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순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순지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윤훤의 아들이며 윤근수에게 학문을 배웠다. 1614년 위성원종공신에 책록되었고, 1620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다. 정묘호란으로 인해 잠시 은둔했으나, 이후 다시 관직에 복귀하여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고, 1643년에는 조선 통신사로 일본을 다녀왔다. 1654년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후, 선조 수정 실록 편찬에 참여했으며, 1663년 공조 판서가 되었다. 저서로 《행명재시집》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91년 출생 - 무스타파 1세
    무스타파 1세는 정신 질환으로 두 차례 퇴위당하며 오스만 제국 역사상 영향력이 미미했던 술탄으로, 연장자 계승 원칙 확립에 기여했으나 짧은 재위 기간과 정치적 혼란이 컸다.
  • 1591년 출생 - 호세 데 리베라
    호세 데 리베라는 스페인 바로크 화가로 카라바조의 테네브리즘을 계승,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나폴리파의 중심 화가로 활동하며 스페인 왕실의 후원을 받았고, 종교화, 풍속화, 초상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강렬한 명암 대비와 사실적인 묘사로 유명하다.
  • 1666년 사망 - 프란스 할스
    프란스 할스는 네덜란드 황금시대의 초상화가로서, 생동감 넘치는 인물 표현과 자유로운 붓놀림, 그리고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개성적으로 묘사한 집단 초상화로 유명하며, 후대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1666년 사망 - 안 도트리슈
    안 도트리슈는 스페인 펠리페 3세의 딸로, 프랑스 왕 루이 13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궁정 생활을 시작했으며, 루이 14세를 낳고 남편 사망 후 섭정으로 프랑스를 통치하다가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 조선통신사 관련자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조선통신사 관련자 - 윤지완
    윤지완은 조선시대 외교관으로 1682년 숙종의 명령을 받아 일본에 파견되어 조선과 일본 간 무역을 위한 정치적 기반을 구축하고 양국 관계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이조판서 윤강의 아들이다.
윤순지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Yun Sun-ji
자강(子剛)
묵재(默齋)
생애
출생1591년
사망1666년
주요 활동조선의 문신, 성리학자
가족
아버지윤황(尹煌)
어머니파평 윤씨
배우자정부인 남양 홍씨
자녀5남
관력
과거생원시 합격
관직지평, 장령, 대사성, 이조판서, 우참찬, 좌참찬
봉호보성군
시호문경(文敬)
학문
스승정경세
문인송시열, 송준길, 윤문거, 윤선거
저서 및 작품
저서《묵재집(默齋集)》
작품《주례설(周禮說)》, 《대학설(大學說)》

2. 생애

윤순지는 감사 윤훤(尹暄)의 아들이며, 작은할아버지 윤근수에게서 학문을 배웠다.[7]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 1620년 문과에 급제한 후 조정의 관직을 두루 지냈으나, 1627년 정묘호란 때 아버지 윤훤이 군무를 다하지 못한 죄로 사사(賜死)되자 은둔하였다. 1629년 다시 관직에 복귀, 1636년 병자호란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였다. 1643년 조선 통신사일본에 다녀왔다.[8] 1654년 지방 업무 처리에 문제가 발생하여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 1657년 선조수정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663년 공조 판서가 되었다.[9] 저서로는 행명재시집(涬溟齋詩集)이 있다.

2. 1. 가문 배경 및 초기 생애

윤순지는 감사 윤훤(尹暄)의 아들이며, 작은할아버지 윤근수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7]

2. 2. 관직 생활과 은둔

감사 윤훤의 아들로, 작은할아버지 윤근수에게서 학문을 배웠다.[7] 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 1620년 문과에 급제한 이후 조정의 관직을 두루 지냈으나, 1627년 정묘호란 때 아버지가 군무(軍務)를 다하지 못한 죄로 사사(賜死)되자 은둔하였다. 1629년 다시 관직에 나아갔으며, 1636년 병자호란남한산성인조를 호종하였다. 1643년 조선 통신사일본에 다녀왔다.[8] 1654년 지방 업무 처리에 문제가 발생하여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와 1657년 선조수정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663년 공조 판서가 되었다.[9]

2. 3. 복귀와 병자호란

윤근수에게서 학문을 배웠으며,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7] 1620년 문과에 급제한 이후 조정의 관직을 두루 지냈으나, 1627년 정묘호란 때 아버지가 군무(軍務)를 다하지 못한 죄로 사사(賜死)되어 은둔하였다. 1629년 다시 관직에 나아갔으며, 1636년 병자호란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였다.[8]

2. 4. 조선 통신사 파견

1643년 조선 통신사일본에 파견되었다.[8] 인조가 파견한 이 외교 사절단은 무역의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는 통로로서 일본과 조선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했다.[3]

이 사절단은 조선 조정에 의해 명확히 "통신사"로 규정되었으며, 이는 관계가 "정상화"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4]

조선 사절단은 당시 일본 달력에 따라 간에이 20년에 에도에 있는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쇼군 조정에 도착했다.[2] 조선 국왕의 사절단은 윤순지가 이끌었다.[1]

이 사절단은 에도에서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조정에서 접견을 받았으며, 또한 닛코에 있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묘소를 방문했다.[5] 윤순지의 역사적 중요성은 1834년 동양 번역 기금에서 발행한 널리 배포된 역사서에 그의 사명이 특별히 언급되면서 확인되었다.[2]

서구에서는 조선 왕국에 대한 초기 출판물은 광범위하지 않지만, 상국통람도설(1832년 파리 출판)[6], 그리고 일본왕대일람(1834년 파리 출판)에서 발견된다. 1834년 저술에서는 조선의 외교 관계와 외교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2. 5. 말년

윤훤(尹暄)의 아들로, 작은할아버지 윤근수에게서 학문을 배웠다.[7]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 1620년 문과에 급제한 이후 조정의 관직을 두루 지냈으나, 1627년 정묘호란 때 아버지가 군무(軍務)를 다하지 못한 죄로 사사(賜死)되어 은둔하였다. 1629년 다시 관직에 나아갔으며, 1636년 병자호란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였다. 1643년 조선 통신사일본에 다녀왔다.[8] 1654년 지방 업무 처리에 문제가 발생하여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 1657년 선조 수정 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663년 공조 판서가 되었다.[9] 저서로 행명재시집(涬溟齋詩集)이 있다.

3. 1643년 일본 파견 상세 (조선 통신사)

1643년 인조가 일본에 파견한 사절단은 통신사로 명확히 규정되어 양국 관계가 "정상화"되었음을 의미했다.[4] 간에이 20년(당시 일본 달력 기준), 윤순지가 이끈 조선 사절단은 에도에 있는 도쿠가와 이에미쓰 쇼군 조정에 도착했다.[1][2] 이들은 에도에서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접견하고, 닛코에 있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묘소를 방문했다.[5]

윤순지의 사명은 1834년 동양 번역 기금에서 발행한 역사서에 특별히 언급되어 그 역사적 중요성이 확인되었다.[2] 서구에서는 상국통람도설(1832년 파리 출판)[6], 일본왕대일람(1834년 파리 출판) 등에서 조선에 대한 초기 기록을 찾을 수 있으며, 특히 1834년 저술에는 조선의 외교 관계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3. 1. 배경

1643년, 인조는 일본에 사절단을 파견했다.[2] 이 외교 사절단은 일본과 조선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무역의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통로였다.[3]

이 사절단은 조선 조정에 의해 "통신사"로 명확히 규정되었으며, 이는 양국 관계가 "정상화"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4]

간에이 20년(당시 일본 달력 기준), 조선 사절단은 에도에 있는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쇼군 조정에 도착했다.[2] 이 사절단은 윤순지가 이끌었다.[1]

사절단은 에도에서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조정에서 접견을 받았으며, 닛코에 있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묘소도 방문했다.[5]

3. 2. 임무와 활동

1643년, 인조는 일본에 사절단을 파견했다.[2] 이 외교 사절단은 일본과 조선 모두에게 무역의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는 통로로서 이점을 제공했다.[3]

이 사절단은 조선 조정에 의해 "통신사"로 명확히 규정되었으며, 관계가 "정상화"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4]

간에이 20년, 조선 사절단은 에도에 있는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쇼군 조정에 도착했다.[2] 윤순지는 조선 국왕의 사절단을 이끌었다.[1] 이 사절단은 에도에서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조정에서 접견을 받았으며, 닛코에 있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묘소도 방문했다.[5]

3. 3. 성과와 의의

1643년, 인조는 일본에 사절단을 파견했다.[2] 이 외교 사절단은 무역의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는 통로로서 일본과 조선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했다.[3] 이 사절단은 조선 조정에 의해 명확히 "통신사"로 규정되었으며, 관계가 "정상화"되었음을 의미했다.[4]

조선 사절단은 당시 일본 달력으로 간에이 20년에 에도에 있는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쇼군 조정에 도착했다.[2] 조선 국왕의 사절단은 윤순지가 이끌었다.[1] 이 사절단은 에도에서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조정에서 접견을 받았으며, 닛코에 있는 쇼군 이에야스의 묘소를 방문했다.[5]

윤순지의 역사적 중요성은 1834년 동양 번역 기금에서 발행한 널리 배포된 역사서에 그의 사명이 특별히 언급되면서 확인되었다.[2] 서구에서는 조선 왕국에 대한 초기 출판물이 광범위하지 않지만, 상국통람도설(1832년 파리 출판)[6], 그리고 일본왕대일람(1834년 파리 출판)에서 발견된다. 1834년 저술에서는 조선의 외교 관계와 외교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윤두수(1533~1601)
조모창원 황씨황대용의 딸
아버지윤훤(1573~1627)
외조부심의겸(1535~1587)명종인순왕후의 남동생
외조모청주 한씨한흥서의 딸
어머니심숙신(1574~1648)
동생윤원지(1596~1641)
동생윤징지(1601~1663)
동생윤의지(1605~1666)
여동생해평 윤씨신면[10]에게 출가
부인반남 박씨(1589~1658)박동열의 딸
양자윤전동생 윤징지의 아들
첩실
서녀해평 윤씨남영하에게 출가


참조

[1] 서적 State and Diplomacy in Early Modern Japan: Asia in the Development of the Tokugawa Bakufu 1991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1834
[3] 간행물 Foreign Affairs and Frontiers in Early Modern Japan: A Historiographical Essay 2002
[4] 서적 Frontier contact between Chosŏn Korea and Tokugawa Japan https://books.google[...] 2003
[5] 서적 State and Diplomacy in Early Modern Japan: Asia in the Development of the Tokugawa Bakufu
[6] 웹사이트 Accidental acquisitions: The nineteenth-century Korean collections in the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Part 1 http://www.rmv.nl/pu[...]
[7]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현개 16권, 7년(1666 병오 / 청 강희(康熙) 5년) 9월 29일(병오) 2번째기사 1666-09-29
[8]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44권, 21년(1643 계미 / 명 숭정(崇禎) 16년) 10월 29일(기축) 1번째기사 1643-10-29
[9]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현개 10권, 4년(1663 계묘 / 청 강희(康熙) 2년) 12월 22일(을묘) 3번째기사 1663-12-22
[10] 문서 동양위 신익성과 선조의 딸 정숙옹주의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