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매뉴얼 월러스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매뉴얼 월러스틴은 1930년 뉴욕에서 태어나 2019년 사망한 미국의 사회학자이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아프리카 연구를 시작으로 세계 자본주의 경제를 분석하는 '세계체제 분석' 이론을 주창했다. 그는 1974년부터 2011년까지 출판된 저서 '근대 세계체제'를 통해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형성과 발전을 다루었으며, '반체제 운동'을 지지했다. 월러스틴은 1980년대부터 미국의 쇠퇴를 주장하고 자본주의의 사회주의적 대체를 예측했으며, 1968년의 세계 혁명이 자유주의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사회학자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사회학자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뉴욕 출신 작가 - 이방카 트럼프
    이방카 트럼프는 사업가, 전직 모델, 백악관 선임 고문으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딸이자 트럼프 그룹 부사장을 역임했으며, 트럼프 행정부에서 무보수 백악관 선임 고문으로 활동하며 여성 기업가 지원, 경제 정책, 인신매매 방지 등의 분야에서 활동했다.
  • 뉴욕 출신 작가 - 트루먼 커포티
    트루먼 카포티는 미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로, '미리엄'으로 데뷔하여 『다른 목소리, 다른 방들』로 주목받았고, 『티파니에서 아침을』과 논픽션 소설 『냉혈』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나, 미완성 소설 『응답받은 기도』는 그의 인간관계를 파탄냈으며 방탕한 생활과 약물 중독으로 사망했다.
  • 폴란드 유대계 미국인 - 나프탈리 베네트
    나프탈리 베네트는 이스라엘의 정치인으로, 기업가 출신이며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이스라엘 총리를 역임했고, 우익 민족주의 성향을 보이며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외교 관계 수립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 폴란드 유대계 미국인 - 노버트 위너
    노버트 위너는 미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서 사이버네틱스를 창시했으며, 브라운 운동, 푸리에 변환, 위너 필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자동화 기술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다 1964년에 사망했다.
이매뉴얼 월러스틴
기본 정보
이름이매뉴얼 월러스틴
원어 이름Immanuel Wallerstein
출생일1930년 9월 28일
출생지뉴욕주뉴욕
사망일2019년 8월 31일
사망지코네티컷주브랜포드
국적미국
분야사회학자, 역사학자
학문 분야
세부 학문 분야역사 사회학, 비교 사회학, 세계 시스템 이론
영향카를 마르크스
블라디미르 레닌
로자 룩셈부르크
페르낭 브로델
안드레 군더 프랑크
라울 프레비시
카를 폴라니
요제프 슘페터
지그문트 프로이트
프란츠 파농
일리야 프리고진
학력 및 경력
모교컬럼비아 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
박사 지도 교수로버트 스토턴 린드
주요 제자비벌리 J. 실버
마이클 헥터
존 R. 로건
근무 기관컬럼비아 대학교
맥길 대학교
빙엄턴 대학교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예일 대학교
업적
주요 업적세계 시스템 이론
기타 정보
배우자베아트리스 프리드먼
자녀캐서린 월러스틴, 로버트 모르겐스턴, 수잔 모르겐스턴
웹사이트이매뉴얼 월러스틴 웹사이트

2. 생애

1930년 미국 뉴욕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폴란드계 유대인 이민자였다.[46] 이들은 제1차 세계 대전 때문에 베를린으로 이주했다가 1923년 뉴욕으로 이민을 갔다.[7] 정치적으로 의식이 있는 가정에서 자란 월러스틴은 10대 때 처음으로 세계 정세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47] 그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1951년 학사, 1954년 석사, 1959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1년부터 1953년까지 미군에서 복무했다.[47] 제대 후 매카시즘에 관한 석사학위 논문을 썼는데, 월러스틴 자신이 나중에 말한 것처럼 널리 인용된 작품들은 "1950년대의 언어로, '정치적 사회학자'인 나를 고려해야 한다는 내 의식을 확인시켜 주었다"고 말했다.[47]

1964년 5월 25일, 비아트리스 프리드먼과 결혼하였다.[48] 그 부부는 슬하에 3명의 자녀와 5명의 손자를 두었다.[48]

3. 학문적 경력

이매뉴얼 월러스틴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문적 경력을 시작했다. 1951년 학사, 1954년 석사, 1959년 박사 학위를 모두 이 대학에서 취득했으며, 1958년부터 1971년까지 강사 및 사회학 부교수로 재직했다.[48] 1955년부터 1956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공부하기도 했다.

1951년부터 1953년까지 미국 육군 복무 후, 매카시즘에 대한 석사 논문을 썼는데, "1950년대 용어로 저 자신을 '정치 사회학자'라고 생각해야 한다는 확신을 심어주었다"라고 회고했다.[8]

1971년 몬트리올맥길 대학교로 옮겨 5년간 교수로 재직했고,[49] 1976년 빙햄턴 대학교 페르낭 브로델 센터 책임자가 되어 1999년 은퇴할 때까지 사회학 특훈 교수로 재직했다. 페르낭 브로델 센터는 "장기간에 걸친 대규모 사회 변화" 연구를 목표로 설립되었으며,[51] 월러스틴이 창간 편집한 ''Review''를 통해 사회학, 역사, 정치경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9]

홍콩중문대학교,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암스테르담 등 여러 대학에서 초빙교수를 지냈고, 고등사회과학원 객원 연구 주임을 역임했다. 1994년부터 1998년까지 국제사회학협회 회장을, 1990년대에는 굴벤키안 위원회 의장을 맡아 사회과학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52]

2000년부터 2019년 사망할 때까지 예일 대학교 선임 연구원으로 일했으며,[53] ''사회 진화와 역사'' 자문 편집위원이었다. 2003년 미국 사회학회 '명예장학상'을,[12] 2004년 국제 N. D. 콘드라티예프 재단과 러시아 자연과학 아카데미에서 금콘드라티예프 훈장을 받았다.[20]

그의 학문적 업적과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2014년국제사회학협회 연구 및 실천 우수상
2005년러시아 자연과학 아카데미 N.D. 콘드라티예프 금메달
2004년~현재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세인트존스칼리지 명예 연구원
2004년~현재치아파스 대학교와 CIDECI 라스 카사스 이매뉴얼 월러스틴 연구정보문헌센터
2003년미국 사회학회 탁월한 학문적 업적상, 세계체제의 정치경제 분과 탁월한 학문적 업적상, 멕시코 제3세계 문화기금 칼 마르크스상
2002년~헨트 대학교 이매뉴얼 월러스틴 석좌교수직
1998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국제관계학회 국제정치경제학(IPE) 탁월한 학자상
1994년굴벤키안 과학기술 교수직
1992년헬싱키 대학교 대학 메달
1991년홍콩중문대학교 외래교수, 빙엄턴 대학교 탁월한 학문적 업적상
1989년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캠퍼스 조지 A. 밀러 외래교수
1984년프랑스 예술문학훈장
1975년미국 사회학회 소로킨상
1970년~1971년스탠퍼드 대학교 행동과학 고등연구센터 연구원, 포드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펠로우
1955년~1957년아프리카 외국 지역 펠로우십
1951년미국 명예 학회 회원


3. 1. 초기 연구: 아프리카와 탈식민주의

월러스틴은 1951년과 1952년 국제청소년회의에 참석한 뒤, 아프리카 탈식민주의 문제 전문가로 학문 활동을 시작했다.[54] 1970년대 초까지 그의 출판물은 거의 이 주제에 집중되었는데, 이는 그가 아프리카의 독립과 발전이 세계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어떻게 제약되는지를 분석했기 때문이다.

3. 2. 1968년 컬럼비아 대학교 시위

1968년 컬럼비아 대학교 시위 당시 사회학 부교수였던 월러스틴은 학생들을 지지하며, 베트남 전쟁에 대한 대학의 개입에 반대하는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1] [48]

4. 이론

월러스틴의 이론은 세계체제 분석이라고 불리며, 카를 마르크스, 프란츠 파농, 페르낭 브로델, 일리야 프리고진 등 다양한 이론가들의 영향을 받았다.


  • 카를 마르크스: 세계 정치에서 경제적 요인과 이데올로기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자본과 노동의 이분법적 사고를 수용했다. 그러나 봉건주의와 자본주의와 같은 단계를 통한 세계 경제 발전에 대한 결정론적이거나 목적론적인 마르크스주의적 견해는 비판했다.
  • 종속 이론: "중심"과 "변방"의 핵심 개념을 수용했다.
  • 프란츠 파농: 현대 세계체제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와 지적 가치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47]
  • 페르낭 브로델: 1400년에서 1800년 사이 유럽 세계의 광범위한 경제 교류 네트워크의 발전과 그 정치적 함의를 설명하며, 시간과 공간의 사회적 구성과 그것이 분석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47]
  • 일리야 프리고진: 확실성이 존재하지 않는 세상에서 지식의 가능성을 탐구했다.[47]


월러스틴은 1968년의 "세계 혁명"이 자유주의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주장했으며,[56] 1980년대부터 미국의 패권 쇠퇴를 예측했다. 그는 이라크 전쟁 이후 자신의 주장이 더욱 확산되었다고 보았다. 그는 세계 사회 포럼에 참여하고 글을 썼다.

4. 1. 세계체제 분석

월러스틴은 세계를 하나의 단일한 자본주의 세계체제로 파악했다. 이 체제는 핵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구성되며, 각 지역은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 핵심부(Core): 고도의 기술 개발을 통해 복잡한 제품을 생산한다. 선진국을 지칭하며, 경제력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 반주변부(Semi-periphery): 핵심부와 주변부 사이에서 중간적 역할을 수행한다. 동유럽, 중국, 브라질, 멕시코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주변부(Periphery): 선진국에 비해 개도국을 가리킨다. 원료, 농산물, 값싼 노동력을 핵심부에 제공하며, 핵심부와 불평등한 교환 관계를 맺는다.


월러스틴은 이러한 핵심부, 반주변부, 주변부 간의 불평등한 분업 구조가 자본주의의 본질적인 특징이며, 제도적으로 안정되어 있다고 주장했다.[60] 그는 제3세계라는 개념을 거부하고, 로마 제국과 같은 세계 제국과 달리 정치적 중심은 없으며 세계 시장 경제에 의해 확인되는 단일한 세계만이 존재한다고 보았다.[60]

월러스틴은 1968년의 "세계 혁명"이 자유주의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주장했으며,[56] 1980년대부터 미국의 패권 쇠퇴를 예측했다. 그는 이라크 전쟁 이후 자신의 주장이 더욱 확산되었다고 보았다.[57] 또한, 자본주의 세계 경제의 발전이 세계 인구의 많은 부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으며,[57] 마르크스와 마찬가지로 자본주의가 사회주의 경제로 대체될 것이라고 예측했다.[58]

4. 2. 비판

월러스틴의 이론은 신자유주의자나 보수주의자들뿐만 아니라 그의 주장 중 일부가 역사적으로 부정확할 수도 있다고 말하는 일부 역사학자들로부터도 혹평을 받았다.[61]

일부 비평가들은 월러스틴이 자본주의의 경제적 과정으로부터 독립된 세계 문화의 세계 시스템이 있다고 주장하며 현대 세계 시스템의 문화적 차원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61] 이것은 그것을 단순히 경제적 관심의 기관으로 쉽게 드러날 수 있는 국가의 "공식적인" 이념으로 줄여준다.

아서 스틴치컴(Arthur Stinchcombe)은 월러스틴의 『근대 세계-체계』를 매우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이 책은 이론적 주장과 결정적인 메커니즘을 제시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대신, 이 책의 이론은 "세계 시스템의 영향을 찾아야 한다는 학자를 위한 일반적인 명령어"로 축소되며, 현명한 조언일 수 있지만 매우 구체적이지는 않다고 주장한다. 스틴치컴은 또한 이 책이 그 효과와는 독립적으로 개념을 정의하지 않아, 중심부, 주변부, 반주변부에 대한 동어반복을 초래한다고 주장한다.[32]

5. 주요 저서

년도제목출판사
1961독립의 정치: 아프리카 (Africa, The Politics of Independence)빈티지 북스(Vintage Books)
1964독립으로 가는 길: 가나와 코트디부아르 (The Road to Independence: Ghana and the Ivory Coast)무통(Mouton)
1967아프리카: 통일의 정치 (Africa: The Politics of Unity)랜덤 하우스(Random House)
1969혼란 속의 대학: 변화의 정치 (University in Turmoil: The Politics of Change)아테네움 북스(Atheneum Books)
1972아프리카: 전통과 변화 (Africa: Tradition & Change)랜덤 하우스(Random House)
1974근대 세계-체제, 제1권: 자본주의 농업과 16세기 유럽 세계 경제의 기원 (The Modern World-System, vol. I: Capitalist Agriculture and the Origins of the European World-Economy in the Sixteenth Century)아카데믹 프레스(Academic Press)
1979자본주의 세계 경제 (The Capitalist World-Economy)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근대 세계-체제, 제2권: 중상주의와 유럽 세계 경제의 통합, 1600-1750 (The Modern World-System, vol. II: Mercantilism and the Consolidation of the European World-Economy, 1600–1750)아카데믹 프레스(Academic Press)
1982세계-체제 분석: 이론과 방법론 (World-Systems Analysis: Theory and Methodology)세이지(Sage)
1982세계 위기의 역동성 (Dynamics of Global Crisis)맥밀란 출판사(Macmillan Publishers)
1983역사적 자본주의 (Historical Capitalism)베르소 북스(Verso Books)
1984세계 경제의 정치: 국가, 운동, 문명 (The Politics of the World-Economy. The States, the Movements and the Civilizations)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아프리카와 현대 세계 (Africa and the Modern World)아프리카 월드 프레스(Africa World Press)
1989근대 세계-체제, 제3권: 자본주의 세계 경제의 두 번째 대확장, 1730-1840년대 (The Modern World-System, vol. III: The Second Great Expansion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1730-1840s)아카데믹 프레스(Academic Press)
1989반체제 운동 (Antisystemic Movements)베르소(Verso)
1990혁명의 변혁: 사회 운동과 세계 체제 (Transforming the Revolution: Social Movements and the World-System)먼슬리 리뷰 프레스(Monthly Review Press)
1991인종, 민족, 계급: 모호한 정체성 (Race, Nation, Class: Ambiguous Identities)베르소(Verso)
1991지정학과 지오컬처: 변화하는 세계 체제에 관한 에세이 (Geopolitics and Geoculture: Essays on the Changing World-System)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사회과학의 비판적 사고: 19세기 패러다임의 한계 (Unthinking Social Science: The Limits of Nineteenth Century Paradigms)폴리티(Polity)
1995자유주의 이후 (After Liberalism)뉴 프레스(New Press)
1995역사적 자본주의와 자본주의 문명 (Historical Capitalism, with Capitalist Civilization)베르소(Verso)
1998유토피스틱스: 또는 21세기의 역사적 선택 (Utopistics: Or, Historical Choices of the Twenty-first Century)뉴 프레스(New Press)
1999우리가 아는 세상의 종말: 21세기를 위한 사회과학 (The End of the World As We Know It: Social Science for the Twenty-first Century)미네소타 대학교 출판부(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1민주주의, 자본주의, 그리고 변혁 (Democracy, Capitalism, and Transformation)도쿠멘타 11, 비엔나, 2001년 3월 16일
2003미국 권력의 쇠퇴: 혼란스러운 세계 속의 미국 (Decline of American Power: The U.S. in a Chaotic World)뉴 프레스(New Press)
2004지식의 불확실성 (The Uncertainties of Knowledge)템플 대학교 출판부(Temple University Press)
2004https://archive.org/details/worldsystemsanal0000wall 세계-체제 분석: 소개 (World-Systems Analysis: An Introduction)듀크 대학교 출판부(Duke University Press)
2004대안들: 미국이 세계에 맞서다 (Alternatives: The U.S. Confronts the World)패러다임 프레스(Paradigm Press)
2006유럽 보편주의: 권력의 수사학 (European Universalism: The Rhetoric of Power)뉴 프레스(New Press)
2011근대 세계-체제, 제4권: 중도 자유주의의 승리, 1789-1914 (The Modern World-System, vol. IV: Centrist Liberalism Triumphant, 1789–1914)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불확실한 세계: 변화하는 시대의 세계-체제 분석 (Uncertain Worlds: World-Systems Analysis in Changing Times)패러다임 퍼블리셔스(Paradigm Publishers)
2013자본주의는 미래가 있는가? (Does Capitalism Have a Future?)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Oxford University Press)
2015세상이 뒤죽박죽이다: 지속적인 양극화에 대한 세계사적 해석 (The World is Out of Joint: World-Historical Interpretations of Continuing Polarizations)패러다임 퍼블리셔스(Paradigm Publishers)
2022세계 좌파: 어제, 오늘, 내일 (The Global Left: Yesterday, Today, Tomorrow)라우틀리지(Routledge)


6. 한국 사회에 대한 영향

월러스틴의 세계체제 분석은 1980년대 이후 한국 사회과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이론은 한국의 경제 발전과 민주화 과정을 세계 자본주의 체제와의 관계 속에서 분석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했다. 특히, 그의 이론은 학생운동, 노동운동, 민주화운동 등 사회 변혁 운동의 이론적 기반이 되기도 했다. 그의 반체제 운동 개념은 권위주의적 정권에 대한 저항과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다만, 그의 이론이 한국의 특수한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7. 사망

Immanuel Wallerstein|이매뉴얼 월러스틴영어은 2019년 8월 31일, 88세의 나이로 코네티컷주 자택에서 사망하였다.[45]

참조

[1] Dissertation The Emergence of Two West African Nations: Ghana and the Ivory Coast ProQuest LLC 1959
[2] Youtube China and the World System since 1945 https://www.youtube.[...]
[3] 서적 The AZ Guide to Modern Social and Political Theorists Prentice Hall/Harvester Wheatsheaf
[4] 웹사이트 Agence Global https://agenceglobal[...]
[5] 웹사이트 This is the end; this is the beginning https://www.iwallers[...] 2019-07-04
[6] 웹사이트 ISA Presidents http://www.isa-socio[...]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2012-07-25
[7] 웹사이트 Wallerstein to Polak, są dokumenty http://minakowski.pl[...] 2019-09-02
[8] 서적 The Essential Wallerstein http://iwallerstein.[...] The New Press
[9] 서적 Social Thought: from the Enlightenment to the present Westview Press
[10] 뉴스 Immanuel Wallerstein, Sociologist With Global View, Dies at 88 https://www.nytimes.[...] 2023-10-02
[11] 서적 Social Theory: The Multicultural and Classical Readings Westview Press
[12]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http://iwallerstein.[...] 2009-04
[13] 웹사이트 Immanuel Wallerstein https://www.isa-soci[...] 2023-10-05
[14] 서적 Social Thought: from the Enlightenment to the present Westview Press
[15] 웹사이트 Binghamton University – Fernand Braudel Center: About FBC: Intellectual Report http://binghamton.ed[...]
[16] 서적 Contemporary social and sociological theory: visualizing social worlds https://archive.org/[...] Pine Forge Press
[17] 서적 Social theory : the multicultural and classic readings Westview Press
[18] 웹사이트 Immanuel Wallerstein http://www.iwallerst[...] 2014-02-27
[19] 서적 The AZ Guide to Modern Social and Political Theorists Prentice Hall/Harvester Wheatsheaf
[20]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N. D. Kondratieff Foundation http://www.ikf2010.r[...] 2012-05-29
[21] 뉴스 Immanuel Wallerstein, Sociologist with Global View, Dies at 88 https://www.nytimes.[...] 2019-09-10
[22] 뉴스 Essays in memory of Immanuel Wallerstein (1930-2019) {{!}} MR Online https://mronline.org[...] 2023-10-05
[23] 뉴스 Essays in memory of Immanuel Wallerstein (1930-2019) {{!}} MR Online https://mronline.org[...] 2023-10-05
[24] 서적 The Essential Wallerstein The New Press
[25] 간행물 Special Contribution: Interview with Immanuel Wallerstein Retrospective on the Origins of World-Systems Analysis
[26]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Modern History Sourcebook: Summary of Wallerstein on World System Theory http://www.fordham.e[...] 1997-08
[28] 웹사이트 World Systems Theory http://web.mit.edu/e[...] 2003-11
[29] 서적 Social Theory: The Multicultural and Classical Readings Westview Press
[30] 서적 Social Change and Development: Modernization, Dependency, and World-Systems Theory Sage Publications 1990
[31] 서적 Dictionary of Sociology Penguin Books Ltd
[32] 간행물 The Growth of the World System 1982
[33] 간행물 Remembering Immanuel Wallerstein 2020-03-10
[34] 서적 World-systems analysis :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35] 웹사이트 What Is the Kondratiev Wave? http://www.wisegeek.[...] 2012-09-30
[36] 논문 Globalization and the sociology of Immanuel Wallerstein: A critical appraisal http://www.soc.ucsb.[...] SAGE Publications 2016-10-11
[37] 서적 The Essential Wallerstein http://iwallerstein.[...] The New Press 2000
[38] 논문 McCarthism and the Conservative, Master's Thesis Columbia University 1954
[39] 간행물 独立への道—ガーナとコートディヴォワール 1964
[40] 문서 2001
[41] 웹사이트 http://www.binghamto[...]
[42] 문서 アナール学派の拠点とされている。
[43] 문서 通常の大学における客員教授に相当。
[44] 웹사이트 Gulbenkian Commission http://www.binghamto[...]
[45] 뉴스 ウォーラーステイン氏が死去 米社会学者、歴史学者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9-09-05
[46] 서적 Rodney, Red (27 September 1927–27 May 1994), jazz trumpeter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2
[47] 논문 The Essential Wallerstein http://dx.doi.org/10[...] 2000-11
[48] 논문 Labor in the World Social Structure (Explorations in the World-Economy, Vol. 2). http://dx.doi.org/10[...] 1984-11
[49] 논문 Social Theory http://dx.doi.org/10[...] 2018-05-15
[50] 논문 Social Theory http://dx.doi.org/10[...] 2018-05-15
[51] 논문 Labor in the World Social Structure (Explorations in the World-Economy, Vol. 2). http://dx.doi.org/10[...] 1984-11
[52] 서적 Social theory : the multicultural and classic readings https://www.worldcat[...] Westview Press 2010
[53] 논문 A-Z Guide to Modern Social and Political Theorists http://dx.doi.org/10[...] 2014-06-03
[54] 논문 The Essential Wallerstein http://dx.doi.org/10[...] 2000-11
[55] 논문 Special Contribution: Interview with Immanuel Wallerstein Retrospective on the Origins of World-Systems Analysis http://dx.doi.org/10[...] 2013-08-26
[56]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57] 논문 Internet Modern History Sourcebook0081Author/Compiler: Paul Halsall. Internet Modern History Sourcebook. Date of Publication: 1997, updated periodically. Price: No charge http://dx.doi.org/10[...] 2000-07
[58] 논문 Second Canadian seminar on systems theory for the civil engineer http://dx.doi.org/10[...] 1984-06
[59] 논문 Social Theory http://dx.doi.org/10[...] 2018-05-15
[60] 논문 Book Review: Social Change and Development: Modernization, Dependency and World-System Theories, by Alvin Y. So,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90 http://dx.doi.org/10[...] 1991-10
[61] 논문 Sovereign Individuals of Capitalism http://dx.doi.org/10[...] 1988-01
[62] 서적 World-systems analysis : an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04
[63] 논문 Wave steepness retrieved from scatterometer data in a genetic algorithm http://dx.doi.org/10[...] 20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