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산들와나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산들와나 전투는 1879년 1월 22일, 영국-줄루 전쟁 중 일어난 전투로, 영국군은 줄루족의 공격으로 인해 심각한 패배를 겪었다. 영국은 남아프리카 연방을 추진하며 줄루 왕국을 무력으로 제압하려 했고, 바틀 프레어는 영국 정부의 승인 없이 줄루 왕국에 최후 통첩을 제시하며 전쟁을 도발했다. 첼름스포드 경은 병력을 분산하여 줄루족을 찾았지만, 방어 준비 부족과 줄루족의 전술에 의해 영국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줄루족은 '버팔로의 뿔과 가슴' 전술로 영국군을 포위하여 승리했지만, 결국 영국군의 재침공으로 멸망했다. 이 전투는 영국군의 군사적 과오와 줄루족의 뛰어난 전술을 보여주는 사례로, 영화 '줄루 던'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9년 - 태평양 전쟁 (남아메리카)
    1879년부터 1883년까지 칠레, 페루, 볼리비아가 아타카마 사막의 구아노와 초석 광산 지대 소유권을 두고 벌인 태평양 전쟁은 칠레의 승리로 끝나 칠레는 남미 강국으로 부상하고 페루와 볼리비아는 경제적 어려움과 영토 손실을 겪었으며, 이는 남미 역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산들와나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줄루 전쟁
날짜1879년 1월 22일
장소줄루 왕국, 이산들와나
결과줄루족 승리
세부 결과첫 번째 영국 침공 시도 실패
교전 세력
교전국 1대영 제국
교전국 2줄루 왕국
지휘관
지휘관 1총지휘관:
프레드릭 테시어 소장
하위 지휘관:
헨리 퓰레인
}}
지휘관 2

Dabulamanzi kaMpande
Vumindaba kaNthati

Zibhebhu kaMaphithaKnight, Ian. Zulu War 1879, Osprey Publishing, 2003, , p. 33.
병력 규모
병력 1제2열:
영국군: 14명
원주민 + 식민지군: 약 511명
제3열:
영국군: 734명
원주민 + 식민지군: 약 578명
총합: 1,837명
위 병력 외에도 불확실한 수의 민간인 지원군(마차 운전수, 하인 등)이 존재함All figures from Holme, N. (1999) The Noble 24th: Biographical Records of the 24th Regiment in the Zulu War and the South African Campaigns, 1877–1879 pp. 377–78
병력 2줄루족 Impi:
약 20,000명Doyle, p. 120: "... around 20,000 ...". Colenso, p. 313, "The Zulu army, he (Nugwende) says, numbered 20,0000 ..." and p. 312, "... full nominal strength reaches a total of 30,900 men but the actual numbers are estimated at from 20,000 to 25,000
약 10,000 ~ 15,000명 교전
예비군:
3,000 ~ 5,000명 로크스 드리프트로 이동
피해 규모
피해 1총합: 1,300명 이상 사망:Knight (2002), p. 86|유럽 식민지군 133명Colenso, p. 312, gives 1333 also states a "given" total as 822 but says the actual loss is slightly higher}}물자 손실:
야포 2문 노획
피해 2총합: 3,000–5,000
시각 자료
멜빌과 코길 중위가 24연대 1대대의 여왕의 군기를 가지고 캠프에서 도망치고 있다.
멜빌과 코길 중위가 24연대 1대대의 여왕의 군기를 가지고 캠프에서 도망치고 있다
추가 정보

2. 배경

19세기 후반, 대영제국은 남아프리카 지역으로 식민지를 확장하려 했고, 이 과정에서 줄루 왕국은 영국의 침략에 맞서 싸웠다. 카나본 백작은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법을 통해 캐나다 연방을 성사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남아프리카에서도 연방을 구성하려 했다. 1877년, 헨리 바틀 프레어 경이 남아프리카 고등 판무관으로 임명되어 이 계획을 실행에 옮겼으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줄루 왕국의 존재는 영국의 계획에 걸림돌이었다.[25][26]

2. 1. 영국의 남아프리카 정책

카나본 백작이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법을 통해 캐나다 연방을 성사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남아프리카에서도 유사한 연방 구성을 추진했다. 1877년, 헨리 바틀 프레어 경이 남아프리카 고등 판무관으로 임명되어 이 계획을 실행에 옮겼다.[25] 그러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줄루 왕국 등 독립 국가들의 존재는 영국의 계획에 걸림돌이 되었고, 대영 제국은 이들 국가를 무력으로 제압하려 했다.[26]

2. 2. 줄루 왕국과의 갈등

카나본 백작이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법을 통해 캐나다 연방을 성사시킨 계획에 따라, 남아프리카에서도 비슷한 계획이 성공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 1877년 헨리 바틀 프레어 경은 이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남아프리카 고등 판무관으로 임명되었다.[25] 이 계획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줄루 왕국이라는 독립 국가가 장애물이었고, 대영 제국은 두 국가를 무력으로 제압하려 했다.[26]

바틀 프레어는 영국 정부의 승인 없이[27][28] 줄루족과의 전쟁을 도발하려는 의도로, 1878년 12월 11일 줄루 왕 세테와요에게 줄루 왕이 도저히 따를 수 없는 최후 통첩을 제시했다.[29] 한 달 후 최후 통첩 기한이 만료되자 바틀 프레어는 첼름스포드 경에게 이미 계획되어 있던 줄루족 침공을 명령했다.[30]

3. 전투의 전개

첼름스퍼드 경


전쟁 중 영국군 총사령관 첼름스퍼드 경은 줄루족을 포위하여 전투를 강요하기 위해 병력을 5개 부대로 나누어 진격시켰다.[31][32][33] 1879년 1월 11일, 첼름스퍼드 경이 이끄는 중앙 열은 버펄로 강을 건너 줄루족 영토로 진입했다.[34]

영국군 "줄루족 랜드 군사 지도", 1879년. 로르케스 드리프트는 빨간색, 녹색, 파란색 경계선이 만나는 지점에 있고, 이산들와나는 약간 오른쪽에 있다


영국군은 12개의 정규 보병 중대와 2,500여 명의 나탈 원주민 부대 보조병, 그리고 포병 분견대로 구성되어 있었다.[35][36] 중앙 열은 약 4,700명, 앤서니 던퍼드 대령이 지휘하는 제2 열은 약 3,100명이었다.[37][38]

세테와요, c. 1875


줄루족 군대는 민병대 성격이었지만,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소집되어 전투에 참여했다.[40] 줄루족 전사들은 이클와 창, 놉키리에 클럽, 투척용 창, 소가죽 방패 등으로 무장했다.[42] 일부는 낡은 머스킷과 구식 소총도 보유했지만, 사격술은 형편없었다.[43]

세테와요는 1월 17일, 24,000명 규모의 줄루족 군대를 화이트 움폴로지 강을 건너게 했고, 1월 22일에 정찰대에 발각되기 전까지 은밀하게 이동했다.[46] 줄루족 군대는 영국군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격했다.[49]

영국군은 1월 20일 이산들와나에 야영했지만, 참호 구축이나 라거 형성 등의 방어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34][45] 첼름스퍼드는 줄루족의 능력을 과소평가하고, 병력을 분할하여 주력 부대를 찾아 나섰다.[50][51][52]

1월 22일, 앤서니 던퍼드 대령이 로르케스 드리프트에서 나탈 원주민 부대와 로켓 포대를 이끌고 이산들와나에 도착했다.[56] 풀레인은 야영지 방어 명령을 받았기 때문에 던퍼드의 병력 요청을 거절했다.[55]

줄루군은 1월 23일 영국군을 공격하기 위해 이동했고, 풀레인은 오전 8시부터 줄루군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59] 오전 11시경, 줄루족 주력 부대가 발견되었고, 즉시 공격을 시작했다.

3. 1. 영국군의 오판

첼름스퍼드 경은 줄루족 군대를 과소평가하여, 이산들와나에 주둔하면서 방어 태세를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 1879년 1월 22일, 첼름스퍼드는 주력 부대를 찾아 나섰고, 이 과정에서 병력을 분산시켰다. 이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했다.[51][52]

첼름스퍼드는 규율, 지휘, 의욕, 자신감이 뛰어난 줄루족을 과소평가했다. 그는 효과적인 방어 위치를 확보하지 않았고, 주 줄루족 군대의 위치에 대한 정보도 부족했다. 또한 병력을 분할하는 결정을 내렸고, 줄루족은 지형과 영국군 편제의 약점을 전술적으로 이용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산들와나에서 영국군에게 참패를 안겨주었다.[57][58]

반면, 줄루족은 예상치 못한 영국군 야영지를 발견하고 즉각적이고 자발적으로 진격했다. 인다나가 진격을 완전히 통제하지는 못했지만, 전사들의 훈련 덕분에 줄루족 병력은 표준 공격 대형을 갖출 수 있었다.[57][58]

3. 2. 줄루군의 전략과 전술

줄루군은 '버팔로의 뿔과 가슴'으로 알려진 전통적인 전투 대형을 채택하여 영국군을 포위하려 했다.[60] 이 대형은 좌측 뿔, 우측 뿔, 그리고 중앙의 가슴(중앙) 부대로 구성되었다. 줄루군은 영국군의 허술한 방어 태세를 틈타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A topographic map drawn of the formation of the battle, it shows a British encampment on the top of a hill completley surrounded by a Zulu army.
243x243px


영국군 지휘관 풀레인은 줄루군의 공격에 맞서 보병대를 전진 배치하고, 왕립 포병대의 포격 지원을 받으며 방어선을 구축했다. 그러나 줄루군은 영국군의 우측을 포위하며 압박해 들어왔다.[65]

줄루군의 지휘관은 ''우므트와나''(왕자) 음츠잉와요 카마홀 코자와 ''우므트와나'' 마부멩와나 카은들레라 은툴리였다. 체츠와요의 이복형제인 다불라만지 카음판데는 정규 ''잉코시'' 지휘관인 지베부 카마피타가 부상을 입은 후 운디 군단을 지휘했다.[96]

전투 초반, 영국군은 마티니-헨리 소총과 포병 화력을 바탕으로 줄루군의 공격을 저지하는 듯했다. 그러나 탄약 부족과 던포드 부대의 후퇴로 인해 영국군 방어선에 틈이 생겼고, 결국 영국군은 붕괴되었다.[66]

그날의 일식이 오후 2시 30분에 일어났는데,[69][70] 줄루족 전사는 "전투 중에 태양이 검게 변했습니다."라고 증언했다.[68]

전투는 백병전으로 전개되었고, 영국군은 무자비하게 학살당했다.[73] 줄루족의 기록에 따르면, 첼름스포드의 텐트 경비병 중 한 명인 제24연대의 키가 큰 아일랜드인이 창에 찔려 죽을 때까지 총검으로 줄루족을 막았고, 사령관의 연합기가 빼앗겼다고 한다.[72]

3. 3. 영국군의 패배

많은 시신이 무리지어 있는 것은 저항이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더 길게 이어졌으며, 절박한 최후의 저항이 여러 차례 벌어졌음을 시사한다. 오늘날 돌무더기로 표시된 시신들의 증거는 캠프 주변 여러 곳, 특히 약 150명의 병력이 있던 곳에서 발견되었다. 줄루족의 기록에는 제24보병연대가 이산들와나의 목에서 사각형 대형을 이루었다고 묘사되어 있다.[71] 기병대를 갖추어 쉽게 도망갈 수 있었던 식민지 기병대, NMP, 그리고 카라비니에르는 마지막 저항을 하던 중 던포드 근처에서 사망했으며, 그들 근처에서는 말들이 말뚝 밧줄에 묶인 채 죽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72] 분명한 것은 캠프 주변 지역과 도망자의 드리프트(Fugitive's Drift)를 따라 나탈까지의 지역에서 학살이 완벽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전투는 백병전이었고, 영국 정규군에게는 무자비하게 대했다. 줄루족은 검은 코트를 입은 민간인을 무시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이는 당시 순찰복이 짙은 파란색과 검은색이었던 일부 장교들이 목숨을 건져 탈출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73]

줄루족 전사들에게 공격받는 멜빌 중위와 코길 중위


탄약이 소모되자 살아남은 영국 군인들은 칼날과 소총 개머리판으로 싸울 수밖에 없었다.[74] 줄루족의 기록에 따르면, 첼름스포드의 텐트 경비병, 제24연대의 키가 큰 아일랜드인이 창에 찔려 죽을 때까지 그의 총검으로 줄루족을 막아냈고, 사령관의 연합기(Union flag)가 빼앗겼다.[72] 제2 24연대 깃발 2개가 모두 사라졌고, 제1 24연대 깃발은 멜빌 중위가 말을 타고 전장에서 옮겼지만, 코길 중위가 그를 도왔음에도 불구하고 강을 건너면서 잃어버렸다. 멜빌과 코길은 강을 건넌 후 사망했고, 1907년에 그들의 용맹에 대한 전설이 커지면서 사후 빅토리아 십자 훈장을 받았다. 멜빌 부인(1906년 사망)이 27년 동안 꾸준히 캠페인을 벌인 끝에 빅토리아 여왕이 '만약 그들이 살아남았다면 빅토리아 십자 훈장을 수여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는 이야기에 힘입어 훈장을 받았다.[75] 첼름스포드를 대신한 가넷 울즐리는 당시 다른 생각을 가지고 "병사들이 죽어가는 동안 말 타고 도망가는 장교들의 모습은 마음에 안 든다"라고 말했다.[76]

1,800명 이상의 영국군과 아프리카 보조병 중 1,300명 이상이 사망했는데, 그 중 대부분은 유럽인이었고, 펄레인과 던포드와 같은 야전 지휘관도 포함되었다. 제국 장교는 5명(헨리 컬링과 호레이스 스미스-도리엔 중위 포함)만 살아남았고, 52명의 장교를 잃은 것은 당시 영국 부대가 잃은 최대 인원이었다. 사망자 중에는 응급처치의 선구자였던 군의관 피터 셰퍼드 소령도 있었다.[77] 나탈 원주민 부대는 약 400명의 병력을 잃었고, 249명의 아마추누 아프리카 보조병 그룹에서 240명이 사망했다.[78] 아마 마지막으로 죽은 사람은 아마추누 나탈 원주민 부대의 통통한 추장 가방가예였는데, 그는 '우디비'(운반인) 소년들에게 살해당하도록 넘겨졌다. 포로로 잡힌 나탈 원주민 부대 병사들은 줄루족에게 반역자로 여겨져 처형되었다.[79]

영국군은 현장을 포기했기 때문에 다른 많은 전투에서 그랬듯이 줄루족의 사상자 수를 세지 않았다. 줄루족도 수를 세지 않았다. 현대 역사가들은 이전의 근거 없는 추정치를 거부하고 줄였다. 역사가 록과 퀀트릴은 줄루족 사상자를 " ... 아마도 1,500명에서 2,000명 사이의 사망자"로 추정한다.[80] 역사학자 이안 나이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줄루족의 사상자도 거의 비슷했다.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1,000명이 공격으로 즉사했다..."[81]

약 1,000정의 마티니-헨리 소총, 야전 포병 2문, 탄약 40만 발, 기 3개, 2,000마리의 짐승의 대부분, 130대의 마차,[82] 통조림, 비스킷, 맥주, 외투, 텐트 및 기타 물품과 같은 식량이 줄루족에게 빼앗기거나 현장에 버려졌다. 생존자 중 대부분은 보조병 출신이었다. 울룬디로 가져간 야전 포병 2문은 울룬디 전투 후 영국 순찰대에 의해 버려진 채 발견되었다.

다음은 전투 당일의 부대 배치이다.

지휘관부대구성
명예 대령 앤서니 던포드, 왕립 공병대참모장교 2명, 부사관 1명
rowspan="3" |제11/7 포병 여단, 왕립 포병대장교 1명, 부사관 및 사병 9명, 로켓 포대(로켓 발사대 3기)
나탈 원주민 기병대 (5개 중대)장교 5명, 부사관 및 사병 약 259명
제1/1 나탈 원주민 파견대 (2개 중대)장교 6명, 부사관 및 사병 약 240명
제2/1 나탈 원주민 파견대부사관 1명
명예 중령 헨리 풀레인, 제1/24 보병대대참모장교 6명, 부사관 및 사병 14명
rowspan="11" |제5 포병여단, 왕립 야전 포병대장교 2명, 부사관 및 사병 70명, 야전포로 배치된 7파운더(3인치) 산악포 2문
제5 야전대대, 왕립 공병3명
제1/24 보병 연대(제2 워릭셔) (5개 중대)장교 14명, 부사관 및 사병 450명
제2/24 보병 연대(제2 워릭셔) (1개 중대)장교 5명, 부사관 및 사병 150명[85]
제90 보병 연대 (퍼스셔 경보병)10명
육군 수송대3명
육군 병원대장교 1명, 부사관 및 사병 10명
제국 기병대 (1개 기병대대)부사관 및 사병 28명
나탈 기마 경찰대부사관 및 사병 34명
나탈 카빈총병장교 2명, 부사관 및 사병 26명
뉴캐슬 기마 소총병장교 2명, 부사관 및 사병 15명
rowspan="3" |버팔로 국경 수비대장교 1명, 부사관 및 사병 7명
나탈 원주민 선구대장교 1명, 병사 10명
제1/3 나탈 원주민 파견대 (2개 중대)장교 11명, 부사관 및 사병 약 300명
제2/3 나탈 원주민 파견대 (2개 중대)장교 9명, 부사관 및 사병 약 300명


4. 전투의 결과 및 영향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영국군이 패배하면서 영국은 큰 충격을 받았다. 이 전투는 줄루 전쟁을 장기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85] 영국군은 헨리 풀레인 중령과 다수의 장병을 잃었고, 7파운더(3인치) 산악포 2문 등 상당한 장비도 손실했다.[85]

4. 1. 영국의 대응

영국은 줄루 왕국을 굴복시키기 위해 대규모 증원군을 파병하여 군사 작전을 강화했다. 가넷 울즐리 경이 새로운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첼름스포드를 대신했다.[85]

5. 역사적 평가 및 논쟁

이산들와나 전투의 패배는 영국군과 줄루 왕국 양측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 사건의 패배 원인을 둘러싸고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한다.

5. 1. 패배 원인에 대한 논쟁

영국군의 패배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쟁이 있다. 탄약 부족, 지휘관의 오판, 줄루군의 전략적 우위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첼름스포드의 전략적 판단 착오와 줄루족의 전투력에 대한 과소평가는 큰 비판을 받았다.[120]

많은 시신들이 무리지어 발견된 것은 영국군이 예상보다 오랫동안 저항했으며, 여러 차례 절박한 최후의 저항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돌무더기로 표시된 시신들은 캠프 주변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는데, 특히 약 150명의 병력이 있던 곳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줄루족의 기록에 따르면 제24보병연대는 이산들와나의 목에서 사각형 대형을 이루었다고 한다.[71]

탄약이 떨어진 영국 군인들은 칼날과 소총 개머리판으로 싸울 수밖에 없었다.[74] 줄루족의 기록에 따르면, 첼름스포드의 텐트 경비병이었던 키 큰 아일랜드인이 창에 찔려 죽을 때까지 총검으로 줄루족을 막아냈고, 이 과정에서 사령관의 연합기(Union flag)가 탈취되었다.[72]

첼름스포드는 이 참사에 대한 책임을 더넌포드에게 돌리려 했지만, 더넌포드가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는 증거는 없으며, 참호를 구축할 시간도 부족했다. 오히려 참호를 구축하지 않기로 한 것은 첼름스포드의 결정이었다.[120]

가넷 울즐리는 "병사들이 죽어가는 동안 말 타고 도망가는 장교들의 모습은 마음에 안 든다"라며 첼름스포드를 비판했다.[76]

6. 대중문화 속의 이산들와나 전투

이산들와나 전투는 영화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1979년 미국에서 제작된 줄루 던은 이 전투를 배경으로 한 모험 전쟁 영화이다.[118]

6. 1. 영화

1979년 미국에서 제작된 모험 전쟁 영화 줄루 던(Zulu Dawn)은 이산들와나 전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118]

참조

[1] 서적 Zulu War 1879 Osprey Publishing
[2] 서적 The Noble 24th: Biographical Records of the 24th Regiment in the Zulu War and the South African Campaigns, 1877–1879
[3] 문서 Zulu War Casualties
[4] 서적
[5] 문서 Isandlwana Casualties
[6] 서적
[7] 서적
[8] 서적 Zulu War 1879: twilight of a warrior nation
[9] 문서 Isandlwana Casualties
[10] 서적 Carnage and Culture: Landmark Battles in the Rise to Western Power Anchor Books
[11] 서적
[12] 서적 World History of Warfare Univ of Nebraska Pr
[13] 문서 Eyewitness Account of Isandlwana
[14] 서적 Zulu 1816–1906 Osprey Publishing
[15] 서적
[16] 학술지 Artillery in the Zulu War – 1879 http://www.samilitar[...] The South African Military History Society 1979-01-00
[17] 웹사이트 John McAdam, FRGS, "The Role of the Royal Artillery during the Anglo Zulu War" http://www.anglozulu[...] 2014-03-13
[18] 문서 British Defeat at Isandlwana
[19] 서적
[20] 웹사이트 When Spears Beat Cannons: The Battle of Isandlwana https://explorethear[...] 2020-12-29
[21] 서적 Rorke's Drift 1879 Osprey Publishing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Zulu War 1879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Zulu War
[29] 서적
[30] 서적
[31] 웹사이트 Colonel Richard Thomas Glyn https://www.anglozul[...]
[32] 웹사이트 Zulu War https://www.britishe[...]
[33] 서적
[34] 서적 New History of South Africa Tafelberg Publishers
[35] 문서 The 24th Foot's History
[36] 서적 Searching for the Queen's Cowboys Bratonmax 2009-10-01
[37] 문서 Colenso
[38] 웹사이트 The Battle of Isandlwana: Zulu Wars with the British https://warfarehisto[...] 2015-07-24
[39] 문서 Colenso
[40] 서적 Rorke's Drift 1879 Pinned like rats in a hole Osprey 1996
[41] 서적 British Fortifications in Zululand 1879 Osprey 2005
[42] 서적 History of Warfa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2
[43] 간행물 The Zulu Military Organization South African Military History Society 1978-12-01
[44] 문서 Lock
[45] 문서 Colenso
[46] 문서 Lock
[47] 서적 The Who's who of the Anglo-Zulu War: The Colonials and the Zulus https://books.google[...] Pen & Sword Military 2007
[48] 문서 Lock
[49] 문서 Lock
[50] 문서 Colenso
[51] 웹사이트 The Battle of Isandlwana and the Anglo-Zulu War of 1879 https://www.history.[...]
[52] 문서 Lock
[53] 웹사이트 12 Facts About the Battle of Isandlwana https://www.historyh[...]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Pulleine's rank
[57] 문서
[58] 문서 Colenso
[59] 문서 Colenso
[60] 서적 Memories of Forty-Eight Years' Service https://hdl.handle.n[...] New York,E. P. Dutton and Company 1925
[61] 문서 Smith-Dorrien
[62] 문서 Thompson
[63] 문서 Morris
[64] 문서 Smith-Dorrien
[65] 문서 Morris, Colenso
[66] 문서 Morris
[67] 문서 Colenso
[68] 서적 Through the Zulu Country
[69] 웹사이트 The Sun Turned Black https://www.anglozul[...]
[70] 웹사이트 Dark days of war https://www.theguard[...] 2001-06-21
[71] 서적 Colenso
[72] 서적 Lock
[73] 서적 Smith-Dorrien
[74] 서적 Knight (1992, 2002) and Morris
[75] 서적 Lock
[76] 서적 Lock
[77] 간행물 The earliest days of first aid BMJ 1994-12-24
[78] 서적 Black soldiers of the queen: the Natal native contingent in the Anglo-Zulu War University of Alabama Press 2006
[79] 서적 Lock
[80] 서적 Lock
[81] 서적 Isandlwana 1879: The Great Zulu Victory Osprey 2002
[82] 서적 Lock
[83] 서적 Knight 2002
[84] 서적 Colenso
[85] 웹사이트 Battle of Isandlwana https://www.britishb[...]
[86] 서적 F.E. Colenso
[87] 서적 Morris
[88] 서적 Morris
[89] 서적 Doyle
[90] 서적 Lock, Laband, Knight and Hook
[91] 서적 Lock
[92] 서적 Knight and Hook, Laband Osprey, Scarecrow Press Knight & Hook:2005, Laband:2009
[93] 서적 Lock
[94] 서적 Doyle
[95] 웹사이트 Memories of Forty-Eight Years' Service http://www.richthofe[...] Richthofen.com 2001-05-06
[96] 서적 Morris
[97] 서적 Laband
[98] 서적 How Can Man Die Better: The Secrets of Isandlwana Revealed Greenhill Books 2006
[99] 서적 Lock and Doyle
[100] 서적 Colenso
[101] 서적 Lock
[102] 서적 Lock
[103] 서적 Knight 2002
[104] 서적 Shillington, Colenso, Knight and McBride Shillington: 2005
[105] 서적 Thompson
[106] 서적 Lock
[107] 서적 Knight
[108] 서적 Colenso London
[109] 서적 Zulu War 1879 Osprey Publishing
[110] 서적 Colenso
[111] 서적 Zulu War 1879
[112] 서적 Knight
[113] 서적 Morris
[114] 서적 Life and Correspondence of Sir Bartle Frere London
[115] 서적 Colenso
[116] 서적 Zulu War 1879
[117] 서적 Lock
[118] 간행물 Military History Journal South African Military History Society 1979-06-01
[119] 서적 Vandervort
[120] 서적 The Washing of the Spears
[121] 서적 Lock
[122] 간행물 A Note on Firearms in the Zulu Kingdo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nglo-Zulu War, 1879
[123] 웹사이트 "Impi" live in concert – Frankfurt 1990 [1:27:20] https://www.youtube.[...] 2021-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