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터넷 방송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넷 방송인은 인터넷 플랫폼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방송하는 사람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플랫폼에 따라 BJ, 스트리머, 유튜버, 크리에이터, PD 등으로 불리며, 게임 실황, IRL(일상) 스트림, 버츄얼 아바타, 먹방, 군대, 웹캠 모델 등 다양한 유형의 방송을 진행한다. 인터넷 방송은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어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스트리밍 문화가 발전하며 전문 직업으로 자리 잡았고, 게임 마케팅, 다양한 산업 분야의 마케팅 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장시간 방송으로 인한 건강 문제, 사행성 조장, 폭력성, 선정성, 사생활 침해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넷 방송인 - 펑티모
    펑티모는 중국의 인터넷 방송인이자 가수로, 더우위 플랫폼에서 게임 방송과 노래를 통해 인기를 얻은 후 가수로 데뷔하여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인터넷 방송인 - 틱톡커
  • 생방송 스트리밍 서비스 - 니코니코 생방송
    니코니코 생방송은 니코니코 동화에서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로, 다양한 형태의 방송과 시청자 소통 기능을 지원하며 사회적 역할 수행, 오프라인 행사 개최, 모바일 플랫폼 확장, 게임 실황 방송 합법화 등을 통해 발전해왔다.
  • 생방송 스트리밍 서비스 - 먹방
    먹방은 방송 출연자가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산되며 인기를 얻었지만, 과식 조장, 섭식 장애 유발 등의 논란도 있는 문화 현상이다.
인터넷 방송인
기본 정보
직업직업 및 취미
설명게임 플레이, 일상생활 등을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올리는 사람
관련 항목게임
일상
동영상 공유 사이트
추가 정보
관련 활동게임 플레이
일상생활 공유
동영상 제작
편집
업로드
관련 플랫폼유튜브
트위치
기타 동영상 공유 사이트

2. 용어

플랫폼별로 인터넷 방송인을 부르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플랫폼지칭 용어
아프리카TVBJ
트위치스트리머
유튜브크리에이터, 유튜버
카카오TVPD
네이버TV크리에이터
틱톡틱톡커
17LIVE17liver
니코니코 생방송생주, 생방송주



그 외에도, 컴퓨터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실황을 하는 방송인은 '''게임 실황자''', '''게임 방송자''', '''실황 플레이어'''라고 불린다.

3. 역사

인터넷 방송인의 역사는 인터넷 방송의 역사와 함께 한다. 인터넷 가입자 수가 크게 증가한 2000년에 사이버 자키가 등장했지만, 2005년 UCC 열풍과 함께 인기를 얻기 시작했고,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전문 직업으로 삼는 사람들이 늘어났다.[27]

1인 방송의 인기가 높아지고 가상화폐 후원금 시스템이 체계화되면서, 인터넷 방송인은 취미에서 직업이라는 인식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전문적인 인터넷 방송인들은 게임 플레이에 해설이나 유머를 더해 인기를 얻고, 각 플랫폼의 수익 구조를 활용해 수익을 창출한다.[28] 아프리카TV에서 유튜브로 넘어온 대도서관의 경우, 월수익 5000만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28] 2017년 5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조사에서 초등학생 장래 희망 직업 17위를 차지했다.[29] 이는 인터넷 방송인이 직업 영역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스트리밍 시장은 이미 레드오션이며, 특히 게임 분야는 단순한 게임 실력뿐 아니라 입담과 재미를 모두 갖춰야 성공할 수 있다는 인식도 있다.

2010년대 초,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공유 사이트를 시작으로, 사용자들이 브이로그 또는 실황 플레이 형식의 동영상을 인터넷업로드할 수 있게 되면서 스트리밍 문화가 탄생했다. 모든 콘텐츠가 생방송은 아니었지만, 사용자들은 많은 시청자를 확보하여 온라인 콘텐츠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트위치와 같은 다른 사이트들도 인기를 높였다.[18] 스트리머가 벌어들일 수 있는 수입은 수백만 달러에 달하기 때문에, 스트리밍은 개성과 기술이 있는 사람들에게 유력한 커리어 옵션이 되고 있다.[19]

대한민국에서 스트리머는 "방송 자키"라고 불린다. 방송 자키는 연예인보다 시청자들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가고, TV 프로그램에 출연할 정도로 유명해지면서 인기를 얻었다. 한국 아이돌과 연예인들이 경력을 보충하거나, 스트리밍으로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전업 방송 자키가 되는 사례도 늘고 있다.[9][10] 정치인들도 스트리밍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12] 한국 사이트로는 아프리카TV, 네이버 TV, 카카오TV가 있으며, 트위치, 유튜브, 비고 라이브와 같은 전 세계적인 스트리밍 사이트도 있다.

먹방은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었다.[13]

4. 유형

인터넷 방송은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시청자들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방송을 선택하여 즐길 수 있다. 주요 콘텐츠 유형은 다음과 같다.


  • '''비디오 게임''' : 게임 실황은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 유형 중 하나로, Let's Play, 실시간 스피드런, 비디오 게임 공략 등이 있다. 퓨디파이와 닌자와 같은 유명 스트리머들은 게임 방송으로 많은 수입을 올린다.[3][4]
  • '''IRL (일상) 스트림''' : 스트리머의 일상생활을 보여주는 방송으로, 컴퓨터 앞에서 질문에 답하기, 야외를 걸으며 스마트폰으로 스트리밍하기, 튜토리얼 제작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5][6]
  • '''버츄얼 유튜버''' : 스트리머의 얼굴 대신 가상 아바타를 사용하는 방송이다. 니지산지홀로라이브 프로덕션과 같은 회사가 버츄얼 유튜버를 지원한다.[7]
  • '''먹방''' :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었다.[13]
  • '''군튜버''' : 군대 관련 콘텐츠를 다루는 방송이다.
  • '''여캠, 남캠''' : 웹캠 모델은 외모를 중심으로 방송하는 콘텐츠이다. 음란물 스트리밍은 포르노 배우와 직접 소통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8]

4. 1. 비디오 게임

게임 실황은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 유형 중 하나이다. 스트리머들은 Let's Play, 실시간 스피드런, 비디오 게임 공략 등으로 수입을 올린다.[3][4] 퓨디파이와 닌자는 스트리밍만으로 매년 수백만 달러를 버는 대표적인 비디오 게임 스트리머이다.[3][4]

2010년대 초, 유튜브 등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서 사용자들이 브이로그(비디오블로그)나 실황 플레이 형식의 동영상을 인터넷업로드하면서 스트리밍 문화가 시작되었다. 트위치 등도 인기를 얻으면서,[18] 스트리밍은 유력한 커리어 옵션이 되고 있다.[19]

닌자


비디오 게임 플레이 영상은 영상 배포 및 스트리밍 문화에서 큰 인기를 얻는 장르이다. 2010년대 중반 미국 트위치에서 게임 라이브 스트리밍이 유행했으며, 이후 유튜브, 페이스북, 중국의 후야 라이브, DouYu, bilibili 등으로 확대되었다. 프로 게임 스트리머는 높은 수준의 플레이와 재미있는 해설을 제공하며, 스폰서, 구독료, 광고 수입, 도네이션 등으로 수입을 얻는다. 퓨디파이와 닌자는 영상 배포만으로 매년 수백만 달러를 벌어들이는 최대 게임 스트리머이다.[20][21]

4. 2. IRL (일상) 스트림

대부분의 프로 및 파트타임 스트리머는 비디오 게임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방송하는 '''IRL (실생활) 스트림'''을 진행하기도 한다. 초기에 많은 스트리밍 사이트는 비(非) 게임 라이브 스트림이 사이트의 콘텐츠 품질을 저하시킬 것이라고 생각하여 이를 금지했지만, 비(非) 게임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5] 주제는 컴퓨터 앞에서 질문에 답하기, 야외를 걸으며 스마트폰으로 스트리밍하기, 튜토리얼 제작 등 다양하다. IRL 스트림은 비디오 게임을 꼭 즐겨하지 않는 시청자들에게 대안이 된다.[6]

4. 3. 버츄얼 아바타

버츄얼 유튜버는 스트리머의 얼굴 대신 가상 아바타를 사용하며, 때로는 음성 변조 기능과 함께 사용되는 스트리밍의 한 분야이다. 니지산지홀로라이브 프로덕션을 포함하여 버츄얼 유튜버(VTuber) 인재의 홍보, 지원 및 상품 판매에 주력하는 여러 회사가 있다. 2020년에만 10,000명 이상의 활동적인 버츄얼 유튜버가 있었다.[7]

4. 4. 먹방

먹방은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었다.[13]

4. 5. 군대

군튜버는 군대 관련 콘텐츠를 다루는 방송이다.

4. 6. 여캠, 남캠

웹캠 모델은 외모를 중심으로 방송하는 콘텐츠이다. 음란물 스트리밍은 포르노 배우와 직접 소통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캠걸'''과 '''캠보이'''는 종종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 나체로 있거나 성행위를 하는 모습을 방송한다.[8] Plexstorm과 같은 사이트는 포르노 게임을 포함한 성적인 콘텐츠를 수행하거나 보여주는 비디오 게이머를 스트리밍하여 틈새시장을 만들었다.[8]

4. 7. 포르노

음란물 스트리밍은 포르노 배우와 직접 소통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캠걸'''과 '''캠보이'''는 종종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 누드나 성행위를 하는 모습을 방송한다. Plexstorm과 같은 사이트는 포르노 게임을 포함한 성적인 콘텐츠를 수행하거나 보여주는 비디오 게이머를 스트리밍하여 틈새시장을 만들었다.[8]

5. 비판

인터넷 방송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일부 인터넷 방송인은 과도한 경쟁과 수익 추구로 인해 건강 문제를 겪거나, 사행성 후원을 조장하고, 폭력적/선정적 콘텐츠를 제작하며, 심지어 사생활 침해 문제까지 일으키기도 한다.

5. 1. 건강 문제

인터넷 방송인은 많은 구독자와 팔로워를 확보하기 위해 밤늦게 오랜 시간 컴퓨터 앞에 앉아 있어야 한다.[30] 이러한 직업 특성상, 인터넷 방송인은 건강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트위치 인터넷 방송인 벤 보우맨(30)은 콜레스테롤, 심장 질환, ‘디스크’(탈출추간판) 질환으로 불구의 몸이 될 뻔했다고 자신의 기고문에서 고백했다.[30] 트위치 인터넷 방송인 가르시아는 하루 17시간씩 방송을 진행하다가 장시간 방송의 부작용으로 몸무게가 약 약 127.01kg에서 약 190.51kg까지 늘어났다.[30]

신체적 건강 외에도 정신적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트위치 인터넷 방송인 얍얍은 시청자들의 폭언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터넷 방송 은퇴를 선언했다.

5. 2. 사행성 후원 조장

전업 인터넷 방송인이 증가하면서, 이들의 수입이 적거나 없어 후원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인터넷 방송인과 플랫폼이 후원을 조장하여, 일부 시청자들이 돈을 빌려 후원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늘고 있다.

5. 2. 1. 폭력성/도박

1인 인터넷 방송이 인기를 얻으면서, 폭력, 선정성, 도박과 관련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최근 3년간 1인 방송 관련 신고 건수는 총 2322건이었다. 특히 2015년 306건이었던 신고 건수가 2016년 1136건으로 급격히 증가했다.[32] 아프리카TV에서 최근 유튜브로 전향한 철구형은 방송심의위원회에서 제재를 받아 사이트 이용이 정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없이 방송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33]

하지만 유해 콘텐츠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따로 있다. 인터넷 방송인의 방송 앱 수익 구조인 가상화폐를 지불하면 BJ에게 일정 비율의 현금이 환급되는데, 이를 위해 BJ는 더 자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화폐 지불을 유도한다.[34] 다량의 화폐를 낸 시청자는 '사장님'이라고 부르며 더욱 자극적이고 음란한 별도의 방송을 진행하기도 한다.[34]

5. 2. 2. 선정성

일부 인터넷 방송인은 가상화폐를 얻기 위해 선정적인 방송을 한다. 김성철 교수는 “인터넷 방송은 기존 기성매체가 다루지 못하는 재밌거나 파격적인 콘텐츠를 다룰 수 있다”라고 긍정적인 측면을 말하면서도, “하지만 BJ들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음란물 등 자극적인 콘텐츠를 선보인다”라면서 “반사회적인 콘텐츠를 볼 수 있어 청소년들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 위험성이 있다”라고 설명했다.[35]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선정적인 방송을 하는 BJ들이 '주의' 수준의 경고 조치만 받고, 계속해서 방송을 한다는 데에 있다.[35]

2017년 10월 13일에 열린 국정감사에서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BJ 입장에서도 (별풍선을) 많이 받아야 경제적이고 돈을 버는 것이다. 또 BJ들이 많이 받아야 아프리카TV 수익도 늘어나는 것 아니냐”라면서 “(때문에) BJ 들이 선정적, 폭력적인 모든 것을 다하는 것. 방심위로부터 제재 받아도 자율규제가 될 리가 없다”라고 지적했다.[35]

음란물 스트리밍은 포르노 배우와 직접 소통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캠걸'''과 '''캠보이'''는 종종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 누드나 성행위를 하는 모습을 방송한다. Plexstorm과 같은 사이트는 포르노 게임을 포함한 성적인 콘텐츠를 수행하거나 보여주는 비디오 게이머를 스트리밍하여 틈새 시장을 만들었다.[8]

5. 2. 3. 사생활 침해

2017년 8월 남성 인터넷 BJ(방송 진행자)가 '왁싱샵 체험' 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송출했다가 해당 왁싱샵 주인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6] 용의자인 30대 배모 씨는 범행 전 BJ의 왁싱 체험 방송을 시청하고 범행을 계획한 것으로 전해졌다.[36]

6. 영향

인터넷 방송은 2010년대 초,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공유 사이트를 중심으로 스트리밍 문화가 탄생하면서 새로운 소통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18] 개성과 기술이 있는 사람들은 인터넷 방송을 통해 수백만 달러의 수입을 올릴 수 있게 되면서, 인터넷 방송은 유력한 직업 선택지 중 하나가 되었다.[19]

인터넷 방송은 특히 게임 및 산업 분야에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며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각 분야별 문단 참조)

아프리카TV는 2015년부터 '투게더 프로젝트'를 통해 인디 뮤지션 등 비인기 콘텐츠 제작자를 지원하고 있다.[46] 이 프로젝트는 인기 BJ와 인디 뮤지션의 합동 방송을 통해 뮤지션들이 전문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 방식으로 진행된다.[46] 안승환 아프리카TV 엔터테인먼트사업팀장은 "투게더 프로젝트를 통해 신현희와김루트 같은 뮤지션이 아프리카TV의 지원을 받아 나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46]

6. 1. 마케팅

인터넷 방송은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2010년대 초,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공유 사이트를 시작으로 스트리밍 문화가 탄생했다.[18] 스트리머가 벌 수 있는 수입은 수백만 달러에 달해, 스트리밍은 개성과 기술이 있는 사람들에게 유력한 직업 선택지가 되고 있다.[19]

게임 분야와 산업 분야에서 인터넷 방송인의 영향력은 특히 두드러진다. (각 분야별 문단 참조)

6. 1. 1. 게임 분야

인터넷 방송인은 게임 마케팅의 중요한 한 축으로 떠올랐다. 크래프톤(구 블루홀)의 배틀그라운드는 대규모 광고, e스포츠 리그, PC방 마케팅 없이 인터넷 방송인들의 입소문을 통해 성공했다.[37] 인터넷 방송인들은 직접 게임을 하면서 시청자들과 소통하므로, 게임과 관련 없는 연예인이 나오는 광고보다 친근하게 느껴진다.[38] 또한, 솔직하고 전문적인 게임 리뷰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게임 구매 전에 게임의 품질을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39]

트위치TV는 '트위치 크레이츠' 기능을 제공하여 시청 중 게임을 바로 구입할 수 있게 한다.[40] 인기 인터넷 방송인들은 2017 지스타[41], 2019 지스타[42][43], 2019 SeN 페스티벌(SeN Festival)[44] 등 대규모 게임 축제에 참여하고, 라이엇 게임즈의 ‘발로란트’와 같은 신작 게임 홍보 캠페인에도 섭외된다.[45]

비디오 게임 플레이 영상은 영상 배포 및 스트리밍 문화 초기부터 큰 인기를 끌었다. 2010년대 중반 미국트위치에서 게임 라이브 스트리밍이 유행했고, 이후 유튜브, 페이스북, 중국의 후야 라이브, DouYu, bilibili 등으로 확대되었다. 오늘날 대다수 스트리머는 실황 플레이, 스피드런 라이브 방송, 비디오 게임 해설·설명 영상으로 생계를 유지한다. 프로 게임 스트리머는 높은 수준의 플레이와 재미있는 해설을 제공하며, 스폰서, 구독료, 광고 수입, 도네이션 등으로 수입을 얻는다. 대표적인 게임 스트리머로는 퓨디파이와 닌자가 있으며, 이들은 영상 배포만으로 매년 수백만 달러를 벌어들인다.[20][21]

6. 1. 2. 산업 분야

SK텔레콤이 운영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 채널 ‘T프로듀서’에서는 IT와 관련된 콘텐츠를 볼 수 있다. 해당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인터넷 방송인 ‘욱스터’는 LG전자 ‘G6’와 삼성전자갤럭시S7 엣지’를 냉동실에 넣고 얼려 스마트폰의 사양을 테스트하는 영상을 올려 조회수 15만 회를 기록했다. 항공업계도 인터넷 방송인을 활용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에미레이트항공유튜브 스타인 케이시 네이스탯에게 퍼스트클래스 항공권을 무료로 제공했다. 유튜브 채널 구독자수가 60만 명이 넘는 크리에이터 ‘연두콩’은 LG생활건강 편집숍 브랜드 네이처 컬렉션과 손잡고 공식 페이스북에서 라이브 방송을 시작하기도 했으며, 인스타그램 ‘희주’는 네이처리퍼블릭의 가을·겨울 시즌 메이크업 화보 모델로 등장하기도 했다.[18]

6. 2. 비인기 콘텐츠 지원

아프리카TV는 2015년부터 인디 뮤지션, BJ, 시청자가 함께 소통하는 '투게더 프로젝트'를 통해 인디 뮤지션 등 비인기 콘텐츠 제작자를 지원하고 있다.[46] 이 프로젝트는 인기 BJ와 인디 뮤지션의 합동 방송을 통해 뮤지션들이 전문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46] 안승환 아프리카TV 엔터테인먼트사업팀장은 "투게더 프로젝트를 통해 신현희와김루트 같은 뮤지션이 아프리카TV의 지원을 받아 나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46]

참조

[1] 웹사이트 The Business Of Video Games: Streamers And Refereum [Infographic] https://www.forbes.c[...]
[2] 웹사이트 Average streamer number on YouTube Gaming Live and Twitch 2018 - Statistic https://www.statista[...]
[3] 웹사이트 The YouTuber who has made more money than Cameron Diaz this year https://www.independ[...] 2015-10-15
[4] 웹사이트 'Fortnite' Legend Ninja Talks Twitch Fame And Fortune, And The Game That Got Him There https://www.forbes.c[...]
[5] 웹사이트 Twitch now permits streamers to broadcast non-gaming vlog-style content https://venturebeat.[...] 2016-12-15
[6] 웹사이트 IRL Streaming: Spontaneous Entertainment For An Audience That's Always Live https://uk.news.yaho[...]
[7] 웹사이트 ユーザーローカル、バーチャルYouTuberの1万人突破を発表 9000人から4ヵ月で1000人増 {{!}} PANORA https://panora.tokyo[...] 2020-01-15
[8] 웹사이트 Plexstorm's Streaming Site Connects Porn Gamer Girls with Fans https://avn.com/busi[...]
[9] 웹사이트 Former Idols Are Becoming Broadcast Jockeys, And It's No Wonder Why https://www.koreaboo[...] 2018-05-10
[10] 웹사이트 Actress Shin Se-kyung thrives as YouTuber https://www.koreatim[...] 2018-12-12
[11] 웹사이트 Celebrities Who Have Become Broadcast Jockeys aka BJ's http://kpoplove.kore[...] 2018-03-06
[12] 웹사이트 More politicians become YouTubers to promote themselves https://www.koreatim[...] 2018-12-09
[13] 웹사이트 South Korean dinner porn: No nudity, and a lot of food https://www.latimes.[...] 2013-12-18
[14] 뉴스 How to make $100,000 a month in China, live-streaming your life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15] 웹사이트 Report: China's live streaming market grew 180% in 2016 · TechNode https://technode.com[...] 2017-03-31
[16] 웹사이트 China's live-streaming explosion: a game changer for all? https://www.cnbc.com[...] 2016-12-01
[17] Kotobank liver 2024-09-09
[18] 웹사이트 The Business Of Video Games: Streamers And Refereum [Infographic] https://www.forbes.c[...] 2022-03-15
[19] 웹사이트 Average streamer number on YouTube Gaming Live and Twitch 2018 - Statistic https://www.statista[...] 2022-03-15
[20] 웹사이트 The YouTuber who has made more money than Cameron Diaz this year https://www.independ[...] 2022-03-15
[21] 웹사이트 'Fortnite' Legend Ninja Talks Twitch Fame And Fortune, And The Game That Got Him There https://www.forbes.c[...] 2022-03-15
[22] 웹사이트 Twitch now permits streamers to broadcast non-gaming vlog-style content https://venturebeat.[...] 2022-03-15
[23] 웹사이트 IRL Streaming: Spontaneous Entertainment For An Audience That's Always Live https://uk.news.yaho[...] 2022-03-15
[24] 웹사이트 Plexstorm's Streaming Site Connects Porn Gamer Girls with Fans https://avn.com/busi[...] 2022-03-15
[25] 문서 https://www.slideshare.net/nasmedia/2017-npr-73205148 https://www.slidesha[...]
[26] 뉴스 1인 미디어의 진화 - 블로그, 팟캐스트, 유튜브 http://news.khan.co.[...] 2017-11-18
[27] 뉴스 인터넷 방송의 역사 http://news.sbs.co.k[...] 2017-12-18
[28] 뉴스 한달 수익 5000만원…사장님 안부러운 개인방송 https://news.naver.c[...] 2017-11-05
[29] 뉴스 달라진 장래희망…요리사·1인 방송인 ‘BJ’까지 https://news.naver.c[...] 2017-11-05
[30] 웹인용 인터넷 인기 위해 죽음과 맞바꾼 인터넷 게이머 - 미주 한국일보 http://www.koreatime[...] 2017-11-05
[31] 뉴스 이래서 재밌는거야, 배틀그라운드를 헤드샷! '우왁굳' 인터뷰 http://www.inven.co.[...] 2017-11-05
[32] 뉴스 ‘폭력’ ‘음란’ ‘패드립’까지 아프리카TV 등 인터넷 방송 규제 목소리↑ http://www.asiatoday[...] 2017-11-05
[33] 뉴스 '[브레이크뉴스] 방통심의위 제재 받은 BJ, 유투브서 계속 방송..“실효성 의문”' http://www.breaknews[...] 2017-11-05
[34] 뉴스 인터넷 개인방송, 신고제→등록제 전환 법안 발의 - EP&C News http://www.epnc.co.k[...] 2017-11-06
[35] 뉴스 아프리카TV의 '음란물' 기준 뭐길래...선정적 방송에도 제재는 '찔끔' - 키뉴스 http://www.kinews.ne[...] 2017-11-06
[36] 뉴스 길거리에서 다짜고짜 ‘생방송’ 카메라 들이대는 BJ 만나면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7-11-25
[37] 뉴스 "[순위분석] 스트리밍 타고 TOP5 오른 '배틀그라운드'"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7-11-18
[38] 뉴스 연예인보다 낫네. 인기 인터넷 방송인, 게임 마케팅의 주역으로 떠오르다 http://news.donga.co[...] 동아닷컴 2017-11-25
[39] 뉴스 "[기고] 화려한 광고보다는 `퀄리티` … `진짜`에 움직이는 소비자들" http://www.dt.co.kr/[...] 2017-11-06
[40] 뉴스 방송 보며 게임을 구입하는 '트위치 크레이츠', 어떻게 쓰는 걸까? http://www.thisisgam[...] 디스이즈게임 2017-11-06
[41] 뉴스 '인터넷 방송인, 게임사와 함께’ 트위치, 지스타 2017 행사 개요 발표 http://sports.khan.c[...] 2017-11-18
[42] Youtube G-STAR 부산 게임 인터뷰 https://www.youtube.[...]
[43] 뉴스 게임소식 [지스타 특집-엔젤게임즈] ‘히어로칸타레’ 흥행 이을 신작 대공개 https://news.heraldc[...] 헤럴드경제 2022-10-30
[44] 웹인용 "'성남 e스포츠 페스티벌' 개막..."우리는 모두 게이머"" http://snfocus.net/1[...] 성남포커스 2022-10-30
[45] 뉴스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입문자위한 코치 캠페인 시작 https://daily.hankoo[...] 데일리한국 2022-10-30
[46] 뉴스 아프리카TV, 인디 뮤지션 발굴 육성 '투게더프로젝트' 시작 http://www.etnews.co[...] 대한민국 IT포털의 중심! 이티뉴스 2017-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