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화왕후는 고려 성종의 딸로, 현종의 비이다. 어머니는 연창궁부인 최씨이며, 본관은 경주이다. 왕비 책봉 후 항춘전왕비, 상춘전왕비로 불렸다. 1010년 거란의 침략으로 현종과 함께 나주로 피난했으며, 사후 원화왕후의 시호를 받았다. 현종과의 사이에서 아들 왕수와 효정공주, 천수전주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현종의 왕비 - 원용왕후
원용왕후는 고려 현종의 비로, 대종과 선의왕후의 손녀이자 경장태자의 딸이며, 현종과는 근친혼 관계이고, 1013년 비로 책봉되었으나 자녀는 없었다. - 고려 현종의 왕비 - 원평왕후
원평왕후는 안산 김씨로 현종의 왕비이며, 김은부의 딸이자 원성왕후, 원혜왕후의 동생으로, 원혜왕후 사후 입궁하여 왕비가 되었고 효경공주를 낳았으며, 1028년 원평왕후 시호를 받았고 능은 의릉이다.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 경주 최씨 - 최교일
최교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검사로 임관하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법무부 검찰국장 등을 거쳐 변호사로 개업 후 제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법률 관련 주요 직책을 맡았으나, 성추문 은폐 및 스트립바 방문 강요 논란, 세비 반납 공약 파기 논란 등에 휩싸였다. - 경주 최씨 - 효정
최효정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며 걸그룹 오마이걸의 리더로, 오마이걸 데뷔 후 다양한 음반 활동, 유닛 활동, OST 참여, 예능 프로그램 출연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원화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고려 현종의 왕비 |
별호 | 상춘전왕비(常春殿王妃) |
생애 |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미상 |
가족 관계 | |
부군 | 현종 |
자녀 | 1남 2녀 왕수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부친 | 성종 |
모친 | 연창궁부인 최씨 |
기타 정보 | |
시호 | 원화(元和) |
가문 | 경주 최씨 |
휘 | 최씨 |
출생 | 996년 |
왕후 봉작 | 항춘전 왕비 () 상춘전 왕비 () 대명 왕후 () |
사후칭호 | 원화(元和; "Primary and Harmonious") |
2. 생애
원화왕후는 성종의 딸로, 어머니는 성종의 제3비 연창궁부인이다. 본래 성은 왕이나 어머니의 성을 따라 최씨가 되었다.[9][10] 문화왕후 소생이자 현종의 왕비인 원정왕후와는 이복 자매이다.[10]
왕비에 책봉되어 항춘전왕비(恒春殿王妃)의 호를 받았으며, 이후 상춘전왕비(常春殿王妃)로 고쳤는데, 이는 그녀가 살던 전각의 이름을 딴 것이다.[10][11]
1010년(현종 1년) 거란의 침략으로 현종과 함께 나주까지 피난을 갔다가, 거란군이 물러난 후 개경으로 돌아왔다.[10]
1017년(현종 8년) 12월, 현종은 원화왕후의 외조부 최행언에게 상서좌복야를, 외조모 김씨에게 풍산군대부인의 호를, 어머니 연창궁부인에게 낙랑군대부인의 호를 추증하였다.[12]
사망 후 시호는 '''원화왕후'''(元和王后)이며, 생몰년과 능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현종과의 사이에서 아들 왕수와 효정공주, 천수전주 두 딸을 두었다.[10]
2. 1. 가계
항목 | 내용 |
---|---|
출생 | 성종의 딸 |
가계 | |
외척 |
2. 2. 왕비 책봉과 호칭
원화왕후는 성종의 딸로, 어머니는 성종의 제3비 연창궁부인이다. 원래 성은 왕이나 어머니의 성을 따라 최씨가 되었으며, 본관은 경주이다.[9][10] 문화왕후 소생이자 현종의 왕비인 원정왕후와는 이복 자매이다.[10]왕비에 책봉되어 항춘전왕비(恒春殿王妃)의 호를 받았으며, 이후 그 호를 상춘전왕비(常春殿王妃)로 고쳤다.[10] 이는 원화왕후가 살던 전각의 이름을 딴 것이다.[11]
2. 3. 고려-거란 전쟁 시기
1010년(현종 1년) 거란이 고려를 침략하면서, 최씨는 현종과 함께 전라남도 나주까지 피난을 갔으며, 거란군이 물러간 후에야 개경으로 돌아왔다.[10]2. 4. 가족 추증
1017년(현종 8년) 음력 12월, 현종은 원화왕후의 외조부 최행언에게는 상서좌복야를, 외조모 김씨에게는 풍산군대부인의 호를, 어머니 연창궁부인에게는 낙랑군대부인의 호를 추증하였다.[12]2. 5. 사망과 자녀
원화왕후는 사망 후 시호를 '''원화왕후'''(元和王后)라 하였으며, 생몰년과 능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10] 남편 현종과의 사이에서 아들 왕수와 효정공주, 천수전주 등 두 딸을 두었다.[10]3. 가족 관계
구분 | 관계 | 이름 | 비고 |
---|---|---|---|
부계 | 대종 | ? ~ 969 | |
선의왕후 유씨 | |||
아버지 | 성종 | 960 ~ 997 | |
모계 | 최행언 | ||
풍산군대부인 김씨 | |||
연창궁부인 최씨 | 생몰년 미상 | ||
시아버지 | 안종 | ? ~ 996 | |
시어머니 | 헌정왕후 황보씨 | ? ~ 992 / 993 | |
남편 | 현종 | 992 ~ 1031 | |
장남 | 왕수 | 1016 ~ ? | |
장녀 | 효정공주 | 생몰년 미상 | |
차녀 | 천수전주 | 생몰년 미상 |
3. 1. 부계
3. 2. 모계
3. 3. 남편과 자녀
4. 원화왕후가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2-09
[2]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2-09
[3]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2-09
[4]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2-09
[5]
서적
https://books.google[...]
Goldstar Publishing House
2016
[6]
서적
韓國女性關係資料集: 中世篇(中)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85
[7]
서적
https://books.google[...]
National Culture
2006
[8]
서적
https://books.google[...]
Taoreum
2009
[9]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연창궁부인〉항목
http://people.aks.ac[...]
2012-05-24
[10]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원화왕후〉항목
http://people.aks.ac[...]
2012-05-24
[11]
네이버 지식사전
상춘전
https://terms.naver.[...]
[12]
문서
《고려사》〈열전〉- 원화왕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