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명》은 1981년 방영된 드라마로, 봉림대군 효종의 지도력과 국력 신장을 주제로 한다. 주요 배역으로는 인조 역의 김동훈, 효종 역의 김흥기, 현종 역의 서영진 등이 출연했다. 드라마는 조선 왕실, 문무백관, 청나라, 명나라 인물 등 다양한 등장인물을 통해 이야기를 전개하며, 총 50회 분량으로 제작되었다. 1981년 1월 5일 첫 방송을 시작해 12월 28일 '효종대왕' 편으로 종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인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남한산성 (드라마)
1986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벌어진 조선과 청나라의 갈등과 인조, 소현세자, 최명길, 김상헌 등 역사적 인물들의 이야기를 양지운의 내레이션으로 다룬 문화방송 창사 25주년 특집 드라마이다. - 조선 인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최종병기 활
김한민 감독의 영화 《최종병기 활》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역적 가문의 아들 남이가 청나라 군에 잡혀간 여동생을 구하기 위해 활을 들고 추격하는 이야기이며, 류승룡의 열연과 액션 연출로 흥행에 성공했다.
대명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장르 | 역사 |
각본 | 이철향 |
연출 | 고성원 |
출연 | 김동훈, 김흥기, 서영진, 원미경, 김성원, 백일섭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 채널 | KBS1 |
방송 기간 | 1981년 1월 5일 ~ 1981년 12월 28일 |
방송 횟수 | 52부작 (본편 50회, 총괄편 2회) |
2. 기획 의도
역사 속에 민족의 긍지를 살리기 위해 분연히 일어난 봉림대군 효종대왕의 지도력과 의지에 찬 갖가지 정책, 즉 국력 신장과 총화단결의 새로운 대열에 온 백성이 한결같이 참여하여, 감격의 시대를 재현하여 슬기롭고 용기 있는 이 나라의 국민을 새롭게 정립하고자 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3. 2. 조선 왕실
김동훈은 조선 인조 역을,[9] 김흥기는 조선 효종 역을,[9][13] 서영진은 조선 현종 역을 맡았다. 인렬왕후 역에는 서우림이, 장렬왕후 역에는 강수연과 조은덕이, 인선왕후 역에는 원미경이 캐스팅되었다.[9][13] 백윤식은 소현세자 역을,[13] 이문희는 민회빈 강씨 역을, 최우성은 인평대군 역을, 윤유선은 인평대군의 부인 역을 연기했다.
3. 3. 조선 문무백관
최명길(김성원 분[9][13])은 청에 항복하는 현실적인 대응을 주장한 문관이자 유학자였다.[13] 김류(이치우 분)는 왕의 측근 문관이었다. 임경업(백일섭 분[9][13])은 반청을 관철한 무관이었다. 김상헌(임동진 분)은 반청을 주장한 문관, 유학자였다. 정충신은 남성우가 연기했다. 홍익한은 전운이 연기했다.
이완은 문오장이 연기했다. 오달제는 남일우가 연기했다. 윤집은 장용이 연기했다. 원두표(주현 분)는 문관이었다. 김자점(김순철 분)은 이시백(김성겸 분) ,장유는 김진해가 연기했다. 김경징은 황범식이 연기했다. 송시열(안형식 분)은 청에 대한 북벌을 주장한 정치가이자 유학자였다.
평양성 군관은 김시원이 연기했다. 남이웅은 이순재가 연기했다. 윤덕용은 박로를 연기했다. 홍서봉은 양영준이 연기했다. 정뇌경은 문창길이 연기했다. 박배원은 반문섭이 연기했다. 조양은 박용식이 연기했다. 송희남은 신진익을 연기했다. 장순국은 장사민을 연기했다. 강민호는 강군관을 연기했다. 최정훈은 공마각을 연기했다. 이성웅은 독보 스님을 연기했다. 고광우는 군관을 연기했다.
이경석은 이대로가, 김육은 송창신이 연기했다.
3. 4. 청나라 인물
3. 5. 명나라 인물
서영진은 명나라의 제17대(마지막) 황제인 숭정제 역을 연기했다. 이근희는 남명의 초대 황제 복왕 역을 연기했다.
3. 6. 그 외 인물
이승호, 최명수, 민지환, 박병호, 민욱, 김인태, 김종결, 안해숙, 김봉근, 김난영, 정운용, 박해상, 조재훈, 송종원, 기정수, 강태기, 김병기, 안병경, 유동근, 이덕희, 정종준, 최승철, 최상일, 박규식, 정래협, 김해권, 유순철, 곽경환, 박정웅, 홍영자, 장학수, 서상익, 박영목, 남성식, 지미옥, 송보영, 송동섭, 송석호, 오중훈 등이 출연하였다.
4. 방영 목록
회차 | 방영일 | 제목 |
---|---|---|
1 | 1981년 1월 5일 | 맥궁왕자 |
2 | 1981년 1월 12일 | 큰별 떨어지다 |
3 | 1981년 1월 19일 | 북소리 |
4 | 1981년 1월 26일 | 여인들 |
5 | 1981년 2월 2일 | 서북풍 |
6 | 1981년 2월 9일 | 봉풍은 무삼일고 |
7 | 1981년 2월 16일 | (제목 불명) |
8 | 1981년 2월 23일 | 혈풍전야 |
9 | 1981년 3월 2일 | 남한산성 |
10 | 1981년 3월 9일 | 전하 어찌하오리까 |
11 | 1981년 3월 16일 | 강화도 |
12 | 1981년 3월 23일 | 놀개바람 |
13 | 1981년 3월 30일 | 강화 함락 |
14 | 1981년 4월 6일 | 대충의 |
15 | 1981년 4월 13일 | (제목 불명) |
16 | 1981년 4월 27일 | 천추한 |
17 | 1981년 5월 4일 | 북풍세월 |
18 | 1981년 5월 11일 | 분노의 산하 |
19 | 1981년 5월 18일 | 떠나가는 사람들 |
20 | 1981년 5월 25일 | 청석령 험한고개 |
21 | 1981년 6월 1일 | (제목 불명) |
22 | 1981년 6월 8일 | 이승의 심은 넑 |
23 | 1981년 6월 15일 | 사향곡 |
24 | 1981년 6월 22일 | 일월도 |
25 | 1981년 6월 29일 | 동녘이 어드메뇨 |
26 | 1981년 7월 6일 | 일편단심 |
27 | 1981년 7월 13일 | 맥박 |
28 | 1981년 7월 20일 | 가노라 삼각산아 |
29 | 1981년 7월 27일 | 깊은골 푸른이끼 |
30 | 1981년 8월 3일 | 하늘과 땅 |
31 | 1981년 8월 10일 | 들바람 |
32 | 1981년 8월 17일 | 내강산 내조국 |
33 | 1981년 8월 24일 | 만세록 |
34 | 1981년 8월 31일 | 꽃이 피는 소리 |
35 | 1981년 9월 7일 | 무쇠탑 |
36 | 1981년 9월 14일 | 낙화 |
37 | 1981년 9월 21일 | 만세문 |
38 | 1981년 9월 28일 | 왕좌 |
39 | 1981년 10월 5일 | 님의 향기 |
40 | 1981년 10월 12일 | 전하 |
41 | 1981년 10월 19일 | 천하대장군 |
42 | 1981년 10월 26일 | 의순공주 |
43 | 1981년 11월 2일 | 철퇴 |
44 | 1981년 11월 9일 | 성난불길 |
45 | 1981년 11월 16일 | 한양의 아침 |
46 | 1981년 11월 23일 | 흑룡강 |
47 | 1981년 11월 30일 | 맥궁왕비 |
48 | 1981년 12월 7일 | 제2차 나선정벌 |
49 | 1981년 12월 14일 | 아! 북벌 |
50 | 1981년 12월 28일 | 효종대왕 |
4. 1. 1981년
1981년 1월 5일, 드라마 대명의 첫 회인 '맥궁왕자'가 방영되었다.[7] 이후 '큰별 떨어지다', '북소리', '여인들', '서북풍', '봉풍은 무삼일고' 등이 차례로 방영되었다.[7] 2월 16일에는 제목 미상의 에피소드가 방영되었고, 2월 23일에는 '혈풍전야'가 방영되었다.[7]3월 2일 '남한산성', 3월 9일 '전하 어찌하오리까', 3월 16일 강화도를 배경으로 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7] 3월 23일 '놀개바람', 3월 30일 '강화 함락' 에피소드가 이어졌다.[7]
4월 6일 '대충의', 4월 27일 '천추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7] 5월에는 '북풍세월', '분노의 산하', '떠나가는 사람들', '청석령 험한고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7]
6월에는 '이승의 심은 넑', '사향곡', '일월도', '동녘이 어드메뇨'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7] 7월에는 '일편단심', '맥박', '가노라 삼각산아', '깊은골 푸른이끼'가 방영되었다.[7]
8월에는 '하늘과 땅', '들바람', '내강산 내조국', '만세록', '꽃이 피는 소리'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7] 9월에는 '무쇠탑', '낙화', '만세문', '왕좌'가 방영되었다.[7]
10월에는 '님의 향기', '전하', '천하대장군', 의순공주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7] 11월에는 '철퇴', '성난불길', '한양의 아침', '흑룡강', '맥궁왕비'가 방영되었다.[7]
12월에는 '제2차 나선정벌', '아! 북벌', 그리고 12월 28일 '효종대왕'을 마지막으로 1981년 방영분이 종료되었다.[7]
5. 결방
1981년 12월 21일, 특선영화 4부작 시리즈 《나사렛 예수/Jesus of Nazareth영어》 1부 편성으로 결방되었다.[19]
참조
[1]
웹사이트
[추억의 드라마]KBS '대명'/1981
https://m.blog.naver[...]
2021-07-03
[2]
웹사이트
방송작가 이철향 씨 교통사고로 별세
https://news.kbs.co.[...]
2021-07-03
[3]
웹사이트
양승동 KBS 사장 "대하드라마, 내년에 부활시키려 한다"
https://www.msn.com/[...]
2021-07-03
[4]
웹사이트
KBS 대하드라마 '대명' 방영 문의
http://www.cntv.co.k[...]
2021-07-03
[5]
웹사이트
KBS 대하사극이 어찌 이 지경이 되었단 말이더냐
https://m.hani.co.kr[...]
2021-07-03
[6]
웹사이트
김흥기 연기 왜 볼만한가 (2)
https://mnews.joins.[...]
2021-07-03
[7]
웹사이트
대명 (大命)
https://m.blog.naver[...]
Naver
2021-07-03
[8]
문서
대명 (大命)
https://zh.wikipedia[...]
[9]
웹사이트
대명 (大命)
https://search.daum.[...]
2022-01-05
[10]
웹사이트
대명
https://search.naver[...]
2022-01-05
[11]
뉴스
대명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81-01-05
[12]
뉴스
대명(최종회)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1-12-28
[13]
웹사이트
대명
https://movie.naver.[...]
2022-01-05
[14]
웹사이트
임동진 작품활동
https://search.naver[...]
2022-01-07
[15]
뉴스
실존인물 감동적 삶 드라마로 KBS 「인간극장」봄개편때 선봬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4-01-29
[16]
웹사이트
KBS 대하사극이 어찌 이 지경이 되었단 말이더냐
https://www.hani.co.[...]
2022-01-07
[17]
웹사이트
양승동 KBS 사장 "대하드라마, 내년에 부활시키려 한다"
https://web.archive.[...]
2022-01-08
[18]
뉴스
대하 드라머時代 연 KBS의「土地」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79-11-18
[19]
뉴스인용
「나사렛 예수」放映(방영) KBS1 21일부터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1-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