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화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화단은 19세기 말 청나라 말기에 일어난 반외세, 반기독교 무장 운동 단체이다. 처음에는 '민의회'로 불렸으며, 영미권에서는 중국 무술을 연마한 구성원들을 '복서'라고 불렀다. 의화단은 1778년 청나라 정부 문서에 처음 등장한 '의화권'에서 기원했으며, 산둥성 등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백련교, 팔괘교 등의 영향을 받았다. 제2차 아편전쟁 이후 선교사들의 내륙 선교가 허용되자 반기독교 운동에 참여했으나, 청일전쟁 이후 열강의 침략이 심화되면서 의화단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900년에는 '청을 돕고, 외국인을 타도하자'는 구호를 내걸고 외국인과 기독교인들을 공격하며, 8개국 연합군과 충돌하여 베이징 공사관 포위전을 일으켰다. 이후 청 정부의 진압으로 의화단의 난은 종결되었으며, 관련 사건은 북청사변으로 불린다. 의화단 운동은 영화, 만화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로도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밀교 - 명교
    명교는 중국으로 전래된 마니교가 중국화된 형태로, 당나라의 탄압과 융합을 거쳐 중국 구원 종교에 영향을 주며 송, 원나라 시대까지 명맥을 유지했고 현재 중국 남부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으며 교리와 우주론 문헌이 전해진다.
  • 중국의 밀교 - 배상제회
    배상제회는 1840년대 펑윈산이 광시성에서 창립한 종교 결사로, 기독교 영향을 받아 상제 신앙을 중심으로 홍수전의 신앙을 전파하며 조직되었고, 1851년 금전 봉기를 통해 태평천국을 건국하고 태평천국의 난으로 이어졌다.
  • 중국의 비밀결사 - 화흥회
    화흥회는 황흥이 1904년에 창립한 중국의 혁명 단체로, 만주족 축출과 중화 부흥을 목표로 반청 활동을 전개했으며, 이후 중국 동맹회와 합병하여 중국 혁명 운동에 기여했다.
  • 중국의 비밀결사 - 배상제회
    배상제회는 1840년대 펑윈산이 광시성에서 창립한 종교 결사로, 기독교 영향을 받아 상제 신앙을 중심으로 홍수전의 신앙을 전파하며 조직되었고, 1851년 금전 봉기를 통해 태평천국을 건국하고 태평천국의 난으로 이어졌다.
  • 청나라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청나라 - 제1차 아편 전쟁
    제1차 아편 전쟁은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청나라와 영국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광저우 무역 체제와 아편 밀매가 원인이 되어 영국의 승리로 끝났으며, 난징 조약 체결로 청나라의 몰락을 가속화하고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의화단
명칭 및 표어
다른 이름매화권 (1898년)
화의단 (1899년)
의화권 (1899년–1901년)
슬로건외국인을 죽여라! 외국 귀신의 추종자들을 도살하라!
표어청나라를 받들고 외국인을 멸하라!
깃발
의화단 깃발
흑기군에서 영감을 받은 의화단 깃발
주요 정보
지휘관조복전
지휘관장덕성
활동 기간1890년대–1901년 9월
국가청나라
규모50,000–100,000명
이념
전쟁
주요 전투의화단 운동
중국어 명칭
국립 정의 그룹hant: 義民會
hanzi: 义民会
병음: Yìmínhuì
웨이드-자일스: I⁴-min²-hui⁴
광둥어: Ji6 man4 wui2
월병: Yih-màhn-wuí
화의단hant: 義和團
hanzi: 义和团
병음: Yìhétuán
웨이드-자일스: I⁴-ho²-t'uan²
광둥어: Ji6 wo4 tyun4
월병: Yih-wòh-tyùhn
매화권hant: 梅花拳
hanzi: 梅花拳
병음: Méihuāquán
웨이드-자일스: Mei²-hua¹-ch'üan²
광둥어: Mui4 faa1 kyun4
월병: Muìh-fā-kyùhn
화의권hant: 義和拳
hanzi: 义和拳
병음: Yìhéquán
웨이드-자일스: I⁴-ho²-ch'üan²
광둥어: Ji6 wo4 kyun4
월병: Yih-wòh-kyùhn
관련 정보
관련 단체백련교
이전 단체대도회
적군팔개국 연합군

2. 명칭

의화단의 전신은 '의화권'(義和拳) 또는 '의화문'(義和門)으로, 이 명칭은 1778년(건륭 43년) 청나라 관방 문서에 처음 등장한다.[19] 초기에는 산둥성, 즈리성, 허난성, 장쑤성 등지에 분포했으며, 백련교의 한 파인 팔괘교(八卦敎), 매화권(梅花拳), 신권(神拳), 대도회(大刀會) 등 다양한 기원을 가진 집단들이 포함되었다.[19][20]

청일전쟁 이후 열강의 침략이 심화되면서 '의화권'이라는 명칭은 점차 '의화단'으로 바뀌기 시작했고, 1900년 봄과 여름 사이에 즈리성, 산둥성 등지에서 '의화단'이라는 명칭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21]

서구권에서는 이 단체의 구성원들이 당시 "중국 권법"으로 불리던 중국 무술을 연마했기 때문에 "복서(Boxers)"라고 불렀다.[2][3] 1899년 청나라 보고서에서는 이들을 처음 "민의회"(義民會|Yìmínhuìzho)로 기록했으나,[4] 이후 이는 실수였으며 실제 명칭은 의화단(義和團|Yìhétuánzho)으로, 의로운 연합 민병대로 번역될 수 있다고 정정되었다.

1898년에는 이 단체를 매화권(梅花拳|Méihuāquánzho)이라고 부르기도 했으나, 이 이름은 1899년 이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5]

최근 영어권 출판물에서는 "정의롭고 조화로운 권법 단체" 또는 의화권(義和拳|Yìhéquánzho)으로 번역되는 명칭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의화단' 기반의 이름보다 더 널리 쓰이기도 한다.[6] 영어 표기는 병음, 웨이드-자일스 등 다양한 로마자 표기법이 사용된다.[7] 의화단은 "청조를 돕고 서양인을 멸한다"는 의미의 부청멸양(扶淸滅洋)을 구호로 내걸었다.[15]

3. 기원

의화단의 전신은 '의화권'(義和拳) 또는 '의화문'(義和門)으로 불렸으며, 1778년(건륭 43년) 청나라 관방 문서에 처음으로 그 존재가 기록되었다.[19] 당시 이들은 산둥성, 즈리 성(현 허베이성), 허난성, 장쑤성 일대에 분포하고 있었다. 그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는데, 비밀결사의 하나인 백련교의 한 파인 팔괘교(八卦敎)에 속했거나, 매화권(梅花拳), 신권(神拳), 대도회(大刀會) 등 다른 무술 단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 또한 민간의 자위 조직인 단련(團練)에서 비롯되었다거나,[19] 민간 종교와 권회(拳會)적 요소가 결합된 형태, 혹은 산둥 서부 지방의 신권에서 기원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20] 청나라 통치 기간 동안 대도회나 백련교와 같은 비국가 비밀 결사들은 종종 상당한 영향력과 무력을 행사했으며, 이는 황제의 통치력이 미치지 못하거나 부패가 만연한 지역에서 활동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의화단이 수련한 의화권 자체는 의화단 운동보다 훨씬 이전인 1779년에도 청 정부 문서에 기록될 정도로 존재했으나, 당시에는 그 실체가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다.[8]

의화단에 가담한 이들은 평소 각자의 생업에 종사하다가 여가 시간을 이용해 권법과 무술을 연마했다.[19] 초기 구성원은 주로 농민이었으며, 여기에 실직한 청년, 몰락한 장인, 해고된 노동자들이 합류했다.[9] 해산된 제국 군인이나 지역 민병대 출신도 일부 포함되었다.[10] 초기 의화단은 통일된 조직 체계를 갖추지 못했고, 주로 세력이 있는 촌락을 중심으로 인근의 무리들이 모여 활동하는 분산적인 형태를 띠었다.[19] 1880년대 중반에는 허베이성의 장덕성, 산둥성의 주홍등과 같은 지역 인물들이 소규모 그룹을 이끌며 활동하기도 했다.

제2차 아편전쟁 이후 외국 선교사들의 내지 선교 활동이 공식적으로 인정되면서, 의화단은 자발적으로 반기독교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19] 이들은 중국 내 외국 세력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했으며, 1896년 7월에는 산둥성 서부에서 독일 선교사들을 공격하는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5] 그러나 초기에는 조직적인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아 대규모 활동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19]

청일전쟁 이후 열강의 침략이 더욱 거세지면서 의화단 운동에도 큰 변화가 나타났다. 의화권이라는 명칭 대신 '의화단'이라는 이름이 점차 사용되기 시작했으며,[21] 1898년에는 이전까지 분리되어 있던 산둥성과 허베이성의 의화단 조직이 통합되고 내부적으로 계급 구조가 확립되는 등 조직화가 진전되었다. 이 시기 잠시 '매화권'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도 했으나, 곧 '의화단'으로 통일되었다.[5] 1898년 5월, 광서제는 산둥-즈리 국경 지역에서 의화단의 활동에 대한 조사를 명했고, 장여미(張汝梅)를 파견했으나 그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보고했다. 1900년 봄과 여름 사이에는 즈리 성, 산둥 등지에서 '의화단'이라는 명칭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면서 본격적인 의화단의 시대가 시작되었다.[21]

4. 발전

청일전쟁 이후 열강의 침략이 격화되면서 의화권의 활동이 본격화되었다.[19][21] 이 시기 의화권의 명칭은 점차 '의화단'으로 바뀌기 시작했으며, 1900년 봄과 여름 사이에 직예, 산둥 등지에서 의화단이라는 명칭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면서 의화단의 시대가 시작되었다.[21] 서양인의 시각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민족 자위 단체의 출현으로 비춰졌다.[21]

1898년 3월, 의화단은 "청을 받들고 외국인을 타도하자!" (부청멸양(扶淸滅洋))[15]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거리에서 민중을 선동하기 시작했다.[2] 주요 지도자로는 조복전이 있었으며,[2] 직례성에서는 유성상과 장덕성 등이 활동했다.

1900년 의화단 병사


1899년 10월 황실 군대와의 전투 이후, 의화단은 중국 문화의 순수성을 더럽힌다고 여겨지는 기독교 선교사와 그 활동에 주로 집중했다. 청 정부 내에서는 의화단에 대한 대응 방식을 두고 의견이 나뉘었다. 조정의 보수 세력, 특히 단친왕은 의화단을 열렬히 지지하며 조복전과 서태후의 만남을 주선하기도 했다.[11] 이 만남에서 황태자는 지지 의사를 표명하기 위해 의화단 복장을 입기도 했다.[12]

1900년 6월 초, 베이징에 8개국 연합군 병력이 도착하여 베이징 공사관 포위전이 시작되면서 의화단의 활동은 절정에 달했다. 이때 의화단은 황실 군대의 일부 세력으로부터 지원을 받았으며, 구호를 "청을 지지하고 외국인을 타도하자!"로 변경했다.[13]

5. 충돌



1899년 10월, 의화단은 황실 군대와 전투를 벌인 이후, "중국 문화의 순수성을 더럽힌다"고 여겨지는 선교사기독교 활동에 대한 공격에 주로 집중했다.[2] 당시 청 정부는 의화단의 활동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놓고 내부적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서태후단친왕을 비롯한 조정의 보수 세력은 의화단을 지지했다. 특히 단친왕은 의화단의 활동을 열렬히 지지하며 조복전과 서태후의 만남을 주선하기도 했다.[11] 이 회담에서 황태자는 의화단 복장을 입고 나타나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12]

1900년 6월 초, 의화단과 황실 군대의 포위 공격을 받고 있던 외국 공사관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약 450명의 8개국 연합군 병력이 베이징에 도착하면서 베이징 공사관 포위전이 시작되었다. 이 시기 의화단은 황실 군대 일부의 지원까지 받으며 세력이 절정에 달했고, 구호를 "청조를 돕고, 서양인을 멸한다"는 의미의 "부청멸양 (扶淸滅洋)"으로 바꾸었다.[13][15]

의화단은 외국인과 중국인 기독교인에 대한 살해 행위를 늘려갔다. 베이징에서 의화단은 단친왕과 같은 조정 구성원들의 공식적인 지휘를 받기도 했다. 1900년 6월, 의화단은 독일 공사를 살해하고 베이징의 각국 공사관을 포위 공격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청 정부는 열강 8개국에 선전포고를 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반란 동안 의화단은 근접 무기나 맨손으로 8개국 연합군과 싸우다 결국 궤멸되었다. 같은 해 8월, 8개국 연합군에 의해 베이징이 점령되자, 9월에 서태후와 청 정부는 외국 열강을 진정시키기 위해 입장을 바꿔 자국 군대에 남아있는 의화단을 진압하라고 명령했다.[14][15]

6. 의화단의 난과 북청사변

1900년 산둥 지방에서 외국인과 기독교 선교사를 공격하며 세력을 키운 의화단은 마침내 베이징에 집결하여 봉기하였고, 이는 의화단의 난으로 발전했다. 이들은 "청조를 돕고, 서양인을 멸한다"는 의미의 "'''부청멸양'''(扶淸滅洋)"을 구호로 내세웠다[15].

1900년 6월, 의화단은 독일 공사를 살해하고 베이징에 있는 각국 공사관을 포위했다. 이에 청나라 정부는 열강 8개국에 선전포고를 하였다. 초기에는 청나라 정부군이 열강과 직접 대치했으나, 같은 해 8월 8개국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하자 상황은 급변했다. 결국 9월, 청나라 정부는 연합군의 압력 등으로 인해 자국 군대에 의화단 진압을 명령했다.

의화단의 봉기 자체를 "의화단 사건" 또는 "의화단의 난"이라고 부르며, 이후 청나라 정부와 연합군에 의한 진압 과정을 "북청사변"이라고도 칭한다. 다만 일본 등 일부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통틀어 "의화단 사건"으로 부르기도 한다[17].

다국적 연합군의 무력 진압 과정에서 후쿠시마 야스마사 소장, 시바 고로 중좌 등 일본군 장교들의 지휘는 서구 열강으로부터 일본군의 군사적 능력을 높이 평가받는 계기가 되었다.

결국 의화단의 난과 북청사변은 청나라의 패배로 막을 내렸다. 1901년 9월 7일, 강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다국적군은 철수를 시작했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은 만주 지역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목표로, 자국이 권리를 가진 동청철도 보호를 명분 삼아 철병을 거부하고 오히려 만주 주둔 병력을 증강시켰다. 이러한 러시아의 남하 정책은 이후 러일 전쟁 발발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5].

7. 현대의 의화단

2024년 6월 10일, 중국 지린성 지린시 베이산 공원에서 미국인 대학 강사 4명이 흉기에 습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은 자매결연 관계인 중국 북화대학교 관련 방문 중이었다. 피해자 4명 중 1명은 아이오와주 하원의원 아담 자브너의 형이다. 이 사건은 중국 내 반미 감정이 고조되는 가운데 발생하여 '현대판 의화단'의 등장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다. 환구시보 전 편집인 후시진은 웨이보에 "외국인이 피해자가 된 것은 우연이었으면 좋겠다"고 언급했다.[18] 중국 당국은 이 사건이 미중 외교 갈등으로 번질 것을 우려하여 11일 시점까지 침묵했으며, 중국 현지 언론과 SNS에 게시된 관련 정보는 검열로 인해 삭제되었다.[16]

8. 대중문화

의화단은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다루어졌다.


  • 영화
  • * 니컬러스 레이 감독의 1963년 영화 북경 55일(55 Days at Peking)에서 의화단이 묘사되었다.
  • * 1976년 장철 감독이 연출하고 쇼 브라더스가 제작한 영화 의화권(Boxer Rebellion)은 의화단을 생생하게 다루었다. 이 영화는 1980년 미국에서 피의 복수자들(The Bloody Avengers)이라는 제목으로 배급되기도 했다.
  • * 1981년 영화 중국의 전설적인 무기(Legendary Weapons of China)에도 의화단이 등장한다.
  • * 1993년 영화 황비홍 4: 왕자지풍(Once Upon a Time in China IV)에서는 의화단과 연관된 여성 단체인 홍등(의화단)이 묘사되었다.
  • * 2003년 영화 상하이 나이츠(Shanghai Knights)에서도 의화단을 찾아볼 수 있다.

  • 드라마
  • * 2024년 공개된 넷플릭스 드라마 선산의 형제들(The Brothers Sun)은 주요 등장인물 집단의 이름과 일부 이념을 의화단에서 가져와 설정했다.

  • 만화
  • * 진 룬 양의 만화 시리즈 의화권과 성자(Boxers and Saints)는 의화단을 주요 소재로 다룬다. 작품의 주인공 중 한 명인 리바오는 의화단의 지도자가 된다.

참조

[1] 간행물 The Meaning of the Unrest in China https://timesmachine[...] 1900-03-25
[2] 웹사이트 Australian War Memorial http://www.awm.gov.a[...] 2017-12-02
[3] 서적 China in Transformation, 1900–1949 https://books.google[...] Pearson Longman 2008
[4] 논문 The "boxers" in 1898–1899, the origin of the "I-Ho-Chuan" (義和拳) uprising, 1900 1953-04
[5] 서적 The Boxer Uprising: A Background Stud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03
[6] 웹사이트 Boxer Rebellion https://www.britanni[...] 2020-02-29
[7] 웹사이트 Google Ngram Viewer https://books.google[...] 2019-01-18
[8] 서적 The origins of the Boxer Uprising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 웹사이트 Le movement des boxers in china (1898-1900) http://you-feng.com/[...] 2017-12-02
[10] encyclopedia China, Japan, and the Ryukyu Islands https://www.britanni[...] 2017-12-03
[11] 웹사이트 Chinese monarchs – Zaiyi (26 August 1856 – 24 November 1922) was a Manchu prince and statesman of the late Qing Dynasty http://www.nouahsark[...] 2017-12-02
[12] 웹사이트 China's Confession: Episode 4 https://www.chinasou[...] 2017-12-02
[13] encyclopedia Significance, Combatants, Definition, & Facts https://www.britanni[...] 2017-12-02
[14] 웹사이트 La révolte des Boxeurs, un autre son de cloche http://www.tao-yin.c[...] 2017-12-02
[15] 웹사이트 日本の国際的評価を高めた「義和団事件」と日露戦争への道 https://diamond.jp/a[...] 2016-08-03
[16] 웹사이트 米大学講師4人、中国の公園で刺される…米中外交葛藤に広がるのか https://s.japanese.j[...] 2024-06-13
[17] 웹사이트 「義和団の戦い」と「義和団事件」のちがいは? {{!}} 生徒の広場 https://www.hamajima[...] 2024-06-13
[18] 웹사이트 「現代版義和団」 中国・吉林省で米国人の大学講師4人が刃物で襲われる(朝鮮日報日本語版) https://news.yahoo.c[...] 2024-06-13
[19] 문서 《근대중국:개혁과 혁명-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下)》,신승하 저. 대명출판사. p412~p413
[20] Youtube 독일 ZDF제작, 의화단 전쟁(1) https://www.youtube.[...]
[2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