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네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네그는 이집트 제2왕조 시대의 초기 왕으로 추정되며, 그의 이름은 두 여신의 문장과 사초-벌 문자로 표현된다. 그의 이름이 새겨진 유물들이 발견되었지만, 이름의 기원과 역사적 실체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 학자들은 웨네그를 라네브, 세켐이브-페렌마아트, 또는 독립적인 통치자로 보려는 시도를 해왔다. 그의 재위 기간과 업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니네체르 왕 사후 이집트가 분열되었다는 설도 있다.
웨네그라는 이름은 일반적으로 두 여신(네크베트와 와제트) 및 사초와 벌 문양이 함께 쓰이는 네브티 이름, 즉 왕좌 이름으로 여겨진다. 이 이름은 검은 잉크로 쓰인 설화 석고 조각과 편암 용기에서 발견되었다. 웨네그의 이름이 새겨진 용기는 총 17개가 남아있으며, 이 중 11개는 사카라에 위치한 조세르 왕의 계단 피라미드 지하 갤러리에서 출토되었다. 이집트 학자인 볼프강 헬크와 프란체스코 티라드리티는 이 비문들이 기존의 글자 위에 덧새겨진 것이라고 지적하며, 원래 용기에는 다른 이름이 적혀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웨네그의 이름이 이집트 학자들에게 처음 알려진 이후, 학자들은 웨네그의 '네브티' 이름을 동시대의 호루스 왕들과 연결하려 노력해 왔다. 주요 이론으로는 라네브와의 동일시,[6] 세켐이프-페렌마아트 및 와드제네스와의 동일시,[7][8][9] 그리고 독립적인 통치자였다는 주장[10] 등이 있으며, 각 이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이름의 기원과 논쟁
웨네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 상형 문자인 소위 '웨네그 꽃' 기호는 이집트 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많은 논쟁거리이다.[2][3][4][5] 이 기호의 구체적인 특징과 의미에 대한 논의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웨네그 꽃
웨네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 상형 문자는 오늘날까지도 이집트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흔히 '웨네그 꽃'이라고 불리는 이 기호는 이집트 문자 체계에서 매우 드물게 사용되었다. 특이하게도 웨네그 꽃은 꽃봉오리 양옆으로 각각 세 개씩, 총 여섯 개의 수직선과 함께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이 수직선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웨네그 왕이 죽은 후, 이 꽃 문양은 제6왕조의 테티 왕 시대까지 다시 사용되지 않았다. 테티 왕의 피라미드 텍스트에서는 이 기호가 하늘과 죽음의 신인 웨네그를 지칭하는 데 쓰였는데, 이 신은 '라의 아들'이자 '죽은 왕들의 추종자'로 묘사된다. 이를 통해 웨네그 꽃이 고대 이집트의 태양 숭배 및 죽음과 관련된 신앙 체계와 어떤 식으로든 연관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왕의 이름을 나타내는 이 꽃 기호의 정확한 의미는 여전히 불분명하다.[2][3][4][5]
3. 역사적 실체에 대한 이론
3. 1. 라네브와의 동일시
이집트학자 요헨 칼은 웨네그가 제2왕조의 두 번째 통치자인 라네브와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한다.[6] 그는 아비도스에서 발견된 제2왕조 후기 통치자 페리브센 왕의 무덤에서 나온 화성암 재질 용기 조각을 근거로 제시한다. 칼은 이 항아리 조각에서 니네체르 왕의 이름 아래에 웨네그 꽃의 희미하지만 뚜렷한 흔적을 발견했다고 보았다. 니네체르의 이름 오른쪽에는 라네브 왕의 ''카'' 하우스(영혼의 집) 묘사가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있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칼은 웨네그 꽃과 라네브의 이름이 서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니네체르 왕이 나중에 이 비문을 덮어 썼다고 결론지었다. 칼은 또한 니네체르 왕이 자신의 이름을 거울에 비춘 듯이 썼기 때문에, 그의 이름이 라네브의 이름과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고 지적했다.[6]
하지만 칼의 이론은 용기 비문이 심하게 훼손되어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많기 때문에 계속해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6]
3. 2. 세켐이브-페렌마아트와의 동일시
니콜라스 그리말, 볼프강 헬크, 월터 브라이언 에머리와 같은 일부 이집트 학자들은 웨네그를 세켐이프-페렌마아트 왕 및 람세스 시대의 왕실 카르투시 이름인 와드제네스와 동일한 인물로 보기도 한다. 이들의 주장은 세켐이프와 세트-페리브센이 서로 다른 통치자였고, 두 사람 모두 닌에테르 왕의 직계 후계자였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하지만 이 이론은 일반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세켐이프의 점토 인장이 제2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인 카세켐위 왕의 무덤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 점토 인장은 세켐이프의 통치 시기를 카세켐위의 통치 시기와 가깝게 위치시키는데, 이는 람세스 시대의 이름 "와드제네스"가 제2왕조 초기에 위치하는 것과 맞지 않는다.[7][8][9]
3. 3. 독립적인 통치자
이집트학자 페터 카플로니와 리처드 와일은 웨네그가 당시 다른 왕들과는 별개의 독립적인 통치자였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웨네그가 니네테르의 뒤를 이었으며, 그의 이름이 후대인 람세스 시대의 왕 목록에 '와드제네스'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고 본다.
이러한 주장은 두 가지 근거에 기반한다. 첫째, 람세스 시대의 서기관들이 웨네그를 나타내는 상형 문자인 웨네그 꽃 모양을 파피루스 줄기 모양으로 잘못 인식하여 '와드제네스'라는 이름으로 기록했다는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이다. 둘째, 카이로 석의 비문 내용을 근거로 든다. 카플로니와 와일은 연도별 사건 기록의 세 번째 줄 위에 '웨네그세켐위'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다고 믿는다.[10]
하지만 이들의 이론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특히 카이로 석을 근거로 한 주장은 석판 자체가 심하게 손상되었고, 남아있는 상형 문자의 흔적이 희미하여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기기 때문이다.
4. 재위 기간 및 업적
웨네그의 재위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의 이름을 언급하는 선박 비문은 "호루스 기둥 세우기"와 같은 의식 행사에 대한 보고만을 보여준다. 이 축제는 넷제르의 통치 기간의 선박에서도 자주 보고되는데, 이는 웨네그의 연대기적 위치가 넷제르와 매우 가깝다는 것을 시사한다.
웨네그의 통치 기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만약 그가 와제네스 왕과 동일 인물이라면, 토리노 왕 목록에 따르면 54년 동안 통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웨네그가 역사학자 마네토가 언급한 "틀라스" 왕과 동일 인물이라면 17년 동안 통치했을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이집트학자들은 이 두 기록 모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이를 오해 또는 과장된 것으로 평가한다. 리처드 바일과 페터 카플로니와 같이 웨네그를 별도의 통치자로 보는 학자들은 카이로 석비 비문의 재구성을 바탕으로 그가 12년 동안 통치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4. 1. 이집트 분열설
넷제르의 죽음 이후 한때 통일되었던 이집트 왕국이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는 이론이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웨네그 왕의 죽음 이후 일정 기간 동안 두 명의 왕이 동시에 이집트를 통치했을 수 있으며, 이는 웨네그가 독립적인 통치자였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추정은 람세스 시대의 티니트와 멤피스 왕 목록 모두에서 "와제네스"와 "세네드"의 이름을 넷제르 왕의 직계 후계자로 언급한다는 관찰에 근거한다. 예를 들어, 아비도스 왕 목록은 이집트 제2왕조의 왕을 6명만 언급하는 반면, 다른 모든 왕 목록은 9명의 왕을 언급한다. 따라서 웨네그는 다른 왕과 자신의 왕좌(그리고 이집트에 대한 통제)를 공유하기 전에 이집트 전체를 통치했던 마지막 왕이었을 수 있다. 다른 왕이 누구였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4][10][11][12][13][14] 웨네그의 후계자는 세네드였을 수도 있지만, 이집트 제2왕조의 이 어두운 시기에는 그것조차 불확실하다.참조
[1]
서적
La Pyramide a Degeres IV. Inscriptions Gravees sur les Vases
Cairo
1959
[2]
간행물
King Uneg
1944
[3]
간행물
Zeitschrift für Ägyptische Sprache und Altertumskunde
Akademie-Verlag, Berlin
1981
[4]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 1, Pt. 2: Early history of the Middle E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6
[5]
서적
Das System der ägyptischen Hieroglyphenschrift in der 0.–3. Dynastie
1994
[6]
서적
Ra is my Lord - Searching for the rise of the Sun God at the dawn of Egyptian history
Harrassowitz, Wiesbaden
2007
[7]
서적
Untersuchungen zur Thinitenzeit
Otto Harrassowitz, Wiesbaden
1987
[8]
서적
Ägypten. Geschichte und Kultur der Frühzeit
Fourier-Verlag, Wiesbaden
1964
[9]
간행물
Mitteilungen des Deutschen Archäologischen Instituts Kairo
Deutsches Archäologisches Institut, Orient-Abteilung (Hrsg.). de Gruyter, Berlin
2003
[10]
간행물
Steingefäße der Frühzeit und des Alten Reiches
Akademie-Verlag, Berlin
1981
[11]
간행물
The Mysterious Second Dynasty
1996
[12]
간행물
Zur Nennung von Sened und Peribsen in Saqqara B3
Ägyptologisches Seminar der Universität Göttingen, Göttingen
1991
[13]
간행물
Oldest Records of the Nile Floods
1970
[14]
간행물
Journal of Egypt Archaeology
1998
[15]
웹사이트
2nd Dynasty royal list (The Ancient Egypt Site)
http://www.ancient-e[...]
[16]
서적
Dynasties 0-2: Hetep-sekhemwy to Netjerykhet. The Succession
Brill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