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 (제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應)은 고대 중국의 제후국으로, 은나라 시대에 존재했으며, 주나라 시대에 재건되었다. 주 무왕의 아들이 처음 봉해졌으며, 현재의 허난성 핑딩산시 일대에 위치했다. 춘추 시대 중기에 초나라에 의해 멸망했으며, 전국 시대에는 진나라의 상국 판쥐의 봉지가 되기도 했다. 역대 제후로는 무후, 시공, 희공, 칭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나라 - 오왕
오왕은 주나라 시대 오나라 군주에서 유래하여 춘추시대 오나라 군주, 한나라 초기 제후왕, 삼국시대 오나라 손권, 당나라 왕족, 오대십국시대 남오 지배자, 명나라 초 주원장 등이 사용하거나 책봉받은 칭호이다. - 주나라 - 종횡가
종횡가는 전국 시대에 외교와 정치 전략을 통해 국가 간의 관계를 조율하고 권력을 쟁취하려 한 사상가 집단이다. - 허난성의 역사 - 상나라
상나라는 기원전 1600년경부터 기원전 1046년까지 중국을 지배한 왕조로, 갑골문 발견을 통해 역사적 사실이 증명되었으며, 발달된 청동기 문화와 문자 체계를 가졌고, 주나라에 의해 멸망한 후에도 일부 잔재가 이어졌다. - 허난성의 역사 - 정강의 변
정강의 변은 1125년부터 1127년까지 금나라의 침입으로 북송이 멸망한 사건으로, 휘종과 흠종을 포함한 황족들이 포로로 잡혀가고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주어 중국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응 (제후) | |
---|---|
기본 정보 | |
국명 | 응(應) |
통칭 | 응(應) |
시대 | 주나라 |
지위 | 제후국 |
정부 형태 | 군주제 |
건국 | 기원전 1030년경 |
멸망 | 기원전 646년 |
멸망 원인 | 초(楚)에 정복됨 |
수도 | 핑딩산 |
공용어 | 고대 중국어 |
종교 | 중국 민간 신앙 조상 숭배 |
현재 국가 | 중국 |
![]() | |
역사 | |
건국 | 서주 초기 |
멸망 | 초(春秋)에 의해 멸망 |
정치 | |
성씨 | 희(姓) |
작위 | 후작 |
봉건 수여자 | 미상 |
시조 | 응후(應侯) |
수도 | 응성(應城) (허난성핑딩산시신화구 질양진) |
기타 | |
사서 기록 | 『춘추좌씨전』 |
2. 역사
응나라는 전래 문헌에 단편적인 기록으로만 존재가 전해진다. 《춘추좌씨전》 희공 24년조에는 응(邘) · 진(晉) · 응(應) · 한(韓) 네 나라는 주 무왕의 목(穆)이라는 기록이 있다.[7] 《한서》 지리지 영천군 항목에는 “부성현, 응향이 있는데, 옛 나라로, 주 무왕의 아우가 봉해졌다.”라는 기록이 있다.[8] 이러한 기록들과 수경주 등의 기록을 통해 옛 응나라의 터는 지금의 허난성 핑딩산 시 인근으로 추정되었다.
이후 응후와 관련된 청동기 명문이 세상에 나오면서 응나라의 실존이 명백해졌고,[9] 1970년대에 핑딩산 시 서쪽 약 20 km 떨어진 지역에서 응나라 관련 청동기가 부장된 묘지가 발견되었다. 발굴 보고에서는 이 무덤의 부장품들 중 서주 초기의 것이 있다고 했으나, 김정열은 유의미한 유물들의 연대를 모두 서주 중기 초입부로 추정하고 이에 따라 응후가 핑딩산 시 근방에 봉해진 것이 이때라고 추정했다.[9]
2. 1. 은나라 시기
은나라 시대에 건국되었다. 갑골문의 복사(卜辭) 속에 "응후조상(應侯朝商)"과 상왕 "보우응(步于應)"의 기재가 있다. 수경주 주석에 인용된 죽서기년에는 "은나라 때 이미 응국(應國)이 있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당시의 응(應)은 산시성 숴저우시 잉 현 일대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2. 2. 주나라 시기
《춘추좌씨전》 희공 24년조에 따르면, 응(邘) · 진(晉) · 응(應) · 한(韓) 네 나라는 주나라 무왕의 목(穆)이다.[7] 즉, 응나라는 주 성왕의 동생인 당숙 우를 시조로 하는 진나라, 그리고 시조가 알려지지 않은 한나라, 우나라와 함께 무왕의 자손으로 주나라 초기에 봉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한서》 지리지 영천군 항목에는 “부성현, 응향이 있는데, 옛 나라로, 주 무왕의 아우가 봉해졌다.”라는 기록이 있다.[8] 이외 기록을 통해 옛 응나라의 터는 지금의 허난성 핑딩산 시 인근으로 추정되었다. 응후와 관련된 청동기 명문이 세상에 나오면서 응나라의 실존이 명백해졌고,[9] 1970년대에 핑딩산 시 서쪽 약 20 km 떨어진 지역에서 응나라 관련 청동기가 부장된 묘지가 발견되었다.응나라는 기원전 1030년경 주 성왕의 동생인 응 후(應侯)에 의해 건국되었다.[2] 응은 뤄양 평원으로 연결되는 잉허 계곡의 입구 근처, 입구 바로 근처에 위치하여, 장강 중부로 가는 도로를 관리했다.
2. 3. 춘추 시대와 멸망
은나라 시대에 건국되었다. 갑골문의 복사 속에 "응후조상(應侯朝商)"과 상왕 "보우응(步于應)"의 기재가 있다. 수경주 주석에 인용된 죽서기년에는 "은나라 때 이미 응국(應國)이 있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당시의 응(應)은 산시성숴저우시잉 현 일대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주나라의 무왕극은 이후에, 응(應)은 멸망하고 새로운 응(應)이 건국되었다. 이 응(應)은 희성으로, 처음 봉해진 군주는 주나라 무왕의 아들이다. 봉지는 현재의 허난성핑딩산시신화구 치양진 잉청(滍陽鎮應城)이다. 핑딩산에 응(應)의 묘지가 있다는 것이 고고학적으로 증명된 것이 그 근거이다. 응(應)은 원래 은나라의 유민을 감시하는 감국(監國)이었다.
뤄양 평원으로 연결되는 잉허 계곡의 입구 근처, 南阳盆地|난양 분지중국어의 입구 바로 근처에 위치하여, 장강 중부로 가는 도로를 관리했다.
춘추 시대 중기, 응(應)은 초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2. 4. 전국 시대
전국 시대 때, 진나라의 상국 판쥐가 응(應) 땅을 봉지로 받아, '응후'라고 불렸다.3. 역대 제후
참조
[1]
논문
New Sources of Western Zhou History: Recent Discoveries of Inscribed Bronze Vessels
2001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03-13
[3]
논문
新见应侯见工簋铭文考释
https://www.ixueshu.[...]
2009
[4]
논문
应侯簋考释
https://wenku.baidu.[...]
[5]
서적
金文人名匯編
中華書局
2006-08-01
[6]
서적
金文人名匯編
中華書局
2006-08-01
[7]
서적
역주 춘추좌씨전
전통문화연구회
[8]
문서
한서 권28상 지리지 제8상
[9]
간행물
평정산 유적과 서주시대의 응후
중국사학회
2013-06-08
[10]
논문
응후 시공 청동기들의 연대 및 그 명문의 연독 문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