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율촌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율촌면은 전라남도 여수시에 속한 면으로, 선사 시대부터 백제,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이다. 현재 10개의 법정리와 36개의 행정리를 관할하며, 여수공항, 율촌역, 엑스포대로 등의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수시의 행정 구역 - 시전동
    시전동은 여수시에 위치하며 과거 여천시에 속했던 지역으로, 여천역과 여수공항과 가깝고 교육, 공공, 문화, 상업 시설 및 주거 단지와 선소유적지, 오충사, 신기공원, 장도 등의 문화재와 휴식 공간을 갖추고 있다.
  • 여수시의 행정 구역 - 쌍봉동
    전라남도 여수시 중앙부에 위치한 쌍봉동은 여수시청, 주요 기관, 교통 시설이 위치한 여수시의 중심지이며, 과거 쌍봉면에서 유래하여 여천시로 승격되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율촌면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율촌면
현지 이름율촌면
현지 이름 (언어 코드)ko
구분면(myeon)
별칭해당 없음
좌석 종류해당 없음
좌석해당 없음
구성 종류행정 구역
관할 구역 수10개 법정리
하위 행정 구역24개 행정리
118개 반
면사무소여수시 율촌면 동산개길 8
웹사이트율촌면사무소
언어 (음차)한국어
언어 (유형 1)한글
언어 (정보 1)율촌면
언어 (유형 2)한자
언어 (정보 2)}}
언어 (유형 3)Revised Romanization
언어 (정보 3)Yulchon-myeon
언어 (유형 4)McCune-Reischauer
언어 (정보 4)Yulch'on-myŏn
지리
면적46.5 km²
인구
인구 (2010년 12월 31일 기준)7404명
행정
국가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
기타 정보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 오프셋+9
우편 번호해당 없음
지역 번호해당 없음
ISO 코드해당 없음

2. 연혁


  • 백제 근초고왕(326 ~ 375년) 때 백제에 병합되었다.[1]
  • 538년 (백제 성왕 16년) 구지하성 관하 삽평군(지금의 순천)의 원촌현(현 여수, 여천)과 돌산현(현 돌산읍)에 속했다.[1]
  • 1896년 (조선 고종 33년) 13도제 개편으로 전라남도 돌산군(흥양, 낙안, 순천, 광양 등 4개 군으로 관내에 있는 52개 섬을 관할구역)이 신설되었다.[1]
  • 1897년 (광무 원년) 여수군이 신설될 때 여수면, 덕안면, 삼일면, 율촌면이었으나 곧이어 7개 면 (율촌면, 구산면, 덕안면, 화양면, 쌍봉면, 삼동면, 삼북면)으로 개편되었다. 이 때 율촌면사무소는 조선조 말 면치소로 산수 신대마을 박태하씨 집터에 있다가 여흥리 동교부락 이은석씨 집터, 여흥리 신정부락의 주조장 옆 서한기씨 집터로 옮겨졌고, 1910년 한일합방과 더불어 조화리 득실마을로 옮겨졌다.[1]
  • 1935년 (쇼와 10년) 현 여흥2구 신정부락(여흥리 211-1)에 면사무소가 신축 이전되었다.[1]
  • 1973년 7월 1일 광양군 골약면 송도, 장도가 율촌면으로 편입되었다. 당시 송장리는 144가구 864명이 거주하였고 원래 송장리는 돌산군 관할이었는데 돌산군이 폐지되면서 광양군으로 편입되었다가 59년 만에 다시 율촌면에 편입된 것이다.[1]
  • 1987년 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율촌면 상여리(상려리)가 상봉리로, 송장리가 여동리로 법정리 명칭이 변경되었다.[1]
  • 2001년 12월 29일 여수시 조례 제343호에 의거 통반 및 행정리 명칭 변경에 따라 기존 37개 리에서 36개 리로 변경되었다. (기존 신풍2구, 구암, 학서, 장도리 폐지. 구암1구, 구암2구, 월산3구 신설)[1]

2. 1. 삼국 시대 이전

율촌면 지역에는 청동기 시대 유적인 지석묘가 널리 분포하고 있어, 이 시기에 이미 권력과 재력을 갖춘 부족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마한 시대에는 토착 농경 사회가 형성된 부족 국가 시대였으며, 사람들은 대개 움막과 수혈식 주거지에서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2. 2. 통일 신라 시대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 구주의 하나인 무주(武州:광주) 총관부 승평군 해읍현(昇平郡 海邑縣)에 속했다.[1]

2. 3. 고려 시대

940년(고려 태조 23년) 여수반도를 여수현이라 칭하고 돌산읍 일대를 돌산현이라 칭한 다음 승평군에 속하게 하였다.[1] 1310년(고려 충선왕 2년)과 1355년(고려 공민왕 4년)에는 승평군이 순천도호부로 변경되었다.[1]

2. 4. 조선 시대

조선 태조 5년(1396년), 여수 현감 오흔인(吳欣仁)이 역성 혁명에 불복하고 세금을 바치지 않아 여수현이 폐지되고 이웃 순천부에 편입되었다.[1] 조선 세종 5년(1423년)에는 진례포 만호진이 폐지되고 내례포 만호진이 설치되었다.[1] 조선 성종 10년(1479년)에는 내례포 만호가 혁파되고 전라좌도 수군 절도사영이 설치되었다.[1] 조선 선조 26년(1593년)에는 삼도수군 절도사 겸 전라좌수영으로 승격되었다.[1]

조선 영조 1년(1725년) 전라도 여수도호부가 설치되었다가,[1] 이듬해인 조선 영조 2년(1726년)에 폐지되었다.[1] 조선 고종 32년(1895년) 갑오경장으로 전라좌수영이 혁파되었다.[1]

2. 5. 일제 강점기


  • 1910년(明治|메이지일본어 23년): 여수군 7개 면장을 임명하고 조화리 득실부락(조화리 597번지)에 면사무소를 설치했다.[1]
  • 1914년(大正|다이쇼일본어 3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돌산군을 폐지하고 여수군이 율촌, 여수, 소라, 삼일, 쌍봉, 화양, 돌산, 남면, 화정, 삼산 등 10면을 관할했다.[1] 이때 구산면에 속한 20개 리 중 17개리(신풍, 중흥, 우산, 산곡, 덕산, 학서, 구암, 신산, 율현, 노촌, 후산, 내동, 취적, 봉정, 수문, 내리, 외진)를 율촌면과 합병했다.[1] 남은 3개리(마전, 노촌, 장전)는 소라면으로 합병했다.[1]

2. 6. 대한민국


  • 백제 근초고왕(326 ~ 375년) 때 백제에 병합되었다.
  • 538년 (백제 성왕 16년) : 구지하성 관하 삽평군(지금의 순천)의 원촌현(현 여수, 여천)과 돌산현(현 돌산읍)에 속했다.
  •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 무주(武州: 광주) 총관부 승평군 해읍현(昇平郡 海邑縣)에 속했다.
  • 940년 (고려 태조 23년) : 여수반도를 여수현이라 칭하고 돌산읍 일대를 돌산현이라 칭한 다음 승평군에 속했다.
  • 1310년 (고려 충선왕 2년) : 승평군 순천도호부로 변경되었다.
  • 1355년 (고려 공민왕 4년) : 순천도호부로 변경되었다.
  • 1396년 (조선 태조 5년) : 여수 현감 오흔인(吳欣仁)이 역성 혁명에 불복하고 나라에 세금을 바치지 않아 여수현을 폐현하고 이웃 순천부에 편입되었다.
  • 1423년 (조선 세종 5년) : 진례포 만호진을 폐지하고 내례포 만호진을 설치했다.
  • 1479년 (조선 성종 10년) : 내례포 만호가 혁파되고 전라좌도 수군 절도사영을 설치했다.
  • 1593년 (조선 선조 26년) : 삼도수군 절도사 겸 전라좌수영으로 승격되었다.
  • 1725년 (조선 영조 1년) : 전라도 여수도호부가 설치되었다.
  • 1726년 (조선 영조 2년) : 전라도 여수도호부가 폐지되었다.
  • 1895년 (조선 고종 32년) : 갑오개혁으로 전라좌수영이 혁파되었다.
  • 1896년 (조선 고종 33년) : 13도로제 개편으로 전라남도 돌산군(흥양, 낙안, 순천 광양 등 4개군으로 관내에 있는 52개 섬을 관할구역)이 신설되었다.
  • 1897년 (광무 원년) : 여수군이 신설될 때 여수면, 덕안면, 삼일면, 율촌면이었으나 곧이어 7개면 (율촌면, 구산면, 덕안면, 화양면, 쌍봉면, 삼동면, 삼북면)으로 개편되었다. 이 때 율촌면사무소는 조선조 말 면치소로 산수 신대마을 박태하씨 집터에 있다가 여흥리 동교부락 이은석씨 집터, 여흥리 신정부락의 주조장옆 서한기씨집터로 옮겨졌고, 1910년 한일합방과 더불어 조화리 득실마을로 옮겨졌다.
  • 1910년 (메이지 23년) : 여수군 7개 면장을 임명하고 조화리 득실부락(조화리 597번지)에 면사무소 설치.
  • 1914년 (다이쇼 3년) : 부군면 통폐합으로 돌산군을 폐지하고 여수군이 율촌, 여수, 소라, 삼일, 쌍봉, 화양, 돌산, 남면, 화정, 삼산 등 10면을 관할했다. 이 때 구산면에 속한 20개 리 중 17개리(신풍, 중흥, 우산, 산곡, 덕산, 학서, 구암, 신산, 율현, 노촌, 후산, 내동, 취적, 봉정, 수문, 내리, 외진)를 율촌면과 합병했다. 남은 3개리(마전, 노촌, 장전)는 소라면으로 합병.
  • 1935년 (쇼와 10년) : 현 여흥2구 신정부락(여흥리 211-1)에 면사무소가 신축 이전되었다.
  • 1949년 8월 15일 : 여수읍이 여수시로 승격되고 여수군 잔여 지역을 여천군으로 개칭하여 9개면을 관할하게 되면서 여천군 율촌면이 되었다.
  • 1973년 7월 1일 : 광양군 골약면 송도, 장도가 율촌면으로 편입되었다. 당시 송장리는 144가구 864명이 거주하였고 원래 송장리는 돌산군 관할이었는데 돌산군이 폐지되면서 광양군으로 편입되었다가 59년만에 다시 율촌면에 편입된 것이다.
  • 1987년 1월 1일 :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율촌면 상여리(상려리)가 상봉리로, 송장리가 여동리로 법정리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98년 4월 1일 : 법률 제5457호(1997. 12.17)의 전라남도 여수시 도농통합형태의 시 설치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삼려통합 여수시 출범 (1읍 6면 21행정동 191리 51 법정동)으로 여수시 율촌면이 되었다.
  • 2001년 12월 29일 : 여수시 조례 제343호에 의거 통반 및 행정리 명칭변경에 의거 기존 37개리에서 36개리로 변경되었다. (기존 신풍2구,구암,학서,장도리 폐지. 구암1구,구암2구,월산3구 신설)

3. 행정 구역

율촌면은 10개의 법정리와 37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2] 자세한 내용은 '법정리 및 행정리' 표에 정리되어 있다.

3. 1. 법정리 및 행정리

법정리한자명행정리비고
가장리佳長里가장, 난화, 중산, 연화
반월리半月里반월, 삼산
봉전리鳳田里봉전, 광암
산수리山水里산수1, 산수2, 봉두
상봉리上鳳里상봉1, 상봉2
신풍리新豊里신풍1, 구암1, 구암2, 신흥, 덕산, 애양, 도성여수공항
여동리麗東里송도
월산리月山里청산1, 청산2, 월산1, 월산2, 월산3, 월산4
조화리稠禾里조화, 여흥1, 여흥2, 여흥3, 여흥4면사무소 소재지
취적리吹笛里취적1, 취적2, 신산1, 신산2, 신산3



율촌면은 10개의 법정리와 37개의 행정리를 관할한다.[2]

4. 교통

여수공항전라선 율촌역이 율촌면에 있다. 엑스포대로는 이 면을 지나는 고속도로이며, 국도 제17호선과 국가지도 22호선에 속한다. 지방도 제863호선에 속하는 서부로와 해룡로가 있으며, 여순로는 과거 국도 제17호선 및 국가지도 22호선 구간이었다.[1]

4. 1. 항공

여수공항이 율촌면 신풍리에 있다.[1]

4. 2. 철도

전라선 율촌역이 조화리에 있다. 신풍리에 있던 전라선 신풍역은 폐지되었다.[1]

4. 3. 도로

엑스포대로는 율촌면을 지나는 고속도로로, 국도 제17호선과 국가지도 22호선에 속한다. 월산리에는 엑스포대로의 율촌 교차로가 있다. 서부로와 해룡로는 지방도 제863호선에 속하며, 여순로는 2012년 엑스포대로 개통 전까지 국도 제17호선 및 국가지도 22호선 구간이었다.[1]

엑스포대로는 신풍리, 취적리, 월산리, 산수리를 지나며, 대포터널, 상곡터널, 취적터널, 율촌터널 등 4개의 터널이 있다.[1] 이 중 율촌터널은 산수리에서 용전리, 해룡면, 순천시로 연결된다.[1] 대포터널은 신풍리소라면 대포리를, 상곡터널은 신풍리와 취적리를, 취적터널은 취적리와 월산리를 잇는다.[1]

참조

[1] 웹사이트 Info http://www.yeosu.go.[...]
[2] 웹사이트 Info http://www.yeosu.g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