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은 북한이 2006년 10월 9일,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실시한 핵실험이다. 북한은 1985년 핵 확산 금지 조약(NPT)에 가입했으나, 핵 개발 의혹으로 국제사회와 갈등을 빚어왔다. 2005년 핵무기 보유를 공식 선언하고, 2006년 7월 미사일 발사 실험을 강행한 데 이어, 10월 3일 핵실험을 예고했다.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는 북한을 규탄하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718을 통해 제재를 가했다. 핵실험의 규모와 성공 여부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하며, 북한의 핵 보유국 지위를 둘러싼 논쟁이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남북 관계 - 북관대첩비
    북관대첩비는 임진왜란 당시 함경도 의병들의 활약을 기록한 비석으로, 1709년 건립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2005년 한국으로, 2006년 북한으로 반환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실험 - 201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2013년 2월 1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핵무기 소형화 및 폭발력 강화를 목표로 3차 지하 핵 실험을 실시하여 국제적인 비판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를 야기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실험 -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2017년 9월 3일 북한은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 장착용 수소폭탄 시험이라 주장하는 6차 핵 실험을 감행하여 인공 지진과 함께 국제적 비판 및 한반도 긴장 고조를 야기했다.
  •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는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하고 탄도 미사일 관련 활동 중단 및 대량살상무기 관련 물품 이전을 금지하는 결의안으로, 채택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거부하며 반발했다.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지도 정보
개요
명칭2006년 북한 핵 실험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험 장소풍계리 핵 실험장, 길주군
시기2006년 10월 9일 10시 35분 28초 (한국 표준시)
실험 횟수1회
실험 종류미상
장치 종류핵분열
최대 폭발력0.48 킬로톤 TNT (중국 학자)
0.55-12 킬로톤 TNT (제인스 디펜스 위클리 & 대한민국 추정치, 단 4.2 리히터 규모와 일치하지 않아 낮은 추정치에 대한 의문 제기)
5-15 킬로톤 TNT
0.7-2 킬로톤 TNT (연방 지구과학 및 천연자원 연구소 추정)
이전 실험없음
다음 실험2009년 실험
2006년 북한 핵 실험
실험 당시 지진 활동을 보여주는 그림

2. 배경

북한의 핵 개발은 1980년대 초반 영변에 플루토늄 생산 마그녹스 원자로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국제 사회는 북한의 핵 활동을 제한하고 국제 조약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1991년 12월 13일 남북 기본 합의서가 체결되었고, 12월 31일에는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이 발표되었다.

1994년 미국과 북한은 제네바 합의에 서명했다. 이 합의에 따라 북한은 핵 개발 프로그램을 동결하고, 미국은 북한에 경수로를 사용하는 두 개의 현대적인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 연료, 정치 및 경제 관계 정상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2년 북한이 핵무기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면서 미국은 대북 석유 원조를 중단했다.

2003년 북한은 핵확산 금지 조약(NPT)에서 탈퇴했다. 이후 2004년 중국의 중재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미국, 러시아, 일본이 참여하는 6자 회담이 개최되었다.

2005년 2월 10일 북한은 핵무기 보유를 공식 선언했다. 11월 25일에는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KEDO)가 해산되었다.

2006년 7월 5일 북한은 대포동 2호 등 7발의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다.

2. 1. 1980년대 ~ 1990년대 초: 핵 개발 의혹과 국제사회의 대응

1985년 북한은 핵 확산 금지 조약(NPT)에 가입했다. 1992년 국제 원자력 기구(IAEA)와 원자력 설비시설 감찰에 관한 특별조약을 체결했으나, 1993년 NPT에서 탈퇴하고 IAEA의 영변 원자력 발전소 감찰 요구를 거부하면서 핵 개발 의혹이 불거졌다.[10] 1994년 북한과 미국은 제네바 합의를 통해 북한의 핵 동결과 경수로 지원을 약속했으나, 이행 과정에서 난항을 겪었다.[10]

1993년 2월 15일 IAEA는 북한에 특별 사찰을 요구했지만, 북한은 이를 거부했다. 3월 12일에는 NPT 탈퇴를 선언했으나, 이후 유보했다. 5월 29일에는 노동 미사일 발사 실험을 했다.

1994년 10월 21일, 미국-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기본 합의서가 조인되어 북한의 주요 핵 시설은 동결되었다. 그러나 2002년 북한이 핵무기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면서, 미국은 북한에 석유 원조를 중지시켰다.[10]

1998년 8월 31일 북한은 대포동 1호 발사 실험을 했다.

2. 2.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 북핵 위기와 6자회담

1998년 8월 31일 북한은 대포동 1호 발사 실험을 강행하여 국제사회를 긴장시켰다.[20] 2002년 북한은 핵무기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을 공개적으로 인정했고, 이에 미국은 북한에 대한 석유 원조를 중단시켰다.[10] 2003년 1월 10일 북한은 핵확산 금지 조약(NPT) 탈퇴를 재선언하며 핵 위기가 고조되었다.[11]

2003년 8월 27일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 회담이 시작되었다. 6자 회담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이 참여하는 회담이었다.[12] 그러나 6자 회담은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Late 1990s ~ early 2000s: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Six-Party Talks영어 -> 이 템플릿은 제거한다.

2. 3. 2006년 핵실험 직전 상황

2005년 북한은 핵무기 보유를 공식적으로 선언했으며,[13] 2006년 7월 5일에는 대포동 2호를 포함한 7발의 탄도 미사일 발사 실험을 강행했다.[13]

2006년 10월 3일, 북한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곧 핵실험을 실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13] 이는 1993년 북한이 핵 확산 금지 조약(NPT) 탈퇴를 선언하고, 국제 원자력 기구(IAEA)의 특별 사찰을 거부하면서 시작된 북핵 문제의 긴장감을 더욱 고조시키는 사건이었다.

3. 핵실험 강행 및 경과

2005년과 2006년 초, 북한의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실제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2006년 10월 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곧 핵실험을 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2006년 10월 9일에는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실시했다고 주장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다음과 같이 성명을 발표했다.[1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 연구 분야는 온 나라 인민이 위대하고 번영하며 강력한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시점인 주체 95년 (2006년) 10월 9일 안전한 조건하에 지하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실시했다.한국어

과학적 고려와 신중한 계산하에 핵실험이 진행되었으므로 방사능 누출과 같은 위험은 없었음이 확인되었다.한국어

핵실험은 100% 순수한 기술과 기술로 수행되었다. 이는 강력한 자립적 방위 능력을 갖기를 희망했던 조선인민군과 인민들에게 큰 격려와 기쁨을 안겨준 역사적인 사건이다.한국어

이는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한국어

이후, 유엔 주재 북한 대표는 안전보장이사회가 "쓸모없는"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것보다 축하를 해주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14]

2006년 10월 3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6자회담에 복귀하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는 베이징에서 미국, 중국, 북한의 수석 특사 간에 비공개로 진행된 하루 동안의 논의 끝에 이루어졌다.[21] 회담은 2006년 12월 18일에 재개되었다.

2006년 10월 9일 10시 35분(KST), 북한은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지하 핵실험을 실시했다. 이 사실은 폭발에 의한 지진파 측정을 통해 확인되었다.

CTBTO의 지진파 관측망과 쓰나미 조기 경보 관측망의 고감도 지진계로 핵실험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인공적인 지진파가 감지되었다. 지진파 분석 결과, 실험 규모는 CTBTO 관측망은 M 4.0, 대한민국 기상청은 M4.9,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M4.2,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M3.58~3.7로 추정했다. 진원의 깊이는 0km(USGS 추정)로, 일반적인 지진보다 상당히 지표면에 가까운 곳에서 지진파가 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 정부도 "동시에 핵실험을 탐지했다"고 발표했다.

각 기관마다 규모에 큰 차이가 있는 이유는 핵실험이 P파를 펄스 형태로 방출하고, 그 최대 진폭에 따라 규모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펄스는 관측 지점이나 관측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규모의 오차도 커진다. 핵실험과 동시에, 혹은 유발되어 자연 지진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으며, 핵실험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S파도 관측되어 핵실험 분석을 어렵게 하고 있다.

폭발 규모는 고성능 폭약 TNT 환산으로, USGS는 0.5~5킬로톤, 일본 도쿄 대학 지진 연구소는 0.5~1.5킬로톤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초기에 일본, 미국 등 각 정부는 핵실험 여부 확인에 며칠이 걸리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핵실험이 진행되었다"고 발표하지 않았다.

3. 1. 핵실험 장소 및 규모

대한민국 정부는 초기 핵실험 장소를 함경북도 길주군 화대리로 발표했으나, 이후 국가정보원김책시 인근 상평리로 수정했다.[42]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폭발 위치를 북위 40.81도, 동경 129.10도로 추정했으며, 리히터 규모는 3.58로 추정했다.[26] 반면,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규모 4.2로 추정했다.[72] BBC와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는 길주군 풍계리 직동의 만탑산 부근을 유력한 핵실험 장소로 지목했다.[76][77]

폭발력에 대한 추정치는 다양하다. 한국은 0.55kt,[89] 러시아는 5~15kt,[85] 독일 연방지질자원연구소(BGR)는 2kt로 추정했다.[35]

기관추정 규모추정 폭발력
대한민국 기상청3.58 - 3.7[89] (최초 측정), 3.9[91] (추가 분석)0.55kt[89]
미국 지질조사국(USGS)4.2[72], 4.3[43]
일본 기상청4.9[73]
러시아 CEME4.0[74]5~15kt[85]
한국지질자원연구원3.58[26]
독일 연방지질자원연구소(BGR)4.2[35]2kt[35]


3. 2. 조선중앙통신의 공식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6년 10월 9일 핵 실험을 실시한 직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핵 실험 성공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71] 조선중앙통신은 핵실험이 "100% 우리 지혜와 기술"로 이루어졌으며,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3] 또한, 이번 핵실험은 과학적인 계산과 면밀한 검토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방사능 유출과 같은 위험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13]

4. 국제사회의 반응 및 대응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당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노무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에서 핵 실험 대응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대한민국 정부는 핵실험을 "한반도 비핵화 선언에 반하는 행위"이자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에 역행한다"라며 강하게 비난했다.[67] 이와 함께, 일부 국민들 사이에서는 햇볕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도 나타났다.

4. 1. 국제사회의 비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실험 강행에 대해 미국, 일본, 유럽 연합(EU) 등 국제사회는 강한 비난을 쏟아냈다. 특히,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안보리)를 통한 제재를 추진했다.[53] 전통적인 우방국인 중국러시아마저도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68][69]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06년 10월 14일, 결의안 1718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여 북한에 대한 제한적인 군사 및 경제 제재를 승인했다. 5개 상임이사국은 이 제재가 북한 주민이 아닌 북한 정권을 겨냥한 것이며, 북한이 협력하고 결의안의 모든 조치를 준수할 경우 제재를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53]

미국은 모든 군사 장비 수입 차단과 유엔 헌장 제7장에 따른 무제한적인 언급을 통해 향후 군사 행동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려 했으나, 결의안에 대한 완전한 지지를 얻기 위해 이러한 의도를 타협했다.[53]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물리적 공격이 아닌, 외교적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56]

일본아베 신조총리의 방한 중에 핵실험이 발생하여 대응이 늦어졌으나, 핵실험 및 탄도 미사일 개발에 대해 "국제 사회의 평화와 안전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라며 "엄중히 항의하며, 단호히 비난한다"고 발표했다.[57]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의장국으로서 유엔 헌장 제7장에 따른 제재 결의를 추진하는 것 외에도, 일본 독자적인 제재를 결정했다.

  • 2006년 10월 11일 발동:
  • * 북한 국적자의 원칙적 입국 금지.
  • 2006년 10월 14일 발동[58]:
  • * 특정 선박의 입항 금지에 관한 특별 조치법에 근거, 북한 선적 모든 선박의 입항 금지(2006년 10월 14일 - 2007년 4월 13일).
  • * 수입 무역 관리령, 외국환 관리령에 근거, 북한으로부터의 수입 전면 금지.


2006년 7월 미사일 발사 실험 이후 화객선 만경봉 92호의 입항은 이미 금지된 상태였다.

히로시마시의 아키바 타다토시 시장은 "강한 분노를 느낀다. 피폭지・히로시마시를 대표하여 엄중히 항의한다"는 논평과 함께 북한에 항의문을 보냈다.[59] 나가사키시의 이토 잇초 시장 역시 북한에 핵무기 개발 즉시 중단을 요구하는 항의문과 일본 정부에 의연한 대응을 요구하는 요청문을 보냈다.[60][61] 나가사키 시의회도 임시 회의를 통해 북한의 행위에 항의하는 결의를 채택했다.[62][63]

돗토리현사카이미나토시강원도 원산시와의 자매 도시 제휴를 파기했다.[64] 이는 일본과 북한 간 유일한 자매 도시 제휴였으며, 이로써 양국 간 자매 도시 제휴는 없어졌다.

러시아 정부는 핵 실험 약 2시간 전에 북한으로부터 통보를 받았으며, 국영 이타르-타스 통신은 "100% 핵 실험이다"라고 보도했다.[68] 블라디미르 푸틴대통령은 군사 균형 붕괴를 용납할 수 없다며 무조건 비난했다.[69] 코사초프 국제관계위원장은 핵 실험이 미국의 압력 때문이라고 언급했다.[68]

한편, 북한의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은 "향후 핵실험 지속 여부는 미국의 대응에 달려 있으며, 금융 제재를 해제하지 않으면 6자 회담에도 응하지 않겠다"고 말했다.[70] 박길연 유엔 대사는 "우리나라 과학자, 연구자들에게 축사를 보내야 한다"라고 말했다. 국경 경비병은 "핵실험의 성공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4. 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채택

2006년 10월 14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유엔 안보리 결의 1718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제한적인 군사 및 경제 제재를 승인했다.[53] 5개 상임이사국은 이 제재가 북한 주민이 아닌 북한 정권을 겨냥한 것이라고 밝혔다.[53] 또한 북한이 협력하고 결의안의 모든 조치를 준수하면 제재를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53] 미국은 당초 모든 군사 장비 수입 차단 및 유엔 헌장 제7장에 대한 무제한적 언급을 통해 향후 군사 행동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려 했으나, 결의안에 대한 완전한 지지를 얻기 위해 이러한 입장을 철회했다.[53]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1718은 유엔 헌장 제7장 제41조에 따른 경제 제재 실시를 결정했다. 이에 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중앙방송을 통해 "이 결의는 미국이 우리나라를 붕괴시키려는 시나리오이며, 우리에 대한 선전 포고로 간주한다"고 발표했다.

4. 3. 대한민국 정부의 대응

노무현 정부는 2006년 10월 4일 북한의 핵 실험을 "한반도 비핵화 선언에 반하는 행위"이자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에 역행한다"라며 강하게 비난했다.[67] 그러나, 북한에 대한 물리적 공격보다는 외교적 대화를 통한 해결을 추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5. 핵보유국 지위 논란

2006년 10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핵실험을 실시했다고 주장했다.[93] 이 실험 이후,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에 대한 논란이 국제사회에서 제기되었다.

5. 1. 북한 핵보유국 부정설

한국, 미국, 일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공식적으로 부정한다.

5. 2. 북한 핵보유국 인정설

2006년 10월 9일 북한의 1차 핵 실험 직후, 세르게이 이바노프 러시아 국방장관은 "북한은 사실상 9번째 핵보유국이 됐다"고 주장했다.[93] 그러나 러시아 정부는 며칠 뒤 이바노프 장관의 발언이 개인 의견일 뿐이라며 공식적으로는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부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에서 번번이 거부권을 행사했다.

2013년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핵실험으로 핵출력 10 kt을 넘기면 사실상 핵보유국이라고 말했다.[94]

2015년 미국 의회는 북한을 핵무장국(a nuclear-armed country)으로 명시한 법안을 통과시켰으나,[95] 오바마 대통령은 거부권을 행사했다.[96]

2016년 제임스 클래퍼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북한 비핵화는 가능성이 없다며, 북한 핵능력에 대한 '제한'(cap)이 최선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이는 사실상 북한의 핵보유를 인정하고 핵 동결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논란이 되었다.

2017년 국립외교원 전봉근 교수는 '핵무장국(nuclear-armed state)'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98]

6. 평가 및 영향

북한의 1차 핵실험은 국제사회의 비핵화 노력을 무력화하고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 안보 지형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했다.[54] 핵실험 이후 북한은 핵·미사일 개발을 지속하며 국제사회와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핵실험 전부터 방사능 누출이 우려되었으나, 현재까지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5] 다만 대한민국 정부는 방사능 감시 체제를 강화했고, 일본 외무성은 한국 체류자 및 여행자에게 정보에 주의할 것을 촉구했다.[55] 동해산 해산물 등에 대한 소문 피해도 우려되었다.

핵실험의 영향으로 환율 시장에서는 엔화의 대외 환율이 다소 하락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한국거래소 종합 주가지수가 2.5% 하락했고, 코스닥은 급락으로 인해 거래가 일시 중단되는 조치가 취해졌다.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Results https://earthquake.u[...] USGS
[2] 웹사이트 North Korea’s Punggye-ri Nuclear Test Site: Analysis Reveals Its Potential for Additional Testing with Significantly Higher Yields https://www.38north.[...] 38North 2017-03-10
[3] 서적 Comprehensive Nuclear-Test-Ban Treaty: Background and Current Development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09-11-23
[4] 뉴스 U.S.: Test Points to N. Korea Nuke Blast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6-10-13
[5] 뉴스 North Korea Nuclear Test Confirmed by U.S. Intelligence Agency https://web.archive.[...] Bloomberg 2006-10-16
[6] 웹사이트 Dud or deception? Experts examine N. Korea claims https://web.archive.[...] CNN 2006-10-10
[7] 간행물 Regional Seismic Characteristics of the 9 October 2006 North Korean Nuclear Test http://www.bssaonlin[...] 2008-12
[8] 웹사이트 Test follows warning from U.N. https://web.archive.[...] 2006-10-09
[9] 웹사이트 Nuclear Weapons Program – North Korea https://www.globalse[...] 2020-05-21
[10] 문서 Visit to the Yongbyon Nuclear Scientific Research Center in North Korea http://www.fas.org/i[...] 2004-01-21
[11] 뉴스 ABC Exclusive: Pakistani Bomb Scientist Breaks Silence https://abcnews.go.c[...] ABC News 2008-05-30
[12] 뉴스 Contrasting Views on North Korea Underscore Sensitivities and Lack of Evidenc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4-10-09
[13] 웹사이트 DPRK Successfully Conducts Underground Nuclear Test https://web.archive.[...]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6-10-10
[14] 뉴스 US Asks for Tough UN Sanctions On North Korea https://web.archive.[...] Voice of America 2006-10-09
[15] 웹사이트 North Korean test 'went wrong,' U.S. official says https://web.archive.[...] CNN 2006-10-10
[16] 웹사이트 Nuclear Weapons Program – North Korea https://web.archive.[...] 2006-10-09
[17] 뉴스 North Korea threatens war over sanctions https://web.archive.[...] Associated Press 2006-10-11
[18] 뉴스 North Korea: Increased U.S. Pressure Would Be 'Act of War' http://www.foxnews.c[...] Fox News 2006-10-11
[19] 뉴스 North Korea Declares UN Scanctions As An Declaration Of war https://news.yahoo.c[...] Yahoo News 2006-10-17
[20] 뉴스 Report: Kim 'sorry' about N. Korea nuclear test https://www.nbcnews.[...] NBC News, The Associated Press and Reuters 2006-10-20
[21] 웹사이트 North Korea to rejoin 6-nation nuclear talks https://www.nbcnews.[...] NBC News 2006-11-01
[22] 뉴스 US confirms N Korea nuclear test http://news.bbc.co.u[...] BBC News 2006-10-16
[23] 간행물 Kim's Big Fizzle http://www.sciam.com[...] 2007-01
[24] 웹사이트 U.S. official: 'Something went wrong' on blast https://web.archive.[...] cnn.com 2006-10-11
[25] 웹사이트 North Korea's Power Checked https://web.archive.[...] 2006-10-11
[26] 웹사이트 지진파가 나옵니다. 폭발입니다 ''Seismic waves. An Explosion.'' https://web.archive.[...] The Chosun Ilbo 2006-10-09
[27] 웹사이트 북핵 실험의 규모와 의미 ''The Scale and Implication of North Korea's Nuclear Test'' http://news.sbs.co.k[...] SBS (Korea) 2006-10-09
[28] 웹사이트 Defense Tech: NORK Nuclear Test: It's A Dud (Updated) https://web.archive.[...] 2006-10-17
[29] 웹사이트 North Korea claims nuclear test https://web.archive.[...] 2006-10-09
[30] 웹사이트 France says North Korean blast 'about half a kiloton' https://web.archive.[...] 2006-10-09
[31] 뉴스 Scientists Probe North Korea Nuke Test http://hosted.ap.org[...] 2006-10-09
[32] 뉴스 U.S. doubts Korean test was nuclear http://www.washtimes[...] Washington Times 2006-10-10
[33] 뉴스 Commentary – Parody Physics Package? https://web.archive.[...] Wall Street Journal 2006-10-13
[34] 웹사이트 Success, failure or bluff? Scientists pore over data https://web.archive.[...] 2006-10-09
[35] 웹사이트 BGR registered putative third North Korean nuclear test http://translate.goo[...] 2013-02-15
[36] 웹사이트 BGR registriert vermutlichen dritten nordkoreanischen Kernwaffentest http://www.bgr.bund.[...] 2013-02-15
[37] 웹사이트 Nuclear Weapon Archive http://nuclearweapon[...] Carey Sublette
[37] 서적 The Swords of Armageddon: U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since 1945 Chukelea Publications 1995
[38] 웹사이트 Reactor-Grade and Weapons-Grade Plutonium in Nuclear Explosives http://www.ccnr.org/[...]
[39] 웹사이트 US confirms N Korea nuclear test http://english.aljaz[...] 2006-10-17
[40] 웹사이트 The CTBTO verification regime put to the test, CTBTO Press Centre 2007 http://www.ctbto.org[...] 2012-04-16
[41] 뉴스 N Korea's nuclear test backlash http://www.smh.com.a[...] 2006-10-09
[42] 웹사이트 North Korean nuclear test site http://home.kyodo.co[...]
[43] 웹사이트 Magnitude 4.3–North Korea (2006 October 09 01:35:28 UTC)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2010-10-09
[44] 뉴스 North Korea's neighbors caution it not to conduct nuclear test https://www.usatoday[...] 2006-10-04
[45] 웹사이트 South Korea opposes any UN military measures against North http://www.channelne[...]
[46] 웹사이트 Seoul stocks tumble after North Korea confirms nuke test http://www.marketwat[...]
[47] 웹사이트 N Korea says conducted nuclear test http://www.ft.com/cm[...]
[48] 뉴스 Market impact https://www.bloomber[...] 2006-10-09
[49] 웹사이트 Nth Korea says nuclear test conducted http://tvnz.co.nz/vi[...]
[50] 웹사이트 Gold prices rise 1% http://www.businessd[...]
[51] 웹사이트 Asian stocks tumble on North Korean nuclear test announcement http://www.channelne[...]
[52] 웹사이트 Current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trading https://finance.yaho[...]
[53] 간행물 North Korean Test Provokes Widespread Condemnation http://www.armscontr[...] 2006-11
[54] 웹사이트 IRISの波形データ http://www.iris.edu/[...]
[55] 보도자료 韓国:北朝鮮による地下核実験実施発表について http://www.anzen.mof[...] 외무성 2006-10-09
[56] 보도자료 United States Committed to Diplomacy with North Korea, Bush says http://tokyo.usembas[...] 주일 미국 대사관 2006-10-12
[57] 보도자료 北朝鮮による地下核実験実施発表に対する内閣官房長官声明 http://www.kantei.go[...] 총리대신 관저 2006-10-09
[58] 법령 平成十八年内閣告示第四号、平成十八年経済産業省告示第三百八号から第三百十一号
[59] 보도자료 北朝鮮の核実験実施発表に対する抗議文(2006.10.10) http://www.city.hiro[...] 히로시마시 2006-10-10
[60] 웹사이트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北朝鮮)の核実験への抗議 http://www1.city.nag[...] 2006-10-09
[61] 보도자료 北朝鮮本国への抗議文 http://www1.city.nag[...] 나가사키시 2006-10-09
[62] 보도자료 北朝鮮の核実験実施に強く抗議する意見書 http://www1.city.nag[...] 나가사키 시의회 2006-10-11
[63] 보도자료 北朝鮮の核実験実施に強く抗議する決議 http://www1.city.nag[...] 나가사키 시의회 2006-10-11
[64] 웹사이트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江原道元山市との友好都市盟約について http://www.city.saka[...] 사카이미나토시
[65] 웹사이트 中国、北朝鮮制裁を容認 日米、決議案一本化へ http://www.usfl.com/[...] 2006-10-10
[66] 웹사이트 中国の銀行が送金停止 対北朝鮮、外務省認める http://www.nishinipp[...] 2006-10-18
[67] 웹사이트 北韓(北朝鮮)は核実験計画を直ちに取り消さなければならない(外交通商部) http://www.mofat.go.[...]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2006-10-04
[68] 뉴스 北朝鮮核実験、9日のドキュメント http://www.asahi.com[...] 2006-10-09
[69] 웹사이트 北朝鮮の核実験、各国が非難 - 北朝鮮核問題特集 http://www.asahi.com[...] 2006-10-10
[70] 웹사이트 核実験継続は米次第 日朝平壌宣言は有効 http://flash24.kyodo[...] 교도통신 2006-10-11
[71] 뉴스 조선중앙통신사 보도문 전문 http://www.seoul.co.[...] 서울신문
[72] 웹사이트 미국 USGS 북핵 실험 관측 분석 자료 http://earthquake.us[...] 2006-10-11
[73] 웹사이트 일본 기상청 북핵 실험 관측 분석 자료 http://www.jma.go.jp[...]
[74] 웹사이트 러시아 CEME 북핵 실험 관측 분석 자료 http://www.ceme.gsra[...]
[75] 보도자료 〈북한 핵실험 장소, 누구 이야기가 맞을까?〉 http://www.khjkorea.[...] 국회의원 김희정
[76] 뉴스 BBC 북핵 실험 보도 http://news.bbc.co.u[...] BBC
[77] 보고서 ISIS의 북핵 실험 장소 분석 보고서 http://www.isis-onli[...] ISIS
[78] 뉴스 〈북, 함북 만탑산서 핵실험 준비 지하 700m 갱도 팠다〉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79] 뉴스 〈지질硏, 북 핵실험 추정 장소 수정〉 http://www.moneytoda[...] 머니투데이
[80] 뉴스 북한, 앞으로 매년 1개씩 핵무기 생산 프레시안 2006-11-21
[81] 뉴스 <국감현장> 북핵실험 러'측의 속내 캐묻기에 집중 연합뉴스 2006-10-15
[82] 뉴스 [北 핵실험 강행]中에 통보 20분만에 지구촌 흔든 ‘폭발음’ 경향신문 2006-10-09
[83] 뉴스 <北핵실험> 어떻게 탐지했나 연합뉴스 2006-10-09
[84] 뉴스 진도 3.58감지, 핵실험 규모는 한겨레 2006-10-10
[85] 뉴스 러시아, 북한 핵 왜 성공이라고 주장하나 헤럴드POP 2006-10-11
[86] 뉴스 아시나요, 핵폭탄의 과학 부산일보 2006-10-18
[87] 뉴스 <北核사태> "지진강도상 폭발력은 0.5-0.9kt"<핵전문가> 연합뉴스 2006-10-23
[88] 뉴스 러시아, 북한 핵 왜 성공이라고 주장하나 헤럴드POP 2006-10-11
[89] 웹사이트 North Korea claims nuclear test http://www.janes.com[...] 2006-10-09
[90] 뉴스 지진연구센터 "핵실험 치곤 지진파 약하나 핵실험 맞다" 쿠키뉴스 2006-10-09
[91] 뉴스 정부, 북한 핵실험 진도 규모 3.9로 상향조정 세계일보 2006-10-10
[92] 뉴스 정부 ‘북 핵실험 위력’ 축소 논란 내일신문 2013-02-13
[93] 뉴스 러시아, 북한 핵 왜 성공이라고 주장하나 헤럴드POP 2006-10-11
[94] 뉴스 서균렬 "북핵, 10k톤 넘었다면 北은 핵보유국" 노컷뉴스 2013-02-15
[95] 뉴스 北은 핵보유국 아닌 핵무장국…美 상원, 국방수권법안 통과 헤럴드 경제 2015-06-19
[96] 뉴스 美공화, 하원서 국방수권법 통과시켜…오바마 "거부권 행사" 연합뉴스 2015-10-02
[97] 뉴스 美DNI 국장 "北 핵포기 가능성 없어…핵능력 제한이 최선" 연합뉴스 2016-10-26
[98] 뉴스 전문가 "북한을 '핵무장국'이나 '불법 핵무장국'으로 부르자" 연합뉴스 2017-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