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양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양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삼국 시대 위나라에 의해 남양군에서 분할되어 처음 설치되었다. 이후 서진, 동진, 남조를 거치며 여러 차례 설치 및 폐지를 반복했다. 수나라 시기에는 신주에 속했다가 의양군으로 개칭되기도 했으며, 당나라 대에는 신주로 개칭된 후 다시 의양군으로 불리다가 신주로 통합되어 사라졌다. 동진 말에는 의양군 유민을 모아 남의양군이 설치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베이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후베이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허난성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허난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서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서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의양군 |
---|
2. 연혁
삼국의 위에 의해 남양군에서 분할되어 의양군이 세워졌다. 237년(경초 원년), 양양군 락현(鄀県), 섭현(葉県)을 의양군에 전속시켰다.[1] 의양군은 형주에 속했으나 곧 폐지되었다.
서진 태강 연간에 다시 남양군을 분할하여 의양군이 세워졌다. 진의 의양군은 신야, 양, 등, 채양, 수, 안창, 극양, 궐서, 평씨, 의양, 평림, 조양의 12개 현을 관할했다.[2]
469년 (남조 송 태시 5년), 영주에 전속되었다. 476년 (원휘 4년), 사주에 전속되었다. 남조 송의 의양군은 평양, 매(鄳), 종무, 보성, 의양, 평춘, 환수의 7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제 때, '''북의양군'''으로 개칭되었다. 북의양군은 평양, 의양, 보성, 매(鄳), 종무, 환수의 6개 현을 관할했다.[4]
504년 (정시 원년), 북위의 원영이 의양을 빼앗았다.[5] 북위의 의양군은 영주에 전속되었다.[6]
528년 (대통 2년), 북위의 영주 자사 원원달이 남조 양에 항복하여 의양군은 남조 양의 통치하에 들어갔다.[7] 남조 양의 의양군은 사주에 전속되었다.
549년 (무정 7년), 동위가 의양군을 빼앗았다. 동위의 의양군은 남사주에 속했으며, 평양, 의양의 2개 현을 관할했다.[6]
북주 때, 의양군은 신주에 전속되었다.
583년 (개황 3년), 수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의양군은 폐지되어 신주에 편입되었다. 606년 (대업 2년), 신주는 의주로 개칭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의주가 의양군으로 개칭되었다. 의양군은 의양, 종산, 나산, 예산, 회원의 5개 현을 관할했다.[8]
621년 (무덕 4년), 당에 의해 의양군은 신주로 개칭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신주는 의양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의양군은 신주로 개칭되어 의양군의 호칭은 사라졌다.[9]
2. 1. 조위
의양군은 조위 때 처음 등장하나, 정확한 연혁은 알 수 없다. 명제 때 양양군의 약현(鄀縣)·섭현(葉縣)을 의양군으로 편입시켰다는 기록만 확인된다.[1] 위에 의해 남양군에서 분할되어 의양군이 세워졌으며, 237년(경초 원년) 양양군의 락현(鄀県), 섭현(葉県)을 의양군에 전속시켰다.[1] 의양군은 형주에 속했으나, 곧 폐지되었다.2. 2. 서진
280년(진 무제 태강 원년), 남양군 남부 지방의 12개 현이 분리 신설되며 의양군이 형성되었다.[11] 288년(진 무제 태강 9년) 수현 일대가 수군으로, 301년(진 혜제 영녕 원년) 신야현 일대가 신야군으로 분리되면서 지금의 신양시 서부 일대로 축소되었다. 서진 시대에는 12현 19,000호를 거느렸다.[1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신야현 | 新野縣 | 난양시 신예현 | 301년 신야군이 분리되면서 신야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
양현 | 穰縣 | 난양시 덩저우시 | 301년 신야군에 편입되었다. |
등현 | 鄧縣 | 샹양시 판청구 등성(邓城)고성 | 301년 신야군에 편입되었다. |
채양현 | 蔡陽縣 | 샹양시 짜오양시 동 채양포(蔡阳铺) | |
수현 | 隨縣 | 쑤이저우시 쩡두구 | 288년 수군이 분리되면서 수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
안창현 | 安昌縣 | 샹양시 짜오양시 오점진(吳店鎭) 북 | |
극양현 | 棘陽縣 | 난양시 신예현 전고묘향(前高廟鄕) 남 | 301년 신야군에 편입되었다. |
궐서현 | 闕西縣 | 쑤이저우시 당현진(唐縣鎭) | |
평씨현 | 平氏縣 | 난양시 퉁바이현 평씨진(平氏鎭) | 316년 폐지되었다. |
의양현 | 義陽縣 | 난양시 퉁바이현 회원진(淮源鎭) 일대 | 317년 평춘현에 통폐합되었다. |
평림현 | 平林縣 | 쑤이저우시 은점진(殷店鎭) 남 | 288년 수군에 편입되었다. |
조양현 | 朝陽縣 | 난양시 신예현 남 장장(張庄)일대 | |
평춘현 | 平春縣 | 신양시 핑차오구 평창관진(平昌關鎭) | 『진서』 지리지에는 강하군의 속현으로 기록되어있으나 『송서』 주군지에는 본군의 속현으로 기록되어있다. 학계에선 송서의 기록을 정설로 따르고 있다.[12] |
맹현 | 鄳縣 | 신양시 뤄산현 서남 유태촌(劉台村)일대 |
2. 3. 동진·남조
동진 이후에도 의양군은 계속 형주의 속군이었다가 남예주가 신설됨에 따라 남예주로 편입되었다. 469년(유송 명제 태시 5년) 영주로 편입되었다가 476년(유송 후폐제 원휘 4년), 북위에 의해 여남군이 공격당하자, 사주자사부가 본군으로 옮겨졌다. 당시 의양태수였던 여안국은 사주자사로 임명되었다. 유송 말엽에는 7현 8,031호 41,597명을 거느렸다.[12]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평양현 | 平陽縣 | 389년 신양시 스허구 유림향(柳林鄕)으로 이전. | 후상 | 385년(동진 효무제 태원 10년), 평춘현에서 평양현(平陽縣)으로 개명되었다. 389년(동진 효무제 태원 14년) 치소가 인순성(仁順城)으로 옮겨졌다. |
맹현 | 鄳縣 | 신양시 뤄산현 서남 유태촌(劉台村)일대 | 령 | |
종무현 | 鍾武縣 | 령 | ||
보성현 | 寶城縣 | 신양시 뤄산현 서 후소만(后小塆)일대 | 령 | 456년(유송 효무제 효건 3년), 맹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의양현 | 義陽縣 | 신양시 핑차오구 후황만(后黃塆)일대 | 령 | 456년 평양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평춘현 | 平春縣 | 신양시 핑차오구 평창관진 남일대 | 령 | |
환수현 | 環水縣 | 장 | 467년(유송 명제 태시 3년), 송안군에 내속되었다. 이후 송안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에 편입되었다. 464년(유송 효무제 대명 8년) 의양군 동수이좌군(東隨二左郡)이 송안현으로 개명되고 의양군에 내속되었다. |
469년 (남조 송 태시 5년), 영주에 전속되었다. 476년 (유송 후폐제 원휘 4년), 사주에 전속되었다. 남조 송의 의양군은 평양, 매(鄳), 종무, 보성, 의양, 평춘, 환수의 7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제 때, '''북의양군'''으로 개칭되었다. 북의양군은 평양, 의양, 보성, 매(鄳), 종무, 환수의 6개 현을 관할했다.[4]
2. 4. 북조
북위가 의양군 일대를 점령하여 영주(郢州)를 설치했고, 북주는 영주를 신주(申州)로 이름을 바꿨다. 수나라는 군현제를 폐지하고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의양군을 폐지하고 휘하 현들을 모두 신주의 속현으로 만들었다. 606년(수 양제 대업 2년) 의주(義州)로 이름을 바꿨다가,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다시 의양군으로 이름을 바꿨다. 의양군은 5현 45,930호를 거느렸다.[13]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의양현 | 義陽縣 | 신양시 | 588년(수 문제 개황 8년), 송안군(宋安郡)이 폐지되면서 평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현내에 대귀산(大龜山), 금산(金山)이 있었다. |
종산현 | 鐘山縣 | 신양시 핑차오구 동남 오관영(吴官营) 남 | 504년(북위 선무제 정시 원년) 제안현(齊安縣)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584년(수 문제 개황 4년), 제안군이 폐지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현내에 종산(鐘山)이 있었다. |
나산현 | 羅山縣 | 신양시 뤄산현 | 550년(북제 문선제 천보 원년) 고안현(高安縣)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583년(수 문제 개황 3년) 폐지되었다가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지금의 이름으로 복치되었다. |
예산현 | 禮山縣 | 신양시 스허구 마림와(麻林洼) | 534년(동위 효정제 천평 원년) 동수현(東隨縣)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589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관관(關官)과 예산(禮山)이 있었다. |
회원현 | 淮源縣 | 신양시 핑차오구 평창관진 남 | 438년(유송 문제 원가 15년) 송안군에서 모화현(慕化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491년(남제 무제 영명 9년), 송안군이 남회안좌군(南淮安左郡)으로 개명되면서 회안군에 내속되었다가 500년(남제 후폐제 영원 2년) 폐지되었다. 564년(북주 무제 보정 4년) 복치되어 회안군에 내속되었다. 개황초 회안군이 폐지되면서 신주의 속현으로 내속되었고 대업초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유수(油水)가 흘렀다. |
504년(정시 원년), 북위의 원영이 의양을 빼앗았다.[5] 북위의 의양군은 영주에 전속되었다.[6]
528년(대통 2년), 북위의 영주 자사 원원달이 남조 양에 항복하여, 의양군은 남조 양의 통치하에 들어갔다.[7]
549년(무정 7년), 동위가 의양군을 빼앗았다. 동위의 의양군은 남사주에 속했으며, 평양, 의양 2개 현을 관할했다.[6]
북주 때, 의양군은 신주에 전속되었다.
2. 5. 수
수나라가 군현제를 폐지하고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의양군이 폐지되고 휘하 현들은 모두 신주의 속현이 되었다. 606년(수 양제 대업 2년) 의주(義州)로 개명되었다가,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의양군으로 개명되었다. 5현 45,930호를 거느렸다.[13]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의양현 | 義陽縣 | 신양시 | 588년(수 문제 개황 8년), 송안군(宋安郡)이 폐지되면서 평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대귀산(大龜山), 금산(金山)이 있었다. |
종산현 | 鐘山縣 | 신양시 핑차오구 동남 오관영(吴官营) 남 | 504년(북위 선무제 정시 원년) 제안현(齊安縣)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584년(수 문제 개황 4년), 제안군이 폐지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현내에 종산(鐘山)이 있었다. |
나산현 | 羅山縣 | 신양시 뤄산현 | 550년(북제 문선제 천보 원년) 고안현(高安縣)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583년(수 문제 개황 3년) 폐지되었다가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지금의 이름으로 복치되었다. |
예산현 | 禮山縣 | 신양시 스허구 마림와(麻林洼) | 534년(동위 효정제 천평 원년) 동수현(東隨縣)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589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관관(關官)과 예산(禮山)이 있었다. |
회원현 | 淮源縣 | 신양시 핑차오구 평창관진 남 | 438년(유송 문제 원가 15년) 송안군에서 모화현(慕化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491년(남제 무제 영명 9년), 송안군이 남회안좌군(南淮安左郡)으로 개명되면서 회안군에 내속되었다가 500년(남제 후폐제 영원 2년) 폐지되었다. 564년(북주 무제 보정 4년) 복치되어 회안군에 내속되었다. 개황초 회안군이 폐지되면서 신주의 속현으로 내속되었고 대업초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유수(油水)가 흘렀다. |
2. 6. 당
237년 (경초 원년), 양양군 락현(鄀県), 섭현(葉県)을 의양군에 전속시켰다.[1] 의양군은 형주에 속했다. 위의 의양군은 곧 폐지되었다.621년 (무덕 4년), 당에 의해 의양군은 신주로 개칭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신주는 의양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의양군은 신주로 개칭되어 의양군의 호칭은 사라졌다.[9]
3. 남의양군
동진 말년에 의양군의 유민을 모아 '''남의양군'''이 설치되었다.
남조 송나라와 남조 제나라 때, 남의양군은 평씨현(平氏縣)·궐서현(厥西縣)의 2개 현을 관할했다.
589년(개황 9년), 수나라가 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남의양군은 예주로 개명되었다.
4. 속현
삼국 시대 위나라에 의해 남양군에서 분할되어 의양군이 설치되었다. 237년(경초 원년), 양양군 락현(鄀県)과 섭현(葉県)이 의양군에 편입되었고[1], 의양군은 형주에 속했다. 그러나 위의 의양군은 곧 폐지되었다.
서진 태강 연간에 남양군을 다시 분할하여 의양군이 설치되었다. 진의 의양군은 신야, 양, 등, 채양, 수, 안창, 극양, 궐서, 평씨, 의양, 평림, 조양의 12개 현을 관할했다[2].
469년 (남조 송 태시 5년), 영주에 편입되었다가, 476년 (원휘 4년) 사주로 편입되었다. 남조 송의 의양군은 평양, 매(鄳), 종무, 보성, 의양, 평춘, 환수의 7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제 때, '''북의양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북의양군은 평양, 의양, 보성, 매(鄳), 종무, 환수의 6개 현을 관할했다[4].
504년 (정시 원년), 북위의 원영이 의양을 점령하면서[5] 북위의 의양군은 영주에 속했다[6].
528년 (대통 2년), 북위의 영주 자사 원원달이 남조 양에 항복하여 의양군은 남조 양의 통치하에 들어갔고[7], 남조 양의 의양군은 사주에 속했다.
549년 (무정 7년), 동위가 의양군을 점령하면서 동위의 의양군은 남사주에 속했으며, 평양, 의양의 2개 현을 관할했다[6].
북주 때, 의양군은 신주에 속했다.
583년 (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의양군은 폐지되어 신주에 편입되었다. 606년 (대업 2년), 신주는 의주로, 607년 (대업 3년)에는 다시 의양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의양군은 의양, 종산, 나산, 예산, 회원의 5개 현을 관할했다[8].
621년 (무덕 4년), 당나라에 의해 의양군은 신주로 이름이 바뀌었다. 742년 (천보 원년), 신주는 다시 의양군으로, 758년 (건원 원년)에는 신주로 다시 이름이 바뀌면서 의양군의 명칭은 사라졌다[9].
동진 말년에 의양군의 유민들을 모아 '''남의양군'''이 설치되었다. 남조 송과 남조 제 시기에 남의양군은 평씨현·궐서현의 2개 현을 관할했다. 589년 (개황 9년), 수나라가 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남의양군은 예주로 개명되었다.
4. 1. 서진
280년(진 무제 태강 원년), 남양군 남부지방의 12개 현이 분리 신설되며 형성되었다. 288년(진 무제 태강 9년) 수현 일대가 수군으로, 301년(진 혜제 영녕 원년) 신야현 일대가 신야군으로 분리되면서 지금의 신양시 서부 일대로 축소되었다. 서진대에는 12현 19,000호를 거느렸다.[1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신야현 | 新野縣 | 난양시 신예현 | 301년 신야군 분리 후 신야군의 중심지가 됨. |
양현 | 穰縣 | 난양시 덩저우시 | 301년 신야군에 편입됨. |
등현 | 鄧縣 | 샹양시 판청구 등성(邓城)고성 | 301년 신야군에 편입됨. |
채양현 | 蔡陽縣 | 샹양시 짜오양시 동 채양포(蔡阳铺) | |
수현 | 隨縣 | 쑤이저우시 쩡두구 | 288년 수군 분리 후 수군의 중심지가 됨. |
안창현 | 安昌縣 | 샹양시 짜오양시 오점진(吳店鎭) 북 | |
극양현 | 棘陽縣 | 난양시 신예현 전고묘향(前高廟鄕) 남 | 301년 신야군에 편입됨. |
궐서현 | 闕西縣 | 쑤이저우시 당현진(唐縣鎭) | |
평씨현 | 平氏縣 | 난양시 퉁바이현 평씨진(平氏鎭) | 316년 폐지됨. |
의양현 | 義陽縣 | 난양시 퉁바이현 회원진(淮源鎭) 일대 | 317년 평춘현에 통폐합됨. |
평림현 | 平林縣 | 쑤이저우시 은점진(殷店鎭) 남 | 288년 수군에 편입됨. |
조양현 | 朝陽縣 | 난양시 신예현 남 장장(張庄)일대 | |
평춘현 | 平春縣 | 신양시 핑차오구 평창관진(平昌關鎭) | 『진서』 지리지에는 강하군의 속현으로 기록되어있으나, 『송서』 주군지에는 본군의 속현으로 기록되어 있어 학계에서는 송서의 기록을 정설로 따름.[12] |
맹현 | 鄳縣 | 신양시 뤄산현 서남 유태촌(劉台村)일대 |
4. 2. 유송
469년(유송 명제 태시 5년) 영주로 편입되었다가 476년(유송 후폐제 원휘 4년), 북위에 의해 여남군이 공격당하자, 사주자사부가 본군으로 옮겨졌다. 당시 의양태수였던 여안국은 사주자사로 임명되었다. 유송말엽에는 7현 8,031호 41,597명을 거느렸다.[12]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평양현 | 平陽縣 | 389년 신양시 스허구 유림향(柳林鄕)으로 이전. | 후상(候相) | 385년(동진 효무제 태원 10년), 평춘현에서 평양현(平陽縣)으로 개명되었다. 389년(동진 효무제 태원 14년) 치소가 인순성(仁順城)으로 옮겨졌다. |
맹현 | 鄳縣 | 신양시 뤄산현 서남 유태촌(劉台村)일대 | 영(令) | |
종무현 | 鍾武縣 | 영(令) | ||
보성현 | 寶城縣 | 신양시 뤄산현 서 후소만(后小塆)일대 | 영(令) | 456년(유송 효무제 효건 3년), 맹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의양현 | 義陽縣 | 신양시 핑차오구 후황만(后黃塆)일대 | 영(令) | 456년 평양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평춘현 | 平春縣 | 신양시 핑차오구 평창관진 남일대 | ||
환수현 | 環水縣 | 장(長) | 467년(유송 명제 태시 3년), 송안군에 내속되었다. 이후 송안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에 편입되었다. 464년(유송 효무제 대명 8년) 의양군 동수이좌군(東隨二左郡)이 송안현으로 개명되고 의양군에 내속되었다. |
4. 3. 수
수나라는 군현제를 폐지하고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의양군을 폐지하고, 휘하 현들을 모두 신주의 속현으로 삼았다. 606년(수 양제 대업 2년) 의주(義州)로 개명되었다가,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의양군으로 개명되었다. 5현 45,930호를 거느렸다.[13]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의양현 | 義陽縣 | 신양시 | 588년(수 문제 개황 8년) 송안군(宋安郡)이 폐지되면서 평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대귀산(大龜山), 금산(金山)이 있었다. |
종산현 | 鐘山縣 | 신양시 핑차오구 동남 오관영(吴官营) 남 | 504년(북위 선무제 정시 원년) 제안현(齊安縣)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584년(수 문제 개황 4년) 제안군이 폐지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현내에 종산(鐘山)이 있었다. |
나산현 | 羅山縣 | 신양시 뤄산현 | 550년(북제 문선제 천보 원년) 고안현(高安縣)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583년(수 문제 개황 3년) 폐지되었다가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지금의 이름으로 복치되었다. |
예산현 | 禮山縣 | 신양시 스허구 마림와(麻林洼) | 534년(동위 효정제 천평 원년) 동수현(東隨縣)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589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관관(關官)과 예산(禮山)이 있었다. |
회원현 | 淮源縣 | 신양시 핑차오구 평창관진 남 | 438년(유송 문제 원가 15년) 송안군에서 모화현(慕化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491년(남제 무제 영명 9년) 송안군이 남회안좌군(南淮安左郡)으로 개명되면서 회안군에 내속되었다가 500년(남제 후폐제 영원 2년) 폐지되었다. 564년(북주 무제 보정 4년) 복치되어 회안군에 내속되었다. 개황 초 회안군이 폐지되면서 신주의 속현으로 내속되었고 대업 초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유수(油水)가 흘렀다. |
참조
[1]
서적
三国志
魏書明帝紀
[2]
서적
晋書
地理志下
[3]
서적
宋書
州郡志二
[4]
서적
南斉書
州郡志下
[5]
서적
魏書
景穆十二王列伝
[6]
서적
魏書
地形志二中
[7]
서적
梁書
武帝紀下
[8]
서적
隋書
地理志下
[9]
서적
旧唐書
地理志三
[10]
서적
宋書
州郡志三
[11]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12]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13]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