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우옌호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호앙은 16세기 베트남 후 레 왕조 시대의 인물로, 막 왕조의 찬탈에 대항하여 후 레 왕조 재건에 기여했다. 그는 1558년 투언호아(順化)를 근거지로 삼아 응우옌 씨 세력의 기반을 다졌으며, 이후 광남국을 통치하며 응우옌 주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는 후 레 왕조에 충성을 다하며 막 왕조 공격을 지원하는 한편, 일본과의 교류를 시작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응우옌호앙은 1613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응우옌 푹 응우옌이 뒤를 이어 응우옌 주를 통치했다. 그는 응우옌 왕조의 태조로 추존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베트남에서 널리 존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 레 왕조의 군공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후 레 왕조의 군공 - 찐끼엠
    찐끼엠은 후 레 왕조의 개국공신 찐카의 후손으로, 응우옌낌 사후 정권을 장악하여 찐씨 가문이 후 레 왕조의 정권을 잡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막 왕조를 여러 차례 북벌하고 태국공으로 진봉된 인물이다.
  • 후 레 왕조의 후작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후 레 왕조의 후작 - 레응이전
    레응이전은 레 태종의 아들로 황태자에서 양산왕으로 강등된 후 쿠데타를 일으켜 황제에 즉위했으나 8개월 만에 폐위되었고, 천흥 연호를 사용하며 행정 개혁을 시도했지만, 1460년 쿠데타로 폐위되었다.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즈엉
    응우옌푹즈엉은 응우옌푹하오의 아들이자 응우옌푹코앗의 손자로 현명하고 덕이 있다는 평을 받았으나, 떠이선 반란으로 1777년 처형당했으며 후에 자롱 황제에 의해 효혜왕으로 추존되었다.
응우옌호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응우옌호앙
본명응우옌호앙 (Nguyễn Hoàng/阮潢)
다른 이름하계후 (Hạ Khê Hầu/夏溪侯)
단군공 (Đoan Quận Công/端郡公)
선주 (Chúa Tiên/主僊)
통치
칭호응우옌 주의 군주
응우옌 왕조의 황제 (추존)
군주찐 주의 응우옌 군주
재위 기간1558년 11월 – 1613년 7월 20일
이전군사령관으로 설립
계승자응우옌푹응우옌
묘호태조 (Thái Tổ/太祖)
시호조기수통흠명공의근의달리현응소우요령가유황제 (Triệu Cơ Tùy Thống Khâm Minh Cung Úy Cần Nghĩa Đạt Lý Hiển Ứng Chiêu Hựu Diệu Linh Gia Dụ Hoàng Đế/肇基垂統欽明恭懿謹義達理顯應昭祐耀靈嘉裕皇帝)
존호선주 (Chúa Tiên/主僊)
생애
출생1525년 8월 28일, 타인호아성
사망1613년 7월 20일, 당 trong
매장지장기릉 (Trường Cơ Lăng/長基陵)
가족
아버지응우옌낌
어머니응우옌 티 마이
배우자응우옌 티
자녀응우옌푹응우옌
기타
종교불교
왕조응우옌 왕조
사후 칭호찌에우 꺼 투이 통 큼 민 꿍 이 껀 응이 닷 리 히엔 응 찌에우 흐우 지에우 린 자 주 황제 (Triệu Cơ Thùy Thống Khâm Minh Cung Ý Cần Nghĩa Đạt Lý Hiển Ứng Chiêu Hựu Diệu Linh Gia Dụ Hoàng Đế)

2. 생애

응우옌호앙은 응우옌 낌의 둘째 아들로, 아버지가 막 왕조 지지자에게 암살당한 후 그의 매형 찐끼엠후 레 왕조 군대를 지휘했다. 형 응우옌우옹이 사망(독살로 추정)하자, 응우옌호앙은 매형에게 베트남 최남단 지방 통치를 요청했다. 이 땅은 이전에 레 탄 통 황제가 정복한 참파 영토로, 당시 막 세력의 통제 하에 있었다. 응우옌호앙은 1558년 적군 사령관을 격파하고 그 지방을 장악, 1573년 레 세종에게 태부 칭호를 받았다. 이후 몬 공작(Duke of Môn)으로 불렸다.

1592년 찐뚱이 동도(현재의 하노이)를 포위했을 때 자원과 군대를 지원, 왕실(찐) 군대와 함께 막 군대를 격파했다. 1600년 레 낀똥 즉위 후, 스스로를 '선공(善公)' (흐우 브엉)이라 칭했다. 이는 조카 찐뚱이 1년 전 '평안공(平安公)' (빈 안 브엉) 칭호를 받은 것과 관련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들 10명 중 대다수는 전장에서 사망하거나 북부에 머물렀고, 1613년 사망 후 여섯째 아들 응우옌푹응우옌이 뒤를 이었다. 그는 55년간 남부를 통치했다.

찐끼엠이 응우옌호앙을 남부 지방에 임명한 이유는 불분명하다. 일설에는 찐끼엠이 응우옌 형제들에게 권력을 빼앗길까 두려워 응우옌호앙의 형을 암살했고, 응우옌호앙에게는 막의 남부 주둔군을 이용해 제거하려 했다고 한다.

응우옌호앙은 남부에서 아이 뜨(1558–70), 짜 밧(1570–1600), 딘 깟(현재의 후에, 1600–13) 등 여러 수도에서 조정 활동을 펼쳤다.

응우옌낌 사후, 사위 찐끼엠에게 권력을 빼앗겼다. 1558년 후 레 왕조에 의해 단군공(端郡公)에 봉해지고, 투언화에 근거지를 마련하여 응우옌씨 세력의 기반을 다졌다. 1593년 단국공(端國公)에 봉해졌다.

2. 1. 초기 생애와 남하

막 왕조 민득 원년(1527년), 응우옌 낌이 막당중이 제위를 찬탈하여 막 왕조를 세운 것에 불만을 품고 후 레 왕조의 유신들을 이끌고 애뢰(哀牢, 현재의 라오스)로 달아나 왕조의 재기를 도모하였다. 응우옌 낌은 응우옌호앙을 태부(太傅) 응우옌으끼(Nguyễn Ư Kỷ|阮於己|완어기vi)에게 부탁하여 돌보게 했다. 이후 응우옌 낌이 레 장종을 옹립하여 막 왕조에 대항하자 응우옌호앙도 종군하였고, 옥산현(玉山縣)에서 막 왕조의 장수 찐찌(Trịnh Chí|鄭誌|정지vi)를 참살하여 장종의 칭찬을 받았다.[1]

응우옌호아 13년(1545년), 응우옌 낌이 죽자 그의 첫째 아들 응우옌우옹(Nguyễn Uông|阮汪|완왕vi)이 좌승상(左丞相)을, 사위인 찐끼엠(Trịnh Kiểm|鄭檢|정검vi)이 우승상(右丞相)을 맡았다. 그런데 찐끼엠이 병권을 장악하고 응우옌우옹을 죽인 뒤 정사를 오로지하자 응우옌호앙은 매우 불안해져 응우옌으지와 함께 칭병하고 다시는 조정에 나오지 않았다. 응우옌호앙은 스스로를 보전하기 위해 사람을 응우옌빈키엠에게 보내 방법을 묻게 하였다. 응우옌빈키엠은 "횡산(橫山) 일대가 만대토록 몸을 의탁할 만합니다."라고 하면서 남방에서 근거지를 세울 것을 건의하였다. 응우옌호앙은 매우 그렇다고 여겨 누나인 응우옌 티 응옥바오(Nguyễn Thị Ngọc Bảo|阮氏玉寶|완씨옥보vi)를 통해 찐끼엠에게 투언호아(順化)를 진수하게 해 달라고 하였다.[1]

찐찌 원년(1558년), 찐끼엠은 응우옌호앙의 요청에 동의하였고, 응우옌호앙은 투언호아를 지키는 기회를 틈타 남방에서 응우옌 주의 기반을 닦았다. 해당 지역 사람들은 그를 '''선주'''(Chúa Tiên|主僊|선주vi)로 칭하였다.[1]

응우옌호앙은 비록 투언호아에 머무르게 되었지만 여전히 후 레 왕조의 조정에 충성을 표시하였고, 병사를 보내 찐끼엠이 막 왕조를 공격하는 것을 돕게 하였다. 또한 두 차례 병사를 이끌고 입조하여 황제를 알현하였다.[1]

찐찌 12년(1569년) 9월, 입조하여 레 영종을 알현하였다.[1]

찐찌 13년(1570년) 정월, 투언호아로 돌아갔다. 영종이 광남총병(廣南總兵) 응우옌바꾸인(阮伯駉)을 소환하고 응우옌호앙이 영순화광남이처(領順化廣南二處)를 겸하게 하였다.[1]

자타이 원년(1573년), 레 세종이 응우옌호앙을 태부(太傅)로 진봉시켰고, 서도(西都)로 공물과 부세를 보내게 하였다.[1]

2. 2. 광남국 통치

막 왕조 민득 원년(1527년), 응우옌낌막당중이 제위를 찬탈하여 막 왕조를 세운 것에 불만을 품고 후 레 왕조의 유신들을 이끌고 애뢰(哀牢, 현재의 라오스)로 달아나 왕조의 재기를 도모하였다. 응우옌낌은 응우옌호앙을 태부(太傅) 응우옌으끼(阮於己)에게 부탁하여 돌보게 했다. 이후 응우옌낌이 레 장종을 옹립하여 막 왕조에 대항하자 응우옌호앙도 종군하였고, 옥산현(玉山縣)에서 막 왕조의 장수 찐찌(鄭誌)를 참살하여 장종의 칭찬을 받았다.[1]

응우옌호아 13년(1545년), 응우옌낌이 죽자 그의 첫째 아들 응우옌우옹(阮汪)이 좌승상(左丞相)을, 사위인 찐끼엠(鄭檢)이 우승상(右丞相)을 맡았다. 그런데 찐끼엠이 병권을 장악하고 응우옌우옹을 죽인 뒤 정사를 오로지하자 응우옌호앙은 매우 불안해져 응우옌으지와 함께 칭병하고 다시는 조정에 나오지 않았다. 응우옌호앙은 스스로를 보전하기 위해 사람을 응우옌빈키엠에게 보내 방법을 묻게 하였다. 응우옌빈키엠은 "횡산(橫山) 일대가 만대토록 몸을 의탁할 만합니다."라고 하면서 남방에서 근거지를 세울 것을 건의하였다. 응우옌호앙은 매우 그렇다고 여겨 누나인 응우옌 티 응옥바오(阮氏玉寶)를 통해 찐끼엠에게 투언호아(順化)를 진수하게 해 달라고 하였다.[1]

찐찌 원년(1558년), 찐끼엠은 응우옌호앙의 요청에 동의하였고, 응우옌호앙은 투언호아를 지키는 기회를 틈타 남방에서 응우옌 주의 기반을 닦았다. 해당 지역 사람들은 그를 '''선주'''(主僊)로 칭하였다.[1]

응우옌호앙은 비록 투언호아에 머무르게 되었지만 여전히 후 레 왕조의 조정에 충성을 표시하였고, 병사를 보내 찐끼엠이 막 왕조를 공격하는 것을 돕게 하였다. 또한 두 차례 병사를 이끌고 입조하여 황제를 알현하였다.[1]

찐찌 12년(1569년) 9월, 레 영종을 알현하였다.[1]

찐찌 13년(1570년) 정월, 투언호아로 돌아갔다. 영종은 광남총병(廣南總兵) 응우옌바꾸인(阮伯駉)을 소환하고 응우옌호앙에게 영순화광남이처(領順化廣南二處)를 겸하게 하였다.[1]

자타이 원년(1573년), 레 세종은 응우옌호앙을 태부(太傅)로 진봉시켰고, 서도(西都)로 공물과 부세를 보내게 하였다.[1]

꽝흥 16년(1593년) 4월, 세종이 탕롱으로 환도하였다. 5월, 응우옌호앙이 세종을 알현하였다.[1]

턴득 원년(1600년) 5월, 투언호아로 돌아갔다. 이때부터 응우옌 주는 다시 탕롱으로 와서 황제를 알현하지 않았다.[1]

호앙딘 5년(1604년), 순화광남이처(順化廣南二處)의 행정 구역을 다시 구획하여 6부(府) 22현(縣)으로 나누었다.[1]

호앙딘 12년(1611년), 처음으로 부안부(富安府)를 설치하였고, 동춘(同春), 수화(綏和) 2현을 설립하였다.[1]

2. 3. 사망과 유산

호앙딘 14년 6월 초삼일(1613년 7월 20일) 응우옌호앙은 향년 89세(만 87세)로 사망하였다.[1] 그는 여전히 베트남 중부와 남부, 특히 그와 그의 후손들이 마지막 수도를 세운 후에에서 널리 기억되고 있다. 2013년에는 그의 서거 400주년이 후에에서 기념되었다.[1]

1613년 88세로 사망한 응우옌 호앙에게는 껀응이공(勤義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고, 띠엔주(僊主)로 칭해졌다. 이후 껀응이달리현응소우요령가유왕(勤義達理顯應昭祐耀靈嘉裕王)으로 시호가 개칭되었고, 더 나아가 조기수통흠명공의근의달리현응소우요령가유태왕(肇基垂統欽明恭懿勤義達理顯應昭祐耀靈嘉裕太王)으로 개칭되었으며, 묘호는 열조(烈祖)로 정해졌다.

1803년, 그의 자손인 응우옌 푹 아인응우옌 왕조를 건국하면서 묘호는 태조(太祖)로, 시호는 조기수통흠명공의근의달리현응소우요령가유황제(肇基垂統欽明恭懿勤義達理顯應昭祐耀靈嘉裕皇帝)로 추존되었으며, 장기릉(長基陵)에 안장되었다.

3. 봉호, 시호, 능호

응우옌호아 13년(1545년)에 '''하계후'''(Hạ Khê Hầu|하계후vi)로 봉해졌으며, 이후에 '''단군공'''(Đoan Quận Công|단군공vi)으로 작위가 올라갔다.[1]

자타이 원년(1573년)에 태부(太傅)로 작위가 올라갔으며, 꽝흥 16년(1593년) 4월에 중군도독부(中軍都督府) 좌도독(左都督) 겸 장부사(掌府事) 겸 태위(太尉) 겸 '''단국공'''(Đoan Quốc Công|단국공vi)으로 작위가 올라갔다.[1]

응우옌호앙 사후 레 경종은 그에게 '''근의공'''(Cần Nghĩa Công|근의공vi)을 추증하였다.[1] 응우옌푹응우옌은 시호를 '''근의달리현응소우요령가유왕'''(Cần Nghĩa Đạt Lý Hiển Ứng Chiêu Hựu Diệu Linh Gia Dụ Vương|근의달리현응소우요령가유왕vi)이라고 하였다.[1]

까인흥 5년 4월 12일(1744년 5월 23일), 응우옌푹코앗이 정식으로 왕을 칭하고 응우옌호앙의 시호를 고쳐 '''조기수통흠명공의근의달리현응소우요령가유태왕'''(Triệu Cơ Tùy Thống Khâm Minh Cung Úy Cần Nghĩa Đạt Lý Hiển Ứng Chiêu Hựu Diệu Linh Gia Dụ Thái Vương|조기수통흠명공의근의달리현응소우요령가유태왕vi)이라 하였고, 묘호를 '''열조'''(Liệt Tổ|열조vi)로 하였다.[1]

자롱 5년 6월 초파일(1806년 7월 23일), 자롱 황제는 묘호를 '''태조'''(Thái Tổ|태조vi), 시호를 '''조기수통흠명공의근의달리현응소우요령가유황제'''(Triệu Cơ Tùy Thống Khâm Minh Cung Úy Cần Nghĩa Đạt Lý Hiển Ứng Chiêu Hựu Diệu Linh Gia Dụ Hoàng Đế|조기수통흠명공의근의달리현응소우요령가유황제vi)로 추존하였다.[1] 능호는 장기릉(Trường Cơ Lăng|장기릉vi)이라 하였다.[1]

4. 가족 관계

응우옌호앙은 많은 자녀를 두었으나, 대부분 전장에서 목숨을 잃거나 북부에 머물렀다.[2] 1613년 응우옌호앙이 사망한 후, 그의 여섯째 아들 응우옌 푹 응우옌이 뒤를 이었다. 응우옌호앙은 55년 동안 남부를 통치했다.

4. 1. 부인

봉호시호이름
(성씨)
별칭생몰년도국구
(장인/장모)
비고
정실
(正室)
자량의비
()
응우옌 티
(Nguyễn Thị
/阮氏
/완씨)
[2]
부인
(夫人)
단국태부인
()
부인
(夫人)
명덕왕태비
()


4. 2. 아들

응우옌호앙은 많은 아들을 두었지만, 대부분 전장에서 목숨을 잃거나 북부에 머물렀다. 다음은 응우옌호앙의 아들 목록이다.

순번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자식비고
1화군공
(Hòa Quận Công)
응우옌하
(Nguyễn Hà)
? ~ 1576년단국태부인6남
2이인공
(Lỵ Nhân Công)
응우옌한
(Nguyễn Hán)
? ~ 1593년2남[3] [4]
3응우옌타인
(Nguyễn Thành)
요절함.
4호군공
(Hào Quận Công)
의열
(Nghĩa Liệt)
응우옌지엔
(Nguyễn Diễn)
? ~ 1598년4남[5]
5금군공
(Cẩm Quận Công)
웅준
(Hùng Tuấn)
응우옌하이
(Nguyễn Hải)
? ~ 1616년4남[4]
6서국공
(Thụy Quốc Công)
응우옌 푹 응우옌1563년 ~ 1635년자량의비
응우옌 티
12남 4녀
+1양녀
응우옌 주 제2대 군주. [6]
7문군공
(Văn Quận Công)
응우옌 푹 히엡
(Nguyễn Phúc Hiệp)
[7]
8우군공
(Hữu Quận Công)
응우옌 푹 짯
(Nguyễn Phúc Trạch)
9의군공
(Nghĩa Quận Công)
응우옌 푹 즈엉
(Nguyễn Phúc Dương)
10상군공
(Tường Quận Công)
충의
(Trung Nghị)
응우옌 푹 케
(Nguyễn Phúc Khê)
1589년 ~ 1646년명덕왕태비[8] [9]



그의 여섯째 아들 응우옌 푹 응우옌이 1613년 응우옌호앙 사후 그의 뒤를 이었다. 응우옌호앙은 55년 동안 남부를 통치했다.

4. 3. 딸

순번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부마별칭비고
1응우옌 티 응옥띠엔
(阮氏玉僊
/완씨옥선)
[10]
2응우옌 티 응옥뚜
(阮氏玉秀
/완씨옥수)
? ~ 1631년[11], [12]
colspan="8" |


5. 평가

응우옌호앙은 응우옌 주의 기초를 닦은 인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그는 응우옌 주와 일본 간의 긴밀한 관계를 시작하기도 했다. 일찍이 일본 상인인 후나모토 아키사다(船本顯定, 彌七郞)를 양자로 삼기도 하였다.[1]

응우옌호앙은 베트남 중부와 남부, 특히 그와 그의 후손들이 마지막 수도를 세운 후에에서 널리 기억되고 있다. 2013년에는 후에에서 그의 서거 400주년이 기념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Six Senses Ninh van Bay http://tuoitrenews.v[...] 2012-05-02
[2] 문서 무왕(武王) 응우옌푹코앗(阮福濶)이 칭왕 후에 의비로 추존하였고, 시호를 여러번 추가하여 자량광숙명덕의비(Từ Lương Quang Thục Minh Đức Ý Phi/慈良光淑明德懿妃)이라 하였다. 이후에 응우옌 왕조가 세워진 후에는 황후로 추존되어, 시호를 자량광숙명덕의공가유황후(Từ Lương Quang Thục Minh Đức Ý Cung Gia Dũ Hoàng Hậu/慈良光淑明德懿恭嘉裕皇后)로 개칭하였다.
[3] 문서 이군공(Lỵ Quận Công/蒞郡公) / 이충공(Lỵ Trung Công/蒞忠公) / 응우옌학(Nguyễn Hắc/阮潶/완흑)
[4] 문서 응우옌 왕조 건국 후 후손들이 응우옌흐우 티({{vie|v=Nguyễn Hựu Thị|hn=阮祐氏|eum=완우씨}})를 사성받음.
[5] 문서 응우옌 푹 하오({{vie|v=Nguyễn Phúc Hào|hn=阮福豪|eum=완복호}})
[6] 문서 서군공(Thụy Quận Công/瑞郡公)
[7] 문서 응우옌 왕조 민망 황제 때 후손들이 성씨를 응우옌투언 티({{vie|v=Nguyễn Thuận Thị|hn=阮順氏|eum=완순씨}})로 고쳐씀.
[8] 문서 상광후(Tường Quan Hầu/祥光侯)
[9] 문서 응우옌 왕조 건국 후 의흥군왕(Nghĩa Hưng Quận Vương/義興郡王)으로 진봉되고, 시호를 충직(Trung Trực/忠直)으로 고침.
[10] 문서 엄군공({{vie|v=Nghiễm Quận Công|hn=嚴郡公}})
[11] 문서 청왕({{vie|v=Thanh Vương|hn=淸王}}) 찐짱({{vie|v=Trịnh Tráng|hn=鄭梉|eum=정장}})
[12] 문서 자순정비({{vie|v=Từ Thuận Chính phi|hn=慈順正妃}})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