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두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두표는 광해군의 정치에 반대하여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공을 세운 조선 시대의 문신이다. 정사공신 2등으로 평원군에 봉해졌으며, 이괄의 난과 병자호란에서 활약했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효종 때 우의정, 현종 때 좌의정에 올랐다. 손자 원몽린은 숙경공주와 결혼했다. 묘소는 경기도 여주시에 있으며, 1981년 드라마 대명에서 주현이 원두표 역을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사공신 (1623년) - 이괄
인조반정의 주역이었던 이괄은 논공행상 불만으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여 처형되었고, 그의 난은 정묘호란의 원인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공로와 혼란이라는 상반된 측면으로 복잡한 역사적 평가를 받는다. - 정사공신 (1623년) - 이귀
이귀는 조선 시대 문신으로 연안 이씨이며, 이정화의 아들이고 장민의 딸과 혼인하여 이시백, 이시담, 이시방을 두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신도비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여러 작품에서 다양한 배우가 연기했다. - 1664년 사망 -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은 1598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1664년 사망한 스페인의 화가로, 종교화를 주로 그렸으며 강렬한 명암 대비와 엄숙한 구도, 정교한 세부 묘사가 특징이다. - 1664년 사망 - 성이성
성이성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암행어사, 지방관을 역임하며 청렴한 관리로 칭송받았고, 춘향전의 실제 모델로 알려져 있으며, 저서로 《계서유고》가 있다. - 김육 - 성혼
성혼은 조광조의 제자이자 이이와 도의를 맺고 이황을 사사한 조선 중기 문신으로, 사림파 서인에 속하여 정여립의 난과 임진왜란 시기에 활동했으며, 이황의 이기이원론을 지지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 김육 - 김집 (1574년)
사계 김장생의 아들이자 조선 중기 문신이자 예학자인 김집은 율곡 이이, 성혼의 성리학과 송익필의 예학을 계승하고 인조반정 공신을 비판하는 등 강직한 성품을 보였으며, 『신독재문집』 등의 저서를 남기고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조선 후기 예학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쳐 문묘에 배향되고 동방 18현에 오르는 영예를 누렸다.
원두표 | |
---|---|
기본 정보 | |
한글 | 원두표 |
한자 | 元斗杓 |
히라가나 | 겐토효 |
카타카나 | 워ン・ドゥピョ |
로마자 표기 | Won Du-pyo |
2. 생애
원두표는 인조반정 공신으로, 이괄의 난과 병자호란 등에서 공을 세웠다. 효종 때 우의정을, 현종 때 좌의정을 지냈으며, 내의원·군기시의 도제조를 겸하였다.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경상도관찰사, 호조판서, 공조판서, 좌참찬, 판의금부사, 개성유수, 병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실록에서는 김자점의 옥을 두고 원두표가 빚어낸 일이라고 기록하고 있다.[4] 그의 손자 원몽린은 효종의 다섯째 딸 숙경공주와 혼인하여 흥평위에 봉해졌다.[5]
2. 1. 초기 생애 및 인조반정
광해군의 정치에 반대하여 아버지 원계군(原溪君) 원유남(元裕男) 등 여러 대신들과 힘을 합하여 인조반정을 성공시켰다. 그 공으로 정사공신 2등에 뽑히고 평원군으로 책봉되었다.[4] 또 이괄의 난에 공을 세워 전주 부윤을 지냈으며, 병자호란 때에는 왕을 남한산성으로 호위하여 어영대장을 지냈다.[2]2. 2. 관직 생활 및 정치 활동
광해군의 정치에 반대하여 아버지 원계군(原溪君) 원유남(元裕男) 등 여러 대신들과 힘을 합하여 인조반정에 성공하였다. 그 공으로 정사공신 2등에 뽑히고 평원군으로 책봉되었다. 또 이괄의 난에 공을 세워 전주 부윤을 지냈으며, 병자호란 때에는 왕을 남한산성으로 호위하여 어영대장을 지냈다.[4] 이후에는 전라도관찰사를 거쳐 형조판서가 되었다가 다시 경상도관찰사로 전출되었다. 이후 호조판서로 임명되었으며 그 후 효종 때 호조판서, 공조판서, 좌참찬, 판의금부사, 형조판서를 지내고 연이어 개성유수를 한 뒤 다시 판의금부사, 공조판서, 형조판서, 병조판서를 지낸 뒤 우의정에 올랐다.[2] 현종 때 좌의정에 올라 내의원·군기시의 도제조를 겸하였다. 실록에서는 김자점의 옥을 두고 원두표가 빚어내 만든 일이라고 기록하고 있다.[4] 그 손자 원몽린은 효종의 다섯째 딸 숙경공주와 혼인하여 흥평위(興平尉)에 봉해졌다.[5][3]2. 3. 사후
묘소는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장암리에 있다. 석물로는 묘비 1기, 상석, 향로석, 혼유석 각 1기, 문인석, 망주석 각 1쌍 및 계체석 등이 있다. 묘역에서 30m 아래에 신도비가 있다. 망주석은 폭이 185cm의 규모로 좌우측 모두 올라가는 형태의 쥐 모양이 양각되어 있다. 문인석의 형태는 양관조복(梁冠朝服)에 홀을 들고 있는 형상이다. 양관의 무(武)에는 여의운문을 장식하였다. 조복의 앞면에는 홀을 쥔 손등으로부터 포(袍)의 주름이 뚜렷하게 묘사되어 있고 뒷면에는 여지문양이 있는 대(帶)와 후수(後綬)와 패옥(佩玉)을 양각으로 묘사하였다. 신도비는 원두표 사후 102년 만에 건립된 것이다. 2004년 5월 17일 경기도의 문화재자료 제128호로 지정되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5대조 | 원중륙(元仲稑) | |
고조부 | 원팽조(元彭祖) | 1473년-1542년, 충청도 병마절도사 역임 |
증조부 | 원송수(元松壽) | |
할아버지 | 원호(元豪) | |
아버지 | 원유남(元裕男) | |
부인 | 삭녕 최씨 | 최동식(崔東式)의 딸 |
장남 | 원만석(元萬石) | |
손자 | 원몽은(元夢殷) | 생부 원만춘 |
차남 | 원만리(元萬里) | |
손자 | 원몽린(元夢麟) | 효종의 사위 |
손자 | 원몽익(元夢翼) | 처: 송준길의 손녀, 송광식의 딸 |
삼남 | 원만춘(元萬春) | |
손자 | 원몽헌(元夢軒) | |
손자 | 원몽은(元夢殷) | |
사위 | 이민서(李敏敍) | |
외손자 | 이관명(李觀命) | |
외손자 | 이건명(李健命) | |
외손서 | 홍중기(洪重箕) | |
외손서 | 남학명(南鶴鳴) | |
외손서 | 김창립(金昌立) | |
측실 | 이름모름 | |
서자 | 원만동(元萬東) | |
서자 | 원만웅(元萬雄) | |
서자 | 원만령(元萬齡) | |
서자 | 원만적(元萬敵) |
4. 관련 작품
4. 1. 드라마
5.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81)원주 원씨(原州元氏)-109,505명
http://www.seoulecon[...]
2014-09-15
[2]
서적
朝鮮王朝実録 顕宗 8冊、5年(1664 甲辰 / 康煕3年) 6月24日(乙卯) 5番目記事
[3]
서적
朝鮮王朝実録 孝宗 21冊、10年(1659 己亥 / 順治 16年) 閏3月11日(辛未) 1番目記事
[4]
서적
조선왕조실록 현종 8권, 5년(1664 갑진 / 청 강희(康熙) 3년) 6월 24일(을묘) 5번째기사
[5]
서적
조선왕조실록 효종 21권, 10년(1659 기해 / 청 순치(順治) 16년) 윤3월 11일(신미) 1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