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의즐거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동의즐거움은 1988년 인텍크산업으로 설립되어 교통카드 시스템을 개발 및 구축하는 기업이다. 1990년대에 비접촉식 교통카드 시스템을 개발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교통카드를 보급했으며, 2000년대에는 수도권 전철과 시내버스 간 호환을 시작했다. 2010년 롯데그룹에 인수되어 캐시비 브랜드를 런칭했고, 2021년 로카모빌리티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2023년 현재의 이동의즐거움으로 변경했다. 현재 버스 단말기, 충전기, 데이터 수집 시스템 등 교통카드 시스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전국 여러 지역의 버스 및 교통 관련 시스템 구축에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롯데의 이전 자회사 - 푸르밀
푸르밀은 1978년 롯데유업으로 시작하여 롯데축산, 롯데햄·롯데우유를 거쳐 2009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유제품 및 음료 제조 기업이다. - 롯데의 이전 자회사 - 롯데햄
롯데햄은 1978년 롯데유업으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 상호명 변경을 거쳐 롯데푸드, 롯데웰푸드로 흡수 합병되었으며, 육가공류와 냉동식품류 등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한다. - 2009년 설립된 기업 - 우버
우버는 2009년 설립된 미국의 운송 네트워크 회사로, 모바일 앱을 통해 승객과 차량을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여러 논란 및 택시 산업과의 갈등을 겪고 있다. - 2009년 설립된 기업 -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009년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의 통합으로 설립된 공기업으로, 신도시 건설, 택지 개발, 주거 복지 사업 등을 통해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주택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국가 균형 발전에 이바지하지만, 부동산 투기 의혹과 부실 공사 논란으로 사회적 비판을 받으며 공공기관으로서의 책임과 투명성 확보 요구를 받고 있다. - 롯데그룹 - 롯데쇼핑
롯데쇼핑은 1970년 협우실업으로 설립되어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을 운영하며 롯데하이마트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으며, 한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다. - 롯데그룹 - 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는 1967년 롯데제과로 설립되어 과자와 빙과류 생산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롯데푸드와의 합병 후 2023년 사명을 변경했으며 월드콘, 꼬깔콘, 빼빼로, 가나 초콜릿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무설탕 디저트 ZERO 출시 등 사업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이동의즐거움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 EZL CORPORATION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 2009년 11월 1일 |
이전 상호 | 로카모빌리티 |
시장 정보 | 비상장 (장외) |
장소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24 (다동) |
국가 | 대한민국 |
산업 | 전자금융업 |
웹사이트 | 이동의즐거움 |
경영진 | |
대표이사 | 손민수 |
재무 정보 (2016년) | |
자본금 | 3,250,000,000원 |
매출액 | 106,172,295,221원 |
영업이익 | -2,695,092,275원 |
순이익 | -144,120,588원 |
자산총액 | 230,868,501,357원 |
주주 및 자회사 | |
주주 | 롯데카드 |
자회사 | (주)마이비 |
직원 | |
종업원 수 (2016년 12월) | 76명 |
제품 | |
제품 | 선불교통카드 |
2. 연혁
시기 | 주요 내용 |
---|---|
1988년 ~ 1998년 | 인텍크산업 설립 및 초기 교통카드 시스템 개발. 1996년 서울버스카드를 시작으로, 1998년 경기, 인천 지역으로 교통카드 시스템 확장.[1][2][3] |
1999년 ~ 2009년 | 이비카드 출범 및 수도권 사업 확장. 2000년 서울 시내버스와 수도권 전철 간 교통카드 호환.[4] 2004년 한국스마트카드와 협력하여 이비 티머니 출시. |
2010년 ~ 2019년 | 롯데그룹 인수 및 캐시비 브랜드 런칭.[7] |
2020년 ~ 현재 | 로카모빌리티를 거쳐 이동의즐거움으로 사명 변경.[10][13] 2023년 맥쿼리자산운용에 인수.[12] |
2. 1. 1988년 ~ 1998년: 인텍크산업 설립 및 초기 교통카드 시스템 개발
1988년 설립된 인텍크산업은 이비카드의 전신이다. 창업 초기에는 마그네틱형 카드와 카드 리더기 등을 생산하였고, 이후 IC카드 등 신기술 분야로 진출하여 세계 최초로 비접촉식 교통카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1995년 서울특별시가 교통카드 시스템을 도입함에 따라, 1996년부터 서울버스카드(유패스)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1][2] 1998년에는 경기도버스운송조합과 인천광역시버스운송조합이 교통카드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경기교통카드(인천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3] 같은 생활권임에도 서울, 경기, 인천의 교통카드가 호환되지 않아 불편이 있었으나, 협의를 거쳐 1998년 9월부터 상호 호환이 가능하게 되었다.2. 2. 1999년 ~ 2009년: 이비카드 출범 및 수도권 사업 확장
2000년 1월부터 서울 시내버스와 수도권 전철 간의 교통카드 호환이 이루어지면서 교통카드 시대가 열렸다. 하지만 경기/인천 버스조합에서 발매된 교통카드는 정산 수수료 문제로 협의가 결렬되어 지하철에서의 사용이 제한되었다.[4] 그해 6월, 이베스트카드(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005년에 이비카드 → 이비로 사명을 다시 변경하였다.2003년에는 서울특별시 신교통카드 시스템 개발에 참여, 서울 시내버스 전 차량의 카드 단말기와 충전기를 교체했다. 2004년부터 한국스마트카드의 티머니 브랜드와 공동으로 '이비 티머니'를 출시, 마침내 경인 지역에서 판매되는 이비의 교통카드도 수도권 전철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5년에는 경기도에서 신 교통카드 시스템을 구축하여 경기도 내에서의 사업권을 갖게 되었다.
2006년에는 고급형 카드로 티모아(T-MOA)를 출시하였으나, 호환 협약 문제 때문에 한때 수도권 전철과 서울 시내버스에서는 티모아를 이용할 수 없었다.[5] 결국 협상 끝에 2006년 11월부터 티모아와 스마트 티머니의 서울 및 수도권 전철 상호 호환이 개시됐다.[6]
세계 최초로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결제 기능과 BMS(Bus management System)기능이 통합된 단말장치를 개발하여 버스 운행 정보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하였고, 추가로 버스 승강장, 검침기 등의 인프라 요소도 개발하고 있다.
최근 인천광역시 모든 버스에 교통카드, 지폐, 동전을 모두 수용하는 통합요금징수기를 구축하였고, 경기 지역에는 무인 충전기를 구축하여 기술 선도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하고 있다.
2. 3. 2010년 ~ 2019년: 롯데그룹 인수 및 캐시비 브랜드 런칭
2010년 5월 롯데그룹에 인수되어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이로써 모기업이 같은 롯데카드, 마이비와의 연계 사업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전국적으로 절반 이상의 시장을 확보하게 되었다.(마이비 사업 지역 포함)[7] 롯데그룹에서는 이비카드, 마이비, 하나로 3개 회사의 통합 교통카드 브랜드인 "캐시비"를 2010년 말에 런칭했다. 기존 MIFARE 마이비/하나로카드의 발행을 중지하고 출시한 캐시비는 티모아로 기반 카드 규격을 통일한 후, 롯데멤버스 마일리지를 장착했다.2017년 9월 4일에는 팝 캐시비를 출시했다.[8]
2. 4. 2020년 ~ 현재: 로카모빌리티, 이동의즐거움으로의 변화
2019년 모기업인 롯데카드가 사모 펀드인 MBK파트너스에 매각되면서 롯데그룹에서 계열 분리됐다.[10] 본사도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 롯데타워에서 서울특별시 중구 다동 청계천변의 케이스퀘어시티 빌딩(옛 한국씨티은행 본점 건물)으로 이전했다. 2021년 4월 16일 이비카드는 "로카모빌리티"로 사명을 변경했고,[10] 2022년 5월 9일에는 선불카드를 겸하는 선불교통카드인 "로카 M 카드"를 출시했다.[11] 로카 M 카드는 RF/NFC로 충전하는 것은 같지만, 충전한 금액을 교통 외 가맹점에서 이용했을 때에는 RF식 결제가 아닌 일반적인 IC단말기에 꽂아서 쓰는 특이한 방식이다. 롯데 계열에서 분리된 후 출시한 카드이기에, 로카M카드에는 엘포인트가 장착되지 않는다.롯데카드의 재매각이 계속 지연되자 MBK파트너스는 2023년 5월 23일 로카모빌리티를 롯데카드에서 분리하여 사모 펀드인 맥쿼리자산운용에 매각했다.[12]
맥쿼리 계열 사모펀드에 인수된 후, 2023년 11월 9일 로카모빌리티는 이동의즐거움으로 사명을 다시 변경했다.[13] 이와 동시에 캐시비를 "이즐" 브랜드로 변경했다.
롯데 계열에서 분리된 여파로, 캐시비 시절부터 이어져 왔던 교통카드 이용 금액의 엘포인트 적립 서비스는 2024년 12월 31일을 마지막으로 종료된다.
3. 사업 분야
이동의즐거움은 교통카드 사업에 필요한 다양한 시스템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리한다.
3. 1. 교통카드 시스템 인프라 구축
이동의즐거움은 교통카드 사업에 필요한 버스 단말기, 충전기, 데이터 수집 시스템, 실시간 버스 운영관리 시스템, 통신 등을 구축하고 관리하며, 다른 교통카드 사업자의 시스템 구축도 지원한다. 이비는 교통카드 단말기를 직접 제조하며, 롯데그룹의 마이비카드·이비카드 인수 및 캐시비 출시 이후 일부 마이비카드 사용 지역에서 캐시비와 마이비카드의 호환을 위해 이비 단말기로 교체하기도 한다.[14]3. 1. 1. 구축 지역 및 기업
지역 | 구축 내역 |
---|---|
경기도 | 버스운송사업조합 |
인천광역시 | 버스운송조합 (통합형 요금징수시스템) |
서울특별시 | 버스운송조합 (시내버스 신교통카드 시스템 구축)[14] |
부산광역시 | 시내버스[15] |
충청남도 | 시내버스[16] |
충청북도 | 시내버스 (제천시내버스 제외) |
강원특별자치도 | 시내버스 (원주시내버스, 횡성농어촌버스 제외) |
전라남도 | 곡성, 영광, 완도, 장흥, 진도 농어촌버스, 순환관광버스(금호고속) |
울산광역시 | 울산시내버스 |
경상남도 | 창원시내버스, 진주시내버스, 의령농어촌버스 |
경상북도 | 경주시내버스 |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 시외버스 (일부) |
공항철도 | 교통카드 결제 처리 시스템 |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 택시 카드 결제 시스템 |
전라남도 여수시 | 현금인식요금함 |
경상남도 창원시 | 현금인식요금함 |
참조
[1]
문서
2000년
[2]
문서
2000년에 지하철 호환이 시행되기 직전 시내버스는 후불교통카드를, 지하철은 선불형 교통카드를 쓸 수 없었다. 이는 시내버스 교통카드 시스템을 인텍크산업이, 지하철 교통카드 시스템을 씨엔씨엔터프라이즈와 [[KB국민카드]]가 가지고 있었고, 자사 카드만 사용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3]
문서
2001년
[4]
문서
에이캐시는 국민, LG(현, [[신한카드]]), [[삼성카드]]가 출자해서 만든 스마트카드 업체로써 인텍크산업과 경쟁하던 케이비테크놀러지가 출자하였다. 교통카드가 도입되지 않았던 수원시의 일부 업체, 의정부, 원주 등에서 사용되었으나 후불교통카드가 인식되지 않았고, 서울교통카드, 경기도 교통카드와의 연계되지 않으면서 기능을 잃었고 인텍크산업의 견제로 결국 영업 중단 후 파산하고 말았다. 하지만 에이캐시가 영업했던 시기에 경기도 마을버스를 KEBT 단말기에 마이비카드로, 서울시 마을버스도 개편 직전까지 KEBT를 사용했을 정도로 사실상 수도권을 독식하던 인텍크산업을 견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5]
뉴스
경기도 새 교통카드, 서울에서는 사용 못 해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6]
뉴스
티머니 교통카드 경기도서 이용한다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7]
뉴스
롯데, 스마트카드사업 본격 진출
https://n.news.naver[...]
매일경제
[8]
뉴스
GS리테일-캐시비, 팝티머니 이어 팝캐시비 출시
https://n.news.naver[...]
머니S
[9]
뉴스
"교통카드로 선불·체크카드처럼 결제"...캐시비 시그니처 카드 출시
https://n.news.naver[...]
파이낸셜뉴스
[10]
뉴스
'캐시비' 운영 이비카드, 로카모빌리티로 사명 변경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1]
뉴스
로카모빌리티, 쇼핑도 가능한 교통카드 첫 출시
https://n.news.naver[...]
파이낸셜뉴스
[12]
뉴스
맥쿼리, 로카모빌리티 인수 완료...브릿지론 상환 위해 프로젝트펀드 모집
https://n.news.naver[...]
한국경제신문
[13]
뉴스
‘이동의즐거움’ 사명 바꾸고…모빌리티 핀테크 기업으로 도약
https://n.news.naver[...]
이코노미스트
[14]
문서
BMS 도입과 지하철, 마을버스간의 환승필요에 따라서 다시 구축한 케이스이다. 경기도에서 사용하는 단말기와 같아서 혼동을 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2009년 1월 10일 호환될 때까지 엄연히 수도권 지역의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했다.
[15]
문서
원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에 따른 교통카드 호환 필요성으로 인해서 천안, 아산에서 먼저 구축하였다. 후에 2008년 중에 충청남도에서도 설치가 되어있고 사용도 가능하다.
[16]
문서
2011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