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소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소종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이다. 목은 이색의 문인으로 1360년 성균시에 합격하고, 1365년 예부시에 을과 1등으로 합격하여 춘추수찬 직을 제수받았다. 고려 우왕 때 전교시승 등을 지냈으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당시 그를 영접하고 곽광전을 바쳐 우왕 폐위를 암시했다. 이후 이인임의 죄를 논하고, 사전 혁파에 힘썼으며, 공양왕에게 변안렬 주살을 청하고 승려 찬영의 왕사 책봉을 반대했다. 공양왕의 미움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정몽주 암살 후 풀려났고, 조선 개창 후 병조전서 등을 지내다 1393년 49세로 사망했다. 저서로 동정집이 있으며, 아들 윤회는 조선 초 문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송 윤씨 - 윤회 (조선)
윤회는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태종과 세종의 신임을 받으며 이조정랑, 예문관제학, 집현전제학 등을 역임했고 훈민정음 창제와 《자치통감훈의》 편찬에 기여했으며 청백리이자 문장가로 이름을 떨쳐 사후 문도라는 시호를 받았다. - 무송 윤씨 - 윤자운
윤자운은 조선 초 문신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은 윤회의 손자이자 신숙주의 처남이며, 여러 관직을 거쳐 수양대군 즉위 후 좌익공신에 책록,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성격이 편협하고 뚜렷한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1345년 출생 - 이첨
이첨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학자로, 고려의 중흥에 기여하고 조선 건국 후 역사 편찬에 참여했으며, 학문에도 능통하여 《정관정요》 강독, 《제범》 편찬, 《삼국사략》 편찬 참여 등 조선 초기의 역사 인식 정립에 기여했다. - 1345년 출생 - 공양왕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은 이성계 세력에 의해 옹립되어 허수아비 왕으로 이용되다 폐위되었고, 이후 살해되었으나 조선 태종 때 추봉되었다. - 1393년 사망 - 고엔유 천황
고엔유 천황은 북조의 천황으로서 즉위 후 신하들과 갈등을 겪었고, 아들 고코마쓰 천황에게 양위한 후 사망했다. - 1393년 사망 - 프란체스코 1세 다 카라라
프란체스코 1세 다 카라라는 14세기 파도바의 영주로, 민중의 지지로 영주가 된 후 주변국과의 전쟁과 동맹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려 했으나 밀라노에게 배신당해 망명 후 사망했으며 예술가들의 후원자였다.
윤소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윤소종 |
한자 표기 | 尹紹宗 |
자(字) | 헌숙(憲叔) |
호(號) | 동정(桐亭) |
본관 | 무송 윤씨 |
생애 | |
출생일 | 1345년 |
출생지 | 고려 |
사망일 | 1393년 (49세) |
사망지 | 조선 |
사망 원인 | 병사 |
국적 | 고려 → 조선 |
학력 | |
1360년 | 성균시 합격 |
1365년 | 예부시 을과 제1급제 |
가족 관계 | |
부 | 윤구생 |
조부 | 윤택 |
증조부 | 윤수평 |
장인 | 박경 |
배우자 | 박씨 부인 |
자녀 | 윤회(아들) |
손자 | 윤경연 |
증손녀사위 | 신숙주 |
경력 | |
직업 | 문신, 시인, 무신, 정치인 |
종교 | 유교(성리학) |
2. 생애
윤소종은 목은 이색의 제자로, 고려 말과 조선 초에 걸쳐 활동한 문신이자 학자이다. 경사(經史)를 두루 섭렵했고 성리학에 정통했다. 조선 건국에 참여하여 원종공신이 되었으며, 시문집으로 동정집 8권이 전해진다.
2. 1. 고려 말 활동
목은 이색(牧隱 李穡)의 문인으로 1360년(고려 공민왕 9) 성균시에 합격했고 1365년 예부시에 을과 제1인으로 합격하여 춘추수찬(春秋修撰) 직위를 제수받았다. 좌정언으로 재직할 당시에는 행신(幸臣) 김흥경(金興慶)과 내시 김사행(金師幸)이 병국해민(病國害民)한다고 극언하는 소를 올렸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379년(고려 우왕 5) 전교시승(典校寺丞), 전의부령(典儀副令), 예문응교 등을 지냈으며, 1381년 모친상으로 금주(錦州, 錦山)에서 복상을 마치는 동안 남방의 학자들이 많이 와서 수학하였다. 1386년 성균사예로 기용되었고, 1388년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할 때 동문 밖에 나가 영접하고 곽광전(霍光傳)을 바쳤는데, 이는 고려 우왕을 폐하고 다른 왕씨를 왕으로 추대할 것을 암시하기 위해서였다. 그 뒤 전리총랑(典理摠郎)이 되었고, 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로 승진하였다. 1389년(고려 창왕 1) 이인임(李仁任)의 죄를 논해 참관저택(斬棺瀦宅)을 청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이 되었다. 이성계가 조준(趙浚) 등과 함께 사전(私田)을 혁파하고자 했을 때 삼봉 정도전(三峯 鄭道傳)과 함께 힘써 협력하였다. 고려 공양왕 때 대사헌 조준의 천거로 좌상시경연강독관(左常侍經筵講讀官)이 되어 변안렬(邊安烈)을 고려 우왕 영립(迎立, 보위 추대 대상자를 맞아들여 임금으로 세움)의 죄로 극론해 주살할 것을 공양왕에게 주청하고, 승려 찬영(粲英)을 왕사로 맞이하려는 공양왕의 계획을 반대해 중지시켰다. 그 뒤 남을 비방하는 것으로 공양왕의 미움을 받아 금주로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으며, 다시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일파의 간관에게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가 1392년(고려 공양왕 4) 정몽주(鄭夢周)가 암살되자 비로소 유배형에서 풀려났다.2. 2. 조선 건국과 이후
그는 목은 이색의 문인으로 1388년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할 때 동문 밖에 나가 영접하고 곽광전을 바쳤다. 이는 고려 우왕을 폐하고 다른 왕씨를 왕으로 추대할 것을 암시한 것이었다. 그 뒤 전리총랑, 우사의대부를 거쳐 1389년(고려 창왕 1) 이인임의 죄를 논해 참관저택(斬棺瀦宅)을 청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이 되었다. 이성계가 조준 등과 함께 사전(私田)을 혁파하고자 했을 때 삼봉 정도전과 함께 힘써 협력하였다.고려 공양왕 때 대사헌 조준의 천거로 좌상시경연강독관이 되어 변안렬을 고려 우왕 영립(보위 추대 대상자를 맞아들여 임금으로 세움)의 죄로 극론해 주살할 것을 공양왕에게 주청하고, 승려 찬영을 왕사로 맞이하려는 공양왕의 계획을 반대해 중지시켰다. 이후 남을 비방하는 것으로 공양왕의 미움을 받아 금주로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으며, 다시 포은 정몽주 일파의 간관에게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가 1392년(고려 공양왕 4) 정몽주가 암살되자 유배형에서 풀려났다.
조선 개국 후 병조전서로 부름을 받고 원종공신이 되었으며, 수문관 대제학을 지냈으나 1393년 49세로 병사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윤구생(尹龜生) |
부인 | 박씨 부인 (박경(朴瓊)의 딸) |
아들 | 윤회 |
손자 | 윤경연(尹景淵) |
손자 | 윤경원(尹景源) |
4. 윤소종이 등장하는 작품
- 1983년 : 《개국》 (KBS, 배우: 이신재)
- 1996년 ~ 1998년 : 《용의 눈물》 (KBS1, 배우: 박웅)
- 2014년 : 《정도전》 (KBS1, 배우: 이병욱)
- 2021년~ : 《태종 이방원》 (KBS1, 배우: 박유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