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망은 개인이 인지한 부당함, 불공정, 굴욕과 관련된 상황에서 발생하는 감정이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차별, 이용, 무시 등으로 인해, 사회적 차원에서는 불평등, 갑질 문화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원망은 과거의 불만을 곱씹거나 감정을 정당화하려는 과정에서 심화될 수 있으며, 슬픔의 과정과 반추를 통해 지속되기도 한다. 기능적으로는 가치관을 드러내고, 불공정한 상황을 경고하며, 항의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지만, 과도한 원망은 적대적 분노, 장기적 지속, 자원 고갈, 스트레스 유발, 긍정적 감정 감소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원망은 분노와 비교되는데, 분노는 즉각적인 위협에 대한 반응인 반면, 원망은 피해 이후에 발생하며 지속성이 더 길다. 원망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원망의 근원을 파악하고, 새로운 관점을 개발하며, 용서하는 연습을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증오 - 이슬람 공포증
이슬람 공포증은 이슬람, 무슬림, 이슬람 관련 대상에 대한 과장되거나 비합리적인 공포 또는 혐오를 뜻하며, 9·11 테러 이후 증가하여 미디어, 정치, 극우 단체 등의 영향으로 확산되어 무슬림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국제 사회의 모니터링 대상이 되고 있다. - 증오 - 동성애 혐오
동성애 혐오는 성 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 감정, 편견, 차별을 의미하며, 심리적 혐오에서 비롯된 공포, 혐오, 증오 등으로 나타나 제도적 차별, 종교적 태도, 국가 주도 혐오, 내면화된 혐오, 사회적 혐오 등으로 구체화되는 사회 문제이다.
원망 | |
---|---|
감정 | |
유형 | 복합적인 감정 |
구성 요소 | 실망 불쾌감 분노 |
관련 행동 | 복수심 시기심 앙심 냉소적인 태도 공격적인 행동 |
유사 감정 | 앙심 시기 분개 수치심 적개심 비애 열등감 |
심리학 | |
관련 개념 | 사회적 비교 인지 부조화 정의감 자존감 권력 관계 사회적 지위 |
사회학 | |
관련 개념 | 사회적 불평등 억압 사회 운동 혁명 정치적 불안정 |
철학 | |
관련 개념 |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정의론 도덕 철학 |
특징 | |
정의 | 부당함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장기간의 부정적인 감정 |
발생 원인 | 굴욕 모욕 좌절 무력감 불공정함 |
표현 방식 | 은밀한 적대감 냉소주의 반복적인 불평 피해 의식 자기 연민 |
영향 | 정신 건강 악화 사회 관계 손상 폭력적인 행동 사회적 갈등 심화 |
극복 방법 | 자기 인식 감정 조절 공감 능력 향상 용서 건설적인 의사 소통 |
2. 원인
원망은 불공정하거나 굴욕적인 대우를 받았을 때 주로 발생한다. 공개적으로 굴욕적인 사건을 겪거나, 차별이나 편견의 대상이 되거나, 부러움/질투를 느끼거나, 다른 사람에게 이용당한다고 느낄 때 원망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성과는 인정받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이 쉽게 성공하는 것을 볼 때도 원망을 느낄 수 있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정서적 거부, 고의적인 당혹감, 경시, 무시 등을 당하는 상호 작용 또한 원망의 원인이 된다.[4]
2. 1. 개인적 차원의 원인
원망은 공개적으로 굴욕적인 사건을 경험하거나, 지속적인 차별이나 편견의 대상이 될 때 발생할 수 있다. 타인에게 이용당하거나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고 느낄 때, 자신의 노력이 정당하게 인정받지 못할 때 원망이 생길 수 있다. 감정적인 거부, 의도적인 무시, 경멸 등 대인 관계에서의 상호작용 또한 원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4]2. 2. 심리적 기제
원망은 과거의 불쾌한 경험(예: 상처받은 기억)을 반복적으로 떠올리거나, 자신의 감정을 정당화하려는 노력(예: 추가적인 생각/감정)을 통해 발전하고 유지될 수 있다.[6][7] 따라서 원망은 슬픔 과정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으며,[8] 반추를 통해 지속될 수 있다.[9] 즉, 해소되지 않은 슬픔, 분노와 같은 감정이 원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3. 기능
원망은 건강한 측면과 건강하지 못한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원망의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기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긍정적 기능, #부정적 기능 문단을 참고하라.
3. 1. 긍정적 기능
앨리스 맥라클란(Alice MacLachlan)은 원망이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무엇을 바라는지를 드러낸다고 하였다.[10] 또한, 주변 환경에 대해 우리가 스스로에게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 즉 기대하는 바가 어떻게 구성되고 측정되는지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10] 더 나아가, 비도덕적인 사람만이 원망을 경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0]원망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해롭고 불공정한 상황에 대해 경고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5] 불신 형태의 원망에는 자기 처벌적인 요소가 강하게 작용한다.[1] 이러한 자기 처벌은 미래의 상처와 실망으로부터 우리를 안전하게 지켜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원망하는 사람에게 더 큰 피해를 준다.[1]
원망은 '항의'의 한 형태로 볼 수도 있다.[11] 과거의 행동이 현재에도 위협으로 지속될 때, 원망은 이에 대한 항의로 나타난다.[11] 즉, 과거의 해로운 행위가 용납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원망을 통해 도전하는 것이다.[11] 파멜라 히에로니미(Pamela Hieronymi)는 항의의 대상이 가해자가 아니라 과거의 사건이므로, 원망이 꼭 악의나 보복의 욕구로 이어질 필요는 없다고 주장한다.[11]
3. 2. 부정적 기능
원망이 건강하지 못할 때는 복수심을 동기로 한 적대적 분노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를 폄하하거나, 가치를 떨어뜨리거나, 인지된 상처에 대해 보복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1] 이러한 원망은 며칠, 몇 주, 심지어 몇 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1] 너무 많은 원망을 품게 되면 자원이 고갈되고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긍정적인 감정을 메마르게 할 수 있다.[12]원망은 특히 가깝거나 친밀한 관계에 있는 사람에게 느낄 때 가장 강력하다. 친구나 연인으로부터 원망스러운 감정을 유발하는 상처를 받으면 배신감과 원망을 동시에 느끼게 되고, 이러한 감정은 깊은 영향을 줄 수 있다.[15]
원망은 원망을 느끼는 사람에게 다양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다.
- 원망하는 사람을 생각할 때 예민해지거나 날카로워짐.
- 이 사람에 대한 분노나 증오를 부정.
- 이 사람이 긍정적으로 인식될 때 도발 또는 분노가 유발.
또한, 다음과 같은 장기적인 영향도 있을 수 있다.
- 적대적, 냉소적, 비꼬는 태도 형성 (다른 건강한 관계에 장벽이 될 수 있음).
- 개인적 및 정서적 성장의 부족.
- 자기 노출의 어려움.
- 타인에 대한 신뢰 문제.
- 자존감 상실.
- 과잉 보상.[4]
만성적인 원망(예: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은 다음과 같은 건강하지 못한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신체적, 심리적 징후
원망은 많은 감정과 달리, 사람이 이러한 감정을 느낄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신체적 징후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찌푸린 눈썹이나 드러난 이빨과 같이 분노와 질투와 관련된 감정과 관련된 신체적 표현이 나타날 수 있다.[13]
원망은 다음과 같은 징후를 통해 스스로 진단할 수 있다.
- 감정 조절의 필요성을 느낀다.
- 상대방에 대한 진정한 감정을 숨기기 위해 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행복한 척한다.
- 상대방에게 또는 상대방에 대해 비꼬거나 비하하는 방식으로 말한다.
- 설명할 수 없는 우울증, 낙담을 느끼거나, 뚜렷한 이유 없이 화를 낸다.
- 상대방에 대한 악몽 또는 불쾌한 백일몽을 꾼다.
이러한 징후들은 감정과 관련된 흥분 또는 낙담과 관련된 감정의 출현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14]
5. 대처
원망은 하향식 나선형으로 작용하여, 원망하는 사람과 잘못을 저질렀다고 느끼는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을 단절시키고, 이는 미래의 오해와 더 많은 원망 감정을 유발할 수 있다.[16] 이러한 결과 때문에 원망은 함께 살아가기에 위험하며 처리해야 할 감정이다. 원망은 사람들 간의 평등한 도덕적 관계 회복에 걸림돌이 된다.[15]
원망과 앙심은 자기 파괴적인 면에서 연결되어 있지만, 표현 방식에서 주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원망은 거의 전적으로 내면화되어 추가적인 정서적, 심리적 손상을 입힐 수 있지만, 원망하는 대상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반대로 앙심은 전적으로 외현화되어, 잘못의 (인식된 또는 실제) 원인에 대한 보복적 행위를 포함한다. 그러나 앙심에 찬 행동은 원망에서 비롯될 수 있다.
외상 후 분노 장애는 일부 경우 원망과 관련이 있다.
5. 1. 개인적 차원의 대처
원망은 함께 살아가기에 위험하고 처리해야 할 감정이므로, 원망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심리학자 제임스 J. 메시는 원망에 대처하고 해결하기 위한 5단계를 제안했다.[4]
이러한 단계를 통해 원망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 외상 후 분노 장애와 같이 원망과 관련된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5. 2. 사회적 차원의 대처
원망은 사람들 간의 평등한 도덕적 관계 회복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에 처리할 필요가 있다.[15] 원망은 종종 하향식 나선형으로 작용하여, 원망하는 사람과 잘못을 저질렀다고 느끼는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을 단절시키고, 이는 미래의 오해와 더 많은 원망 감정의 발달을 초래할 수 있다.[16]심리학자 제임스 J. 메시는 원망하는 감정에 직면하고 해결하기 위한 5단계를 제안했다.[4]
단계 | 내용 |
---|---|
1단계 | 원망의 근원과 원망을 유발한 상대방의 행위를 파악한다. |
2단계 | 과거, 현재, 미래의 삶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식을 개발한다. 여기에는 원망이 삶에 미친 영향과 원망을 떨쳐버리는 것이 미래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포함된다. |
3단계 | 원망의 대상에게 편지를 써서 위반 사항을 나열하고 상황을 설명한 다음, 용서하고 위반 사항을 잊어버린다(하지만 편지는 보내지 않는다). |
4단계 | 원망의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미래를 시각화한다. |
5단계 | 원망하는 감정이 여전히 남아 있다면, 1단계로 돌아가 다시 시작한다. |
이러한 개인적인 노력 외에도, 사회 구조적인 문제 해결을 통해 원망을 줄여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불공정, 차별, 갑질 등 사회 구조적인 문제는 사회적 약자와 소외 계층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정책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또한, 사회 구성원 간의 소통과 이해를 증진하고, 건강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6. 분노와의 비교
로버트 C. 솔로몬은 원망, 분노, 경멸을 연속적인 감정으로 보고, 이들 간의 차이점을 지위와 연결 지어 설명했다. 원망은 높은 지위의 대상에게, 분노는 동등한 지위, 경멸은 낮은 지위의 대상에게 향하는 감정이다.[17] 스티븐 스토스니는 분노는 즉각적인 위협에 대응하는 '소화기', 원망은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동하는 '연기 경보기'에 비유했다.[5]
분노와 원망은 외부적인 표현 방식과 지속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분노가 공격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반면, 원망은 덜 공격적이고 내면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분노는 즉각적인 상황에 대한 반응이지만, 원망은 과거의 경험과 관련된 방어적인 감정으로, 단일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드물고, 상황이 해결된 후에도 지속될 수 있다.
6. 1. 발생 시점
스티븐 스토스니는 분노와 원망의 기능을 비유하며 설명한다. 분노는 즉각적인 유해 상황을 '진압'하고 더 심각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소화기와 같고, 원망은 연기 경보기와 같다고 하였다. 원망은 항상 '켜져' 있으며, 과거 경험에서 유해한 사람이나 사물이 나타날 경우 우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5]분노와 원망은 주로 외부적으로 표현되는 방식에서 다르다. 분노는 위협을 피하거나 대처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격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반면,[18] 원망은 피해가 가해진 후에 발생하며, 분노만큼 공격적이거나 공개적으로 표현되지 않는다.
분노는 즉각적인 상황에 관한 것이지만, 원망은 자신이나 '기억된' 가해자를 ''정신적으로'' 처벌하는 방어적인 방식이다.[5] 원망은 단일의 특정 자극에 관한 경우가 거의 없으며,[5] 행동 변화가 이루어진 후 또는 자극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더라도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반면, 분노는 특정 자극에 의해 유발되며, 자극이 약해짐에 따라 일반적으로 강도가 감소한다.
6. 2. 표현 방식
로버트 C. 솔로몬(Robert C. Solomon)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철학 교수는 원망을 분노 및 경멸(contempt)과 같은 선상에 놓고, 이 셋의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원망은 더 높은 지위의 개인에게 향하는 분노이고, 분노는 동등한 지위의 개인에게 향하며, 경멸은 더 낮은 지위의 개인에게 향하는 분노이다.[17]스티븐 스토스니(Steven Stosny)는 분노와 원망의 기능을 다음과 같이 비유했다. 분노는 즉각적인 유해 상황을 '진압'하고 더 심각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소화기와 같고, 원망은 연기 경보기와 같다. 항상 '켜져' 있으며(이 경보 시스템을 유지하려면 에너지와 감정이 필요함), 과거 경험에서 유해한 사람이나 사물이 나타날 경우 우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5]
원망과 분노는 주로 외부적으로 표현되는 방식에서 다르다. 분노는 위협을 피하거나 대처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격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반면,[18] 원망은 피해가 가해진 후에 발생하며, 분노만큼 공격적이거나 공개적으로 표현되지 않는다. 분노는 즉각적인 상황에 관한 것이지만, 원망은 자신이나 '기억된' 가해자를 ''정신적으로'' 처벌(또는 더 극단적인 경우, 가치를 절하)하는 방어적인 방식이다.[5] 원망은 단일의 특정 자극에 관한 경우가 거의 없으며,[5] 행동 변화가 이루어진 후(예: 책임이 해결됨) 또는 자극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더라도(예: 상황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음)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반면, 분노는 특정 자극에 의해 유발되며, 자극이 약해짐에 따라(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 일반적으로 강도가 감소한다.
6. 3. 지속성
로버트 C. 솔로몬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철학 교수에 따르면, 원망은 단일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드물다.[5] 행동 변화(예: 책임 해결)나 자극이 사라져도(예: 상황 종료) 원망은 지속될 수 있다. 반면 분노는 특정 자극에 의해 유발되며, 자극이 약해지거나 사라지면 대개 강도가 감소한다.[5]7. 철학적 관점
막스 셸러는 원망을 나약함과 수동성의 결과로 여겼다.[19] 니체는 원망을 루소적인 낭만주의의 기저에 깔린 비열한 감정으로 보았다. 즉, "모든 낭만주의 아래에는 루소의 복수 본능의 끙끙거림과 탐욕이 숨어 있다"라고 하였다.[20]
철학자 로버트 C. 솔로몬은 원망이라는 감정과 그것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광범위하게 글을 썼다. 솔로몬은 원망을 인간이 자존심을 붙잡는 수단으로 묘사하며, 인간성이 가장 쇠퇴하는 순간이 바로 이때라고 하였다.
셸러는 원한 사상에 기여했다.
8. 기타
알코올 중독자 익명회(AA)는 원망을 알코올 중독자에게 가장 큰 위협 중 하나이자 최우선적인 적으로 꼽는다.[21] AA의 12단계는 회복 과정의 일환으로 원망을 파악하고 다루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에는 원망에 대한 자신의 역할 인정과 원망을 없애달라는 기도가 포함된다. AA가 원망을 처리하기 위해 제시하는 목록은 먼저 어떤 사람, 기관 또는 원칙에 분노하는지 파악하여 원망을 목록화하고, 왜 분노하는지, 원망에 의해 어떤 자기 본능이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관련된 다른 사람은 완전히 무시하고, 알코올 중독자는 자신의 실수, 비난받아야 할 부분, 잘못한 부분을 찾는다. 즉, 알코올 중독자가 이기적이었는지, 자기 탐욕적이었는지, 부정직했는지, 또는 두려워했는지 자문한다.[21] 목록을 작성하고 공유한 후에는 이타적이고 건설적인 행동을 취한다.
원망은 인종 및 민족 갈등에서도 역할을 할 수 있다. 원망은 사회적 가치의 구조를 감염시킨 것으로 언급되며, 따라서 불평등으로 촉발된 갈등의 정기적인 촉매 역할을 한다.[22] 또한, 특히 억압받는 사회 계급에 의해 계급 갈등 동안 경험되는 감정 중 하나일 수 있다.
- 작가 노먼 더글러스는 D. H. 로렌스처럼 돈을 빌리는 습관이 있다고 고백했다. 그러나 로렌스와 달리 더글러스는 "주된 반응인 원망감... 우리는 은근한 태도에 반감을 느끼며, 그것이 우리를 원망하게 만든다."를 숨길 수 있었다.[23]
-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원망에 대해 논한다. "니체와 셸러는 모두 원한 감정이 타인을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에 대한 주요 장애물이라고 지적한다."[24]
8. 1. 알코올 중독 및 편견
알코올 중독자 익명회(AA)는 원망을 알코올 중독자에게 가장 큰 위협 중 하나이자 최우선적인 적으로 꼽는다.[21] AA의 12단계는 회복 과정의 일환으로 원망을 파악하고 다루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에는 원망에 대한 자신의 역할 인정과 원망을 없애달라는 기도가 포함된다. AA가 원망을 처리하기 위해 제시하는 목록은 먼저 어떤 사람, 기관 또는 원칙에 분노하는지 파악하여 원망을 목록화하고, 왜 분노하는지, 원망에 의해 어떤 자기 본능이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관련된 다른 사람은 완전히 무시하고, 알코올 중독자는 자신의 실수, 비난받아야 할 부분, 잘못한 부분을 찾는다. 즉, 알코올 중독자가 이기적이었는지, 자기 탐욕적이었는지, 부정직했는지, 또는 두려워했는지 자문한다.[21] 목록을 작성하고 공유한 후에는 이타적이고 건설적인 행동을 취한다.원망은 또한 인종 및 민족 갈등에서도 역할을 할 수 있다. 원망은 사회적 가치의 구조를 감염시킨 것으로 언급되며, 따라서 불평등으로 촉발된 갈등의 정기적인 촉매 역할을 한다.[22] 또한, 특히 억압받는 사회 계급에 의해 계급 갈등 동안 경험되는 감정 중 하나일 수 있다.
8. 2. 문학적 예시
- 작가 노먼 더글러스는 D. H. 로렌스처럼 돈을 빌리는 습관이 있다고 고백했다. 그러나 로렌스와 달리 더글러스는 "주된 반응인 원망감... 우리는 은근한 태도에 반감을 느끼며, 그것이 우리를 원망하게 만든다."를 숨길 수 있었다.[23]
-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원망에 대해 논한다. "니체와 셸러는 모두 원한 감정이 타인을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에 대한 주요 장애물이라고 지적한다. (그들은 독일어로 글을 썼지만, 프랑스어 용어인 ressentiment를 사용했는데, 이 복잡한 의미는 더 직접적인 영어 용어인 "resentment"로 완벽하게 전달되지 않는다.)"[24]
참조
[1]
서적
On Resentment
2013
[2]
서적
General Theory of Emotions and Social Life
Routledge
2007
[3]
서적
Emotion and Reason
2014
[4]
웹사이트
Handling Resentment
http://www.livestron[...]
Livestrong.com
2013-08-02
[5]
서적
Living & Loving After Betrayal
New Harbinger Publications
2013-09-01
[6]
웹사이트
Should You Feel or Flee Your Emotions?
https://www.psycholo[...]
2020-01-08
[7]
웹사이트
Don't Justify What You Want to Change
https://www.psycholo[...]
2020-02-06
[8]
웹사이트
Grief: A Pathway to Forgiveness
https://www.youtube.[...]
TEDx Talks
2017-09-05
[9]
웹사이트
Chains of Resentment
http://www.psycholog[...]
2020-01-08
[10]
학술 논문
Unreasonable Resentments
https://philarchive.[...]
2010
[11]
웹사이트
Articulating an Uncomprimising Forgiveness
http://hieronymi.bol[...]
2020-01-18
[12]
서적
Forgive For Good
https://archive.org/[...]
HarperOne
[13]
서적
Understanding Emotions
Wiley-Blackwell
[14]
웹사이트
How To Get Rid Of Resentment
http://www.howtogetr[...]
2013-08-02
[15]
학술 논문
Forgiveness and Resentment
[16]
잡지
Emotional Abuse: Is Your Relationship Headed There? You Might be a Lot Closer than You Think!
http://www.psycholog[...]
2013-08-02
[17]
서적
The Passions: Emotions and the Meaning of Life
Hackett Publishing
1993
[18]
학술 논문
Understanding Clinical Anger and Violence: The Anger Avoidance Model
2008-07-09
[19]
서적
The Rebel
Vintage
[20]
서적
The Portable Nietzsche
Penguin
1987
[21]
서적
Alcoholics Anonymous: The Big Book
Alcoholics Anonymous World Services, Inc.
2002
[22]
학술 논문
Danger in the safety zone: Notes on race, resentment, and the discourse of crime, violence and suburban security
[23]
서적
Looking Back
London
1934
[24]
서적
Does Ethics Have a Chance in a World of Consumers?
Institute for Human Sciences Vienna Lecture Series in cooperation with Harvard University Press, Suhrkamp Verlag (Frankfurt), and Znak (Kraków). First Harvard University Press paperback edition, 2009.
[25]
서적
On Resentment
2013
[26]
서적
General Theory of Emotions and Social Life
Routledge
2007
[27]
서적
Living & Loving After Betrayal
https://archive.org/[...]
New Harbinger Publications
2013-09-01
[28]
서적
Emotion and Reason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