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민중 (교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민중은 텍사스 공과대학교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고, 컬럼비아 대학교 의과대학과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한 화학자이다. 1988년부터 현재까지 충남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나노 및 분자 규모의 광화학 및 광자학을 연구한다. 대한화학회 회장, 한국 화학 관련 학회 연합회 회장, 아시아-오세아니아 광화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다양한 학술지에서 편집 위원 및 부편집장으로 활동했다.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한국공학한림원 젊은 공학인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텍사스 공과대학교 동문 - 셰릴 스우프스
셰릴 스우프스는 WNBA 휴스턴 코메츠에서 4번의 챔피언십 우승을 이끌고 3번의 MVP를 수상한 미국의 은퇴한 프로 농구 선수이자 코치로, 올림픽 금메달 3회 수상, 나이키 여성 농구화 출시, 로욜라 대학교 시카고 여자 농구팀 감독 역임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커밍아웃을 하기도 했다. - 충남대학교 교수 - 방효충
방효충은 위성 자세제어 분야 전문가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남대학교, KAIST 등에서 인공위성 개발 및 연구에 기여했으며 젊은과학자상과 과학기술훈장을 수상하고 국가우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항공우주공학자이다. - 충남대학교 교수 - 홍선기
홍선기는 중앙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두 차례 취득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대 대전직할시장, 제27대 충청남도지사, 민선 1·2기 대전광역시장을 역임했으며 자유민주연합 부총재를 지냈고 현재 대한민국육군협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화학자 - 김승희 (1954년)
김승희는 약학 및 화학 전문가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 주요 보직과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에 지명되었으나 임명되지는 못했고 현재는 법무법인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의 화학자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윤민중 (교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윤민중 |
출생일 | 1948년 10월 10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화학 |
소속 기관 | 재료화학연구소 분자-나노 광화학 및 광자학 연구실 충남대학교 |
학력 | 서울대학교 (학사) 서강대학교 (석사) 텍사스 공과대학교 (박사)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Photosensory transduction in Stentor coeruleus: Liposome model systems |
박사 학위 논문 연도 | 1981년 |
박사 학위 논문 URL | Photosensory transduction in Stentor coeruleus: Liposome model systems |
지도 교수 | 송필순 |
2. 생애 및 교육
윤민중은 텍사스 공과대학교에서 송필순 박사의 지도 아래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그리고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88년부터 현재까지 충남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 1. 학창 시절
윤민중은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에서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고등학교 교사가 되는 대신, 그는 화학 연구에 대한 열정을 품고 대학원 과정에 진학했다. 이후 서강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2. 2. 대학원 및 박사후 연구원
송필순 박사 지도 아래 텍사스 공과대학교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그리고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했다.2. 3. 충남대학교 교수
귀국 후, 윤민중은 1988년부터 현재까지 충남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3. 화학 분야 업적
윤민중 교수는 화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업적을 이루었다. 그는 대한화학회 제43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한국 화학 관련 학회 연합회 회장과 아시아-오세아니아 광화학회 회장을 지냈다. 또한,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C-Photochemistry Review 편집 자문 위원을 역임했으며,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A-Chemistry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했다. 더불어 광화학 및 광생물 과학 저널의 부편집장을 맡았다.
3. 1. 연구 분야
윤민중 교수는 나노 및 분자 규모의 광화학 및 광자학을 전문 분야로 연구하며, 특히 시공간 분해 형광/라만 분광학 연구를 수행했다.3. 2. 학회 활동
윤민중은 대한화학회 제43대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한국 화학 관련 학회 연합회 회장과 아시아-오세아니아 광화학회 회장을 지냈다.3. 3. 학술지 활동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C-Photochemistry Review 편집 자문 위원을 역임했으며,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A-Chemistry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광화학 및 광생물 과학 저널의 부편집장을 맡았다.4. 수상 및 영예
윤민중 교수는 다음과 같은 상을 수상했다.
- 2018년: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 2020년: 한국공학한림원 젊은 공학인상을 수상했다.
- 2022년: 아시아태평양이동통신학회(APMC)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 2023년: 한국통신학회 학술대상을 수상했다.
4. 1. 주요 수상 내역
윤민중 교수는 다음과 같은 주요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우수 모범 학생상: 대한민국 교육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 국제 과학자 교류상: 캐나다 국립 과학 공학 연구 위원회에서 수여하는 상을 수상했다.
- 우수 연구 교수상: 충남대학교에서 우수 연구 교수로 선정되어 상을 받았다.
- IPJAE 물리화학상: 대한화학회에서 IPJAE 물리화학상을 수상했다.
- 학술 연구상: 한국광과학회로부터 학술 연구상을 받았다.
- APA 공로상: 아시아-오세아니아 광화학회 (APA)에서 공로상을 수상했다.
- 강연상: 화학 연구 진흥 센터와 대만 국가과학위원회에서 강연상을 수상했다.
- 근정훈장(청색):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청색 근정훈장을 수여받았다.
- 장영실 국제 과학 문화상: 장영실의 업적을 기리는 장영실 국제 과학 문화상을 수상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