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턴 살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스턴 살롱은 프랑스어 '살롱'에서 유래된 용어로, 17세기 유럽에서 오락을 위한 공공 장소를 의미했으며, 미국에서는 1841년경부터 술집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1880년대부터 양조업자들이 살롱을 직접 소유하는 '타이 하우스' 시스템을 도입하며 정치적 소통, 급여 현금화, 직업 소개소 등의 역할을 했다. 1893년 금주 운동 단체인 반 살롱 연맹이 결성되어 금주법 제정을 추진했으며, 1920년 금주법 시행으로 살롱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살롱은 다양한 형태와 오락, 술을 제공했으며, 특히 도박이 성행했다. 유명한 살롱으로는 퍼스트 찬스 살롱, 롱 브랜치 살롱 등이 있으며, 와이어트 어프가 소유하거나 운영한 살롱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술의 역사 - 금주법 시대
금주법 시대는 1920년부터 1933년까지 미국에서 알코올의 제조, 판매, 운송, 수입을 금지한 전국적인 금주 정책으로, 밀주와 조직 범죄 증가, 법 집행 어려움 등의 부작용을 낳고 1933년에 폐지되었다. - 술의 역사 - 미인주
미인주는 일본의 구치카미자케를 지칭하며, 아시아에서 종교 의식이나 공동체 화합에 사용되었고, 쌀과 곡물을 씹어 발효시키는 전통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술로서, 현대에는 제조가 드물지만 문화적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 미국의 서부 개척 시대 - 더스터
더스터는 자동차 여행 시대에 먼지로부터 옷을 보호하기 위해 입던 헐렁한 긴 코트였으나, 자동차 기술 발전으로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이후 대중문화의 상징이 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미국의 서부 개척 시대 - 인디언 이주법
인디언 이주법은 1830년 미국에서 미시시피 강 동쪽의 다섯 주요 부족을 강제 이주시킨 법률로, 남부의 토지 확보 요구와 부족 간 갈등 해결 시도에서 비롯되었으나, '눈물의 길'로 불리는 강제 이주 과정에서 많은 인디언 사망과 문화 파괴를 초래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웨스턴 살롱 | |
---|---|
개요 | |
![]() | |
유형 | 술집 |
지역 | 미국 서부 |
시대 | 19세기 |
특징 | |
주요 고객 | 광부 카우보이 도박사 군인 사업가 법 집행관 |
제공 서비스 | 음료 도박 오락 (춤, 음악) |
기타 특징 | 종종 지역 사회의 중심 역할 서부 영화의 주요 배경 |
역사 | |
기원 | 19세기 초 샌프란시스코 등 서부 개척 시대의 도시에서 시작 |
발전 | 금광 붐과 함께 급속히 확산 광부와 정착민들의 사교 및 오락 장소로 기능 |
쇠퇴 | 20세기 초 금주법 시행으로 쇠퇴 현대적인 바와 술집으로 대체 |
문화적 중요성 | |
상징 | 서부 개척 시대의 상징 |
묘사 | 서부 영화, 소설, 텔레비전 쇼 등 다양한 매체에서 묘사됨 종종 결투, 싸움, 도박 등과 연관되어 묘사됨 |
참고 | |
관련 용어 | 술집 바 웨스턴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Saloons of the Old West (legendsofamerica.com) Saloons (encyclopedia.chicagohistory.org) |
2. 역사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살롱은 양조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다.[3][19] 살롱은 단순한 술집을 넘어 지역 주민들의 사교 공간이자 정보 교환의 장이었으며, 정치 활동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19] 그러나 1890년대부터 반 살롱 연맹과 같은 금주 단체들의 강력한 반대 운동에 직면했고, 이는 결국 1920년 전국적인 금주법 시행으로 이어졌다. 금주법 시대와 자동차 보급, 새로운 오락거리 등장 등 사회 변화 속에서 전통적인 살롱은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19]
2. 1. 어원
단어 "살롱(saloon)"은 프랑스어 단어 살롱(salon)에서 유래했다. 17세기에 프랑스에서 처음 등장한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 "살로네(salone)"(이탈리아 저택의 큰 접견실)에서 파생되었다. 유럽에서 '살롱'은 "오락 등을 위한 공공 장소의 큰 홀"과 연관되었으나, 미국에서는 1841년까지 현재와 같은 의미의 "살롱"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2. 2. 발전 과정
1880년대 초부터 미국 살롱은 양조장과 밀접한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생산 과잉이 심화되자 양조장들은 살롱을 직접 소유하는 영국의 "타이 하우스(tie house)" 또는 "특약 주점" 시스템을 도입했다. 양조장은 좋은 위치, 특히 모퉁이에 있는 점포를 매입하여 가구, 당구대, 볼링 레인 등 오락 설비를 갖춘 뒤 살롱 운영 희망자에게 임대했다. 슐리츠 양조 회사(Joseph Schlitz Brewing Company)와 같은 일부 양조장은 고객 유치와 자사 맥주 광고를 위해 정교하게 꾸민 살롱을 짓기도 했다.[3][19]법률 또한 양조장 소유 살롱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시카고 시의회는 주점 단속 강화에 필요한 경찰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1883년부터 1885년 사이에 살롱 면허세를 50USD에서 500USD로 대폭 인상했다. 이 때문에 자금력이 부족한 개인 소유주들은 살롱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19]
정치인들도 살롱의 유연한 사교적 특성 때문에 자주 방문했다. 특히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살롱은 일자리나 거주지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중요한 장소였으며, 정치인들은 이곳을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고 지지 기반을 다지는 데 활용했다. 공장 지대에서는 살롱이 급여 수표를 현금화하거나, 일자리를 찾고, 노동조합 집회를 여는 장소로도 이용되었다.[19]

1893년, 반 살롱 연맹(Anti-Saloon League)이 결성되어 살롱 반대 운동을 시작했다. 1895년에는 전국 조직으로 발전하여, 기존의 여성 기독교 금주 연합(Woman's Christian Temperance Union)이나 금주당(Prohibition Party)을 제치고 미국에서 가장 강력한 금주 로비 단체로 성장했다. 연맹은 증류주, 맥주, 와인의 제조 및 수입을 금지하는 법률 제정을 목표로 모든 정부 기관에 로비를 벌였다. 특히 목사들은 1906년 애리조나의 유마, 투손, 피닉스에 연맹 지부가 설립된 후 지역 살롱 폐쇄 운동을 적극적으로 이끌었다. 연맹 회원들은 살롱이 영업 시간을 위반하거나 여성 및 미성년자에게 술을 판매하는 등의 불법 행위를 감시하고, 이를 근거로 면허를 취소하도록 지역 경찰에 압력을 가했으며, 위반 사실을 증언할 증인까지 확보하는 치밀함을 보였다.
이러한 금주 운동의 노력은 1920년 미국 헌법 수정 제18조 통과로 이어져 헌법에 따라 전국적인 금주령이 시행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 금주법은 사회적 혼란과 불법 주류 유통 등의 부작용을 낳았고, 결국 1933년에 폐지되어 실패로 끝났다.
한편, 전통적인 살롱은 금주법 시행 이전부터 이미 여러 요인으로 인해 쇠퇴하고 있었다. 자동차의 보급으로 사람들의 이동성이 증가하면서 살롱 이용객이 줄었고, 니켈로데온과 같은 새로운 오락거리가 등장하여 경쟁이 심화되었다. 또한, 고용주들이 노동자들에게 평일 금주를 요구하는 경우가 늘어났으며, 보건 당국의 무료 점심 제공 규제 강화도 살롱 운영에 부담을 주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에는 반독일 정서가 확산되면서 독일계 이민자들이 많이 운영하던 양조 산업이 타격을 입었고, 전쟁 물자 확보를 위한 일시적인 양조 금지 조치 또한 살롱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19]
2. 3. 프리 런치 (Free lunch)
프리 런치는 고객을 유치하고 다른 서비스에서 수익을 얻기 위해 무료로 식사를 제공하는 판매 방식이었다.[4][21] 이는 미국의 살롱에서 흔했던 관습으로, 187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의 문헌에도 등장한다.[4] 살롱들은 최소 한 잔의 음료를 구매하는 고객에게 "무료" 점심을 제공했는데, 그 종류는 간단한 것부터 매우 호화로운 것까지 다양했다.[4][21] 일반적으로 이 무료 점심은 음료 한 잔 가격보다 훨씬 가치가 높았다.[4][21] 살롱 주인들은 대부분의 고객이 한 잔 이상을 주문하고, 나중에 다시 찾아올 것을 기대하며 이러한 전략을 사용했다.[4][21]3. 형태
살롱의 형태는 만들어진 시기와 장소, 그리고 주인의 출신 민족에 따라 다양했다.[3][19] 마을이 성장함에 따라 살롱은 더욱 세련되어졌으며, 바텐더는 자신의 외모와 술 따르는 솜씨에 자부심을 가졌다. 하지만 초기 살롱이나 외딴 지역의 살롱은 가구나 장식이 거의 없는 조촐한 모습인 경우가 많았다. 또한, 살롱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출신 민족에 따라서도 그 모습과 분위기에 차이가 나타났다.[3][19]
3. 1. 외관 및 내부
술집의 외관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양했다. 마을이 성장하면서 술집은 점차 세련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초기 술집이나 외딴 지역의 술집은 가구나 장식이 거의 없는 소박한 형태가 많았으며, 겨울철에는 주로 나무 난로 하나로 난방을 해결했다.입구에 설치된 한 쌍의 '배트윙(batwing)' 문은 서부 술집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였다. 이 문들은 양방향 경첩으로 작동하며, 대략 가슴에서 무릎 높이까지 오는 반쪽짜리 문 형태였다.[5][22]
일부 술집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지어지기도 했다. 예를 들어 "흙으로 지은 집(소드 하우스)이나 낡은 범선의 선체"를 활용하거나 "언덕의 측면을 파서" 만들기도 했다.
마을 규모가 커지면서 많은 호텔에 술집이 포함되었고, 오리건주 다마스쿠스의 바로우 트레일 살롱(Barlow Trail Saloon)처럼 난간이 있는 현관을 갖춘 독립적인 술집도 등장했다.[23]
술집의 내부 모습과 분위기는 이용하는 민족 집단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3][19] 아일랜드계가 주로 이용하는 술집은 위스키를 주로 판매했으며, 여성 손님은 뒷문으로만 출입이 가능한 서서 마시는 형태의 바(standing bar)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독일계 술집은 더 밝은 조명을 사용하고 테이블을 많이 두었으며, 맥주와 함께 레스토랑처럼 음식을 제공하여 가족 단위 손님들이 이용하기에 더 적합한 분위기였다. 이들은 일요일 영업이나 외곽 지역의 맥주 정원(비어 가든) 운영 문제로 금주 운동 세력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그 외 스칸디나비아인, 유대인, 그리스인, 이탈리아인 등 다른 민족 집단은 각자의 고유한 특징을 가진 술집을 만들거나, 때로는 공개적인 술집보다는 비공식적인 사교 클럽 형태를 더 선호하여 공공장소에서의 음주가 상대적으로 적었다.[3][19]
3. 2. 민족별 특징
살롱의 형태는 민족 집단에 따라 특징이 있었다. 아일랜드계는 위스키를 주로 마셨고, 서서 마시는 바(bar)를 선호했다. 이들의 살롱에서는 여성이 뒷문을 통해서만 출입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독일계 살롱은 아일랜드계보다 조명이 더 밝고 테이블이 많았으며, 레스토랑처럼 음식과 맥주를 제공하여 가족 단위 손님에게 인기가 있었다. 독일계 살롱 운영자들은 일요일 영업이나 외곽 지역의 비어 가든 운영 문제로 금주 운동 세력과 자주 갈등을 빚었다. 스칸디나비아계, 유대계, 그리스계, 이탈리아계 등 다른 민족 집단은 각자의 고유한 특징과 향토 요리를 선보였다. 이들은 비교적 공공 음주를 삼가고, 편안한 분위기의 사교 클럽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19]4. 오락
살롱은 손님을 끌어들이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오락거리를 제공했다. 춤을 추는 여성들을 고용하기도 했는데, 이들 중 일부는 때때로 또는 정기적으로 매춘을 겸하기도 했다. 도박 역시 살롱의 중요한 오락거리였으며, 파로, 포커, 브래그, 쓰리 카드 몬테, 주사위 게임 등이 흔하게 이루어졌다. 살롱이 번창하고 경쟁이 심화되면서 당구, 다트, 볼링과 같은 새로운 게임이 도입되기도 했으며, 일부 살롱에서는 피아노 연주나 캉캉 공연, 간단한 연극 등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오락 형태는 현재 캔자스주 도지 시티에 재현된 롱 브랜치 살롱에서 상연되는 롱 브랜치 버라이어티 쇼를 통해 엿볼 수 있다.
4. 1. 도박
많은 살롱에서는 도박이 중요한 오락거리였으며, 다음과 같은 게임들이 흔하게 이루어졌다.
게임 종류 | 설명 |
---|---|
파로 | 딜러와 플레이어가 특정 카드의 승패를 예측하는 카드 게임 |
포커 | 패의 조합을 겨루는 대표적인 카드 게임 |
브래그 | 세 장의 카드로 승부를 겨루는 포커의 초기 형태 중 하나 |
쓰리 카드 몬테 | 세 장의 카드를 빠르게 섞어 특정 카드를 맞추게 하는 사행성 게임 |
주사위 게임 | 다양한 규칙의 주사위 던지기 게임 |
살롱이 번창하고 경쟁이 심화되면서, 더 많은 손님을 끌기 위해 다른 게임들도 추가되었다. 이러한 추가 게임에는 당구, 다트, 볼링 등이 포함되었다. 일부 살롱에서는 도박 외에도 피아노 연주자, 캉캉 댄서 공연, 연극 촌극 등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유형의 오락은 현재 캔자스주 도지 시티에 재현된 롱 브랜치 살롱에서 상연되는 '롱 브랜치 버라이어티 쇼'를 통해 그 모습을 엿볼 수 있다.
4. 2. 기타 오락
살롱에서는 오락거리로 댄서들을 고용하기도 했는데, 이들 중 일부는 때때로 또는 정기적으로 매춘을 겸하기도 했다. 많은 살롱에서는 도박이 이루어졌으며, 주요 종목으로는 파로, 포커, 브래그, 쓰리 카드 몬테, 주사위 게임 등이 있었다. 살롱이 번창하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당구, 다트, 볼링과 같은 새로운 게임들이 추가되기도 했다. 일부 살롱에서는 피아노 연주자나 캉캉 걸을 고용하고, 연극 촌극을 공연하기도 했다. 이러한 형태의 오락은 오늘날 캔자스주 도지 시티에 재현된 롱 브랜치 살롱에서 상연되는 롱 브랜치 버라이어티 쇼를 통해 그 모습을 엿볼 수 있다.
5. 술
서부 개척 시대 초기에 새로 생긴 마을의 살롱은 천막이나 판잣집 같은 임시 건물인 경우가 많았다. 이런 곳에서는 주로 "생 알코올, 탄 설탕, 씹는 담배" 같은 재료를 섞어 직접 만든 조악한 위스키를 팔았다. 때로는 이익을 더 남기기 위해 테레빈유, 암모니아, 화약 등을 섞어 만든 매우 질 낮은 술, 이른바 '로트거트'(Rotgut)를 판매하기도 했다.
하지만 도시가 발전하면서 살롱의 모습도 점차 바뀌었다. 세련된 인테리어를 갖추고 벽에는 유화를 거는 등 고급스럽게 꾸며졌으며, 판매하는 술의 질도 크게 향상되었다. 미국 동부나 유럽에서 운반된 좋은 품질의 위스키가 판매되었고, 손님들은 질 낮은 가짜 술 대신 제대로 된 칵테일을 찾기 시작했다. 1881년 무렵에는 클라레 산가리(Claret Sangaree)나 샴페인 플립(Champagne Flip)과 같은 칵테일이 인기 있는 술 상위 10위 안에 들기도 했다. 맥주 역시 살롱에서 흔히 제공되었지만, 초기에는 보관이나 유통 방식에 한계가 있었다.
5. 1. 로트거트 (Rotgut)
살롱 경영자들은 이익을 늘리기 위해 질 좋은 위스키를 테레빈유, 암모니아, 화약, 카이엔 페퍼 같은 재료로 희석하여 팔기도 했다. 이렇게 만든 질 낮은 싸구려 술을 로트거트(Rotgut)라고 불렀다. 이러한 술은 '탱글풋'(Tanglefoot), '포티-로드'(Forty-Rod), '타란툴라 주스'(Tarantula Juice), '타오스 라이트닝'(Taos Lightning), '레드 아이'(Red Eye), '코핀 바니시'(Coffin Varnish) 등 다양한 별명으로 불렸다.[18]로트거트 외에도 테킬라와 페요테 차를 섞은 '선인장 와인'(Cactus Wine)이나, 위스키와 블랙베리 술을 섞은 '뮬 스키너'(Mule Skinner) 같은 독특한 혼합주를 제공하는 살롱도 있었다. 도시가 발전하면서 살롱의 시설과 술의 품질도 점차 개선되었고, 손님들은 로트거트 같은 싸구려 술 대신 제대로 된 칵테일을 찾기 시작했다.
5. 2. 맥주
대부분의 살롱에는 냉장 시설이 부족했기 때문에, 맥주는 보통 실온으로 제공되었다.[18] 1880년, 아돌푸스 부쉬는 자신의 버드와이저 브랜드를 통해 맥주에 냉장과 파스퇴르 살균법을 도입하여 유통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18] 일부 살롱에서는 가게 안 선반에 놓인 작은 통에 맥주를 보관하기도 했으며[24], 직접 맥주를 양조하는 곳도 있었다.6. 유명한 살롱
미국 서부 개척 시대에는 여러 유명한 살롱들이 존재했다. 이들 중 일부는 서부의 역사적인 사건과 인물들과 깊은 관련을 맺으며 오늘날까지 회자되고 있다.
6. 1. 주요 살롱 목록

잘 알려진 웨스턴 살롱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살롱 이름 | 위치 |
---|---|
퍼스트 찬스 살롱 (First Chance Saloon) | 몬태나주 마일스 시티 |
불스 헤드 (Bull's Head) | 캔자스주 애빌린 |
아케이드 살롱 (Arcade Saloon) | 콜로라도주 엘도라 |
홀리 모세스 (Holy Moses) | 콜로라도주 크리드 |
롱 브랜치 살롱 (Long Branch Saloon) | 캔자스주 도지 시티 |
버드케이지 극장 (Bird Cage Theatre) | 애리조나주 툼스톤 |
버킷 오브 블러드 살롱 (Bucket of Blood Saloon) | 네바다주 버지니아 시티 |
저지 릴리 (Jersey Lilly) | 텍사스주 랭트리 |
이들 업소 중 상당수는 주 7일, 하루 24시간 운영되었다.[18]
6. 2. 와이어트 어프의 살롱
전직 보안관이자 파로 딜러, 도박사였던 와이어트 어프는 평생 여러 살롱을 직접 소유하거나 다른 사람과 동업하여 운영했다.[7][26] 그는 두 형제와 함께 1879년 12월 1일 애리조나주 툼스톤에 도착했고, 1881년 1월 오리엔탈 살롱(Oriental Saloon)의 소유주 루 리카보우(Lou Rickabaugh)는 와이어트 어프에게 관리자 역할을 하는 대가로 오리엔탈 살롱의 파로 운영권 지분 4분의 1을 주었다.[7][26] 와이어트는 친구이자 동료 보안관 겸 도박사였던 배트 마스터슨을 툼스톤으로 초대하여 오리엔탈 살롱의 파로 테이블 운영을 돕게 했다.[7][26]
1884년, 툼스톤을 떠난 후 와이어트와 그의 아내 조세핀, 동생 워렌, 형 제임스와 제임스의 아내 베시 어프는 또 다른 신흥 도시인 아이다호주 이글 시티로 이주했다.[8][27] 와이어트는 머레이-이글 광산 지구에서 금을 탐사하는 한편, 서커스 텐트 안에 '더 화이트 엘리펀트(The White Elephant)'라는 이름의 살롱을 열었다. 당시 지역 신문 광고는 "코끼리를 보러 오세요(Come and see the elephant)"라는 문구를 사용했다.[9][27]
1885년, 어프 부부는 철도 개통이 임박하고 부동산 붐이 일고 있던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로 이사하여 약 4년간 머물렀다. 와이어트는 샌디에이고의 호황을 누리는 부동산 시장에 투자했다.[10][28] 1887년부터 1896년경 사이에 그는 세 곳의 살롱 겸 도박장을 매입했는데, 한 곳은 4번가(Fourth Street)에, 다른 두 곳은 6번가(Sixth Street)와 E번가(E Street) 근처에 위치했으며 모두 도시의 번화가에 속했다.[10][11][12][28][29][30] 이들 업소에서는 파로, 블랙잭, 포커, 키노, 그리고 페드로나 몬테와 같은 빅토리아 시대의 도박 게임을 포함하여 총 21가지 게임을 제공했다.[10][28] 호황기에는 하룻밤에 최대 1000USD의 수익을 올리기도 했다.[13][31] 와이어트는 특히 5번가(Fifth Avenue)의 루이스 상업 은행(Louis Bank of Commerce) 건물에 있던 오이스터 바(Oyster Bar)를 선호했으며, 직접 운영했을 가능성도 있다.[7][26]
1897년 가을, 어프 부부는 클론다이크 골드 러시에 참여하기 위해 알래스카주 놈으로 향했다. 와이어트는 1899년 여름 동안 간이 식당을 운영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파트너 찰스 엘스워스 혹시(Charles Ellsworth Hoxie)와 함께 덱스터 살롱(Dexter Saloon)을 열었다. 이 살롱은 놈 최초의 2층 목조 건물이었으며, 당시 가장 크고 호화로운 곳이었다. 건물은 약 21.34m x 약 9.14m 크기에 천장 높이가 약 3.66m에 달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14][32]
와이어트와 조세핀은 약 8만달러를 가지고 1901년 캘리포니아주로 돌아왔다. 1902년 2월, 그들은 금이 발견되어 또다시 붐이 일고 있던 네바다주 토노파에 도착했다. 와이어트는 이곳에서 노던 살롱(Northern Saloon)을 열었고, J.F. 에미트 보안관(Sheriff J.F. Emmitt) 아래에서 연방 보안관 대리(Deputy U.S. Marshal)로도 활동했다.[15][33] 그의 살롱, 도박, 광산업 관련 사업은 상당 기간 수익을 냈다.[16][34]
6. 3. 기타
미국 서부 개척 시대에는 여러 유명한 살롱이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몬태나주 마일스 시티의 퍼스트 찬스 살롱(First Chance Saloon), 캔자스주 애빌린의 불스 헤드(Bull's Head), 콜로라도주 엘도라(Eldora)의 아케이드 살롱(Arcade Saloon), 콜로라도주 크리드의 홀리 모세스(Holy Moses), 캔자스주 도지 시티의 롱 브랜치 살롱(Long Branch Saloon), 애리조나주 툼스톤의 버드케이지 극장, 네바다주 버지니아 시티의 버킷 오브 블러드 살롱(Bucket of Blood Saloon), 텍사스주 랭트리(Langtry)의 저지 릴리(Jersey Lilly) 등이 있다. 이들 중 다수는 주 7일, 하루 24시간 영업하기도 했다.[18]
살롱은 때때로 서부의 유명한 사건들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캔자스주 애빌린의 불스 헤드 살롱 주인 필 코는 술집 외벽에 발기한 수컷 황소 그림을 그려 마을 사람들의 분노를 샀다. 당시 애빌린의 보안관이었던 와일드 빌 히콕은 필 코에게 그림을 지우지 않으면 가게를 불태우겠다고 협박했다. 히콕이 실제로 사람을 고용해 그림을 지우게 하자, 이에 격분한 필 코와 히콕은 적대적인 관계가 되었다. 이후 둘 사이의 언쟁 끝에 와일드 빌 히콕은 필 코를 총으로 쏘아 살해했다.[6][25]
보안관이자 총잡이, 도박꾼으로도 알려진 와일드 빌 히콕 역시 살롱에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1876년 8월 2일, 그는 사우스다코타주 데드우드에 있는 살롱 No. 10에서 카드 게임(포커)을 하던 중 잭 매콜에게 뒤에서 총을 맞고 살해당했다. 이때 와일드 빌 히콕이 손에 들고 있던 카드 패는 에이스 두 장과 8 두 장이었다고 전해지며, 이 조합은 이후 "데드 맨스 핸드"로 불리게 되었다.
참조
[1]
간행물
The Week: New York, Thursday, August 13, 1891, pg. 112
[2]
웹사이트
saloon
https://www.etymonli[...]
2019-06-25
[3]
웹사이트
Saloons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hicagohistory.org
2012-11-07
[4]
뉴스
"Free Lunch in the South."
https://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1875-02-20
[5]
웹사이트
Saloon Doors, Petticoats and Pistols
http://petticoatsand[...]
2013-10-01
[6]
웹사이트
Home | Cowboys, Native American, American History, Wild West, American Indians
http://www.thewildwe[...]
thewildwest.org
2009-10-05
[7]
서적
Wyatt Earp
https://books.google[...]
Chelsea House Publications
2010-02-28
[8]
웹사이트
Eagle City - Idaho Ghost Town
http://www.ghosttown[...]
2015-07-15
[9]
웹사이트
Wyatt Earp, Senior Citizen
http://home.earthlin[...]
2011-05-09
[10]
웹사이트
Wyatt Earp: The Missing Years, San Diego In The 1880s
http://www.sandiegoh[...]
San Diego History Center
2011-03-08
[11]
웹사이트
Shady Ladies in the "Stingaree District" When The Red Lights Went Out in San Diego
http://www.sandiegoh[...]
San Diego History Center
2011-03-08
[12]
웹사이트
The Story of New San Diego and of its Founder Alonzo E. Horton
http://www.sandiegoh[...]
San Diego History Center
2011-03-08
[13]
웹사이트
Wyatt Earp
http://www.gaslampqu[...]
Gaslamp Quarter Historical Foundation
2011-02-28
[14]
간행물
Who Was Wyatt Earp?
http://www.americanh[...]
American Heritage Magazine
2012-01-22
[15]
웹사이트
Earp Historical Timeline San Francisco and Alaska
http://www.gv.net/~s[...]
[16]
웹사이트
Tombstone History – The Earps and "Doc" Holliday
http://www.bignoseka[...]
2011-02-24
[17]
문서
当時はメキシコ領。
[18]
웹사이트
Saloons of the Old West
http://www.legendsof[...]
Legendsofamerica.com
2009-10-05
[19]
웹사이트
Saloons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hicagohistory.org
2012-11-07
[20]
간행물
The Week: New York, Thursday, August 13, 1891, pg. 112
[21]
뉴스
"Free Lunch in the South."
http://query.nytimes[...]
The New York Times
1875-02-20
[22]
웹사이트
Saloon Doors, Petticoats and Pistols
http://petticoatsand[...]
2013-10-01
[23]
웹사이트
Old West Saloons Vintage Photographs ― Damascus, Oregon Saloon
http://www.legendsof[...]
Legendsofamerica.com
2009-10-05
[24]
웹사이트
Old West Saloons Vintage Photographs ― Orange County, California
http://www.legendsof[...]
Legendsofamerica.com
2009-10-05
[25]
웹사이트
Home | Cowboys, Native American, American History, Wild West, American Indians
http://www.thewildwe[...]
thewildwest.org
2009-10-05
[26]
서적
Wyatt Earp
https://books.google[...]
Chelsea House Publications
2010-02-28
[27]
웹사이트
Wyatt Earp, Senior Citizen
http://home.earthlin[...]
2011-05-09
[28]
웹사이트
Wyatt Earp: The Missing Years, San Diego In The 1880s
http://www.sandiegoh[...]
San Diego History Center
2011-03-08
[29]
웹사이트
Shady Ladies in the "Stingaree District" When The Red Lights Went Out in San Diego
http://www.sandiegoh[...]
San Diego History Center
2011-03-08
[30]
웹사이트
The Story of New San Diego and of its Founder Alonzo E. Horton
http://www.sandiegoh[...]
San Diego History Center
2011-03-08
[31]
웹사이트
Wyatt Earp
http://www.gaslampqu[...]
Gaslamp Quarter Historical Foundation
2011-02-28
[32]
간행물
Who Was Wyatt Earp?
http://www.americanh[...]
American Heritage Magazine
1998-12-01
[33]
웹사이트
Earp Historical Timeline San Francisco and Alaska
http://www.gv.net/~s[...]
2014-10-14
[34]
웹사이트
Tombstone History -- The Earps and "Doc" Holliday
http://www.bignoseka[...]
2011-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