고록'', 1908,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 풍켄, 프레드; 풍켄, 릴리안, ''모든 시대의 병사들의 의상과 무기'', 1967, 캐스터만,
  • 글로버, G., ''워털루 전투의 편지: 시본 논문에서 발췌한 앵글로-연합 장교의 미출판 서신'', 2004, 런던, 그린힐,
  • 글로버, 가레스, ''코루냐에서 워털루까지: 2명의 나폴레옹 기병대의 편지와 일기, 1801–1816'', 2007, 런던, 그린힐 북스
  • 글로버, 가레스, ''워털루: 신화와 현실'', 2014, 펜 앤 소드,
  • 그랜트, 찰스, ''로열 스코츠 그레이 기병대(남자-at-Arms)'', 1972, 오스프리,
  • 그로노, R.H., ''그로노 대위의 회고록'', 1862, 런던,
  • 해밀턴-윌리엄스, 데이비드, ''워털루. 새로운 관점. 재평가된 위대한 전투'', 1993, 런던, 아머 & 아머 프레스,
  • 해밀턴-윌리엄스, 데이비드, ''워털루, 새로운 관점, 재평가된 위대한 전투'', 페이퍼백, 1994, 뉴욕, 존 와일리 앤 선스,
  • 헤럴드, J. 크리스토퍼, ''워털루 전투'', 1967, 하퍼 & 로우,
  • 헤이비스, 제임스 월터, ''주로 플랑드르에서의 1815년 작전'', "228–229쪽", 1908, 에든버러, 윌리엄 블랙우드 앤 선스
  • 호프슈뢰어, 피터, ''1815: 워털루 작전. 독일의 승리'', 2권, 1999, 런던, 그린힐 북스,
  • 호프슈뢰어, 피터, ''워털루 1815: 카트르 브라와 리니'', 2005, 런던, 레오 쿠퍼,
  • 호만, 아르네; 윌킨, 버나드; 쉐퍼, 로빈, ''"Die Toten von Waterloo: Aus dem Massengrab in die Zuckerfabrik?"'', ''고고학 in 독일'', 2023, 3 (6월-7월): 44–45.
  • 호어베케, C. 반, ''블랙만, 존-루시: 왜 그의 무덤은 호고몽에 있는가?'', 2007년 9월–10월, ''벨기에 나폴레옹 협회 게시판'', 118호, 6–21쪽
  • 후세, 앙리, ''워털루 (프랑스어 번역)'', 1900, 런던
  • 위고, 빅토르, ''레 미제라블'', "챕터 VII: 좋은 유머의 나폴레옹", 1862, 문학 네트워크
  • 조미니, 앙투안-앙리, ''워털루 작전의 정치적 및 군사적 역사'', 3판, 1864, 뉴욕; D. 반 노스트랜드
  • 킬링, 드류, ''워털루의 배당금'', 2015년 5월 27일
  • 케네디, 폴, ''강대국의 흥망성쇠'', 1987, 뉴욕: 랜덤 하우스
  • 킨케이드, J. 대위, ''영국: 자서전: 2,000년의 영국 역사, 그것을 겪은 사람들'', "434–436쪽", 2006, 영국, 펭귄,
  • 코타소바, 이바나, ''프랑스의 새로운 워털루? 유로 동전은 나폴레옹의 패배를 기념한다'', 2015년 6월 10일, CNN
  • 라마, 글렌 J., ''제롬 보나파르트: 전쟁의 해, 1800–1815'', "119쪽", 2000, 그린우드 프레스,
  • 롱포드, 엘리자베스, ''웰링턴: 검의 시대'', 1971, 런던: 팬서,
  • 로우, E. 브루스, ''워털루의 나폴레옹과 함께'', "워털루 논문", 1911, 런던
  • 로지어, J.F., ''나폴레옹의 말 이름은 무엇이었는가?'', 2010년 6월 18일, 나폴레옹 시리즈
  • 맨틀, 로버트, ''1813–1815 프로이센 예비 보병대: 제2부: 조직'', 2000년 12월, 나폴레옹 협회
  • 마르셀리스, 데이비드, ''나폴레옹이 워털루를 만났을 때, 그는 도시 밖에 있었다'', 2015년 6월 10일, ''월스트리트 저널''
  • 머서, A.C., ''워털루 작전 일지: 1815년 작전 전체에 걸쳐 보관'', 1권, 1870a, 에든버러 / 런던, W. 블랙우드
  • 머서, A.C., ''워털루 작전 일지: 1815년 작전 전체에 걸쳐 보관'', 2권, "워털루, 1815년 6월 18일: 왕립 기마 포병이 늦은 오후에 적 기병대를 격퇴", 1870b
  • 머서, A.C., "No 89: 왕립 포병대", 1891, 런던, 카셀 & 컴퍼니, "218쪽"
  • 마송, 데이비드, ''역사적 위조 및 코시우슈코의 "Finis Poloniae"'', ''맥밀란 매거진'', 19권, 1869, 맥밀란 앤 컴퍼니, "164쪽"
  • 노피, 앨버트 A., ''워털루 작전, 1815년 6월'', 1998 (1993년 원본), 컨쇼호켄, PA, 콤바인드 북스,
  • 오만, 찰스; 홀, 존 A., ''반도 전쟁의 역사'', "119쪽", 1902, 클라렌던 프레스
  • 파머, R.R., ''현대 세계의 역사'', 1956, 뉴욕: 크노프
  • 파킨슨, 로저, ''기병 장군: 워털루의 남자 블뤼허의 삶'', "240–241쪽", 2000, 워즈워스 군사 도서관,
  • 파리, D.H., ''19세기의 전투'', 1권, "워털루", 1900, 런던: 카셀 앤 컴퍼니
  • 던, 제임스, ''200년 동안 워털루 전투에서 회수된 유일한 완전한 해골이 역사학자에 의해 확인되어 주차장 아래에서 발견'', 2015년 4월 5일, ''인디펜던트''
  • 폴리, 로널드, ''웰링턴의 벨기에 동맹군'', 37–43쪽, 2001, 시리즈: 남성 무기 nr 98. 1815, 오스프리,
  • 팩스턴, 로버트 O., ''20세기의 유럽'', 1985, 올랜도: 하코트 브레이스 요바노비치
  • 필, 위그 반, ''워털루 현장에서 발견된 병사는 하노버 출신일 것이다'', 2012년 12월 11일, RTBF, 978-1-84212-480-2fr}}
  • 라포르, 마이크, ''워털루'', 2015년 5월 13일, ''뉴욕 타임스''
  • 로버츠, 앤드루, ''나폴레옹과 웰링턴'', 2001, 런던: 피닉스 프레스, {{ISBN
  • 글로버, 가렛 편. ''워털루 전투의 편지: 시본 논문에서 발췌한 연합군 장교들의 미출판 서신''(Casemate Publishers, 2018).
  • [http://www.open.edu/openlearn/history-the-arts/history/world-history/breaking-news-wellington-defeats-napoleon-waterloo 1815년 6월 22일 런던 신문 The Morning Post에 실린 전투에 대한 최초 보고서]
  • 사상자 보고서.
  • Cook, Christopher, ''나폴레옹 전쟁의 목격자 증언''
  • Staff, ''"워털루 메달 명부" 서평'', 2009, The [British] National Archive
  • Staff, ''영국 군사 작전 및 근무 메달'', 2013년 7월 9일, The [British] National Archive – "1914년 이전의 근무에 대해 수여된 메달 기록은 Ancestry 웹사이트에서 이름으로 검색하십시오. [http://search.ancestry.co.uk/search/db.aspx?dbid=1686 육군] (WO 100에서 출처)..."에 대한 별도의 검색 페이지가 있습니다.
  • Staff, ''[https://www.bbc.co.uk/history/british/empire_seapower/battle_waterloo_01.shtml 제국과 해상력: 워털루 전투]'', 2006년 6월 9일 검색
  • [https://www.bbc.co.uk/history/ BBC 역사 워털루], 2006년 6월 9일 검색
  • Boller, Jr., Paul F.; George, John, ''They Never Said It: A Book of Fake Quotes, Misquotes, and Misleading Attributions'', 198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Cotton, Edward, ''A voice from Waterloo. A history of the battle, on 18 June 1815.'', 1849, London: B.L. Green
  • Comte d'Erlon, Jean-Baptiste Drouet, ''Drouet's account of Waterloo to the French Parliament'', 1815, [http://www.napoleonbonaparte.nl/ Napoleon Bonaparte Internet Guid]
  • Glover, G. (2004) ''워털루 전투의 편지 - 시본 종이에서 연합군 장교의 미공개 서신.'' Greenhill Books. ISBN 978-1-85367-597-3
  • Hamilton-Williams, David, ''Waterloo: New Perspectives: The Great Battle Reappraised'', 1994, Wiley,
  • Hugo, Victor, ''Les Miserables'', 1862, The Literature Network, "Chapter VII: Napoleon in a Good Humor"
  • Lozier, J.F., ''What was the name of Napoleon's horse?'', [http://www.napoleon-series.org/ The Napoleon Series]
  • Summerville, Christopher J, ''Who was who at Waterloo: a biography of the battle'', 2007, Pearson Education, , ISBN 978-0-582-78405-5
  • White, John, ''Cambronne's Words, Letters to ''The Times'' (June 1932)'', [http://www.napoleon-series.org/ the Napoleon Series]
  • Bonaparte, Napoleon, ''The Military Maxims of Napoleon'', 1995, Da Capo Press, , ISBN 978-0-306-80618-6
  • Chandler, David G., ''Campaigns of Napoleon'', 1973, New York: Scribner,
  • Cookson, John E., ''The British Armed Nation, 1793–1815'', 1996, Oxford University Press,
  • Fletcher, Ian, ''A Desperate Business: Wellington, the British Army and the Waterloo Campaign'', 2001, Spellmount Publishers Ltd,
  • Gleig, George Robert, ''The Light Dragoon'', 1845, London: George Routledge & Co.
  • Glover, Michael, ''The Napoleonic Wars: An Illustrated History, 1792–1815'', 1973, Hippocrene Books New York,
  • Hofschröer, Peter, ''1815: The Waterloo Campaign: Wellington, His German Allies and the Battles of Ligny and Quatre Bras'', 1권, 1998, London: Greenhill Books.,
  • Hofschröer, Peter, ''Wellington's Smallest Victory: The Duke, the Model Maker and the Secret of Waterloo'', 2004, London: Faber & Faber,
  • Howarth, David, ''Waterloo a Near Run Thing'', 1997 (1968년 원본), London: Phoenix/Windrush Press,
  • Keegan, John, ''The Face of Battle''

7. 외부 링크


  • [http://www.lib.utexas.edu/maps/historical/shepherd/waterloo_battle.jpg 1923년 윌리엄 R. 셰퍼드(William R. Shepherd)의 역사 지도책(Historical Atlas)에 실린 워털루 전장 지도]
  • [http://www.lib.utexas.edu/maps/historical/shepherd_1911/shepherd-c-156.jpg 1911년판 지도]
  • [http://napoleonistyka.atspace.com/BATTLE_OF_WATERLOO.htm 워털루 전투 지도와 도해]
  • [https://maps.google.co.uk/maps/ms?&msa=0&msid=113384660960350206735.00000111ccfa54c3759d7&z=12&om=1 현대 구글 지도 및 위성 사진에서 전장의 주요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 [http://nla.gov.au/nla.map-rm1383 빌렘 벤자민 크란(Willem Benjamin Craan)의 1816년 전장 지도와 초기 배치]
  • [https://www.google.com/maps/d/viewer?mid=z84wlc9K5lB4.k_XQZ6gsCz54 구글 지도: 워털루 전투]

참조

[1] harvnb
[2] harvnb
[3] 서적 Bentley's Miscellany Richard Bentley
[4] 웹사이트 Battle of Waterloo – The Battles of Quatre-Bras and Ligny https://www.britanni[...] 2022-12-01
[5] 웹사이트 Battle of Waterloo https://www.nam.ac.u[...] 2024-03-15
[6] Wikiquote Wellington
[7] 웹사이트 The campaign of 1815: a study – A fundamental choice: a defensive or offensive war https://www.waterloo[...] Waterloo Campaign NL 2020-04-08
[8] 웹사이트 Battle of Waterloo – Opening moves https://www.nam.ac.u[...] National Army Museum 2020-04-17
[9] 서적 An Illustrated Introduction to the Battle of Waterloo – Quatre Bras and Ligny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Limited
[10] 서적 The Road to Waterloo: a concise history of the 1815 campaign https://www.academia[...] Academia 2020-04-19
[11] 서적 Waterloo
[12] 웹사이트 The Battle of Quatre Bras (June 16th 1815) https://web.archive.[...] Archive Org 2020-04-17
[13] 서적 Why the Germans Lost: The Rise and Fall of the Black Eagle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14] 논문 Becke's Waterloo Logistics https://www.academia[...] Academia 2020-04-17
[15] 웹사이트 Waterloo – A damned near-run thing. The nearest run thing you ever saw in your life. https://www.history.[...] AETN UK 2020-04-08
[16] 서적 The Napoleonic Wars: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battle of Waterloo, containing the series of accounts published by authority, British and foreign https://books.google[...]
[18] 서적 A short detail of the battle of Waterloo https://books.google[...]
[19] harvnb
[20] 서적 Armies at Waterloo
[21] 웹사이트 Elite Units and Shock Tactics: How Napoleon (Almost) Conquered Europe https://nationalinte[...] National Interest 2020-04-08
[22] 웹사이트 L'Armée du Nord https://web.archive.[...] web archive 2020-04-13
[23] 서적 The Waterloo Campaign, 1815 https://books.google[...] E. Arber
[24] 웹사이트 The Causes of Napoleon Bonaparte's Loss at Waterloo 1815 – p. 170-178 http://history.emory[...] Emory Endeavors 2020-04-17
[25] 논문 British Army establishments during the Napoleonic Wars (Part 1) https://www.jstor.or[...]
[26] 서적 Armies at Waterloo
[27] 서적 Armies at Waterloo
[28] 웹사이트 The Prussian March https://www.waterloo[...] 2019-12-09
[29] 서적 Voices from the Past: Waterloo 1815: History's most famous battle told through eyewitness accounts, newspaper reports, parliamentary debate, memoirs and diaries https://books.google[...] Frontline Books
[30] 서적 Napoleon and Grouchy: The Last Great Waterloo Mystery Unravelled https://books.google[...] Pen & Sword Books
[31] harvnb
[32] harv
[33] harvnb
[34] 서적 The Dispatches of Field Marshal the Duke of Wellington https://books.google[...]
[35] 서적 Waterloo: The Campaign of 1815, Volume II: From Waterloo to the Restoration of Peace in Europe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36] 서적 The Waterloo Campaign, 1815 https://books.google[...] E. Arber
[37] 문서 Adkin
[38] 문서 Adkin
[39] 문서 Barbero
[40] 문서
[41] 문서
[42] 학술지 The British Medical Arrangements during the Waterloo Campaign SAGE Journals
[43] 관보 1815-06-22
[44] 서적 The Battle of Waterloo Random House
[45] Nuttall
[46] 웹사이트 The dentures made from the teeth of dead soldiers at Waterloo https://www.bbc.com/[...] 2015-06-16
[47] 웹사이트 How were Napoleonic battlefields cleaned up? https://shannonselin[...] 2019-06-18
[48] 문서
[49] 서적 The Battle: A new history of Waterloo Atlantic Books Ltd 2018-01-31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웹사이트 Part 5 of Clautwitz: On Waterloo, Chapters 40–49 https://www.clausewi[...] 2022-02-19
[55] 학술지 The importance of maps at the Battle of Waterloo https://www.bimcc.or[...] 2022-08-06
[56] 뉴스 Rescuing the farm where Wellington won the battle of Waterloo https://web.archive.[...] 2018-01-17
[57] 서적 Napoleon: A Life in Gardens and Shadows Vintage 2022
[58] 학술지 These spots of excavation tell: using early visitor accounts to map the missing graves of waterloo 2022-06-17
[59] 웹사이트 Archaeologists Uncover Rare Human Skeleton at Waterloo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21-07-21
[60] 뉴스 Tote Preußen auf dem Dachboden Seit Jahrzehnten suchen Forscher Überreste der Gefallenen von Waterloo. Nun ist ein deutsch-belgisches Team auf eine Sensation gestoßen. https://www.faz.net/[...] 2023-01-24
[61] 뉴스 Battle of Waterloo Bones found in Attic https://www.thetimes[...] 2023-01-25
[62] 학술지 Die Toten von Waterloo: Aus dem Massengrab in die Zuckerfabrik? https://www.academia[...] 2023-01
[63] 학술지 The real fate of the Waterloo fallen. The exploitation of bones in 19th century Belgium https://www.academia[...] 2023-01-01
[64] 문서 松村 2006
[65] 문서 大橋 1983
[66] 문서
[67] 문서 ノフィ 2004
[68] 뉴스 19世紀後半、黒船、地震、台風、疫病などの災禍をくぐり抜け、明治維新に向かう(福和伸夫) https://news.yahoo.c[...] 2020-08-24
[69] 웹사이트 モスクワ遠征-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70] 문서 大橋 1983
[71] 書籍 ジョフラン 2011
[72] 書籍 ストローソン 1998
[73] 웹사이트 Timeline: The Congress of Vienna, the Hundred Days, and Napoleon's Exile on St Helena http://dl.lib.brown.[...]
[74] 書籍 Hamilton-Williams(1994)
[75] 書籍 ジョフラン 2011, 大橋 1983
[76] 書籍
[77] 書籍
[78] 書籍
[79] 書籍 ジョフラン 2011
[80] 書籍
[81] 書籍 ジョフラン 2011, 大橋 1983
[82] 書籍 ジョフラン 2011, 大橋 1983
[83] 書籍 ノフィ 2004, Longford 1971
[84] 書籍
[85] 書籍 ジョフラン 2011
[86] 書籍 ジョフラン 2011, ストローソン 1998
[87] 書籍 ジョフラン 2011, 大橋 1983
[88] 書籍 ジョフラン 2011
[89] 書籍 大橋 1983
[90] 書籍
[91] 書籍 ノフィ 2004
[92] 書籍 ノフィ 2004
[93] 書籍 ストローソン 1998
[94] 書籍 松村 2005, ノフィ 2004
[95] 書籍 ノフィ 2004
[96] 書籍
[97] 書籍 ジョフラン 2011, ノフィ 2004
[98] 書籍 ノフィ 2004
[99] 書籍
[100] 書籍 ジョフラン 2011
[101] 書籍 長塚 1986, ノフィ 2004
[102] 書籍 マルロー 2004
[103] 書籍 ノフィ 2004, ストローソン 1998
[104] 書籍 ジョフラン 2011
[105] 書籍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논문
[111] 논문
[112] 논문
[113] 웹사이트 프로이센改革-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9-17
[114] 논문
[115] 논문
[116] 논문
[117] 논문
[118] 논문
[119] 논문
[120] 논문
[121] 논문
[122] 논문
[123] 논문
[124] 논문
[125] 논문
[126] 논문
[127] 논문
[128] 논문
[129] 논문
[130] 논문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논문
[135] 논문
[136] 논문
[137] 논문
[138] 논문 King-making Waterloo
[139] 논문
[140] 논문
[141] 서적 ノフィ 2004
[142] 서적 ノフィ 2004
[143] 서적 ノフィ 2004
[144] 서적 ノフィ 2004
[145] 서적
[146] 서적 Chapter XV http://www.standin.s[...]
[147] 서적 ストローソン 1998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Chapter: King-making Waterloo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ノフィ 2004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長塚 1986
[159] 서적 ジョフラン 2011, ストローソン 1998
[160] 서적 長塚 1986
[161] 서적 長塚 1986
[162] 서적 ノフィ 2004
[163] 서적
[164] 웹사이트 Erwin Muilwijk,Bylandt's brigade during the morning http://home.tiscali.[...]
[165] 서적 ノフィ 2004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ノフィ 2004
[169] 서적 ノフィ 2004
[170] 서적 第92高地歩兵連隊所属ホープ中尉の書簡
[171] 서적 ノフィ 2004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ノフィ 2004
[176] 논문
[177] 논문 Frederick Stovin (ADC to Sir Thomas Picton)
[178] 논문
[179] 논문
[180] 논문
[181] 논문
[182] 서적 The Waterloo Papers
[183] 논문
[184] 논문
[185] 논문
[186] 논문
[187] 논문
[188] 논문
[189] 논문
[190] 논문
[191] 논문
[192] 논문
[193] 논문
[194] 논문
[195] 논문
[196] 논문
[197] 논문
[198] 논문
[199] 논문
[200] 논문
[201] 논문
[202] 논문
[203] 논문
[204] 논문
[205] 논문
[206] 논문
[207] 논문
[208] 논문
[209] 논문
[210] 논문
[211] 논문
[212] 논문
[213] 문서 ノフィ 2004
[214] 논문
[214] 논문
[215] 논문
[216] 문서 ノフィ 2004
[217] 문서 Wootten 1992
[218] 문서 ノフィ 2004 & Wootten 1992
[219] 문서 ノフィ 2004 & Wootten 1992
[220] 문서 ノフィ 2004
[221] 문서 ノフィ 2004
[222] 문서 ノフィ 2004
[223] 논문
[224] 논문
[225] 논문
[226] 문서 ノフィ 2004
[227] 논문
[228] 문서 ノフィ 2004
[229] 문서 ノフィ 2004
[230] 논문
[231] 논문
[232] 논문
[233] 논문
[234] 논문
[235] 논문
[236] 문서 ノフィ 2004
[237] 논문
[238] 문서 ノフィ 2004
[239] 논문
[240] 문서 ストローソン 1998
[241]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242]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243] 논문
[244] 논문
[245] 웹사이트 Waterloo, 18 June 1815: The Finale. http://home.iprimus.[...] 2007-09-14
[246] Harvnb 1815
[247] Harvnb 1999
[248] 문서 ノフィ 2004
[249] Harvnb 1999
[250] Harvnb 1815
[251] Harvnb 1815
[252] 웹사이트 Regimental history of the Rifles http://www2.army.mod[...] null
[253] 문서 null
[254] 문서 ノフィ 2004
[255] 간행물 Prussian Reserve Infantry 1813–1815 http://www.napoleon-[...] Napoleonic Association 1977
[256] Harvnb 2004
[257] 문서 マルロー 2004, ノフィ 2004
[258] 문서 長塚 1986
[259] 문서 長塚 1986
[260] London Gazette 1815-06-22
[261] 문서 モートン 1975
[262] 웹사이트 Nuttal Encyclopaedia: Issy http://www.fromoldbo[...]
[263] 웹사이트 ジョージ(3世)-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9-18
[264] Harvnb 1815
[265] 문서 長塚 1986
[266] Harvnb 1999
[267] 문서 長塚 1986
[268] 웹사이트 Waterloo の意味とは - Yahoo!辞書 http://dic.yahoo.co.[...] eプログレッシブ英和中辞 2012-09-13
[269] 문서 ノフィ 2004
[270] 문서 ストローソン 1998
[271] 문서 ストローソン 1998
[272] 문서 ストローソン 1998
[273] 문서 バーソープ 2001
[274] 문서 ノフィ 2004
[275] 문서 ノフィ 2004
[276] 웹사이트 BBC News-UK-Waterloo insult to French visitors http://news.bbc.co.u[...] BBC 2012-09-13
[277] 문서 ノフィ 2004
[278] Harvnb 1864
[279] 웹사이트 ビクトル・ユーゴー Victor Hugo [[豊島与志雄]]訳 レ・ミゼラブル LES MISERABLES 第二部 コゼット https://www.aozora.g[...] 青空文庫 2012-09-14
[280] 문서 ノフィ 2004
[281] 간행물 Blackman, John-Lucie : pourquoi sa tombe est-elle à Hougomont? Bulletin de l'Association belge napoléonienne 2007-09-01
[282] 웹사이트 Voile acté-Champ de bataille de Waterloo : la dernière bataille de Napoléon, Waterloo - Géré par Culturespaces http://www.waterloo1[...] Panorama de la Bataille de Waterloo 2012-09-13
[283] 웹사이트 ワーテルロー・パノラマ館(Panorama de la Bataille de Waterloo) http://www.belgium-t[...] ベルギー観光局ワロン・ブリュッセル公式サイト 2012-09-13
[284] 웹사이트 History fans recreate Waterloo http://news.bbc.co.u[...] BBC NEWS 2012-09-13
[285] 웹사이트 ワーテルローの紹介 http://www.city.naga[...] 長久手市役所公式サイト 2012-09-15
[286] 웹사이트 ワーテルロー[WATERLOO]ミニ観光ガイド http://www.waterloo-[...] ワーテルロー観光局 2012-09-13
[287] 웹사이트 レ・ミゼラブル-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9-13
[288] 웹사이트 ナポレオンを敗戦に追い込んだ「世界最大級の火山噴火」 https://forbesjapan.[...] 2019-06-29
[289] 문서 금각 1976
[290] 문서 금각 1976
[291] 문서 금각 1976
[292] 문서 노피 2004
[293] 영화 ワーテルロー
[294] 영화 ワーテルロー 劇場パンフレット 1970
[295] 웹사이트 タイムボカンシリーズ ヤッターマン 最終回 アワテルローの戦いだコロン http://www.wowow.co.[...] WOWOWオンライン 2012-10-26
[296] 문서 청산 2008
[297] 웹사이트 Waterloo の意味とは - Yahoo!辞書 http://dic.yahoo.co.[...] eプログレッシブ英和中辞 2012-09-13
[298] 웹사이트 ワーテルローの落日 - GameJournal.net http://www.gamejourn[...] ゲームジャーナル 2012-09-14
[299] 웹사이트 Welling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