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은상 (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은상은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로, 1903년 경상남도 마산 출신이다. 연희전문학교와 일본 와세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영남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시조작가협회장, 한국산악회 회장 등을 지냈다. 시조 부흥에 기여했으며, 광복 전에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노산 시조집》, 《민족의 맥박》 등이 있으며, 이순신 연구가로도 알려져 있다. 1969년 대통령상, 1970년 무궁화장을 수상했으며, 198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신고등학교 동문 - 이영진 (1972년)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 이영진은 1994년 일화 천마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 은퇴 후 지도자로서 원삼중학교 코치, 백암고등학교 감독을 거쳐 성남 FC 코치, 수석코치, 감독대행 등을 역임하며 2010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과 2014년 FA컵 우승에 기여했다.
  • 창신고등학교 동문 - 김판곤
    김판곤은 울산 현대에서 선수로 뛰었으며, 홍콩 리그에서 선수 겸 코치로 활동하고 지도자로서 여러 팀을 거쳐 말레이시아 대표팀을 이끌고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달성했으며, 울산 HD FC 감독으로 K리그1 우승을 이끌고 대한축구협회 부회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 대한민국의 산악인 - 김영도 (1924년)
    김영도는 평안북도 정주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전쟁 통역장교, 성동고등학교 교사, 육군사관학교 교수를 거쳐 민주공화당 소속 제9대 국회의원과 대한산악연맹 회장, 한국등산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한국 산악계에 기여한 정치인이자, 한국인 최초 에베레스트 등정 원정대 대장, 북극 탐험대 대장 등을 지낸 탐험가이다.
  • 대한민국의 산악인 - 지현옥
    지현옥은 서원대학교에서 미술교육학 학위를 받고 1988년 매킨리 등정에 성공했으며, KBS 《11시에 만납시다》에 출연했고, 체육훈장 기린장과 백마장을 수여받았다.
  •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은상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은상
한글 표기이은상
한자 표기李殷相
로마자 표기I Eunsang
출생일1903년 10월 22일
출생지경상남도 마산시 (현재의 대한민국)
사망일1982년 9월 18일
직업시인, 역사학자
언어한국어
국적대한민국
학력
학교연희전문학교, 와세다 대학
작품 활동
활동 기간1922년 – 1982년
장르
주요 작품슬픈 사슴
가고파
데뷔 작품아버지를 잃고
기타 정보

2. 생애

이은상은 경상남도 마산 출신으로 경성 연희전문학교 문과와 일본 와세다 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다.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석사박사 학위를 받았고, 연세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서울대학교, 영남대학교 교수를 거쳐 대한민족문화협회장, 한국시조작가협회장, 한국산악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광복 전에는 국민문학파의 일원으로 활동했고,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투옥되기도 했다. 〈조선문단〉지 초기부터 꾸준히 작품 활동을 했다.

그의 시조는 조국과 국토 산하에 대한 예찬, 전통적 동양 정서, 불교적 무상관 등이 얽혀 바탕을 이루고 있다. 특히 조국과 민족에 대한 사랑은 거의 신앙적 집념으로 나타난다. 평이한 언어가 자연스럽게 유출하는 즉흥성은 넓은 독자층을 형성하여 시조 부흥을 이룩한 공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 대부분은 곡이 붙여져 노래로 불릴 정도로, 전통적인 시조 형식을 현대적인 리듬으로 잘 소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69년 대통령상을, 1970년 대한민국 무궁화장을 받았다.[2]

2. 1. 유년 시절과 교육

李垠相|이은상중국어은 1903년 10월 22일 경상남도 마산 상남동에서 태어났다.[2] 아호는 노산(鷺山)이다. 1918년 아버지가 설립한 창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23년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 문과에 입학하였으나, 같은 해 중퇴하였다. 이후 한때 창신학교 교사로 재직하다가 1925년 일본 와세다 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하였다. 1928년 귀국하여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에서 일했다.[3]

2. 2. 교육 및 언론 활동

1903년 10월 22일 경상남도 마산에서 태어났다.[2] 1918년 아버지가 설립한 창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23년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 문과에 입학하였으나, 같은 해 중퇴하였다. 이후 한때 창신학교 교사로 재직하다가 1925년 일본 와세다 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하였다. 1931년부터 1932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이후 동아일보조선일보에서 기자로 활동하였다.[3]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이듬해 기소유예로 석방되었다. 1945년 광양경찰서에 정치범으로 구금되었으나 광복절에 석방되었다.

광복 후에는 청구대학, 서울대학교, 영남대학교 등에서 강의하였다. 1954년 한국예술원 회원으로 추대되었으며, 1978년에는 종신회원이 되었다. 이순신기념사업회 회장, 한국산악회, 한국문화보존회, 민족문화협회 회원, 한국독립운동사 편찬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1]

2. 3. 항일 운동과 투옥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이듬해 기소유예로 석방되었다.[3] 1945년 광양경찰서에 정치범으로 구금되었으나 광복절에 석방되었다.[1]

2. 4. 광복 이후 활동

광복 후에는 언론, 학술, 사학 방면에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국토를 직접 다니며 쓴 기행문도 많고, 충무공 이순신 연구가로도 이름이 높다.[7] 1963년 민주공화당 창당선언문의 초안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김구 선생 추도가, 박정희 대통령 추도가의 가사를 짓기도 했다.[7]

1982년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에 임명되었으나[7] 그해에 사망했다.[1]

광복 후에는 청구대학, 서울대학교, 영남대학교 등에서 강의하였다. 1954년 한국예술원 회원으로 추대되었으며, 1978년에는 종신회원이 되었다. 이순신기념사업회 회장, 한국산악회, 한국문화보존회, 민족문화협회 회원, 한국독립운동사 편찬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1]

1969년에는 대통령상을, 1970년에는 대한민국 무궁화장을 수상하였다.[2]

2. 5. 정치 참여

1963년 민주공화당 창당선언문의 초안을 작성했다.[7] 1982년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으로 임명되었으나,[7] 그해에 사망했다. 김구 선생 추도가와 박정희 대통령 추도가의 가사를 썼다.

3. 작품 세계

이은상은 어린 시절 경험과 아버지의 영향으로 시조 형식의 시를 썼다.[1] 1921년 '혈조(Hyul-jo)'를 두우성이라는 필명으로 '아성(Ah-sung)' 4호에 발표했다.[1]

3. 1. 시조의 현대화

이은상은 어린 시절 노비산 기슭 자택 근처 개울에서 친구들과 놀았다. 훗날 고향인 마산을 방문할 때마다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그 개울을 찾았다. 시 '옛 언덕을 오르며'와 '봄의 교향곡'은 모두 그가 노비산 언덕에서 놀던 시절을 묘사하고 있다. 그가 시조 형식으로 시를 쓰게 된 동기 중 하나는 어린 시절 아버지가 시조를 낭송해주었기 때문이다.[1]

1921년, 시 '혈조(Hyul-jo)'가 두우성(Du-wu-seong)이라는 필명으로 '아성(Ah-sung)' 4호에 처음 발표되었다.[1] 그의 아호는 로산(鷺山)이며, 1903년 10월 22일 마산에서 태어났다. 1920년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여 2년간 수학한 후 일본 와세다대학에 유학했다. 1928년 귀국하여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에서 일했다. 이병기와 더불어 한국 고유의 시인 시조의 현대화에 기여하여 시조의 한 유형을 완성시켰다.[1]

그의 작품 대부분은 곡이 붙여져 노래로 불릴 정도로, 전통적인 시조 형식을 현대적인 리듬으로 잘 소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병기와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1]

3. 2. 작품 경향

이은상은 어린 시절 노비산 기슭 자택 근처 개울에서 친구들과 놀았다. 후에 고향인 마산을 방문할 때마다 그는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그 개울을 찾았다. 시 '옛 언덕을 오르며'와 '봄의 교향곡'은 모두 그가 노비산 언덕에서 놀던 시절을 묘사하고 있다. 그가 시조 형식으로 시를 쓰게 된 동기 중 하나는 어린 시절 아버지가 시조를 낭송해주었기 때문이다.[1]

그의 작품 대부분은 곡이 붙여져 노래로 불릴 정도로, 전통적인 시조 형식을 현대적인 리듬으로 잘 소화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이병기와는 다른 특징이기도 하다.[1]

3. 3. 주요 작품

이은상의 작품은 대부분 곡이 붙어 노래로 불릴 정도로, 전통적인 시조 형식을 현대적인 리듬으로 잘 소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는 이병기와는 다른 특징이기도 하다.

  • 1932년, 《가고파
  • 1936년, 《무상》
  • 1951년, 《민족의 맥박》
  • 1962년, 《피 어린 육백리》
  • 1966년, 《철도의 노래》
[1]

4. 수상 내역


  • 1964년 문학공로상
  • 1969년 한글공로상
  • 1973년 5·16민족상
  • 1977년 대한민국 건국포장

참조

[1] 웹사이트 Lee Eunsang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2013-12-14
[3]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4] 웹사이트 (3)전주 이씨(全州李氏)-2,609,890명 http://www.seoulecon[...] 2022-08-16
[5] 웹사이트 네이버 검색 결과 http://people.search[...] 2014
[6] 웹사이트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
[7] 웹사이트 (95)국정자문위원 - munhwa.com http://www.munhw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