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주군은 북한 평안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강남산맥이 지나가고 압록강, 삼교천 등의 하천이 흐르며, 천마산을 비롯한 여러 산이 분포한다. 역사를 살펴보면, 고려 시대에 의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는 평안도의 주요 지역 중 하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신의주에 지역 중심 도시의 지위를 빼앗겼으며, 1952년 현재의 행정 구역으로 개편되었다. 현재는 1읍, 2로동자구, 17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과 광업, 수력 발전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교통은 덕현선 철도와 도로를 이용하며, 의주비행장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주군 - 백마산성
- 의주군 - 통군정
통군정은 압록강변 삼각산 정상에 위치한 관서팔경 중 하나로, 고려 시대 창건 추정, 조선 중종 때 재건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파괴 후 복원되었으며, 현재 북한 보물 제51호로 지정된 조선 초기 정자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유산이다. - 평안북도의 군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 평안북도의 군 - 동창군
동창군은 평안북도 동부의 산악 지형에 위치하며 자강도와 경계를 접하고 1952년 창성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군으로, 금, 은, 인회석 등의 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옥수수 경작과 소규모 수력 발전이 이루어지고 1개의 읍, 1개의 로동자구, 16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 1914년 설치 - 이촌동
이촌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한강변 모래벌판에서 이주한 주민들에 의해 "옮겨진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으며, 동부이촌동은 일본인 거주 지역, 서부이촌동은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고, 한강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요 시설과 이촌역을 통해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한다. - 1914년 설치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의주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유형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도 | 평안북도 |
![]() | |
행정 구역 | |
종류 | 1읍, 2 노동자구, 17리 |
읍 | 의주읍 |
노동자구 | 2개 |
리 | 17개 |
지리 | |
면적 | 420km² |
인구 | |
2008년 | 110,018명 |
기타 | |
언어 | 한국어 |
로마자 표기 | Ŭiju-gun |
McCune-Reischauer 표기 | Ŭiju-gun |
Revised Romanization 표기 | Uiju-gun |
2. 지리
의주군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화인민공화국(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강남산맥과 삼교천, 내옥천 등의 여러 하천, 그리고 신의주평야가 위치한다. 이 하천들은 압록강의 지류이다. 천마산이 최고봉이며, 그 외의 산들은 모두 해발 700m 이하이다.
압록강 유역에는 다지도(옛 검동도와 다지도가 합쳐진 섬), 어적도, 구리도, 수구도 등 여러 하중도가 있다.
의주군은 동쪽으로 삭주군과 구성시, 남쪽으로 선천군과 철산군, 서쪽으로 룡천군과 신의주시와 접한다. 북쪽으로는 중국과 국경을 접하며, 압록강 건너편은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전안구(구 구련성)이다.
3. 역사
예로부터 한반도의 서북쪽 관문이었다. 거란이 991년 생여진과 고려를 압박하기 위해서 검동도(黔同島)에 내원성(來遠城)을, 1014년 고려 침략의 전진기지로 삼으려고 보주성(保州城)을 쌓았고,[5] 1117년 3월 고려가 수복하여 보주의 이름을 '''의주'''(義州)로 고치고 의주방어사가 설치되었다. 1269년부터는 원나라의 동녕부에 속했다. 1366년에 의주목, 1592년에 의주부로 승격되었다.
명대·청대의 조선의 사절은 의주와 서쪽 맞은 편 구련성(九連城) 사이에서 압록강을 건넜다. 평안도의 중심의 하나이며, 1895년에는 현재의 평안북도 일대를 관할하는 의주부가 놓여졌고 1907년부터 한동안 평안북도의 도청도 놓여졌다. 그러나 1905년에 경의선이 개통하고 1911년에 일본 제국에 의해 압록강에 압록강철교가 가설되면서 철도 역전에 발달한 신의주시에 지역의 중심 도시로서의 지위를 빼앗겼다.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룡천군 양광면 구룡동, 삼대동 | 의주군 피현면 일부 |
- 1944년 5월 10일: 광평면 청수동을 삭주군 청수읍으로 이관하였다.[12]
- 2002년 4월에는 압록강의 중간 섬에 위치한 서호면 등 군의 일부가 신의주 특별 행정구로 지정되었다.
- 1117년 - 의주방어사가 설치됨.
- 1221년 - 함신으로 불림. 이후 의주가 됨.
- 1269년 - 원의 동녕부에 속함.
- 1366년 - 의주목으로 승격.
- 1592년 - 의주부로 승격.
- 1895년 - 23부제에 의한 의주부가 설치됨.
- 1896년 - 평안북도 의주군이 됨 (13도제).
- 광화면·양상면·양하면·양서면·미라면이 용천군에 편입.
- 1905년 - 경의선이 개통.
- 1907년 - 평안북도 관찰사가 영변에서 의주로 이전.
- 1914년 4월 1일 - 군면 통폐합에 따라, 의주부 광성면의 일부가 신의주부로 분리, 의주부의 나머지 부분이 '''의주군'''으로 개편. 의주군에 다음 면이 성립. (16면)
- 주내면·의주면·고관면·송장면·수진면·고성면·고진면·고령삭면·옥상면·가산면·광성면·비현면·월화면·위원면·광평면·위화면
- 1921년 - 평안북도청이 신의주부로 이전.
- 1929년 4월 1일 - 광성면·고성면의 각 일부가 신의주부에 편입. (16면)
- 1931년 4월 1일 - 의주면이 의주읍으로 승격. (1읍 15면)
- 1941년 4월 1일 (1읍 13면)
- 광성면 및 고진면·고성면의 각 일부가 신의주부에 편입.
- 고진면의 잔부가 용천군 양광면에 편입.
- 1943년 10월 1일 (1읍 12면)
- 주내면이 의주읍에 편입.
- 용천군 양광면의 일부가 비현면에 편입.
- 1944년 5월 10일 - 광평면의 일부가 신설된 삭주군 청수읍의 일부가 됨. (1읍 12면)
- 1945년(광복 직후) - 의주읍이 의주면으로 강등. (13면)
- 1952년 12월 -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의주군 의주면·고성면·송장면·수진면·위화면 및 고관면의 일부, 신의주시의 일부 지역을 가지고, '''의주군'''을 설치. 의주군에 다음 읍·리가 성립. (1읍 20리)
- 의주읍·태산리·정문리·연하리·연무리·대문리·금광리·운천리·하단리·상단리·서호리·룡운리·홍남리·덕룡리·룡계리·수진리·대화리·미송리·춘산리·중단리·선상리
- 1954년 (1읍 18리)
- 선상리 및 정문리의 일부가 신설된 광성군에 편입.
- 정문리의 잔부가 하단리에 편입.
- 1961년 - 상단리·하단리가 신의주시에 편입. (1읍 16리)
- 1963년 - 덕룡리가 덕현노동자구로 승격. (1읍 1노동자구 15리)
- 1972년 (1읍 2노동자구 15리)
- 연하리가 연하노동자구로 승격.
- 룡운리의 일부가 분립하여, 어적리가 발족.
- 1974년 - 청성군 추리·삼하리를 편입. (1읍 2노동자구 17리)
- 1989년 (1읍 2노동자구 17리)
- 일부를 신의주시 광명구역에 편입.
- 연하노동자구 및 홍남리의 일부 → 연하동.
- 서호리의 일부 → 다지리.
- 덕현노동자구의 일부가 분립하여, 덕룡노동자구가 발족.
- 1990년 - 수진리의 일부가 덕룡노동자구에 편입. (1읍 2노동자구 17리)
- 1992년 (1읍 2노동자구 17리)
- 홍남리의 일부가 의주읍에 편입.
- 서호리의 일부가 홍남리에 편입.
- 2002년 9월 12일 - 군역의 일부가 신의주 특별행정구로 지정됨. (1읍 2노동자구 17리)
- 지정되는 지역은 서호리 및 홍남리·태산리의 각 일부이다.
4. 행정 구역
광복 당시 의주군은 의주읍, 위화면, 고성면, 가산면, 고관면, 고령삭면, 광평면, 비현면, 송장면, 수진면, 옥상면, 월화면, 위원면 등 1읍 12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는 1읍(의주읍), 2개 로동자구(덕룡로동자구, 덕현로동자구), 17개 리(금광리, 대문리, 대산리, 대화리, 룡계리, 룡운리, 미송리, 삼하리, 서호리, 수진리, 어적리, 연무리, 운천리, 중단리, 추리, 춘산리, 홍남리)로 구성되어 있다.
4. 1. 읍
의주읍은 의주군의 읍으로, 군의 중심지이다.읍 | 로동자구 | 리 |
---|---|---|
의주읍 | 덕룡로동자구 덕현로동자구 | 금광리, 대문리, 대산리, 대화리, 룡계리, 룡운리, 미송리, 삼하리, 서호리, 수진리, 어적리, 연무리, 운천리, 중단리, 추리, 춘산리, 홍남리 |
4. 2. 로동자구
의주군은 1개의 읍, 2개의 로동자구, 17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1]이름 | 한자 |
---|---|
덕룡로동자구 | 德龍勞動者區 |
덕현로동자구 | 德峴勞動者區 |
4. 3. 리
현재 의주군은 1읍, 2로동자구, 17리로 구성되어 있다.이름 | 한자 | 로마자 표기 |
---|---|---|
의주읍 | 義州邑 | Uiju-up |
덕룡로동자구 | 德龍勞動者區 | Tongryong-rodongjagu |
덕현로동자구 | 德峴勞動者區 | Tokhyon-rodongjagu |
금광리 | 金光里 | Kumgwang-ri |
대문리 | 大門里 | Taemun-ri |
대산리 | 臺山里 | Taesan-ri |
대화리 | 大花里 | Taehwa-ri |
룡계리 | 龍溪里 | Ryonggye-ri |
룡운리 | 龍雲里 | Ryongun-ri |
미송리 | 美松里 | Misong-ri |
삼하리 | 三下里 | Samha-ri |
서호리 | 西湖里 | Seoho-ri |
수진리 | 水鎭里 | Sujin-ri |
어적리 | 於赤里 | Ojok-ri |
연무리 | 燕武里 | Yonmu-ri |
운천리 | 雲川里 | Unchon-ri |
중단리 | 中端里 | Chungdan-ri |
추리 | 楸里 | Chu-ri |
춘산리 | 春山里 | Chunsan-ri |
홍남리 | 弘南里 | Hongnam-ri |
5. 산업
이 군에서는 농업을 주로 하며, 압록강과 삼교천 유역에선 쌀농사가 이루어진다. 보리, 밀, 조, 수수, 옥수수, 콩, 팥, 감자, 삼 등을 주로 생산한다. 축산업도 이뤄진다. 원래는 임업이 발달했지만, 원목 생산이 많이 줄어들었다. 철, 니켈 등이 매장되어 있다. 광업도 이뤄진다. 수풍댐의 건설로 수력 발전으로 전력을 생산한다.
6. 교통
겨울에는 얼어붙은 압록강을 이용해서 도보로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건너갈 수 있으나, 무단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탈하는 사람이 많아 경비가 삼엄하다. 덕현선 철도가 부설되어 있으며, 도로가 놓여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덕현선 철도 노선이 지난다. 또한 의주비행장(ICAO 공항 코드: ZKUJ)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o One Hurt as Earthquake Rocks Korea
http://english.chosu[...]
2015-09-09
[2]
웹사이트
'Korea is not safe from earthquakes'
https://www.koreatim[...]
2015-09-09
[3]
웹사이트
평안북도 의주군 역사
http://www.cybernk.n[...]
[4]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날짜 정보가 불완전 하여 00-00-00으로 표기
[5]
문서
고려의 천리장성 축조
[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1호
1929-03-23
[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4호
1941-03-26
[10]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97호
1943-09-29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96호
1943-09-29
[12]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98호
1944-05-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김정은, 신의주 온실농장·제방공사 현장시찰…"물난리는 옛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