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85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85호는 핵, 화학 무기 및 생물학 무기의 확산과 운반 수단이 국제 평화와 안전에 위협이 된다는 판단 하에 채택되었다. 결의는 2009년 5월 북한의 핵실험 이후 부과된 대북 제재 체제를 감시하기 위해 결의안 1874호에 따라 설립된 전문가 패널의 임무를 연장하고, 모든 국가와 유엔 기구 등이 제재 이행과 관련하여 제재위원회 및 전문가 패널과 협력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결의는 만장일치로 채택되었으며, 2012년 6월 12일까지 대북 제재 체제 감시가 연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3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3호는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카다피 정권의 시위대 진압에 대한 국제적 우려 속에 채택되어 리비아 상공 비행 금지 구역 설정, 시민 보호를 위한 조치 승인, 정부 자산 동결 등의 강제 조치를 포함하지만, 군사 개입의 한계와 정치적 불안정 심화에 대한 논란을 야기했다. - 2011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는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카다피군의 민간인 시위자 공습 의혹에 대한 대응으로 리비아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 폭력 중단 및 인권법 준수 요구, 무기 금수 조치, 관련 인사 제재, 감시 위원회 설립 등을 담은 결의안이다. - 201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11년 7월 한국 중부 집중호우
2011년 7월 한국 중부 집중호우는 7월 27일부터 대한민국 중부지방에 발생한 기록적인 폭우로, 산사태, 하천 범람, 도시 침수 등의 피해와 함께 춘천, 우면산 산사태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으며, 행정적 문제점과 기상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 201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정일의 죽음과 국장
김정일의 죽음과 국장은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의 급성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 발표와 그에 따른 장례 절차, 주변국의 반응, 그리고 김정은의 권력 승계 과정을 포괄하는 사건이다. - 핵확산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는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하고 탄도 미사일 관련 활동 중단 및 대량살상무기 관련 물품 이전을 금지하는 결의안으로, 채택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거부하며 반발했다. - 핵확산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는 2006년 북한의 핵실험에 대응하여 북한의 핵 프로그램 포기를 요구하며 경제 및 군사 제재를 규정한 결의안이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85호 | |
---|---|
결의 개요 | |
결의 번호 | 1985 |
기구 |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
날짜 | 2011년 6월 10일 |
회의 | 6,553회 |
코드 | S/RES/1985 |
문서 | S/RES/1985(2011) |
찬성 | 15 |
기권 | 0 |
반대 | 0 |
주제 | 핵확산 방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결과 | 채택 |
![]() | |
북한과 유엔 | |
관련 정보 | 핵확산 |
추가 정보 | 안전 보장 이사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재 감시를 돕는 전문가 패널의 임기를 2012년 6월 12일까지 연장 |
참고 자료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북한 제재 위반 조사 위원회 임기 연장 |
2. 결의 배경
안전 보장 이사회는 핵, 화학 무기 및 생물학 무기의 확산과 그 운반 수단이 국제 평화와 안전에 대한 위협을 구성한다고 판단했다.[2] 또한 전문가 패널의 보고서는 신뢰할 수 있고 객관적인 평가, 분석 및 권고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했다.[2]
유엔 헌장 제7장 제41조에 의거하여, 이사회는 2009년 5월에 실시된 지하 핵실험 이후 부과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새롭게 강화된 제재 체제를 감시하기 위해 결의안 1874호에 따라 설립된 전문가 패널의 임무를 연장했다.[3] 패널은 2011년 11월 12일까지 보고서를 제출하고, 현재 임무 종료 30일 전에 조사 결과 및 권고 사항을 담은 두 번째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요청받았다.[3]
3. 결의 내용
마지막으로, 모든 국가, 유엔 기구 및 기타 단체는 결의안 1718호에 따라 설립된 안전 보장 이사회 위원회 및 전문가 패널과 전적으로 협력할 것을 촉구받았다.
3. 1. 전문가 패널 임무 연장
유엔 헌장 제7장 제41조에 의거하여, 이사회는 2009년 5월에 실시된 지하 핵실험 이후 부과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새롭게 강화된 제재 체제를 감시하기 위해 결의안 1874호에 따라 설립된 전문가 패널의 임무를 연장했다.[3] 패널은 2011년 11월 12일까지 보고서를 제출하고, 현재 임무 종료 30일 전에 조사 결과 및 권고 사항을 담은 두 번째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요청받았다.[3]
마지막으로, 모든 국가, 유엔 기구 및 기타 단체는 결의안 1718호에 따라 설립된 안전 보장 이사회 위원회 및 전문가 패널과 전적으로 협력할 것을 촉구받았다.
3. 2. 국제 협력 촉구
유엔 헌장 제7장 제41조에 의거하여, 이사회는 지하 핵실험 이후 부과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새롭게 강화된 제재 체제를 감시하기 위해 결의안 1874호에 따라 설립된 전문가 패널의 임무를 연장했다.[3] 패널은 2011년 11월 12일까지 보고서를 제출하고, 현재 임무 종료 30일 전에 조사 결과 및 권고 사항을 담은 두 번째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요청받았다.[3]
마지막으로, 모든 국가, 유엔 기구 및 기타 단체는 결의안 1718호에 따라 설립된 안전 보장 이사회 위원회 및 전문가 패널과 전적으로 협력할 것을 촉구받았다.
4. 결의 채택 결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유엔 헌장 제7장 제41조에 의거, 2009년 5월에 실시된 지하 핵실험 이후 부과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새롭게 강화된 제재 체제를 감시하기 위해 결의안 1874호에 따라 설립된 전문가 패널의 임무를 연장했다.[3] 패널은 2011년 11월 12일까지 보고서를 제출하고, 현재 임무 종료 30일 전에 조사 결과 및 권고 사항을 담은 두 번째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요청받았다.[3] 제1985호는 모든 국가와 유엔 관련 기구 등이 제재 이행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재위원회 및 전문가 패널 등과 최대한 협력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6] 모든 국가, 유엔 기구 및 기타 단체는 결의안 1718호에 따라 설립된 안전 보장 이사회 위원회 및 전문가 패널과 전적으로 협력할 것을 촉구받았다.
5. 국제 사회의 반응
5. 1. 중국
중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지금까지의 제재를 위반했다고 비난했다.[4][5]6. 대한민국의 입장
대한민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 이행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지지한다. 북한의 핵 개발은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이며,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내야 한다. 2009년 5월에 실시된 지하 핵실험 이후 부과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새롭게 강화된 제재 체제의 감시가 2012년 6월 12일까지 연장되는 것이 결정되었다.[4][5]
참조
[1]
뉴스
Security Council extends until 12 June 2012 mandate of panel of experts helping monitor sanctions 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11-06-10
[2]
뉴스
UN Security Council extends mandate of committee looking into North Korea sanctions violations
https://www.google.c[...]
2011-06-10
[3]
뉴스
Security Council extends mandate of DPR Korea sanctions panel
https://www.un.org/a[...]
2011-06-10
[4]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extends until 12 June 2012 mandate of panel of experts helping monitor sanctions 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web.archive.[...]
www.un.org
2011-06-10
[5]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extends mandate of DPR Korea sanctions panel
https://news.un.org/[...]
news.un.org
2011-06-10
[6]
웹인용
안보리, 대북제재 전문가 패널 활동 1년 연장
https://n.news.naver[...]
2024-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