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신십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신십걸은 메이지 유신을 주도한 10명의 인물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 기도 다카요시, 이와쿠라 도모미 등이 유신십걸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은 고쇼 회의를 거쳐 왕정복고를 달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메이지 정부 발족의 중심 인물들이었다. 유신십걸은 암살, 병사, 형사 등으로 사망했으며, 이와쿠라 도모미의 사망으로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코이 쇼난 - 공의정체론
공의정체론은 아베 마사히로의 '공의여론'에서 비롯된 일본 정치 사상으로, 에도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유신 초기에 걸쳐 막부 체제 개혁과 새로운 국가 건설을 위한 다양한 정치 구상을 포괄하며 서양 의회 제도와 공론 정치를 지향했으나, 보신 전쟁과 메이지 정부 수립 후 중앙집권화로 인해 의미가 퇴색되었고 이후 자유 민권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 고마쓰 기요카도 - 삿초 동맹
에도 시대 말기, 사쓰마번과 조슈번이 막부 타도와 왕정복고를 목표로 결성한 삿초 동맹은 사카모토 료마의 중재로 이루어져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근대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에는 협력 관계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쓰인다. - 히로사와 사네오미 - 판적봉환
판적봉환은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일본에서 시행된 제도로, 봉건적 막번 체제를 개혁하고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기 위해 각 번의 토지와 백성을 천황에게 반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히로사와 사네오미 - 히로사와 긴지로
히로사와 긴지로는 일본의 백작이자 정치인, 기업가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스페인 주재 공사를 역임했으며, 귀족원 의원을 세 차례 역임하고 일본제강소 사장 등을 맡았다.
유신십걸 | |
---|---|
유신십걸 | |
유신십걸 (維新の十傑) | 유신 시대에 공헌한 10명의 인물 |
인물 |
2. 유신십걸
유신십걸(維新十傑)은 메이지 유신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10명의 인물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여러 문헌에서 다양한 인물들이 십걸로 거론되고 있으며, 여기서는 가장 널리 알려진 10명을 소개한다.
2. 1. 야마와키 다카요시의 『막말유신 십걸전』(1935년)
다음은 야마와키 다카요시(山脇巍)의 『막말유신 십걸전』(幕末維新十傑伝, 1935년)에 수록된 유신십걸 명단이다.사이고 다카모리(사쓰마 번), 오쿠보 도시미치(사쓰마 번), 고마쓰 다테와키(사쓰마 번), 오무라 마스지로(조슈 번), 기도 다카요시(조슈 번), 마에바라 잇세이(조슈 번), 히로사와 사네오미(조슈 번), 에토 신페이(히젠 번), 요코이 쇼난(히고 번), 이와쿠라 도모미(공가)
2. 1. 1. 구성원
사이고 다카모리(사쓰마 번), 오쿠보 도시미치(사쓰마 번), 고마쓰 다테와키(사쓰마 번), 오무라 마스지로(조슈 번), 기도 다카요시(조슈 번), 마에바라 잇세이(조슈 번), 히로사와 사네오미(조슈 번), 에토 신페이(히젠 번), 요코이 쇼난(히고 번), 이와쿠라 도모미(공가)
2. 1. 2. 평가
이들 10명은 고쇼 회의를 거쳐 왕정복고의 대호령을 달성한 신정부 발족 당시의 중심 인물들이다. 도사 번 출신의 이타가키 다이스케와 고토 쇼지로는 자유민권운동에 대한 저자의 혐오감 때문에 제외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오무라 마스지로는 한때 "유신의 삼걸"에 포함될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요코이 쇼난 역시 유신 사상가로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오쿠보 도시미치와 에토 신페이는 정치적 대립 관계였으며, 사가의 난 진압 이후 오쿠보가 에토를 효수형에 처한 사건은 이러한 갈등을 보여준다.
이와쿠라 도모미를 제외한 9명은 기오이자카의 변(1878년)까지 암살, 병사, 형사, 전사 등으로 사망하였다. 이와쿠라 도모미는 1883년에 인두암으로 사망하면서 십걸은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2. 그 외 유신십걸
가네자와 쇼조의 『유신십걸전』(1941년)에서는 막말기에 유신을 이끈 주요 혁명가 10명을 다음과 같이 선정했다.이토 치유의 『실록 유신십걸』(1934년)에서는 다음 10명을 유신십걸로 꼽았다.
2. 2. 1. 가네자와 쇼조의 『유신십걸전』(1941년)
가네자와 쇼조의 『유신십걸전』(1941년)에서는 막말기에 유신을 이끈 주요 혁명가 10명을 다음과 같이 선정했다.2. 2. 2. 이토 치유의 『실록 유신십걸』(1934년)
이토 치유의 『실록 유신십걸』(1934년)에서는 다음 10명을 유신십걸로 꼽았다.3. 유신십걸의 최후
고마쓰, 이와쿠라, 기도를 제외한 7명은 암살, 형사, 패사 등의 외인사로 목숨을 잃었다.
1868년(게이오 3년/메이지 원년) - 왕정복고의 대호령. 보신 전쟁 시작. 메이지로 개원.
1869년(메이지 2년) - 보신 전쟁 중에 요코이 암살. (10명 - 1명 = 9명)
1869년~1871년(메이지 2~4년) - 보신 전쟁 후에 오무라, 히로사와 암살. 고마쓰 병사. (9명 - 3명 = 6명)
1874년~1876년(메이지 7~9년) - 사민평등 정책에 의해 사가의 난을 일으킨 에토, 하기의 난을 일으킨 마에바라 형사. (6명 - 2명 = 4명)
1877년(메이지 10년) - 사이 고가 세이난 전쟁을 일으킴. 세이난 전쟁 중에 기도 병사. 사이 고 패사. (4명 - 2명 = 2명)
1878년(메이지 11년) - 오쿠보 암살. (2명 - 1명 = 1명)
1883년(메이지 16년) - 이와쿠라 병사. (1명 - 1명 = 0명)
※ 사망 당시 연령은 만 나이 기준
1868년 1월 3일, 메이지 천황의 왕정복고의 대호령이 있었다. 같은 날 도바-후시미 전투를 시작으로 보신 전쟁이 시작되었다. 1869년 6월 27일, 하코다테 전쟁이 종결되며 보신 전쟁도 끝이 났다.
요코이 쇼난은 1869년 2월 15일 교토에서 도쓰카와 향사들에게 습격당해 59세로 사망했다. 오무라 마스지로는 1869년 9월 4일 교토의 여관에서 전 조슈 번사들에게 습격당했고, 같은 해 12월 7일 45세로 사망했다. 고마쓰 다테와키는 1870년 8월 16일 오사카에서 34세로 병사했다. 히로사와 사네오미는 1871년 2월 27일 도쿄의 사저에서 습격당해 37세로 사망했는데, 실행범과 배후는 밝혀지지 않았다.
에토 신페이는 1874년 2월 1일 사가의 난을 일으켰으나 진압, 체포되어 같은 해 4월 13일 사가에서 참수형 후 효수형을 당해 40세로 사망했다. 마에바라 잇세이는 1876년 10월 28일 하기의 난을 일으켰으나 진압, 체포되어 같은 해 12월 3일 하기에서 참수형을 당해 42세로 사망했다.
1877년 2월 15일, 사이고 다카모리가 세이난 전쟁을 일으켰다. 유신의 삼걸 중 한 명인 기도 다카요시는 같은 해 5월 26일 교토에서 43세로 병사했다. 사이고 다카모리는 세이난 전쟁에서 패전하여 1877년 9월 24일 가고시마에서 자결, 49세로 생을 마감했다. 유신의 삼걸 중 한 명인 오쿠보 도시미치는 1878년 5월 14일 도쿄 시미즈다니에서 이시카와현 사족들에게 습격당해 47세로 사망했다(기오이자카의 변).
이와쿠라 도모미는 1883년 7월 20일 도쿄에서 57세로 병사했으며, 같은 해 7월 25일 일본 최초의 국장이 거행되었다.
3. 1. 연표
1868년(게이오 3년/메이지 원년) - 왕정복고의 대호령. 보신 전쟁 시작. 메이지로 개원.1869년(메이지 2년) - 보신 전쟁 중에 요코이 암살. (10명 - 1명 = 9명)
1869년~1871년(메이지 2~4년) - 보신 전쟁 후에 오무라, 히로사와 암살. 고마쓰 병사. (9명 - 3명 = 6명)
1874년~1876년(메이지 7~9년) - 사민평등 정책에 의해 사가의 난을 일으킨 에토, 하기의 난을 일으킨 마에바라 형사. (6명 - 2명 = 4명)
1877년(메이지 10년) - 사이 고가 세이난 전쟁을 일으킴. 세이난 전쟁 중에 기도 병사. 사이 고 패사. (4명 - 2명 = 2명)
1878년(메이지 11년) - 오쿠보 암살. (2명 - 1명 = 1명)
1883년(메이지 16년) - 이와쿠라 병사. (1명 - 1명 = 0명)
고마쓰, 이와쿠라, 키도를 제외한 7명은 외인사(암살, 형사, 패사)로 목숨을 잃었다.
3. 2. 상세
1868년 1월 3일, 메이지 천황의 왕정복고의 대호령이 있었다. 같은 날 도바-후시미 전투를 시작으로 보신 전쟁이 시작되었다. 1869년 6월 27일, 하코다테 전쟁이 종결되며 보신 전쟁도 끝이 났다.요코이 쇼난은 1869년 2월 15일 교토에서 도쓰카와 향사들에게 습격당해 59세로 사망했다. 오무라 마스지로는 1869년 9월 4일 교토의 여관에서 전 조슈 번사들에게 습격당했고, 같은 해 12월 7일 45세로 사망했다. 고마쓰 다테와키는 1870년 8월 16일 오사카에서 34세로 병사했다. 히로사와 사네오미는 1871년 2월 27일 도쿄의 사저에서 습격당해 37세로 사망했는데, 실행범과 배후는 밝혀지지 않았다.
에토 신페이는 1874년 2월 1일 사가의 난을 일으켰으나 진압, 체포되어 같은 해 4월 13일 사가에서 참수형 후 효수형을 당해 40세로 사망했다. 마에바라 잇세이는 1876년 10월 28일 하기의 난을 일으켰으나 진압, 체포되어 같은 해 12월 3일 하기에서 참수형을 당해 42세로 사망했다.
1877년 2월 15일, 사이고 다카모리가 세이난 전쟁을 일으켰다. 유신의 삼걸 중 한 명인 기도 다카요시는 같은 해 5월 26일 교토에서 43세로 병사했다. 사이고 다카모리는 세이난 전쟁에서 패전하여 1877년 9월 24일 가고시마에서 자결, 49세로 생을 마감했다. 유신의 삼걸 중 한 명인 오쿠보 도시미치는 1878년 5월 14일 도쿄 시미즈다니에서 이시카와현 사족들에게 습격당해 47세로 사망했다(기오이자카의 변).
이와쿠라 도모미는 1883년 7월 20일 도쿄에서 57세로 병사했으며, 같은 해 7월 25일 일본 최초의 국장이 거행되었다.
고마쓰, 이와쿠라, 키도를 제외한 7명은 암살, 형사, 패사 등의 외인사로 목숨을 잃었다. 각 인물의 사망 당시 연령은 만 나이 기준이다.
4. 유신십걸 이후의 메이지 정부
유신십걸이 모두 사망한 후, 메이지 정부는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이노우에 가오루 등 조슈 번 출신 원로들이 주도하였다. 막말의 상사 출신으로 메이지 후반까지 활약한 이노우에 가오루, 고토 쇼지로 등은 총리대신이 되지 못했지만, 오쿠마 시게노부, 이타가키 다이스케는 예외적으로 총리대신을 역임하였다. 막신 출신 중에서도 오쿠보 가즈오, 야마오카 뎃슈, 가쓰 가이슈 등은 메이지 신정부에 협력하였으며, 하코다테 전쟁 이후 에노모토 다케아키, 다케다 헤이자부로, 오토리 게이스케 등도 정부에 합류하였다.
5. 한국의 시각에서 본 메이지 유신
참조
[1]
웹사이트
西郷隆盛、大久保利通、岩倉具視など「維新の十傑」、指導力にすぐれた人材は?
https://diamond.jp/a[...]
2021-09-24
[2]
서적
氷川清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