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적은 권력자에게는 범죄자이지만 민중에게는 정의를 행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도적을 의미한다. 영국의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은 사회적 도적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의적을 민중과 관련을 맺는 존재로 정의했다. 프랑스 아날 학파의 페르낭 브로델은 16세기 도적의 급증을 빈곤과 과잉 인구를 배경으로 한 잠재적인 농민 폭동으로 해석했다. 16세기 로빈 후드의 의적화는 국가 권력에 대한 민중의 소망이 투영된 결과로 분석되기도 한다. 의적은 한국, 동아시아, 세계 각지에서 역사적으로 존재했으며, 현대에는 대중문화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묘사된다.

2. 정의

영국의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은 일반적인 도적 외에 '사회적 도적'(social bandit)이라는 구분을 제시했는데, 이것이 여기서 말하는 의적이다.[1] 홉스봄은 의적을, 권력자에게는 범죄자이지만 민중에게는 "정의"를 행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반드시 민중과 관련을 맺고 있는 도적으로 정의했다.[1] 그러나 현재는 민중과 관련이 없더라도 의적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어, 홉스봄의 정의를 "협의의 의적", 한 가지 조건만 만족하는 경우를 "광의의 의적"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

홉스봄은 의적이 농업에서 공업으로 사회가 이행하는 시대에 나타나며, 이념은 없지만 민중의 반발과 분노를 받아 가장 먼저 일어선 자이며, 민중 운동의 선구자가 된다고 보았으나, 이는 여러 연구자들로부터 비판받았다.[1]

프랑스 아날 학파의 페르낭 브로델은 16세기 도적의 급증이 빈곤과 과잉 인구를 배경으로 한, 영주나 권력에 대한 잠재적인 농민 폭동이라고 정의했다.[2] 브로델은 강도 행위가 불공정한 정치에 대한 복수이며, 국가 권력의 정의가 일관성이 없을수록 도적의 활동은 민중으로부터 정의로 간주된다고 보았다.[2] 브로델은 도적과 의적을 명확히 분류하지 않았지만, 도적 안에 때때로 정의를 행하는 일면이 있고, 민중이 이를 판단하며, 국가와의 긴장 관계 속에서 이것이 드러난다는 점을 지적했다.[2]

3. 역사적 배경

3. 1. 로빈 후드의 의적화

15세기 무렵까지의 발라드에서의 로빈 후드는 의적이 아니었다. 제임스 클라크 홀트/James Holt (historian)영어1960년에 지적한 바에 따르면, 발라드에서 불리는 로빈 후트는 이상적인 젠트리의 모습 그 자체였으며, 영주와의 대립도 하위 귀족이 상위 귀족의 타락을 규탄하는 구도였다.

16세기에 들어서면서, 독립 자영 농민인 요먼을 중심으로 전해지면서 로빈 후드 전설에 "농민과 영주의 투쟁"이라는 가치관이 도입된다. 17세기의 마틴 파커, 18세기의 조지프 리트슨을 시작으로 로빈 후드를 소재로 한 작가들은 앞다투어 민중의 편인 로빈 후드상을 묘사했고, 로빈 후드는 "민중 측의 반항자"로서 현재 알려진 의적으로서의 성격을 형성해 갔다.

현재, 로빈 후드의 행동으로 알려진 것은, "항상 가난한 자와 억압받는 자의 편이며, 부유한 자에게서 빼앗아 가난한 자에게 나눠주고, 자위와 정당한 경우(원수 갚기 등) 외에는 살인을 저지르지 않으며, 부패한 영주와 성직자를 국왕 등을 대신하여 바로잡는다"와 같은 것이지만, 의적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이러한 행동 중 어느 하나를 행했다고 민중에게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비록 실제로는 하지 않았더라도)이 필요했다.[3]

16세기에 일어난 로빈 후드의 "의적화"에 대해, 사회학자인 이매뉴얼 월러스틴은 자신이 제창하는 세계 체제론에서 설명을 시도하고 있다. 월러스틴은 국가가 절대 왕정으로 변모해 가는 과정에서의 권력 불균형에 반발하는 민중이, 로빈 후드의 허상에 "권력자에 항거하는 아웃 로"라는 소망을 투영했다고 보았다. 그 경향은 인플레이션과 인구 과밀, 식량 분배에 대해 국가가 무력할수록 두드러졌으며, 의적으로 행동하는 자, 의적을 지지하는 자의 토양이 되었다. 따라서, 월러스틴의 의적론은, 근대 이후의 의적을 낳은 근본 원인을 국가와 사회의 혼란에서 찾고 있다.[4]

3. 2. 프랑스 아날 학파의 연구

4. 한국의 의적

조선 초기의 도적 홍길동은 의적으로 알려져 있다. 명나라의 해적 정지룡청나라의 해적 장보가 있었다. 중화민국의 도적으로는 옌쯔리산/燕子李三중국어이, 타이완의 도적으로는 랴오 톈딩이 알려져 있다.

4. 1. 홍길동

4. 2. 임꺽정

4. 3. 일지매

5. 동아시아의 의적

이시카와 고에몬, 우라야도 시치베에, 구니사다 주지, 니혼자에몬, 네즈미코조는 일본의 도적들이다. 구니사다 주지는 덴포 대기근 때 재산을 팔아 주민들을 도왔다고 전해진다. 니혼자에몬은 가부키 『아오토즈시 하나노 니시키에』에 등장하는 인물의 모델이다. 네즈미코조는 강담이나 가부키에서 의적으로 각색되었다. 송강은 북송의 산적으로, 『수호전』에서 의적으로 각색되었다. 정지룡은 명나라의 해적이며, 장보는 청나라의 해적이다. 은 중화민국의 도적이며, 랴오 톈딩은 타이완의 도적이다. 홍길동은 이씨 조선의 도적이다.

6. 세계의 의적

이시카와 고에몬, 우라야도 시치베에, 니혼자에몬, 네즈미코조는 일본의 도적이다. 구니사다 주지는 일본의 협객으로, 덴포 대기근 때 재산을 팔아 구니사다 촌의 주민들에게 베풀었다고 전해진다. 스테판 라진은 러시아, 은 프랑스의 밀수업자로 징세원과 적대하여 소금과 담배를 밀수하여 싸게 유통시켰으며, 는 안달루시아에서 사회적 부조리에 맞서 싸운 산적으로 여겨진다. 로버트 로이 맥그리거(통칭: 롭 로이), 랑피옹은 브라질 북동부, 페르남부쿠 주의 도적, 유라이 야노시크는 슬로바키아, 로자 샨도르는 헝가리의 도적, 제시 제임스, 빌리 더 키드, 존 딜린저는 미국의 강도, 보니 앤 클라이드는 미국의 범죄자로 1930년대 초반 중서부에서 은행 강도와 살인을 반복했다. 살바토레 줄리아노는 이탈리아, 네드 켈리는 오스트레일리아, 풀란 데비는 인도의 도적, 송강은 북송의 산적으로 훗날 『수호전』에서 의적으로 각색되었고, 정지룡은 명나라, 장보는 청나라, 은 중화민국의 도적, 랴오 톈딩은 타이완, 홍길동은 이씨 조선, 로베르토 코프레시는 푸에르토리코의 해적이다.

영국의 경우 엘리자베스 시대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간선도로(highway)를 따라 말에 타서 여행자와 통행인을 습격한 "하이웨이맨(Highwayman)"이 의적으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다. 하이웨이맨#의적으로서의 취급 참조.

7. 현대적 의의

8. 대중문화 속 의적

아르센 뤼팽, 일지매, 우카이 레이, 운타마기루, A팀, 늑대의 발톱[5], 쾌도전대 루팡렌저, 괴도 모나리자[6], 구름 도둑 잠페이, 검은 기사, 검은 튤립, 크로사기, 흑의 기사단, 홍길동, 고에몽[7], 마음의 괴도단, 코브라, 세인트 테일, 초류향, 조로, 대도적단 데저트 로즈[8], 덴포 세상 바로잡기 당[9], ? (수수께끼)의 클로버[10][11], 하라구치 요리코, 비밀 × 전사 팬텀 미라주!, 마프티 나비유 에린, 철화단, 요시미츠, 로빈 후드 등이 대중문화 속 의적으로 묘사된다.

참조

[1] 서적 남쪽 무덤 1999
[2] 서적 남쪽 무덤 1999
[3] 서적 남쪽 무덤 1999
[4] 서적 남쪽 무덤 1999
[5] 웹사이트 왕궁의 트리니티 G판타지 SQUARE ENIX https://magazine.jp.[...] 2023-06-12
[6] 웹사이트 【連載版】Dの十字架 007 壊盗モナ・リザ (LINEマンガ) - 井本仁 - 無料まんが・試し読みが豊富!電子書籍をお得に買うならebookjapan https://ebookjapan.y[...] 2023-06-30
[7] 웹사이트 『新装版 がんばれゴエモン ゆき姫救出絵巻』(帯 ひろ志) 製品詳細 講談社コミックプラス https://kc.kodansha.[...] 2023-06-12
[8] 웹사이트 お伽話をあなたに 月夜の舞姫(漫画) https://mangapedia.c[...] 2023-06-12
[9] 서적 叛き者: 疾風の義賊二 〈新装版〉 https://www.amazon.c[...] 徳間書店 2019-01-11
[10] 웹사이트 만화와 캐릭터 https://katsudi.com/[...] 2023-06-11
[11] 웹사이트 이제, 수수께끼의 클로버 토크쇼 개최 - Matsumoto Katsuji https://katsudi.com/[...] 2013-10-23
[12] 서적 유협기담 민유사 1930-10
[13] 백과사전 의적
[14] 서적 의적 정의를 훔치다 돌베게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