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598년은 명나라 만력제 26년, 일본 게이초 3년, 조선 선조 31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프랑스 앙리 4세가 낭트 칙령을 발표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고, 이순신이 노량해전에서 전사하는 등 동아시아와 서양에서 다양한 사건이 발생했다. 임진왜란이 종결되었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베니스의 상인》이 저작권 등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598년 | |
---|---|
1598년 | |
로마 숫자 | MDXCVIII |
십진법 | 1598 |
이진법 | 11000111110 |
연도별 | |
16세기 | 1590년 1591년 1592년 1593년 1594년 1595년 1596년 1597년 1598년 1599년 |
17세기 | 1600년 1601년 1602년 1603년 1604년 1605년 1606년 1607년 1608년 1609년 |
천년기 | 2천년기 |
세기 | 16세기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1월 8일 – 호엔촐레른가의 요아힘 프리드리히가 아버지 요한 게오르크의 사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가 되었다.
- 1월 17일 – 러시아 제국의 차르 표도르 1세가 40세의 나이로 갑작스러운 병으로 사망하며, 루릭 왕조가 막을 내렸다. 그의 미망인 이리나 고두노바가 왕위 계승을 위해 조치를 취했지만, 그녀의 통치는 단 9일간 지속되었다.
- 1월 26일 – 러시아 귀족들의 지지를 받지 못한 차리나 이리나 고두노바는 러시아의 독재자로서의 짧은 통치를 포기하고, 자신의 친오빠인 보리스 고두노프에게 왕위를 양보했다.
- 1월 30일 – 이탈리아에서 모데나와 레조 공작 체사레 데스테가 교황 클레멘스 7세가 페라라 공국의 종식을 선언한 후 모데나로 모데나와 레조 공국의 수도를 옮겼다.
- 2월 21일 – 보리스 고두노프가 귀족 의회인 젬스키 소보르의 만장일치로 러시아 차르로 선출되었다.
- 3월 19일 – 오스트리아의 아돌프 폰 슈바르첸베르크 백작이 4년 전 터키군이 점령했던 죄르의 터키 요새를 함락시켰다.[1]
- 3월 20일 – 프랑스의 브르타뉴 공국이 앙리 4세에 의해 정복되고, 앙리 4세는 브르타뉴 공작 필리프 루이 드 로렌-메르퀴르의 항복을 강요했다. 메르퀴르는 헝가리로 망명했다.
- 3월 23일 – 트란실바니아(현재 루마니아의 일부)의 시기스문트 바토리의 퇴위가 트란실바니아 귀족들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시기스문트의 사촌인 안드라시 바토리가 새로운 군주로 선출되었다.
- 4월 30일 – 멕시코에서 승천 축일에 뉴 스페인 총독이 파견한 후안 데 온야테가 리오그란데 남쪽에 자신의 부대를 집결시키고 공식적으로 강 북쪽의 모든 영토(현재 텍사스주 엘파소 부근)를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로 선포함.[3]
- 5월 6일 – 필리프 2세가 장녀인 이사벨라 클라라 에우헤니아가 알브레히트 7세와 결혼하고 두 사람이 공동으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현재 벨기에)를 통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 5월 – 티코 브라헤의 항성 목록 ''Astronomiæ instauratæ mechanica''가 출판되었는데, 여기에는 1,004개의 별의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
- 6월 9일 – 미하이 용감한이 프라하에서 신성 로마 황제 루돌프 2세와 협정을 맺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보호를 받기로 하면서, 왈라키아 공국이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와 신성 로마 제국의 속국이 되었다.[4]
- 6월 15일 – 컴벌랜드 백작인 조지 클리포드가 이끄는 20척의 배와 1,700명의 병력으로 잉글랜드가 카리브해 푸에르토리코 섬을 침략했다.[5]
- 6월 27일 – 자크 마위의 불운한 네덜란드 원정이 시작되면서 그의 배인 ''Hoop''과 ''Liefde'', ''Geloof'', ''Trouwe'', ''Blijde Boodschap''이 로테르담을 출발했다.
- 6월 30일 – 15일간의 전투 끝에 잉글랜드군이 산후안을 방어하는 스페인 요새인 산후안의 산펠리페 델 모로 성을 점령했다.[6] 영국군에서 전염병이 발생하자 컴벌랜드 백작은 철수를 결정하고 8월에 출발했다.
- 7월 10일 – 모든 도전자에게 결투를 신청하고 여러 명을 살해한 부르고뉴 출신의 검객 존 바로스가 살인죄로 교수형을 당했다. 바로스의 이야기는 극작가 벤 존슨의 희곡 ''모든 사람은 그의 기질을 지닌다''에서 각색되었다.
- 7월 12일 – 현재 멕시코의 후아레스와 미국의 엘파소에 해당하는 지역 근처에서 리오그란데 강을 건넌 후안 데 오냐테가 스스로 첫 번째 부왕이 되어 산타페 데 누에보 메히코(뉴멕시코의 산타페) 식민지를 건설했다고 선포했다. 오냐테는 뉴멕시코 부왕령의 첫 수도를 산 후안 데 로스 카바예로스라는 새로운 마을에 세웠는데, 이곳은 현재 리오 아리바 카운티, 뉴멕시코에 있는 푸에블로 원주민 도시 오케이 오윙게 근처에 위치해 있다.
- 7월 13일 – 프랑스의 앙리 4세와 로렌 공작 샤를 3세 사이의 생제르맹드레 조약의 일환으로 결혼 계약이 체결되어, 앙리 4세의 조카딸인 보르본의 카트린이 샤를 3세의 아들인 로렌의 앙리 2세와 결혼하게 된다.[7]
- 7월 – 철학자 토마소 캄파넬라가 나폴리에서 칼라브리아로 이주하는데, 이듬해 스페인 부왕의 지배에 반대하는 반란에 가담하게 된다.[10]
- 8월 14일 – 아일랜드의 옐로우 포드 전투: 타이론 백작 휴 오닐이 영국 지배에 반대하는 9년 전쟁에서 헨리 배지널이 이끄는 영국 원정군을 격파하고 승리했다.
- 9월 2일 – 네덜란드 공화국 출신의 마후 원정대가 아프리카 해안의 카보베르데에 도착하고, 많은 병사들이 치명적인 질병에 걸리는데, 그중에는 9월 23일에 사망한 자크 마위 선장도 포함되어 있다.
- 9월 10일 – 왈라키아의 미하이 2세가 니코폴리스(현재 불가리아 니코폴) 공성전을 시작했다.
- 9월 13일 – 아버지의 죽음으로 필리프 3세가 새로운 스페인 국왕이 되었다.
- 9월 17일 – 인도네시아 제2차 네덜란드 원정: 야코프 코르넬리스존 반 넥과 그가 지휘하는 3척의 배가 네덜란드 공화국 함대의 제독 Wy브란트 반 바르위크로부터 분리되어 포르투갈이 지도를 만든 섬인 일랴 두 시스네에 상륙했다. 반 넥은 그 섬을 오라녜 공 몰리스를 기리며 모리셔스라고 이름 짓는다. 1507년 디오고 페르난데스 페레이라와 포르투갈 선원들이 최초로 모리셔스를 발견했지만, 반 넥의 부하들이 멸종된 새인 도도를 최초로 목격한 것으로 보인다.
- 9월 25일 – 스웨덴 링셰핑에서 스탕게브로 전투: 가톨릭 국왕 스웨덴과 폴란드의 지기스문트가 스웨덴을 다시 장악하려는 시도가 그의 삼촌 카를의 프로테스탄트 세력에 의해 실패로 돌아갔다. 지기스문트는 얼마 지나지 않아 폐위된다.[12]
- 11월 15일 – 클레멘스 8세가 오스트리아의 알브레히트 7세와 스페인의 이사벨라 클라라 에우헤니아의 결혼을 허락했다. 두 사람은 4월 18일에 결혼할 예정이었다.
- 12월 4일 – 현재 미국 뉴멕시코주의 일부 지역에서 아코마 푸에블로(현재 뉴멕시코주 알버커키 근처)의 케레스족 추장 주타카판과 스페인 식민지 사절 후안 데 살디바르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 살디바르와 그의 16명의 부하들이 식량과 숙소를 거부당하자, 살디바르는 아코마를 약탈했고, 주타카판은 반격을 명령하여 살디바르와 11명의 부하가 사망했다.[16] 뉴멕시코 산타페 식민지의 스페인군은 1월 22일 아코마 학살을 자행하여 800명을 학살함으로써 보복했다.
- 12월 21일 – 쿠랄라바 전투: 카시케 펠란타로가 이끄는 반란군 마푸체가 남부 칠레에서 스페인군에게 큰 패배를 안겼다. 결국 비오비오 강 남쪽의 모든 스페인 도시들이 마푸체의 7개 도시 파괴로 함락되었고, 유럽인들에 의한 마푸체 영토 정복은 19세기 후반 아라우카니아 점령까지 사실상 중단되었다.
- 12월 29일 – 클레멘스 8세는 가톨릭 신자인 로렌의 앙리와 칼뱅파 신교도인 보르본의 카트린의 결혼에 대한 면죄를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자 프랑스의 앙리 4세는 랭스 대주교를 협박하여 결혼을 허락하게 했다.[7]
- 7월 23일 –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인 지기스문트 3세 바사가 80척의 수송선, 여러 척의 군함, 그리고 추방된 스웨덴 의회 의원들과 함께 그단스크를 출발하여 스웨덴을 침공했다. 군대는 7월 31일에 칼마르에 상륙하여 항복을 받아낸다.[9]
- 11월 10일 – 현재 미얀마의 라카인주에서 아라칸의 왕 민라자기와 봉기 지도자 민예 티하투 2세가 남부 버마에 남아 있는 따웅우 왕조의 영토인 바고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15]
- 중국 명나라 시대에 조시진의 책 《신기보》에 오스만 투르크와 유럽 소총병의 상세한 총기 그림과 함께 삽화가 등장했다.
- 스페인이 중국 주강 삼각주 해안의 무역항인 엘 피날에 진출했다.[20]
4. 1. 동아시아
- 8월 18일 - 조선에 주둔하던 왜군 전군이 철수하였다.[17]
- 11월 19일 (음력 12월 16일) - 노량 해전이 발발하여 조선의 이순신 장군이 전사하였다.[17] 이 해전으로 임진왜란이 종식되었다.
- 11월 19일 - 선조가 류성룡을 파직시켰다.
- 1월 29일 - 현재의 대한민국에서 조선 왕국의 5만 명의 군대와 명나라 군대가 일본이 지배하는 울산의 남서쪽 항구에 위치한 성에 대한 울산성 전투를 시작하였다.[1]
- 10월 19일 - 한국과 중국군이 일본이 점령한 순천성을 함락하려 시도하였다.[13]
- 11월 2일 - 중국과 한국 연합군의 육상 공격이 물러난 지 이틀 후, 조선 수군의 제독 이순신이 순천성을 포격하려 했으나, 많은 함대가 간조 시 얕은 물에 갇히고 일본군의 공격을 받아 조선과 일본 양측 모두 39척의 함선을 잃었다. 이순신은 다음 날 포위 공격을 중단했다.[14]
- 음력 1월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가모 소동을 이유로 가모 히데유키를 시모쓰케국 우쓰노미야성의 영주로 강등 및 이봉하였다. 아이즈에는 우에스기 가케카쓰가 증봉 및 이봉되고, 에치고국에는 호리 히데하루가 증봉 및 이봉되었다.
- 9월 18일 (게이초 3년 음력 8월 18일)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고, 셋째 아들이자 적자인 도요토미 히데요리가 뒤를 이었다.
- 5월 13일 (게이초 3년 4월 8일) - 일본 혼슈 섬의 아사마산 화산이 분화하였다.
- 8월 16일 (게이초 3년 7월 15일) -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섭정으로 일본을 다스릴 5명의 장로회의(오대로)가 후시미에서 히데요시의 명령에 따라 소집되고, 구성원들은 히데요시의 아들 히데요리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였다.[11]
- 9월 5일 (게이초 3년 8월 5일) - 죽음이 임박하자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 장군은 오대로에게 자녀들을 오사카성으로 데려와 히데요시가 지정한 후계자인 그의 아들 히데요리와 함께 지내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내렸다.[11]
4. 2. 서양
- 4월 13일 - 앙리 4세가 낭트 칙령을 공포(4월 30일)하여 프랑스 위그노들에게 가톨릭교도들과 동등한 권리를 부여했다. 이는 프랑스 종교 전쟁을 종식시켰다.[2]
- 5월 2일 - 메디치 추기경 알레산드로의 중재로 베르뱅 조약이 체결되어 프랑스와 스페인 간의 전쟁이 끝났다.
- 7월 22일 -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그의 새 희곡 ''베니스의 상인''을 "베니스의 상인 또는 베니스의 유대인이라고도 불림"이라는 제목으로 서기관 조합 등록부에 등록했다.[8]
- 사순절 - 자코포 페리의 《다프네》가 피렌체의 코르시니 궁전에서 초연되었다. 이는 최초의 근대 오페라로 알려져 있다.[18]
- 오순절 - 취리히의 칼뱅파 교회들이 예배에 음악을 도입하였다.[19]
- 잉글랜드 의회가 유랑자 처벌법을 통과시켜 유죄 판결자들을 식민지로 이송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5. 탄생
- 1월 23일 - 프랑수아 망사르(François Mansart), 프랑스 건축가 (d. 1666년)
- 3월 12일 - 기욤 콜레테(Guillaume Colletet), 프랑스 작가 (d. 1659년)
- 3월 13일 - 요하네스 로케니우스(Johannes Loccenius), 독일 역사가 (d. 1677년)
- 3월 15일 - 십자가의 레뎀프투스(Redemptus of the Cross), 포르투갈 카르멜회 평신도 형제이자 순교자 (d. 1638년)
- 3월 25일
- * 랄프 코르비(Ralph Corbie), 아일랜드 예수회 신부 (d. 1644년)
- * 로버트 트렐로니(Robert Trelawney), 잉글랜드 정치인 (d. 1643년)
- 3월 26일 - 윌리엄 루이스 1대 남작(Sir William Lewis, 1st Baronet), 잉글랜드 정치인 (d. 1677년)
- 4월 9일 - 요한 크뤼거(Johann Crüger), 독일 찬송가 작곡가 (사망 1662년)
- 4월 11일 - 작센-바이마르 공작 빌헬름(William, Duke of Saxe-Weimar), 독일 귀족 (사망 1662년)
- 4월 17일 - 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Giovanni Battista Riccioli), 이탈리아 천문학자 (사망 1671년)
- 4월 23일 - 마르턴 트롬프(Maarten Tromp), 네덜란드 해군 장교이자 제독 (사망 1653년)
- 4월 28일 - 초이시스터 백작 프랜시스 리(Francis Leigh, 1st Earl of Chichester), 잉글랜드 정치인 (사망 1653년)
- 5월 23일 - 클로드 멜랑(Claude Mellan), 프랑스 화가이자 판화가 (사망 1688년)
- 6월 4일 - 아케 헨릭손 토트(Åke Henriksson Tott), 스웨덴 군인이자 정치인 (사망 1640년)
- 6월 19일 - 길버트 셸던(Gilbert Sheldon), 캔터베리 대주교 (1663년 ~ 사망) (사망 1677년)
- 7월 6일 - 키르스텐 뭉크(Kirsten Munk), 덴마크 귀족, 크리스티안 4세의 왕비 (사망 1658년)
- 7월 29일 - 헨리쿠스 레기우스(Henricus Regius), 네덜란드 철학자 (사망 1679년)
- 7월 31일 - 알레산드로 알가르디(Alessandro Algardi), 이탈리아 바로크 조각가 (사망 1654년)
- 8월 7일 - 게오르크 슈티에른헬름(Georg Stiernhielm), 스웨덴 공무원 (사망 1672년)
- 9월 11일 - 임레 투르조(Imre Thurzó), 헝가리 귀족 (사망 1621년)
- 9월 23일 - 엘레오노라 곤자가(Eleonora Gonzaga), 신성 로마 제국 황후 (사망 1655년)
- 9월 24일 - 조반니 프란체스코 부세넬로(Giovanni Francesco Busenello), 이탈리아 가극 대본 작가 (사망 1659년)
- 9월 27일 - 로버트 블레이크(Robert Blake), 잉글랜드 제독 (사망 1657년)
- 10월 14일 - 니콜라 드뇌프빌 드 비예로이(Nicolas de Neufville de Villeroy), 프랑스 원수 (사망 1685년)
- 10월 17일 - 요르겐 크누드센 우르네(Jørgen Knudsen Urne), 덴마크 귀족 (사망 1642년)
- 10월 19일 - 이삭 코멜린(Isaac Commelin), 네덜란드 역사가 (사망 1676년)
- 10월 27일 - 라르스 스티그젤리우스(Lars Stigzelius), 스웨덴 루터교 대주교 (사망 1676년)
- 11월 3일 - 크리스티안 1세, 비르켄펠트-비슈바일러 변경백(Christian I, Count Palatine of Birkenfeld-Bischweiler) (사망 1654년)
- 11월 4일 - 에른스트 아달베르트 하라흐(Ernst Adalbert of Harrach), 오스트리아 가톨릭 추기경 (사망 1667년)
- 11월 7일 -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Francisco de Zurbarán), 스페인 화가 (사망 1664년)
- 11월 28일 - 한스 난센(Hans Nansen), 덴마크 정치가 (사망 1667년)
- 12월 7일 - 잔 로렌초 베르니니(Gian Lorenzo Bernini), 이탈리아 조각가 (사망 1680년)[21]
- 12월 20일 - 오타비오 파르네세(Ottavio Farnese), 이탈리아 귀족 (사망 1643년)
- 12월 22일 - 앙리 드 라 트레무이(Henri de La Trémoille), 프랑스 장군, 귀족 (사망 1674년)
- 12월 24일 - 마가렛 스튜어트(Margaret Stuart), 스코틀랜드 공주 (사망 1600년)
- 본벤투라 카발리에리(Bonaventura Cavalieri), 이탈리아 수학자 (사망 1647년)
- 머머듀크 랭데일(Marmaduke Langdale), 잉글랜드 내전 왕당파 (사망 1661년)
- 발다사레 롱게나(Baldassarre Longhena), 베네치아 건축가 (사망 1682년)[22]
- 장 니콜레(Jean Nicolet), 프랑스 탐험가 (사망 1642년)
- 윌리엄 스트로드(William Strode), 잉글랜드 의원 (사망 1645년)[23]
- 구드리두르 시무나르도티르(Guðríður Símonardóttir), 터키인에 의한 납치 피해자 (사망 1693년)
- *추정*
- * 장-아르망 뒤 페이레(Jean-Armand du Peyrer), 트레빌 백작, 프랑스 장교 (사망 1672년)
- * 메리 뱅크스(Mary Bankes), 잉글랜드 내전 왕당파, 코프 성 수비자 (사망 1661년)
- 진홍수, 조선의 화가 (사망 1652년)


- '추정'은 출생년도가 불분명하나 1598년으로 추정되는 경우.한국어
6. 사망
- 1월 8일 - 요한 게오르크,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이자 프로이센 공작 (1525년 출생)
- 1월 9일 - 제스퍼 헤이우드, 잉글랜드 예수회 고전학자이자 번역가 (1553년 출생)
- 1월 16일 - 표도르 1세, 러시아 차르 (1557년 출생)[24]
- 2월 10일 - 안나, 폴란드 왕비 (1573년 출생)
- 3월 4일 또는 3월 5일 - 루카스 마이우스, 루터파 종교 개혁 목사, 신학자이자 극작가 (1522년 출생)
- 3월 28일 - 미켈레 보넬리,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1541년 출생)
- 4월 8일 - 루트비히 헬름볼트, 독일 성악가 (1532년 출생)
- 4월 10일 - 야코포 마쪼니, 이탈리아 철학자 (1548년 출생)
- 4월 19일
- * 한스 후거, 독일 사업가 (1531년 출생)
- * 롯카쿠 요시카타, 일본 다이묘 (1521년 출생)
- 5월 3일 - 안나 구아리니, 이탈리아 가수 (1563년 출생)
- 5월 18일 - 필리프, 바이에른의 추기경 (1576년 출생)
- 6월 6일 - 성혼, 조선의 성리학자 겸 정치인
- 6월 - 에머리 몰리뉴, 잉글랜드 지구본 및 기구 제작자 (출생년도 미상)
- 6월 28일 -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 플랑드르 지도 제작자이자 지리학자 (1527년 출생)
- 6월 25일 - 자코모 가기니, 이탈리아 예술가 (1517년 출생)
- 7월 6일 - 권율, 조선의 무관
- 8월 4일 - 윌리엄 세실, 버글리 남작 (1520년 출생)[25]
- 8월 9일 - 안드레아스 안젤루스, 독일 목사, 교사, 브란덴부르크 변경의 연대기 작가 (1561년 출생)
- 9월 13일 - 펠리페 2세, 스페인 국왕 (1527년 출생)[26]
- 9월 18일 - 도요토미 히데요시, 일본 센고쿠시대 태합(太閤) (1537년 출생)
- 10월 11일 - 요아힘 카메라리우스 2세, 독일 과학자 (1534년 출생)
- 11월 12일 - 요하네스 쉔크 폰 그라펜베르크, 독일 의사 (1530년 출생)
- 12월 6일 - 파올로 파루타, 이탈리아 역사가 (1540년 출생)[27]
- 12월 15일 - 필립 드 마르닉스, 생트 알데곤드 백작, 네덜란드 작가이자 정치가 (1538년 출생)[28]
- 12월 16일 - 이순신, 조선의 무관 (1545년 출생)
- 12월 21일 - 김응남, 조선 문신
- 12월 31일 - 하인리히 란차우, 독일 인문주의 작가, 점성가, 점성술 작가 (1526년 출생)
- 날짜 미상
- * 황진 (1550), 조선 무신
- * 압둘라 칸 2세, 우즈베크/투르크멘 통치자
- * 테오도라 히네스, 도미니카 음악가이자 작곡가 (약 1530년 출생)
- * 니콜라 피투, 프랑스 변호사이자 작가 (1524년 출생)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Hungary
Indiana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odore Beza and the Quest for Peace in France: 1572 - 1598
https://books.google[...]
BRILL
[3]
서적
Historia de la Nueva México, 1610 : a critical and annotated Spanish/English edition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4]
서적
Istoria Românilor
Editura Al.
[5]
서적
The History of Puerto Rico
Echo Library
[6]
서적
George, Third Earl of Cumberland, 1558-1605: His Life and His Voyages
Kessinger Publishing
[7]
서적
Queen of Navarre: Jeanne d'Albret, 1528-1572
Harva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Stationers' Register entry for The Merchant of Venice
https://shakespeared[...]
Folger Shakespeare Library
[9]
서적
Warrior Kings of Sweden: The Rise of an Empir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McFarland
[10]
서적
Selected Philosophical Poems of Tommaso Campanella: A Bilingual Ed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03-30
[11]
서적
Hideyoshi
Harva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Encyclopaedia Britannica: A New Survey of Universal Knowledge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13]
서적
A Dragon's Head and a Serpent's Tail: Ming China and the First Great East Asian War, 1592–1598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4]
서적
The Imjin War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UC Berkeley Press
[15]
서적
Rakhine Yazawinthit Kyan
Tetan Sarpay
[16]
서적
The Pueblo Revolt of 1680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7]
서적
Samurai Invasion: Japan's Korean War
https://archive.org/[...]
Cassell
[18]
기타
Ottavio Rinuccini's libretto
[19]
서적
Silence: A Christian History
Allen Lane
[2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Gian Lorenzo Bernini: The Sculptor of the Roman Baroqu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2]
서적
Venice Rediscovered
https://books.googl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
[23]
백과사전
Strode, William
[24]
서적
Pretenders and popular monarchism in early modern Russia: the false tsars of the Time of Troub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William Cecil, Ireland, and the Tudor Stat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2-03-15
[26]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Volume I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New Mexico-Philip
Appleton
[28]
서적
Supplemental research and history (volume XIV)
McDowell Publications for the Freeborn Family Association
[29]
웹사이트
Francisco de Zurbarán Spanish painter
https://www.britanni[...]
[30]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1-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