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십삼각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이십삼각형은 23개의 변과 꼭짓점을 가진 정다각형으로, 슐래플리 기호 {23}으로 나타낸다. 자와 컴퍼스로 작도할 수 없으며, 네우시스 작도나 종이 접기로도 작도할 수 없다. 이는 23이 페르마 소수, 피어폰트 소수, 2 또는 3의 거듭제곱이 아니기 때문이다. 정이십삼각형의 내각의 크기는 약 164.347°이고, 외각의 크기는 약 15.652°이며,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이십삼각형의 면적은 약 41.8344a²이다.

2. 정이십삼각형

정규 이십삼각형은 슐래플리 기호로 {23}으로 나타낸다.[1] 정이십삼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frac{3780}{23}도(약 164.347…)°이며, 외각의 크기는 약 15.652…°이다.[5]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이십삼각형의 면적 A는 다음과 같다.[1][5]

:A = \frac{23}{4}a^2 \cot \frac{\pi}{23} = 23r^2 \tan \frac{\pi}{23} \simeq 41.8344\,a^2

여기서 r내접원반지름(아포테마)이다.[1]

정규 이십삼각형은 자와 컴퍼스 또는 각의 삼등분으로는 작도가 불가능하다.[1] 이는 23이 페르마 소수도 아니고 피어폰트 소수도 아니기 때문이다.[1] 또한, 정규 이십삼각형은 네우시스 작도로도 작도할 수 없는 가장 작은 정규 다각형이다.[1]

A. Baragar (2002)는 자와 두 개의 노치가 있는 자를 사용하여 정규 23각형을 작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2] 그 방법으로 작도 가능한 모든 점이 \Q 위의 의 탑에 놓여 있으며, \Q = K_0 \subset K_1 \subset \dots \subset K_n = K이고, 각 단계의 확장의 차수가 2, 3, 5 또는 6인 일련의 중첩된 체임을 증명했다. 만약 정규 p각형을 작도할 수 있다면, p - 1N을 나누어야 하는데, p = 23의 경우, N은 11로 나누어 떨어져야 하므로 불가능하다.[2]

100각형보다 작은 소수 거듭제곱 정규 다각형 중에서는 23-, 29-, 43-, 47-, 49-, 53-, 59-, 67-, 71-, 79-, 83-, 및 89각형은 네우시스 작도로 작도할 수 없다.[3] 2014년에 Elliot Benjamin과 Chip Snyder는 정규 십일각형이 네우시스 작도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3]

이십삼각형은 23이 피어폰트 소수도 아니고, 2의 거듭제곱 또는 3의 거듭제곱도 아니기 때문에 종이 접기로도 작도할 수 없다.[4] 히피아스의 구적법, 아르키메데스 나선 및 기타 보조 곡선을 사용하여 작도할 수 있지만, 이는 모든 정규 다각형에 해당한다.[5]

\cos (2\pi/23)의 값은 11차 방정식을 풀어서 거듭제곱근으로 표현된다.[6]

2. 1. 정이십삼각형의 기하학적 성질

정규 이십삼각형은 슐래플리 기호로 {23}으로 나타낸다.[1] 정이십삼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frac{3780}{23}도(약 164.347…)°이며, 외각의 크기는 약 15.652…°이다.[5]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이십삼각형의 면적 A는 다음과 같다.[1][5]

:A = \frac{23}{4}a^2 \cot \frac{\pi}{23} = 23r^2 \tan \frac{\pi}{23} \simeq 41.8344\,a^2

여기서 r내접원반지름(아포테마)이다.[1]

정규 이십삼각형은 자와 컴퍼스 또는 각의 삼등분으로는 작도가 불가능하다.[1] 이는 23이 페르마 소수도 아니고 피어폰트 소수도 아니기 때문이다.[1] 또한, 정규 이십삼각형은 네우시스 작도로도 작도할 수 없는 가장 작은 정규 다각형이다.[1]

A. Baragar (2002)는 자와 두 개의 노치가 있는 자를 사용하여 정규 23각형을 작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2] 그 방법으로 작도 가능한 모든 점이 \Q 위의 의 탑에 놓여 있으며, \Q = K_0 \subset K_1 \subset \dots \subset K_n = K이고, 각 단계의 확장의 차수가 2, 3, 5 또는 6인 일련의 중첩된 체임을 증명했다. 만약 정규 p각형을 작도할 수 있다면, p - 1N을 나누어야 하는데, p = 23의 경우, N은 11로 나누어 떨어져야 하므로 불가능하다.[2]

100각형보다 작은 소수 거듭제곱 정규 다각형 중에서는 23-, 29-, 43-, 47-, 49-, 53-, 59-, 67-, 71-, 79-, 83-, 및 89각형은 네우시스 작도로 작도할 수 없다.[3] 2014년에 Elliot Benjamin과 Chip Snyder는 정규 십일각형이 네우시스 작도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3]

이십삼각형은 23이 피어폰트 소수도 아니고, 2의 거듭제곱 또는 3의 거듭제곱도 아니기 때문에 종이 접기로도 작도할 수 없다.[4] 히피아스의 구적법, 아르키메데스 나선 및 기타 보조 곡선을 사용하여 작도할 수 있지만, 이는 모든 정규 다각형에 해당한다.[5]

\cos (2\pi/23)의 값은 11차 방정식을 풀어서 거듭제곱근으로 표현된다.[6]

2. 2. 정이십삼각형의 작도 불가능성

정이십삼각형은 자와 컴퍼스로 작도할 수 없다.[1] 이는 23이 페르마 소수도 아니고 피어폰트 소수도 아니기 때문이다.[1] 또한, 정이십삼각형은 네우시스 작도로도 작도할 수 없는 가장 작은 정규 다각형이다.

A. Baragar (2002)는 자와 두 개의 노치가 있는 자를 사용해도 정이십삼각형을 작도할 수 없음을 증명했다.[2] 그는 작도 가능한 모든 점이 \Q 위의 의 탑에 놓여 있으며, 각 단계의 확장의 차수가 2, 3, 5 또는 6인 일련의 중첩된 체임을 보였다. 만약 정규 p각형을 작도할 수 있다면, \zeta_p = e^\frac{2\pi i}{p}를 작도할 수 있는데, 이는 차수가 p - 1기약 다항식의 근이다. \zeta_p\Q 위의 차수가 N인 체 K에 속하며, N을 나누는 소수는 2, 3 및 5뿐이다. 그러나 \Q[\zeta_p]K의 부분 체이므로, p - 1N을 나눈다. p = 23의 경우, N은 11로 나누어 떨어져야 하므로, 정리 5.1에 따라 작도가 불가능하다.[2]

100각형보다 작은 소수 거듭제곱 정규 다각형 중에서는 23-, 29-, 43-, 47-, 49-, 53-, 59-, 67-, 71-, 79-, 83-, 89각형이 네우시스 작도로 작도할 수 없다.[2] 2014년에 Elliot Benjamin과 Chip Snyder는 정십일각형이 네우시스 작도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지만,[3] 나머지 25-, 31-, 41-, 61각형의 경우는 아직 미해결 상태이다.[3]

정이십삼각형은 23이 피어폰트 소수도 아니고, 2의 거듭제곱 또는 3의 거듭제곱도 아니기 때문에 종이 접기로도 작도할 수 없다.[4] 히피아스의 구적법, 아르키메데스 나선 및 기타 보조 곡선을 사용하면 작도할 수 있지만, 이는 모든 정규 다각형에 해당한다.[5]

2. 3. cos(2π/23)의 대수적 표현

\cos (2\pi/23)의 값은 11차 방정식을 풀어서 거듭제곱근으로 표현된다[6]. z^{11}=1의 복소수 해 중 하나인 e^{\frac {2\pi}{11}i}를 σ라고 하면, 10차 다항식에 σ를 대입한 값의 11제곱근 10개(\lambda_1,\lambda_2,\lambda_3,\lambda_4,\lambda_5,\lambda_6,\lambda_7,\lambda_8,\lambda_9,\lambda_{10})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cos \frac {2\pi}{23} = \frac {\lambda_1+\lambda_2+\lambda_3+\lambda_4+\lambda_5+\lambda_6+\lambda_7+\lambda_8+\lambda_9+\lambda_{10}-1}{22}

:\lambda_1= \sqrt[11] {23(384812+188298\sigma -625515\sigma^2 -78859\sigma^3 + 740707\sigma^4 + 84370\sigma^5 + 834405\sigma^6 + 98208\sigma^7 + 361900\sigma^8 -56177\sigma^9)}

:\lambda_2= \sqrt[11] {23(384812+188298\sigma^2 -625515\sigma^4 -78859\sigma^6 + 740707\sigma^8 + 84370\sigma^{10} + 834405\sigma + 98208\sigma^3 + 361900\sigma^5 -56177\sigma^7)}

:\lambda_3= \sqrt[11] {23(384812+188298\sigma^3 -625515\sigma^6 -78859\sigma^9 + 740707\sigma + 84370\sigma^4 + 834405\sigma^7 + 98208\sigma^{10} + 361900\sigma^2 -56177\sigma^5)}

:\lambda_4= \sqrt[11] {23(384812+188298\sigma^4 -625515\sigma^8 -78859\sigma + 740707\sigma^5 + 84370\sigma^9 + 834405\sigma^2 + 98208\sigma^6 + 361900\sigma^{10} -56177\sigma^3)}

:\lambda_5= \sqrt[11] {23(384812+188298\sigma^5 -625515\sigma^{10} -78859\sigma^4 + 740707\sigma^9 + 84370\sigma^3 + 834405\sigma^8 + 98208\sigma^2 + 361900\sigma^7 -56177\sigma)}

:\lambda_6= \sqrt[11] {23(384812+188298\sigma^6 -625515\sigma -78859\sigma^7 + 740707\sigma^2 + 84370\sigma^8 + 834405\sigma^3 + 98208\sigma^9 + 361900\sigma^4 -56177\sigma^{10})}

:\lambda_7= \sqrt[11] {23(384812+188298\sigma^7 -625515\sigma^3 -78859\sigma^{10} + 740707\sigma^6 + 84370\sigma^2 + 834405\sigma^9 + 98208\sigma^5 + 361900\sigma -56177\sigma^8)}

:\lambda_8= \sqrt[11] {23(384812+188298\sigma^8 -625515\sigma^5 -78859\sigma^2 + 740707\sigma^{10} + 84370\sigma^7 + 834405\sigma^4 + 98208\sigma + 361900\sigma^9 -56177\sigma^6)}

:\lambda_9= \sqrt[11] {23(384812+188298\sigma^9 -625515\sigma^7 -78859\sigma^5 + 740707\sigma^3 + 84370\sigma + 834405\sigma^{10} + 98208\sigma^8 + 361900\sigma^6 -56177\sigma^4)}

:\lambda_{10}= \sqrt[11] {23(384812+188298\sigma^{10} -625515\sigma^9 -78859\sigma^8 + 740707\sigma^7 + 84370\sigma^6 + 834405\sigma^5 + 98208\sigma^4 + 361900\sigma^3 -56177\sigma^2)}

3. 관련 도형

정이십삼각형에는 10개의 정규 별 이십삼각형이 있으며, 슐레플리 기호 {23/q}로 표시되며, 2 ≤ q ≤ 11이다.

85px

{23/2}
85px

{23/3}
85px

{23/4}
85px

{23/5}
85px

{23/6}
85px

{23/7}
85px

{23/8}
85px

{23/9}
85px

{23/10}
85px

{23/11}


참조

[1] OEIS Tomahawk-nonconstructible n-gons
[2] 학술지 Constructions Using a Compass and Twice-Notched Straightedge 2002
[3] 학술지 On the construction of the regular hendecagon by marked ruler and compass 2014-05
[4] 간행물 Origami-Constructible Numbers https://getd.libs.ug[...] University of Georgia 2017
[5] 학술지 The equiangular compass https://www.research[...] 2012-12
[6] 웹사이트 z^23=1 의 해법 | てっぃちMarshの数学(Mathematics)教室 https://ameblo.jp/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