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봉창 의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봉창 의거는 1932년 1월 8일, 한국 독립운동가 이봉창이 일본 도쿄 사쿠라다몬에서 쇼와 천황에게 수류탄을 투척한 사건이다. 이봉창은 김구의 지시를 받아 한인애국단에 가입하여 거사를 준비했으며, 일본 천황 암살을 목표로 하였다. 의거는 실패로 끝났지만, 일본 내각의 혼란과 중일 관계 악화, 한국 독립운동에 대한 국제적 관심 증폭 등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이봉창은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을 추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2년 1월 - 제1차 상하이 사변
    제1차 상하이 사변은 1932년 상하이에서 일본과 중국 간에 발생한 무력 충돌로, 일본의 상하이 조계지 영향력 확대를 위한 움직임과 반일 감정 고조 속에서 일본인 승려 피습 사건을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중국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의 공세 강화로 상하이 정전 협정을 체결하고 중일 전쟁의 전초전으로 평가된다.
  • 이봉창 - 한인애국단
    한인애국단은 1931년 김구에 의해 결성되어 일본 요인 암살을 목표로 이봉창, 윤봉길 의거를 실행했으며, 1930년대 후반 공식 활동을 중단했다.
  • 이봉창 -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는 이봉창 의사가 김구 선생에게 보낸 편지 및 봉투, 김구가 이봉창 의사에게 보낸 의거 자금 송금증서로, 이봉창 의사의 거사 배경과 전개 과정, 독립운동 자금 지원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증거이다.
  • 일본 제국의 사건 (쇼와 시대) - 고스톱 사건
    고스톱 사건은 1933년 오사카에서 발생한 군부와 경찰 간의 충돌로 시작되어 군부의 권위주의적 경향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 일본 제국의 사건 (쇼와 시대) - 황고둔 사건
    1928년 6월 4일, 일본 관동군이 장쭤린을 황고둔역 부근에서 열차 폭파로 암살한 황고둔 사건은 만주 장악 시도와 반일 감정 심화, 장쉐량의 국민정부 협력, 만주사변의 간접 원인 등 동아시아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봉창 의거 - [전쟁]에 관한 문서
사건 개요
경찰이 공격에 사용된 수류탄이 떨어진 지점 주변에 모여 있다 (1932년 1월 8일)
경찰이 공격에 사용된 수류탄이 떨어진 지점 주변에 모여 있다 (1932년 1월 8일)
명칭사쿠라다몬 사건 (桜田門事件)
별칭이봉창 의사 의거, 도쿄 의거, 사쿠라다문 의거
위치사쿠라다 문, 도쿄 황거, 도쿄, 일본 제국
목표히로히토 천황 암살
날짜1932년 1월 8일
시간오전 11시 44분경
공격 주체이봉창
소속한인애국단
지휘관김구
결과천황은 부상 없음, 이봉창 체포 및 사형
배경
관련 운동한국 독립 운동
상세 정보
사건 유형암살 시도
사용 무기수류탄
목표 대상쇼와 천황
범인이봉창
동기애국심, 한국 독립
처벌대역죄로 유죄 판결, 사형 집행
피해 상황
사망자없음
부상자근위병 1명 (경상), 말 2마리 부상
재산 피해궁내대신이 탑승한 어료마차 파손

2. 배경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일본 제국 쇼와 천황을 암살하기 위해 도쿄 황거 근처에서 수류탄을 던졌다. 이봉창은 김구가 조직한 항일 무장 조직 한인애국단 소속이었다.[17][18]

이봉창은 1931년 12월 28일 도쿄 아사히 신문을 통해 쇼와 천황의 관병식 참석 소식을 접했다.[19] 거사 전날(1월 6일) 버스 운전수에게서 우연히 얻은 헌병 조장 '오바 젠큐'의 명함으로 경계망을 두 번 통과했다.[19] 아카사카에서 일본 술을 마시다 행렬을 놓쳐 엔타쿠를 타고 육군 참모본부 앞으로 이동, 경시청 앞에서 참배객 행렬에 섞였다.[19]

어느 마차에 천황이 탔는지 몰랐던 이봉창은 첫 번째 마차에 던지려다 실패하고, 두 번째 마차에 던졌으나 궁내대신이치키 키토쿠로가 타고 있었다. 쇼와 천황은 세 번째 마차에 탑승하여 수류탄이 32미터 앞에서 폭발해 무사했다.[15][16]

이 사건으로 이봉창은 즉시 체포되었고,[15] 대역죄 (형법 제73조)로 도쿄 지방 재판소 검사정이 검사총장코야마 마츠키치에게 송치했다. 9월 30일 사형 선고,[20] 10월 10일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다. 1919년 일본 통치에 항의하는 3·1 운동이 한국 전역에서 일어났다. 일본이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하자, 수많은 한국인들이 해외로 탈출하여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구성하는 등 일본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다.

1931년 일본은 만주 침략의 구실을 만들기 위해 만보산 사건을 과장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반중국 정서를 부추겼다. 1931년 9월 18일, 일본 제국은 만주 사변을 조작하여 중국인들 사이에서 반일 감정을 고조시켰다.

1932년 1월 8일, 육군 시무식 관병식을 마치고 돌아오던 쇼와 천황의 행렬에 이봉창 의사가 수류탄을 투척하였다.[15] 이봉창김구가 조직한 항일 무장 조직 한인애국단 소속이었다.[17][18]

이봉창은 도쿄 아사히 신문을 통해 쇼와 천황의 관병식 참석 소식을 접하고 거사를 계획했다.[19] 거사 전날, 버스 운전수의 도움으로 헌병 조장의 명함을 얻어 관병식 경계망을 통과했다.[19] 일본 술을 마시다가 행렬을 놓쳐 엔타쿠를 타고 육군 참모본부 앞까지 이동하여 경시청 앞에서 참배객 행렬에 섞였다.[19]

이봉창은 어느 마차에 천황이 타고 있는지 알지 못해, 첫 번째 마차에는 던지지 못하고 두 번째 마차에 수류탄을 던졌으나, 궁내대신 이치키 키토쿠로가 탑승한 마차였다.[15] 쇼와 천황은 세 번째 마차에 타고 있어서 무사했다.[16]

이봉창은 현장에서 체포되었고,[15] 대역죄로 사형을 선고받아[20] 10월 10일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2. 2. 만주사변과 한중 관계 악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다. 1919년 일본 통치에 대한 항의 시위가 한국 전역에서 열렸고, 이는 3·1 운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일본이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한 후, 수많은 한국인들이 한반도를 탈출하여 해외에서 일본에 저항을 계속했으며, 여기에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구성원들도 포함되었다.[1]

일본은 1931년 중국 북동부 만주를 침략하기 위한 구실을 만들기 시작했다. 1931년 7월 만보산 사건에서 일본은 중국인과 한국인 농부 간의 사소한 분쟁을 과장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반중국 정서를 부추겼다. 이는 양국에서 한국인과 중국인 간의 폭력적인 충돌로 이어졌다. 1931년 9월 18일, 일본 제국은 류탸오후 사건(만주 철도 폭파) 및 만주 사변을 조작하여 중국인들 사이에서 반일 감정을 고조시켰다.[1]

3. 이봉창

이봉창(李奉昌, 1900년 ~ 1932년)은 한국 독립 운동가이자 한인애국단의 단원이다. 1932년 1월 8일, 도쿄 사쿠라다몬에서 쇼와 천황에게 수류탄을 투척하는 거사를 실행했으나 실패하고,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고 순국했다.

1932년 1월 8일, 육군 시무식 관병식을 마치고 환궁하던 쇼와 천황의 행렬이 황거・사쿠라다몬 밖 경시청 청사 앞 거리에 접어들었을 때, 참배객들 사이에서 뛰쳐나온 이봉창이 수류탄을 던졌다.[15] 이봉창은 도쿄 아사히 신문을 통해 쇼와 천황이 관병식에 참석한다는 것을 알고, 범행 전날(1월 6일) 우연히 얻은 헌병 조장 '오바 젠큐'의 명함을 사용하여 관병식 경계망을 두 번 통과했다.[19]

이봉창이 던진 수류탄은 궁내대신 이치키 키토쿠로가 탑승한 두 번째 마차 왼쪽 뒷바퀴 부근에서 폭발했지만, 위력이 약해 근위병 1명과 말 3마리가 부상당하는 데 그쳤다.[15][20] 쇼와 천황은 세 번째 마차에 타고 있었고, 수류탄은 그로부터 32미터[16] 앞에서 폭발하여 무사했다.

이봉창은 현장에서 체포되었으며, 조선 경성부 출생으로 독립 운동을 위해 김구가 조직한 항일 무장 조직 한인애국단에서 파견된 암살자였다.[17][18] 이봉창은 아카사카 부근에서 습격할 예정이었지만, 일본 술을 마시다가 행차 행렬을 놓쳐 미야케자카의 육군 참모본부 앞에서 내려 경시청 정문까지 달려가 참배객 행렬에 섞였다.[19] 어느 마차에 천황이 타고 있는지 알지 못했고, 초조함과 동요 속에서 첫 번째 마차에 던지려다 실패하고 두 번째 마차에 던졌으나 결국 실패했다.

이 사건은 대역죄로 대심원 특별 권한에 속하여, 도쿄 지방 재판소 검사정은 즉시 검사총장코야마 마츠키치에게 송치했고, 코야마는 즉시 대심원장와니 사다키치에게 예심을 청구했다. 9월 30일 오전 9시 15분, 대심원 특별 형사부 와니 재판장은 이봉창에게 형법 제73조에 의거하여 사형을 선고했다.[20] 10월 10일,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3. 1. 일본 생활과 민족의식 각성

이봉창(1900-1932)은 1925년부터 1930년까지 일본에서 거주했다. 일본에 처음 도착했을 때 이봉창은 자신을 "신일본인"(신일본인|한국어)으로 여기며 일본 사회에 융화되기를 희망했다. 그는 일본식 이름을 채택했고 결국 일본인처럼 보이도록 배웠다. 어느 시점에서 그는 주머니에 한국어로 쓰인 어린 시절 친구의 편지를 소지하고 있다는 이유로 11일 동안 체포되어 구금되었다.[7][8]

이 경험은 그에게 충격을 주었고, 일본에 융화되려는 그의 노력에 다소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그는 일본에서 계속 일했지만, 유창하게 일본어를 구사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한국인이 공개적으로 수모를 당하는 또 다른 사건을 목격한 후, 대한 독립 운동에 참여하기로 결심했다.[7][8]

1930년 말, 이봉창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본부가 있던 중국 상하이로 갔다. 이봉창은 한국인 그룹에게 천황을 공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제안을 우연히 듣게 된 김구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주요 지도자였으며, 이봉창의 말을 믿고 그를 공격에 투입했다. 이를 위해 그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무장 조직인 한인애국단을 창설했다.[7]

3. 2. 대한민국 임시정부 합류와 한인애국단 가입

1930년 말, 이봉창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본부가 있던 중국 상하이로 갔다. 이봉창은 한국인 그룹에게 천황을 공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제안을 우연히 듣게 된 김구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주요 지도자였으며, 이봉창의 말을 믿고 그를 공격에 투입했다. 이를 위해 김구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무장 조직인 한인애국단을 창설했다.[7]

4. 의거 준비

1931년 12월 13일, 수류탄을 들고 일본 천황 공격을 맹세하는 이봉창


1931년 3월, 김구이봉창은 상하이에서 만나 일본 천황 암살 계획을 세웠다. 이봉창은 김구의 제안에 동의했고, 이후 김구는 임시 정부 요원들과 함께 거사를 준비했다. 자금은 재미 교포들로부터 모금하고, 수류탄은 김홍일과 중국 군 장교에게서 구했다.[7]

1931년 12월 13일, 이봉창은 수류탄을 들고 일본 천황 공격을 맹세하는 사진을 찍었다. 12월 17일 상하이를 출발, 고베를 거쳐 12월 22일 도쿄에 도착했다. 아사히 신문에서 1932년 1월 8일 천황이 요요기 공원에서 열리는 군사 퍼레이드에 참석한다는 기사를 보고 거사일을 정했다.[7]

이봉창은 수류탄 핀을 뽑지 않고도 폭발하도록 개조하고, 1월 6일 퍼레이드 장소를 사전 답사했다. 그러나 장소가 너무 넓어 공격이 어렵다고 판단, 천황이 이동할 때 도로에서 공격하기로 계획을 변경했다.[7]

4. 1. 김구와의 만남과 암살 계획

1931년 3월, 김구와 이봉창은 은밀히 만났다. 김구는 이봉창에게 일본 상황에 대해 묻고, 일본 천황을 암살할 의향이 있는지 물었다. 이봉창은 이에 동의했다. 이후 김구는 중국 국민혁명군에서 무기를 관리하던 김홍일(김홍일|金弘壹한국어)을 찾아갔다. 그들은 천황이 군중으로부터 약 100m 정도 떨어져 있을 것이며, 폭발력은 약하더라도 더 멀리 던질 수 있는 가벼운 수류탄을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7]

공격 준비는 더디게 진행되었다. 임시 정부는 역사적으로 내분과 자금난에 시달렸다. 1931년 11월, 김구는 임무에 필요한 물품을 마련했다. 수류탄은 김홍일과 중국 군 장교 류즈에게서 얻었다. 자금(1931년 기준 $ 상당)은 재미 교포들에게서 지원받았다.[7] 12월 6일, 임시 정부 회의에서 김구는 임무 목표를 발표하고 승인을 요청했다. 조소앙, 김철 (1886년)|김철 (독립운동가)|金澈한국어 등 임시 정부 지도자들은 처음에는 너무 비싸고 성공 가능성이 낮다며 거부했지만, 결국 동의했다.[7]

1931년 12월 13일, 이봉창은 일본 천황 공격을 맹세한 후 수류탄과 자필 맹세와 함께 사진을 찍었다.[7] 12월 15일, 김구는 이봉창에게 수류탄 두 개를 건네주고 사용법을 가르쳤다. 이봉창은 수류탄 시험을 요청했지만, 김구는 거절하고 폭발력이 클 것이라고 확신했다. 김구는 또한 이봉창에게 일본으로 가는 배에 탑승할 때 수류탄을 숨기는 방법을 알려주었다.[7]

12월 17일, 이봉창은 상하이에서 고베로 출발하여 12월 22일까지 도쿄로 향했다. 12월 28일 또는 29일, ''도쿄 아사히 신문''에서 천황이 1월 8일 요요기 공원에서 열리는 군사 퍼레이드에 참석한다는 기사를 보았다. 그는 그날을 공격 날짜로 정하고, 1월 초 김구에게 전보로 알렸다.[7]

이봉창은 공격 준비에 착수했다. 김구의 지시에 따라 수류탄의 핀을 뽑지 않아도 폭발하도록 개조했다. 1월 6일, 퍼레이드 장소를 둘러보았으나 너무 넓어 공격이 어렵다고 판단, 천황이 이동할 때 도로에서 공격하기로 계획을 변경했다.[7] 이 무렵, 군 헌병의 명함을 확보했는데, 이는 나중에 공격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7]

4. 2. 수류탄 확보와 자금 조달

1931년 3월, 김구와 이봉창은 은밀히 만나 일본 천황 암살 계획을 논의했고, 이봉창은 이에 동의했다. 김구는 상하이에서 무기를 관리하던 김홍일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이들은 천황이 군중으로부터 약 100m 정도 떨어져 있을 것이므로, 폭발력은 약하더라도 멀리 던질 수 있는 가벼운 수류탄을 사용해야 한다고 판단했다.[7]

공격 준비는 더디게 진행되었는데, 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KPG)가 역사적으로 내분과 자금난을 겪고 있었기 때문이다. 1931년 11월, 김구는 임무에 필요한 자금을 재미 교포들로부터 지원받고, 김홍일과 중국 군 장교 류즈로부터 수류탄 두 개를 확보했다.[7] 12월 6일, KPG 회의에서 김구는 임무 목표를 발표했고, 조소앙과 김철 등은 반대했으나 결국 승인했다.[7]

1931년 12월 13일, 이봉창은 수류탄을 들고 일본 천황 공격을 맹세하는 사진을 찍었다.[7] 12월 15일, 김구는 이봉창에게 수류탄 두 개를 건네주고 사용법을 가르쳤다. 이봉창은 수류탄을 시험해 보려 했으나 김구는 거절했다.[7]

12월 17일, 이봉창은 상하이를 떠나 고베를 거쳐 12월 22일 도쿄에 도착했다. 12월 28일 또는 29일, ''도쿄 아사히 신문''에서 천황이 1월 8일 요요기 공원에서 열리는 군사 퍼레이드에 참석한다는 기사를 보고 공격 날짜를 정했다.[7]

이봉창은 김구의 지시에 따라 수류탄 핀을 뽑지 않고도 폭발하도록 개조했다. 1월 6일, 퍼레이드 장소를 둘러보았으나 너무 넓어 공격이 어렵다고 판단, 천황이 이동할 때 도로에서 공격하기로 계획을 변경했다.[7] 또한, 군 헌병의 명함을 확보하여 공격에 활용하려 했다.[7]

4. 3. 맹세와 출국

1931년 12월 13일, 이봉창은 수류탄을 들고 일본 천황에 대한 공격을 맹세하며 자필 맹세문과 함께 사진을 찍었다.[7] 12월 15일, 김구는 이봉창에게 수류탄 두 개를 건네주며 사용법을 가르쳤다. 이봉창은 폭발력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을 요청했으나, 김구는 거절하고 폭발력이 충분할 것이라고 확신시켰다. 김구는 또한 이봉창에게 일본행 배에 탑승할 때 수류탄을 사타구니 근처에 숨기라고 지시했다.[7]

12월 17일, 이봉창은 상하이를 출발하여 고베를 거쳐 12월 22일 도쿄에 도착했다. 12월 28일 또는 29일, 아사히 신문(''도쿄 아사히 신문'')에서 1932년 1월 8일 천황이 요요기 공원에서 열리는 군사 퍼레이드에 참석한다는 기사를 읽고, 이 날을 거사일로 정했다. 1월 초, 이봉창은 초조하게 기다리는 김구에게 전보를 보내 거사일을 알렸다.[7]

5. 의거 실행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은 사쿠라다몬에서 쇼와 천황을 암살하려 했다. 그는 인파를 헤치고 수류탄을 꺼내 행렬에 던졌지만, 수류탄은 궁내대신이 타고 있던 두 번째 마차 뒤에 떨어져 약하게 폭발했다. 이봉창은 김구에게 수류탄 성능 시험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이로 인해 수류탄의 위력을 제대로 알지 못했다.[7] 또한, 거사 당시에 두 번째 수류탄을 사용하는 것을 잊었다.[7]

수류탄이 떨어진 곳을 표시하는 원 주위에 모인 경찰, 배경은 경시청 (1932)


이날 육군 시무식관병식이 거행되었고, 오전 11시 44분경 환궁 중이던 천황의 행렬이 황거・사쿠라다몬 밖, 경시청 청사 앞 거리에 접어들었다. 이때 참배객들 사이에서 뛰쳐나온 이봉창이 수류탄을 던졌다.[15]

수류탄은 궁내대신이치키 키토쿠로가 탑승한 두 번째 어료 마차 왼쪽 뒷바퀴 부근에서 폭발했다. 마차 밑바닥에 엄지손가락 크기의 구멍 2~3개가 생겼지만, 마차와 대열은 그대로 진행하여 오전 11시 51분경 황거에 도착했다.[15] 이후 파편으로 근위 기병 1명과 그가 탄 말, 마차 말 2마리가 부상당한 것이 밝혀졌다.[20]

쇼와 천황은 세 번째 어료 마차에 탑승하고 있었고, 수류탄은 그로부터 32미터[16]나 앞에서 폭발했다. 천황은 폭발음을 듣는 정도였고, 매우 냉정 침착하여 귀환 후에도 사건에 대해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15]

이봉창은 어느 어료 마차에 천황이 탑승하고 있는지 알지 못했다. 초조함과 동요 속에서 첫 번째 마차에 던지려고 했지만 던지지 못하고 단념했고, 두 번째 마차가 오자 겨우 결심하고 던졌다는 상황에서, 누가 탑승하고 있는지 등을 생각할 여유는 없었고, 습격은 실패로 끝났다.

5. 1. 사전 답사와 계획 변경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은 하라주쿠역에서 도쿄 지하철을 타고 요쓰야역으로 이동했다. 신문 판매원으로부터 천황이 아카사카미쓰케역을 지날 것이라는 정보를 얻었으나, 이미 천황이 지나간 후였다.[7]

낙담한 이봉창은 철도 직원에게 천황을 볼 수 있는 방법을 물었고, 사쿠라다몬으로 가라는 조언을 받았다. 택시를 타고 경시청 잔디밭으로 들어가려 했으나 경찰에게 제지당했다. 이봉창은 헌병 장교의 명함을 보여주며 천황을 보고 싶을 뿐이라고 설명하여 통과 허가를 받았다.[7]

이봉창은 12월 28일에 쇼와 천황이 관병식에 참석한다는 것을 도쿄 아사히 신문을 통해 알게 되었고, 범행 전날(1월 6일)에 버스 운전수 스가와라 큐고로菅原久五郎일본어로부터 우연히 얻은 헌병 조장 '오바 젠큐'大場善久일본어의 명함을 사용하여 관병식 경계망을 두 번 통과했다.[19] 아카사카 부근에서 습격할 예정이었지만, 기다리는 동안 근처의 히토츠키一木일본어 식당에서 일본 술을 마시다가 행차 행렬을 놓쳐버렸고, 이봉창은 택시를 불러 미야케자카의 육군 참모본부 앞에서 내려 거기서부터 경시청 정문까지 달려가 참배객 행렬에 섞였다고 한다.[19]

5. 2. 사쿠라다몬 의거

1932년 1월 8일, 육군 시무식관병식을 마치고 환궁하던 쇼와 천황의 행렬이 황거・사쿠라다몬 밖, 경시청 청사 앞을 지날 때였다. 참배객들 사이에서 갑자기 뛰쳐나온 이봉창수류탄을 던졌다.[15] 노려진 마차는 궁내대신이치키 키토쿠로가 탑승한 두 번째 어료 마차였다. 수류탄은 왼쪽 뒷바퀴 부근에서 폭발하여 마차 밑바닥에 엄지손가락 크기의 구멍 2~3개가 생겼지만, 마차와 대열은 그대로 진행하였다.[15] 후에 파편으로 근위 기병 1명과 말 3마리가 부상당한 것이 밝혀졌다.[20]

쇼와 천황은 세 번째 어료 마차에 탑승하고 있었고, 수류탄은 그로부터 32미터[16]나 앞에서 폭발했다. 천황은 폭발음을 듣는 정도였고, 매우 냉정 침착했다고 한다.[15]

이봉창은 경시와 순사, 헌병 등 5명에 의해 즉시 체포되었다.[15] 그는 조선경성 출생으로, 김구가 조직한 항일 무장 조직 한인애국단(대한교민단)에서 파견된 암살자였다.[17][18]

이봉창은 사건 전날 헌병 조장의 명함을 이용해 경계망을 두 번 통과했다.[19] 아카사카 부근에서 습격하려 했으나 행렬을 놓치고, 미야케자카의 육군 참모본부 앞에서 내려 경시청 정문까지 달려가 참배객 행렬에 섞였다고 한다.[19] 이봉창은 어느 마차에 천황이 타고 있는지 알지 못했고, 초조함과 동요 속에서 두 번째 마차에 수류탄을 던졌으나, 습격은 실패로 끝났다.

5. 3. 체포와 재판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은 육군 시무식관병식을 마치고 환궁하던 쇼와 천황을 향해 수류탄을 던졌으나 실패하고 현장에서 즉시 체포되었다.[15] 경시 이시모리 훈오, 순사 혼다 츠네요시, 야마시타 소헤이, 헌병 카와이 상등병, 우치다 군조 등 5명이 이봉창을 제압했다.[15]

이봉창은 조선 경성부 출신으로, 김구가 조직한 항일 무장 조직 한인애국단 소속이었다.[17][18] 사건 전날인 1월 6일, 버스 운전수 스가와라 큐고로에게서 우연히 얻은 헌병 조장 '오바 젠큐'의 명함을 사용하여 관병식 경계망을 두 번 통과했다.[19]

이 사건은 대역죄에 해당하여 대심원 특별 권한으로 처리되었다.[20] 도쿄 지방 재판소 검사정은 즉시 검사총장코야마 마츠키치에게 사건을 송치했고, 코야마는 대심원장와니 사다키치에게 예심을 청구했다. 와니는 도쿄 지방 재판소 판사에게 예심을 명령했고, 상석 예심 판사 아키야마 타카히코가 심리를 맡았다. 국선 변호인으로는 우자와 소메이와 야마구치 사다마사가 선임되었다.[20][21]

9월 30일, 대심원 특별 형사부 와니 재판장은 이봉창에게 형법 제73조에 의거하여 사형을 선고했다.[20] 10월 10일,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6. 의거의 영향

이봉창 체포 (1932년 1월 8일)


이봉창 의거는 당시 일본 사회와 한국 독립운동 진영, 그리고 중일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에서는 이봉창이 체포된 후, 천황은 이 사건에 대해 "아마 독립당원일 것이다!"라고 말하며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7] 그러나 일본 국민들은 이 공격에 충격을 받았고, 이누카이 쓰요시 총리는 사임을 표명했지만 천황이 이를 거절했다.[7]

이봉창은 심문 과정에서 김구가 공격의 배후임을 자백했고, 결국 반역죄로 기소되었다.[7] 일본 검찰은 김구도 기소했고, 대심원은 상하이 주재 일본 총영사에게 김구를 일본으로 데려올 것을 명령했다.[7] 김구는 처음에는 공격 결과에 실망했지만, 이후 이 공격이 국가신도에서 천황을 신성하게 여긴다는 이미지를 손상시키는 데 중요했다는 안심을 받았다.[7]

KPG는 비상 내각 회의를 열어 김구의 대한독립당(KIP)이 공개적으로 공격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기로 합의했다. KIP는 중국 신문을 통해 "한국 혁명가 이봉창의 일본 천황에 대한 벼락같은 공격"을 언급하며, "모든 폭군과 침략자를 무너뜨리고 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실현"하고자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7] KPO는 이후 일본 관료들을 상대로 여러 차례 공격을 감행했지만 대부분 실패했다. 그러나 3개월 후,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사건을 통해 일본 육군 대장 시라카와 요시노리를 살해하는 데 성공했다.[9]

중국 신문들은 이 공격에 대해 흥분하며 몇 주 동안 정기적으로 보도했고, 이봉창과 한국인들을 칭찬했다. 역사학자 손세일은 이것이 한국인과 중국인 사이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한다.[7] 그러나 이러한 보도는 일본 측의 비판을 받았고, 칭다오에서는 칭다오 민국일보 사건이 발생하여 신문이 폐간되기도 했다.[7]

6. 1. 일본 내각의 혼란

이누카이 쓰요시 총리는 이봉창 의거로 인해 발생한 상황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같은 날 오후 5시 12분에 사임을 표명했지만, 내각을 구성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천황은 이를 거절했다.[7]

불경 사건[9] 발생에 경악한 이누카이 내각은 내각서기관장 모리 가쿠의 소집으로 긴급 각의를 열어 정부 책임에 대해 협의했다. 다이쇼 12년(1923년)의 호랑이 굴 사건 당시 제2차 야마모토 내각총사퇴했기 때문에, 이에 따르자는 의견이나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 등 여러 의견이 있었다. 내무대신 나카하시 도쿠고로, 상공대신 마에다 요네조, 농림대신 야마모토 데이지로가 여행 중이었고, 대장대신 다카하시 고레키요는 병 치료 중으로 결석했지만, 일단 사표를 제출하여 천황의 재가를 받는 것으로 결정되어, 당일 오후 5시에 여행 중인 세 명을 제외한 전원의 사표가 제출되었다.

그러나 8일 밤, 쇼와 천황은 현재의 시국이 중대하다며 스즈키 간타로 시종장사이온지 긴모치에게 파견하여 하문하게 하고, 사태 수습을 명했다. 사이온지는 이누카이 쓰요시가 유조(優諚)를 받고 내각을 속행하도록 설득했다. 야마모토 곤노효에도 이 사건은 호랑이 굴 사건의 상황과는 다르다고 말하며, 책임을 지고 사임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다음 날 9일 오전 8시, 이누카이 쓰요시 총리 이하 전 각료가 출근했다. 오전 10시, 천황은 직접 "시국이 중대하므로 유임하라"고 명했고, 이누카이 내각은 일전하여 유임하게 되었다. 경시총감 나가노베 렌은 파면되어 퇴관했다.[7]

6. 2. 중일 관계 악화와 제1차 상하이 사변

이봉창 의거는 중일 관계를 악화시키고 제1차 상하이 사변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상하이에서 중국 국민당 기관지인 民國日報|민국일보중국어는 이 사건에 대해 "불행하게도 겨우 부차를 폭파했다"는 등 범인에게 호의적인 보도를 했다.[7] 이는 현지 일본인 사회의 규탄 운동으로 이어져 중일 관계가 긴박해졌다.[7]

일본에서는 이누카이 쓰요시 내각이 이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표를 제출했으나, 쇼와 천황은 시국이 중대하다는 이유로 유임시켰다.[7] 경시총감 나가노베 렌은 파면되었다.[7]

6. 3. 한국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

이봉창 의거는 한국 독립운동에 여러 영향을 미쳤다. 우선, 이봉창은 심문 과정에서 김구가 공격 배후임을 자백했고, 반역죄로 기소되었다.[7] 일본 검찰은 김구도 기소했고, 대심원은 상하이 주재 일본 총영사에게 김구를 일본으로 데려올 것을 명령했다. 김구는 사건 다음 날 공격 결과를 알게 되었고, 처음에는 실망했지만, 이후 이 공격이 국가신도에서 천황을 신성하게 여긴다는 이미지를 손상시키는 데 중요했다는 안심을 받았다.[7]

이 사건으로 KPG는 비상 내각 회의를 열어 김구의 대한독립당(KIP)이 공개적으로 공격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기로 합의했다. KIP는 중국 신문을 통해 "한국 혁명가 이봉창의 일본 천황에 대한 벼락같은 공격을 통해 전 세계 억압받는 민족에게 새해의 행운을 기원"하며, "모든 폭군과 침략자를 무너뜨리고 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실현"하고자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7] KPO는 이후 일본 관료들을 상대로 여러 차례 공격을 감행했지만 대부분 실패했다. 그러나 3개월 후,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사건을 통해 일본 육군 대장 시라카와 요시노리를 살해하는 데 성공했다.[9]

중국 신문들은 이 공격에 대해 흥분하며 몇 주 동안 정기적으로 보도했고, 이봉창과 한국인들을 칭찬했다. 역사학자 손세일은 이것이 한국인과 중국인 사이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한다.[7] 그러나 이러한 보도는 일본 측의 비판을 받았다. 칭다오에서는 일본인 시위대가 《대공보(The Republic Daily News)》 사무실로 몰려가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는 칭다오 민국일보 사건으로 확대되어 일주일 이상 지속되었다. 이 사건을 진압하기 위해 2척의 군함에서 600명의 일본 군인이 투입되었고, 신문은 결국 폐간되었다.[7] 상하이에서는 일본 총영사관과 우티에청 시장 사이에 중국의 공격 칭찬으로 인해 외교적 갈등이 발생했다.[7] 중국 국민당 기관지 民國日報|민국일보중국어가 이 사건에 대해 범인에게 호의적인 보도를 한 것을 계기로, 현지 일본인 사회의 규탄 운동으로 발전하여 중일 관계가 긴박해졌고, 이는 제1차 상하이 사변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7. 의거 이후

이봉창 의거 이후 일본 내각은 총사퇴를 고려하였으나 히로히토의 만류로 유임되었다.

7. 1. 대한민국 정부의 추서

196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받았고, 1992년에는 기념 우표가 발행되었다.[10] 대한민국 서울 효창공원에는 이봉창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11]

참조

[1]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Certificate of Indebtedness (대한민국 공채표, 500불) http://www.emuseum.g[...] E Museum, 국립중앙박물관
[2] 웹사이트 사쿠라다문의거 (櫻田門義擧) http://kr.dic.yahoo.[...] Yahoo! Korea
[3] 논문 Reports about the Patriotic Deed of Lee Bong Chang in the Chinese Papers https://www.dbpia.co[...] 한국근현대사학회
[4] 뉴스 이봉창 의사 의거 76주년 기념식 Tongilnews 2008-01-08
[5] 뉴스 이봉창의사 의거, 러 배일사상 고취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 Yonhap 2001-04-11
[6] 웹사이트 Naver, Good morning Media : Korean Patriotic Organization (한인애국단) http://terms.naver.c[...]
[7] 웹사이트 孫世一의 비교 評傳 (50) http://monthly.chosu[...] 2006-05-15
[8] 웹사이트 이봉창 (李奉昌) https://encykorea.ak[...]
[9] 웹사이트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 https://encykorea.ak[...]
[10] 웹사이트 Korean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http://english.mpva.[...]
[11] 웹사이트 Koreans bow to heroes of the 1930s https://www.baltimor[...]
[12] 서적 天皇と朝鮮人と総督府 田畑書店 1984-01
[13] 간행물 李奉昌大逆事件--朝鮮独立運動の余話(史談裁判=第4集-3-) 日本評論社 1972-12
[14] 서적 岩波講座現代法 岩波書店 1966
[15] 서적 1934
[16] 문서
[17] 서적 2015
[18] 서적 1976
[19] 서적 1976
[20] 웹사이트 桜田門事件犯人に死刑宣告・他人の煽動により大逆の愚を敢てす 神戸大学附属図書館デジタルアーカイブ 1932-10-01
[21] 웹사이트 不逞漢李奉昌の大逆罪特別裁判 神戸大学附属図書館デジタルアーカイブ 1932-09-10
[22] 서적 1934
[23] 서적 1934
[24] 서적 日米開戦・破局への道 : 『木戸幸一日記』(1940年秋)を読む : 黒羽清隆日本史料購読 明石書店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