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는 2011년 2월 26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가 리비아 내전 중 민간인에 대한 공격을 규탄하며 만장일치로 채택한 결의안이다. 이 결의안은 리비아 정부의 폭력 행위 중단과 국민 보호 책임을 강조하고, 국제 형사 재판소에 리비아 상황을 회부했다. 또한 무기 금수 조치, 여행 금지 및 자산 동결 조치를 부과하고, 제재 위원회를 설립했다. 결의안은 리비아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존중하면서도, 리비아의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하고, 카다피 정부 관련 인사들에 대한 제재를 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3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3호는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카다피 정권의 시위대 진압에 대한 국제적 우려 속에 채택되어 리비아 상공 비행 금지 구역 설정, 시민 보호를 위한 조치 승인, 정부 자산 동결 등의 강제 조치를 포함하지만, 군사 개입의 한계와 정치적 불안정 심화에 대한 논란을 야기했다. - 2011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3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3호는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카다피 정권의 시위대 진압에 대한 국제적 우려 속에 채택되어 리비아 상공 비행 금지 구역 설정, 시민 보호를 위한 조치 승인, 정부 자산 동결 등의 강제 조치를 포함하지만, 군사 개입의 한계와 정치적 불안정 심화에 대한 논란을 야기했다. - 2011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85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85호는 북한의 핵과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이 국제 평화와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라고 규정하며,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막기 위한 제재 조치 시행과 감시 체제 강화, 그리고 북한의 비핵화 약속 이행 및 국제 사회와의 대화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2011년 리비아 - 제1차 리비아 내전
제1차 리비아 내전은 2011년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의 붕괴를 초래한 내전으로, 카다피의 장기 집권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벵가지 시위로 시작되었으며, 국제 연합의 개입과 카다피 사망으로 종식되었다. - 2011년 리비아 - 리비아 위기
리비아 위기는 카다피 집권 후 아랍의 봄으로 촉발된 내전과 정권 붕괴 이후 정치적 불안정, 무장 단체 난립, 사회적 혼란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국제 사회가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대한민국도 재건을 지원하고 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 | |
---|---|
개요 | |
![]() | |
번호 | 1970 |
기관 | 안전 보장 이사회 |
날짜 | 2011년 2월 26일 |
회의 | 6,491회 |
코드 | S/RES/1970 |
문서 | S/RES/1970(2011) |
찬성 | 15 |
기권 | 0 |
반대 | 0 |
주제 | 아프리카의 평화와 안전 |
결과 | 채택 |
주요 내용 |
2. 배경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카다피 군이 트리폴리에서 민간인 시위대를 공습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의혹은 국제 사회의 공분을 샀다.[4] 반카다피 세력 측 외교관들은 이에 항의했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 제1970호를 채택하게 되었다.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이 제안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는 오랜 토론 끝에 채택되었다.[21][22] 당시 카다피 정부 측 리비아 유엔 대사였던 압델 라만 샬감은 안전 보장 이사회에 호소하면서, ICC 수사 개시 촉구가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한 후 중국, 인도, 러시아를 설득했다.[23] 러시아는 이 결의가 리비아에 대한 개입의 근거로 사용되지 못하도록 하는 조항을 확실하게 넣었다.[23] 리비아 비행금지구역 설정 등 리비아 대사가 제안한 다른 조항은 채택이 거부되었다.[22]
3. 결의안 채택 과정
3. 1. 리비아 유엔 대사의 호소와 각국의 입장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이 제안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는 오랜 토론 끝에 채택되었다.[21][22] 당시 카다피 정부 측 리비아 유엔 대사였던 압델 라만 샬감은 안전 보장 이사회에 호소했다. 그는 ICC 수사 개시 촉구가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한 후, 중국, 인도, 러시아를 설득했다.[23] 러시아는 이 결의가 리비아에 대한 개입의 근거로 사용되지 못하도록 하는 조항을 확실하게 넣었다.[23] 리비아 비행금지구역 설정 등 리비아 대사가 제안한 다른 조항은 채택이 거부되었다.[22]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는 조항에는 ICC 비(非)체약국 국민 및 정부 요원에 대해 "리비아에서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모든 작위 또는 부작위에 대해서는 해당 국가의 배타적 관할권에 따른다"는 의무가 명시되었다. 이는 사실상 ICC의 관할권 행사를 면제하는 꼴이 되어, 이 문제에 대해 각국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18]
국가 | 입장 |
---|---|
프랑스 | 국민 보호에 대한 국제 사회의 새로운 결의를 보여주는 것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
브라질 | ICC 비체약국이 재판소의 관할권에 속하지 않는다는 규정에 대해 국제 정의와 책임 추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
인도 | 인도 등 이사회 5개국이 ICC 비체약국임을 언급하며, 회부를 통해 폭력 중단이 확실히 이루어지는 것을 환영하면서도, 보다 "조정된 접근 방식"을 원한다고 밝혔다. |
레바논, 러시아 | 리비아의 주권과 영토 보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중국 | 리비아 정세의 특수성을 들어 결의 내용에 지지를 표명했다. |
리비아 | 이사회의 행동은 리비아 국민에 대한 정신적인 지지가 될 것이며, 트리폴리의 파시스트 정권이 종말을 맞이해야 한다는 것을 상징한다며 ICC 회부에 대해 환영했다. |
3. 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1970호 채택
프랑스, 독일, 영국 및 미국이 제안한 결의안 1970[5]은 하루 종일 이어진 논의 끝에 채택되었다.[6] 리비아 정부에서 탈퇴한 리비아의 유엔 대사 압두르라흐만 모하메드 샬감은 리비아 상황에 대해 안전 보장 이사회가 조치를 취할 것을 호소했다. 그는 이전에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던 중국, 인도 및 러시아를 설득하여 국제 형사 재판소에 대한 언급을 포함시켰다.[7] 러시아는 국가들이 결의안을 리비아에 대한 개입의 구실로 삼는 것을 막는 조항을 확보했다.[7] 리비아 대표들이 제안한 이 나라 상공에 비행 금지 구역을 설정하는 또 다른 조항은 거부되었다.[6]2011년 2월 26일,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안 1970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하여 보호 책무를 명시적으로 언급했다. 결의안 1973호에 따라 리비아는 안전 보장 이사회가 R2P를 언급하며 군사 개입을 승인한 최초의 사례였다.[8]
4. 결의안 내용
2011년 리비아 내전 상황에서 국제형사재판소(ICC) 검찰에 사태 수사와 기소를 위탁하기로 결정했다.[11] 리비아 정부에 폭력 즉각 중단, 국제 인권법 및 국제 인도법 존중을 요구하고, 가맹국에는 인도적 지원 조직의 귀환 지원을 요청했다. 또한 가맹국에 리비아 정부 간부 지도자에 대한 해외 여행 금지와 자산 동결 조치 실행, 무기 금수 조치 실행을 요청했다. 제재 이행 감시, 위반 사항 조사, 추가적인 개인 및 단체에 대한 표적 제재 부과를 위한 위원회도 설치했다.[12]
4. 1. 서문: 리비아 상황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인식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카다피군은 트리폴리에서 민간인 시위자들에게 공습을 가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이는 국제 사회의 공분을 샀다.[24] 반카다피 세력 측 외교관들이 항의하면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 제1970호를 채택하였다.결의 서문에서, 안전보장이사회는 리비아의 상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민간인에 대한 무력 사용을 규탄했다. 또한 인권 침해와 리비아 정부의 폭력 선동 시도를 규탄했다.[9] 아랍 연맹, 아프리카 연합, 이슬람 협력 기구 및 유엔 인권 이사회의 규탄 성명을 이사회는 환영했다. 시위대에 대한 이러한 공격은 반인륜 범죄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10] 난민 상황, 의료 물품 부족, 재외국민 복지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안전 보장 이사회는 리비아 정부가 자국민을 보호하고 집회의 자유, 표현의 자유 및 언론의 자유를 존중할 책임이 있음을 상기시켰다. 또한 정부는 민간인 공격에 대한 책임자를 처벌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상기시켰다.
4. 2. 본문: 유엔 안보리의 구체적 조치
유엔 헌장 제7장 41조에 따른 법적 강제력 있는 조치로, 리비아 정부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요구했다.[11]- 폭력 행위 즉각 중단
- 국민의 정당한 요구 수용
- 국제 인도주의법과 국제 인권법 존중 및 자제
- 외국인과 인도주의적 물품의 안전 보장
- 언론에 가해진 제한 해제
또한, 외국인의 국외 탈출을 위한 국제 협력을 권고했다.
==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상황 회부 ==
리비아 상황을 국제 형사 재판소 검사에게 회부했으며, 검사는 결의안 채택 후 2개월 이내 및 그 이후 6개월마다 이사회에 조치 사항을 보고하고, 리비아 관계자들이 법원에 전적으로 협력할 것을 결정했다.
== 무기 금수 조치 ==
무기 금수 조치를 부과하여 무기가 리비아로 수출되거나 리비아에서 반출되는 것을 금지했다. 리비아 인접 국가들은 의심스러운 화물을 조사하여 무기를 압수하도록 권고받았으며, 봉기에 용병이 사용되는 것을 막도록 촉구받았다.
== 여행 금지 및 자산 동결 ==
여행 금지와 자산 동결 조치가 카다피 정부와 연관된 개인에게 부과되었으며, 동결된 자산은 국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했다.
이름 | 직책 |
---|---|
압둘카데르 유세프 디브리 | 카다피의 경호실장, 정부 안보 담당 |
아부제드 오마르 도르다 | 대외 안보 기구 국장 |
아부 바크르 유니스 자브르 | 국방부 장관 |
마투크 모하메드 마투크 | 공공시설부 장관 |
사이드 모하메드 카다피 알-담 | 무아마르 카다피의 사촌 |
아이샤 가다피 | 무아마르 카다피의 딸 |
한니발 무아마르 가다피 | 무아마르 카다피의 아들 |
카미스 가다피 | 무아마르 카다피의 아들이자 카미스 여단의 지도자 |
무하마드 가다피 | 무아마르 카다피의 아들 |
무아마르 가다피 | 혁명 지도자, 군 최고 사령관 |
무타심 가다피 | 국가 안보 보좌관, 무아마르 카다피의 아들 |
알-사디 가다피 | 특수부대 사령관, 무아마르 카다피의 아들 |
세이프 알-아랍 가다피 | 무아마르 카다피의 아들 |
세이프 알-이슬람 가다피 | 카다피 재단 이사, 무아마르 카다피의 아들 |
압둘라 세누시 | 군 정보국 국장, 무아마르 카다피의 매형 |
바그다디 마흐무디 | 혁명위원회 연락 사무소 대표 |
안전 보장 이사회는 제재 이행을 감시하고, 위반 사항을 조사하며, 추가적인 개인 및 단체에 대한 표적 제재를 부과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했다.[12]
5. 결의안 위반 사례
2011년 4월 16일, 반군 지도자 중 한 명인 압델 파타 유네스 장군은 알 아라비아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부대가 해외로부터 무기를 공급받고 있다고 밝혔다.[13] 같은 해 7월 28일, 프랑스가 돌격 소총, 기관총, 대전차 유도 무기 등을 반군이 최근 건설한 비행장으로 공수하여 낙하산으로 투하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14] 이는 국가 과도 위원회 대변인 무스타파 게리아니에 의해 확인되었다.[13]
6. 각국의 반응 및 평가
각국의 반응에 대해서는 다음 문단을 참고하라.
안전 보장 이사회는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는 것을 규정한 조항에서 ICC 비(非)체약국의 국민 및 정부 요원에 대해 "리비아에서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모든 작위 또는 부작위에 대해서는 해당 국가의 배타적 관할권에 따른다"는 의무를 명시했다. 그러나 이는 사실상 ICC의 관할권 행사를 면제한 꼴이 되어 이 문제에 대해 각국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18]
6. 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찬성 (15) | 기권 (0) | 반대 (0) |
---|---|---|
-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 이사국은 굵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는 것을 규정한 조항에 ICC 비(非)체약국의 국민 및 정부 요원에 대해 "리비아에서의 활동으로부터 생겨난 모든 작위 또는 부작위에 대해서는 해당 국가의 배타적 관할권에 따른다"는 의무를 명시하였으나, 사실상 ICC의 관할권 행사를 면제한 꼴이 되면서 이 문제에 대해 각국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18]
- 프랑스 대표: "국민 보호에 대한 국제 사회의 새로운 결의를 보여주는 것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발언했다.
- 브라질 대표: ICC 비체약국이 동 재판소의 관할권에 속하지 않는다는 규정에 대해 국제 정의와 책임 추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 인도 대표: 인도를 포함한 이사회 멤버 중 5개국이 ICC 비체약국임을 언급하며, 회부를 통해 폭력 중단이 확실히 이루어지는 것은 환영하지만, 보다 "조정된 접근 방식"을 원한다고 밝혔다.
- 레바논, 러시아 대표: 리비아의 주권과 영토 보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중국 대표: 리비아 정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결의 내용에 지지를 표명했다.
- 리비아 대표: "이사회의 행동은 리비아 국민에 대한 정신적인 지지가 될 것이며, 트리폴리의 파시스트 정권이 종말을 맞이해야 한다는 것을 상징한다"며 ICC 회부에 대해 환영했다.
6. 2. 리비아
리비아 대표는 "이사회의 행동은 리비아 국민에 대한 정신적인 지지가 될 것이며, 트리폴리의 파시스트 정권이 종말을 맞이해야 한다는 것을 상징한다"라며 국제형사재판소(ICC) 회부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했다.[18]7. 제재 위원회 설치
안전보장 이사회는 제재 이행을 감시하고, 위반 사항을 조사하며, 추가적인 개인 및 단체에 대한 표적 제재를 부과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했다.[12] 모든 국가에 리비아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촉구했다. 결의안은 이사회가 상황을 고려하여 조치를 검토, 수정, 강화 또는 해제할 의사를 밝히면서 마무리되었다.
8. 결론
안전 보장 이사회는 제재 이행을 감시하고 위반 사항을 조사하며, 추가적인 개인 및 단체에 대한 표적 제재를 부과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하였다.[12] 모든 국가에 리비아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촉구했다. 결의안은 이사회가 상황을 고려하여 조치를 검토, 수정, 강화 또는 해제할 의사를 밝히면서 마무리되었다.
참조
[1]
뉴스
In swift, decisive action, Security Council imposes tough measures on Libyan regime, adopting Resolution 1970 in wake of crackdown on protesters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11-02-26
[2]
웹사이트
Resolution 1970 (2011)
http://www.icc-cpi.i[...]
2015-02-10
[3]
뉴스
India backs UN sanctions against Libya
http://timesofindia.[...]
2011-02-27
[4]
웹사이트
"Amnesty questions Libyan mass rape"
http://www.nzherald.[...]
2011-06-25
[5]
뉴스
UN Security Council slaps sanctions on Libya
http://timesofindia.[...]
2011-02-27
[6]
뉴스
UN Security Council imposes sanctions against Gaddafi, associates
http://www.vanguardn[...]
2011-02-27
[7]
뉴스
U.N. votes to impose sanction on Gaddafi
https://www.washingt[...]
2011-02-26
[8]
논문
The Impact of the Libya Intervention Debates on Norms of Protection
2016
[9]
뉴스
UN orders sanctions on Kadhafi over crackdown
http://www.bangkokpo[...]
2011-02-27
[10]
뉴스
UN slaps sanctions on Gaddafi
http://www.iol.co.za[...]
2011-02-27
[11]
뉴스
UN slaps sanctions on Libyan regime
http://english.aljaz[...]
2011-02-27
[12]
뉴스
UN Security Council Approves Sanctions against Libya
http://www.solvision[...]
2011-02-27
[13]
뉴스
Libyan Rebels Say They’re Being Sent Weapons - NYTimes.com
https://www.nytimes.[...]
[14]
뉴스
La France a parachuté des armes aux rebelles libyens
http://www.lefigaro.[...]
2011-06-28
[15]
웹사이트
IN SWIFT, DECISIVE ACTION, SECURITY COUNCIL IMPOSES TOUGH MEASURES ON LIBYAN REGIME, ADOPTING RESOLUTION 1970 IN WAKE OF CRACKDOWN ON PROTESTERS, Situation Referred to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Secretary-General Expresses Hope Message ‘Heard and Heeded’ in Libya
http://www.un.org/ap[...]
UN News Centre
2011-02-26
[16]
웹사이트
안전保障理事会決議1970(2011)2011年2月26日、安全保障理事会第6491回会合にて採択
http://www.unic.or.j[...]
2011-02-26
[17]
웹사이트
ICC Prosecutor to open an investigation in Libya
http://www.icc-cpi.i[...]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2011-03-02
[18]
웹사이트
IN SWIFT, DECISIVE ACTION, SECURITY COUNCIL IMPOSES TOUGH MEASURES ON LIBYAN REGIME, ADOPTING RESOLUTION 1970 IN WAKE OF CRACKDOWN ON PROTESTERS, Situation Referred to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Secretary-General Expresses Hope Message ‘Heard and Heeded’ in Libya
http://www.un.org/ap[...]
UN News Centre
2011-02-26
[19]
뉴스
In swift, decisive action, Security Council imposes tough measures on Libyan regime, adopting Resolution 1970 in wake of crackdown on protesters
http://www.un.org/Ne[...]
United Nations
2011-02-26
[20]
뉴스
India backs UN sanctions against Libya
http://timesofindia.[...]
2011-04-14
[21]
뉴스
UN Security Council slaps sanctions on Libya
http://timesofindia.[...]
2011-09-28
[22]
뉴스
UN Security Council imposes sanctions against Gaddafi, associates
http://www.vanguardn[...]
2011-09-28
[23]
뉴스
U.N. votes to impose sanction on Gaddafi
http://www.washingto[...]
2011-02-26
[24]
뉴스
UN orders sanctions on Kadhafi over crackdown
http://www.bangkokpo[...]
2011-02-27
[25]
뉴스
UN slaps sanctions on Gaddafi
http://www.iol.co.za[...]
2011-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