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고르 츠비타노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고르 츠비타노비치는 크로아티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디나모 자그레브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두 차례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고, 레알 소시에다드, 시미즈 S-펄스 등 해외 클럽에서도 뛰었다.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29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으며, UEFA 유로 1996과 1998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하며 디나모 자그레브의 코치와 NK 이스트라 1961의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NK 바라주딘의 축구 선수 - 밀레 예디나크
밀레 예디나크는 은퇴한 호주 축구 선수이자 토트넘 홋스퍼 FC의 수석 코치이며, 호주 국가대표팀에서 79경기 출전 20골을 기록하고 2015년 AFC 아시안컵 우승을 이끌었다. - NK 바라주딘의 축구 선수 - 니콜라 포크리바치
크로아티아 축구 선수 니콜라 포크리바치는 윙어로 활약하며 NK 바르테크스를 시작으로 유럽 여러 클럽에서 뛰었고 크로아티아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며, 호지킨 림프종 투병 후 복귀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간 인물이다. - 일본에 거주한 크로아티아인 - 믈라덴 믈라데노비치
믈라덴 믈라데노비치는 공격수로 활약했으며 HNK 리예카, GNK 디나모 자그레브 등 여러 팀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경기에 출전했으며 은퇴 후에는 감독으로 활동했다. - 일본에 거주한 크로아티아인 - 마테이 요니치
마테이 요니치는 크로아티아 출신의 축구 선수로, 센터백으로 활약하며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유소년팀을 거쳐 NK 자다르에서 프로 데뷔 후 K리그1 인천 유나이티드에서 K리그 베스트 11에 2회 선정, J1리그 세레소 오사카에서 J리그컵과 천황배 우승 및 J리그 우수 선수상 3회 수상 후 8년 만에 인천 유나이티드로 복귀했다. - NK 오시예크의 축구 선수 - 다보르 슈케르
다보르 슈케르는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국가대표팀에서 공격수로 활약한 은퇴한 축구 선수로, 1998년 FIFA 월드컵 득점왕과 레알 마드리드, 아스널 FC 등 명문 클럽에서의 활약, 그리고 은퇴 후 축구 아카데미 설립 및 크로아티아 축구 협회 회장 역임으로 알려져 있다. - NK 오시예크의 축구 선수 - 고란 블라오비치
고란 블라오비치는 크로아티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공격수였으며, NK 오시예크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GNK 디나모 자그레브에서 득점왕을 차지하고, 크로아티아 국가대표팀으로 52경기에 출전하여 15골을 기록하며 1998년 FIFA 월드컵 3위를 이끌었다.
이고르 츠비타노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고르 츠비타노비치 |
원어 이름 | Igor Cvitanović |
발음 | (IPA 기호는 템플릿이므로 제외) |
출생일 | 1970년 11월 1일 |
출생지 | 오시예크,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키 | 186cm |
포지션 | 공격수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정보 없음) |
클럽 | 1989–1997: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181경기, 117골) 1992: → 바르테크스 (임대) (21경기, 9골) 1998–1999: 레알 소시에다드 (29경기, 3골) 1999–2002: 디나모 자그레브 (40경기, 18골) 2002: 시미즈 에스펄스 (5경기, 1골) 2002–2004: 오시예크 (5경기, 0골) |
총 출장 및 득점 | 281경기, 148골 |
국가대표 경력 | |
청소년 국가대표 | 1993: 크로아티아 U21 (1경기, 0골) |
국가대표 | 1992–1999: 크로아티아 (27경기, 4골) |
감독 경력 | |
감독 | 2013–2016: 디나모 자그레브 (수석 코치) 2018–2019: 두브라바 2019: 이스트라 1961 2021–: 디나모 자그레브 II |
2. 클럽 경력
츠비타노비치는 디나모 자그레브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클럽을 거치며 선수 생활을 했다. 1995-96 시즌과 1996-97 시즌에는 크로아티아 리그에서 연속으로 득점왕을 차지하기도 했다.
츠비타노비치는 유럽과 일본 리그에서도 활동했다. 1998년에는 스페인의 레알 소시에다드로 이적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디나모 자그레브로 복귀했다. 2002년에는 일본의 시미즈 S-펄스에서 뛰었지만, 안정환 선수에게 밀려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클럽 | 기간 | 리그 기록 |
---|---|---|
디나모 자그레브 | 1989-1991 | 10경기 5골 |
NK 바르테크스 (임대) | 1992 | 21경기 9골 |
디나모 자그레브 | 1992-1997 | 149경기 99골 |
레알 소시에다드 | 1998-1999 | 29경기 3골 |
디나모 자그레브 | 1999-2002 | 40경기 18골 |
시미즈 S-펄스 | 2002 | 5경기 1골 |
NK 오시예크 | 2003-2004 | 5경기 0골 |
2. 1. 초기 경력
오시예크에서 태어난 츠비타노비치는 1989년 디나모 자그레브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첫 프로 시즌 동안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10경기에 출전하여 5골을 기록했다.[1] 이후 1992년 봄에 열린 크로아티아 1부 리그 출범 시즌에 NK 바르테크스로 임대되어 리그 21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기록한 후 다음 여름에 디나모 자그레브로 복귀했다.2. 2. 디나모 자그레브 시절
오시예크에서 태어난 츠비타노비치는 1989년 디나모 자그레브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1] 1992년 NK 바르테크스로 임대되어 리그 21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기록한 후, 그해 여름 디나모 자그레브로 복귀했다.[1]1992년부터 1997년까지 츠비타노비치는 디나모 자그레브에서 5시즌 반 동안 활약하며 크로아티아 1부 리그에서 2시즌 연속 득점왕을 차지했는데, 1995-96 시즌에 19골, 1996-97 시즌에 20골을 기록했다.[1] 1993-94 시즌에는 27골을 기록했지만, 당시 팀 동료였던 고란 블라오비치가 29골을 기록하면서 득점왕을 차지하지는 못했다.[1]
1995년, 그는 프리미어 리그의 미들즈브러 FC와 계약을 체결했지만, 고용부가 그에게 취업 비자를 발급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1995년 12월 2일 100만파운드의 이적은 무산되었다.[1]
1997년 가을, 14번의 리그 경기에서 9골을 기록한 후 1998년 초 스페인 클럽인 레알 소시에다드로 이적하기 전까지, 그는 국내 리그에서 총 104골을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1]
2. 3. 해외 리그 진출
1995년 프리미어 리그의 미들즈브러 FC와 계약을 체결했지만, 고용부가 취업 비자 발급을 거부하면서 100만 파운드 규모의 이적이 무산되었다.[1]1998년 초, 레알 소시에다드로 이적했으나 라리가 29경기에서 3골에 그치는 등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1999년 디나모 자그레브로 복귀했다.
2002년 세르비아 출신 즈드라브코 젬노비치 감독이 이끄는 시미즈 에스펄스에 입단했지만, 9월 안정환의 입단과 함께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다. 시미즈에서는 단 5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2. 4. 선수 생활 은퇴
이고르 츠비타노비치는 2003-04 시즌 NK 오시예크에서 한 시즌을 보낸 후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1]3. 국가대표 경력
이고르 츠비타노비치는 1992년 멕시코와의 친선 경기를 통해 크로아티아 국가대표로 데뷔하였고, 1994년 이스라엘과의 경기에서 멀티골을 기록하며 국제 무대 첫 골을 넣었다. UEFA 유로 1996 대표팀 명단에는 포함되었으나, 실제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6경기에 출전했지만,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 감독과의 불화로 팀에서 제외되었다. 이후 1999년에 잠시 복귀하여 코리아컵에 참가, 대한민국과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 이집트와의 경기에서 마지막 골을 기록했다. 국가대표 통산 기록은 27경기 4골이다.[8]
3. 1. 국가대표팀 데뷔
츠비타노비치는 1992년 10월 22일 자그레브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친선 경기에서 크로아티아 소속으로 국제 경기에 데뷔했다. 1994년 8월 17일, 텔아비브에서 열린 이스라엘과의 친선 경기에서 멀티골을 기록하며 첫 국제 골을 넣었다.3. 2. UEFA 유로 1996
츠비타노비치는 UEFA 유로 1996 결승전에 크로아티아 대표팀 일원으로 참가했지만,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 예선전에서는 추가 시간 교체 선수로 한 경기만 출전했다.분류:UEFA 유로 1996 참가 선수
3. 3.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크로아티아 대표팀 소속으로 6경기에 출전했지만, 결승전 시작 몇 주 전에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 감독과의 의견 차이로 인해 팀 훈련 캠프에서 퇴출되었다.[1]3. 4. 국가대표팀 복귀 및 은퇴
츠비타노비치는 1999년 봄에 국가대표팀에 잠시 복귀하여 6번의 친선 경기에 더 출전했다.[8] 1999년 6월 19일 서울에서 열린 코리아컵 대한민국과의 경기가 그의 마지막 국제 경기였다.[8] 같은 대회 첫 경기였던 1999년 6월 13일 이집트와의 경기에서 마지막 국제 골을 기록했다.[8] 그는 총 27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하고 국가대표팀 경력을 마감했다.[8]연도 | 출장 | 득점 |
---|---|---|
1992 | 1 | 0 |
1993 | 0 | 0 |
1994 | 5 | 2 |
1995 | 0 | 0 |
1996 | 7 | 1 |
1997 | 7 | 0 |
1998 | 1 | 0 |
1999 | 6 | 1 |
통산 | 27 | 4 |
4. 감독 경력
이고르 츠비타노비치는 2019년 3월 이스트라 1961의 감독으로 확정되었으며,[4] 두브라바를 떠나 퓰라의 클럽으로 이동했다.[5] 2021년 4월에는 이반 프렐레츠의 후임으로 디나모 리저브 팀 감독을 맡았다.[6]
4. 1. 코치 경력
브란코 이반코비치 감독의 디나모 자그레브 코치로 2013년에 임명되었다.[3]4. 2. 감독 경력
츠비타노비치는 2013년 브란코 이반코비치 감독의 디나모 자그레브 코치로 임명되었다.[3] 2019년 3월 이스트라 1961의 감독으로 확정되었으며,[4] 두브라바를 떠나 퓰라의 클럽으로 이동했다.[5] 2021년 4월 이반 프렐레츠의 후임으로 디나모 리저브 팀 감독을 맡았다.[6]5. 통계
colspan=3| | ||
---|---|---|
연도 | 출전 | 골 |
1992 | 1 | 0 |
1993 | 0 | 0 |
1994 | 5 | 2 |
1995 | 0 | 0 |
1996 | 7 | 1 |
1997 | 7 | 0 |
1998 | 1 | 0 |
1999 | 6 | 1 |
2000 | 1 | 0 |
2001 | 1 | 0 |
합계 | 29 | 4 |
츠비타노비치는 1992년 10월 22일 자그레브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친선 경기에서 크로아티아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경기에 처음 출전했다.[7] 1994년 8월 17일, 텔아비브에서 열린 이스라엘과의 친선 경기에서 두 골을 넣으며 국가대표팀 첫 득점을 기록했다.[7]
5. 1. 클럽 통계
시즌 | 구단 | 리그 | 경기 | 득점 |
---|---|---|---|---|
1989-90 | 디나모 자그레브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 10 | 5 |
1990-91 | 디나모 자그레브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 0 | 0 |
1991-92 | 바르테크스 바라주딘 | 크로아티아 1부 리그 | 21 | 9 |
1992-93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 크로아티아 1부 리그 | 25 | 15 |
1993-94 | 34 | 27 | ||
1994-95 | 26 | 9 | ||
1995-96 | 23 | 19 | ||
1996-97 | 27 | 20 | ||
1997-98 | 14 | 9 | ||
1997-98 | 레알 소시에다드 | 프리메라 디비시온 | 17 | 3 |
1998-99 | 12 | 0 | ||
1999-00 | 디나모 자그레브 | 크로아티아 1부 리그 | 12 | 6 |
2000-01 | 24 | 9 | ||
2001-02 | 4 | 3 | ||
2002 | 시미즈 | J1 | 5 | 1 |
2003-04 | NK 오시예크 | 크로아티아 1부 리그 | 5 | 0 |
크로아티아 리그 통산 | 225 | 129 | ||
스페인 리그 통산 | 29 | 3 | ||
일본 리그 통산 | 5 | 1 | ||
총통산 | 259 | 133 |
5. 2. 국가대표팀 통계
연도 | 출전 | 득점 |
---|---|---|
1992 | 1 | 0 |
1993 | 0 | 0 |
1994 | 5 | 2 |
1995 | 0 | 0 |
1996 | 7 | 1 |
1997 | 7 | 0 |
1998 | 1 | 0 |
1999 | 6 | 1 |
합계 | 27 | 4 |
득점 | 날짜 | 경기장 | 상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2 | 1994년 8월 17일 | 라마트 간, 라마트 간 | Israel|이스라엘영어 | 1 – 0 | 4 – 0 | 친선 경기 |
2 – 0 | ||||||
3 | 1996년 2월 28일 | 칸트리다, 리에카 | Polska|폴란드pl | 2 – 1 | 2 – 1 | 친선 경기 |
4 | 1999년 6월 13일 | 동대문, 서울 | مصر|이집트ar | 1 – 2 | 2 – 2 | 친선 경기 |
츠비타노비치는 1992년 10월 22일 자그레브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친선 경기에서 크로아티아 소속으로 국가대표팀 경기에 처음 출전했다.[7] 1994년 8월 17일, 텔아비브에서 열린 이스라엘과의 친선 경기에서 두 골을 넣으며 국가대표팀 첫 득점을 기록했다.[7] UEFA 유로 1996 예선에서는 추가 시간 교체 선수로 한 경기만 출전했다.[7]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크로아티아 대표팀 소속으로 6경기에 출전했지만, 결승전 시작 몇 주 전에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 감독과의 의견 차이로 팀 훈련 캠프에서 퇴출되었다.[7] 1999년 봄에 잠시 팀에 복귀하여 친선 경기에서 6경기에 더 출전했으며, 1999년 6월 19일 서울에서 열린 코리아컵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마지막 국가대표팀 경기를 치렀다.[7] 같은 대회에서 크로아티아의 첫 경기였던 1999년 6월 13일 이집트를 상대로 마지막 국가대표팀 득점을 기록했다.[7] 그는 국가대표팀에서 총 27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8]
5. 3. 국가대표팀 득점 상세 기록
골 | 날짜 | 경기장 | 상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2 | 1994년 8월 17일 | 라마트 간, 라마트 간 | Israel|이스라엘영어 | 1 – 0 | 4 – 0 | 친선 경기 |
2 – 0 | ||||||
3 | 1996년 2월 28일 | 칸트리다, 리에카 | Poland|폴란드영어 | 2 – 1 | 2 – 1 | 친선 경기 |
4 | 1999년 6월 13일 | 동대문, 서울 | Egypt|이집트영어 | 1 – 2 | 2 – 2 | 친선 경기 |
5. 4. 감독 통계
팀 | 시작 | 종료 |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률 | |||
이스트라 1961 | 2019년 3월 4일 | 2019년 6월 1일 | 15 | 3 | 3 | 9 | 6 | 13 | -7 | 20.00 |
디나모 자그레브 II | 2021년 4월 1일 | 현재 | 9 | 5 | 3 | 1 | 59 | 48 | +11 | 55.56 |
합계 | 24 | 8 | 6 | 10 | 65 | 61 | +4 | 33.33 |
6. 수상 내역
이고르 츠비타노비치는 프르바 HNL 4회 우승, 크로아티아컵 3회 우승을 달성했다. 개인적으로는 프르바 HNL 득점왕 2회, SD 프르바 HNL 올해의 선수 3회, SN 옐로우 셔츠 어워드 2회를 수상했다.
6. 1. 클럽 수상
- 프르바 HNL 4회 우승: 1992–93, 1995–96, 1996–97, 1999–2000
- 크로아티아컵 3회 우승: 1994, 1996, 1997
6. 2. 개인 수상
- 프르바 HNL 득점왕 (2): 1995–96 (19골), 1996–97 (20골)
- SD 프르바 HNL 올해의 선수 (3): 1992, 1996, 1997
- SN 옐로우 셔츠 어워드 (2): 1996, 1997
7.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Football: Middlesbrough have been refused a work permit for the Croatian striker, Igor Cvitanovic
https://www.independ[...]
1995-12-02
[2]
웹사이트
Player Database
https://eu-football.[...]
2022-07-04
[3]
뉴스
IGOR CVITANOVIĆ, POMOĆNI TRENER
https://gnkdinamo.hr[...]
GNK Dinamo
[4]
뉴스
Igor Cvitanović i službeno novi trener Istre 1961
https://5portal.hr/v[...]
5Portal
[5]
뉴스
Igor Cvitanović je otišao, Dubravu će u nedjelju na najvećom gradskom derbiju u Trnju voditi Darko Šantek, s pionirima pobjednik nad Dinamom. Roko Ivanović: Dubrava je ozbiljan klub. Cvitanović: Takav je bio dogovor
https://sportnews.hr[...]
Sportnews
[6]
뉴스
Igor Cvitanović novi je trener Dinama II
https://sportnews.hr[...]
Sportnews
[7]
웹사이트
National Football Teams
http://www.national-[...]
[8]
웹사이트
Igor Cvitanovic
https://www.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